KR100768951B1 - 센서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센서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951B1
KR100768951B1 KR1020050068490A KR20050068490A KR100768951B1 KR 100768951 B1 KR100768951 B1 KR 100768951B1 KR 1020050068490 A KR1020050068490 A KR 1020050068490A KR 20050068490 A KR20050068490 A KR 20050068490A KR 100768951 B1 KR100768951 B1 KR 100768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roadcast receiving
receiving apparatus
mod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8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3848A (ko
Inventor
김성권
주경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8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8951B1/ko
Publication of KR20070013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3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센서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송수신장치는, 소정의 센서 감지 영역 내에서 사용자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소정 작업을 수행하는 활성화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부존재(不存在)가 감지되면 작업을 중지하고 대기하는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고,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되면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방송수신장치 및 외부기기의 동작모드를 전환하여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방송수신장치, 외부기기, 인터페이스

Description

센서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Broadcast receiver using sensor for control operation an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 및 외부기기의 동작환경을 나타낸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기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0 : 방송수신장치 110 :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 센서부 130 : 타이머부
140 : 제어부
200-1, 200-2, 200-3, …, 200-n : 외부기기
본 발명은, 센서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를 연결하는 방송수신장치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감지 결과에 따라 방송수신장치 본체 및 외부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수신장치란, 방송국 전송 신호뿐만 아니라, 연결된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하여 사용자가 보고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 때 연결되는 외부기기로는, DVD Player, VCR Player, STB 및 Camcoder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들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방송수신장치는 외부기기와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하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 간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로는 IEEE 1394와 AV/C 및 Ethernet 등이 있을 수 있다. 이 외에도 최근 삼성전자가 개발한 홈 네트워크 솔루션인 XHT(eXpandable Home Theater) 기술을 이용한 방송수신장치 및 외부기기 간의 인터페이스 구축이 실용화되고 있다. XHT 기술이란, HD급 신호를 가장 안정적으로 전달 할 수 있는 IEEE 1394(Fire Wire) 케이블과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통신규격을 이용하여 방송수신장치와 연결된 영상 및 음향기기는 물론 여러 대의 TV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다. 만약, 거실에 있는 TV에만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있고 안방에 있는 TV는 그렇지 않을 경우, 안방에 있는 TV에도 수신기를 달아야하지만, XHT 기술을 이용하면 거실에 있는 TV의 방송수신기만으로 안방의 TV까지 디지털 방송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방송수신장치의 화면을 통해 시청하다 사용자가 전화를 받기 위해 자리를 비우거나, 급한 일이 생기게 되면 방송수신장치 및 외부기기의 전원을 오프(off)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직접 방송수신장치 및 외부기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전원을 오프(off)하지 않는다면 방송수신장치 및 외부기기는 계속 온(on) 상태로 유지되어 불필요한 전력소비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가 계속 재생되게 됨으로써, 차후, 사용자가 자리에 돌아와 영상 및 음성신호를 시청하고자 할 경우, 자리를 비우기 전까지 시청하던 부분을 찾아 되돌려 보아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방송수신장치에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장착하여 사용자의 존재를 감지함으로써, 센서 감지 결과에 따라 방송수신장치 본체 및 외부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장치는, 소정의 센서 감지 영역 내에서 사용자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소정 작업을 수행하는 활성화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부존재(不存在)가 감지되면 상기 작업을 중지하고 대기하는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되면 상기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와 연결된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부존재가 감지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소정의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소정의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변화된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부에 의해 카운팅된 시간이 소정의 임계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모드 전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은, 상기 센서에서 사용자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소정 작업을 수행하는 활성화 모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부존재가 감지되면, 상기 작업을 중지하고 대기하는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상기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되면 상기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의 부존재가 감지되면 소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로 소정의 제1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의 동작모드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로 소정의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 나의 외부기기의 동작모드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 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100) 및 외부기기(200-1, 200-2, 200-3, …, 200-n)들의 동작환경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방송수신장치(100)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200-1 ~ 200-n)와 연결되어 있다. 이 때,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로는 IEEE 1394(Fire Wire), AV/C(Audio Video/Controller) 및 Ethernet등이 있으며, 최근 개발된 XHT(eXpandable Home Theater)가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기기기(200-1 ~ 200-n)로는 DVD Player, VCR Player, STB 및 Camcoder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더 연결할 수도 있다.
한편, 방송수신장치(100)는 본체 외부에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장착하고 있다. 방송수신장치(100)는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본체 및 외부기기(200-1 ~ 200-n)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방송수신장치(100)가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등의 소정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부존재가 감지되면 동작모드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한다. 스탠바이 모드란, 방송수신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인 디스플레이 패널, 스케일러 칩, 디코더 칩, 튜너 칩 등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턴-오프(Turn-off)상태를 말한다.
이 후, 방송수신장치(100)의 동작모드가 스탠바이 모드인 상태에서,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되면 방송수신장치(100)의 동작모드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한다. 활성화 모드란, 방송수신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인 디스플레이 패널, 스케일러 칩, 디코더 칩, 튜너 칩 등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영상 및 음성신호의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는 턴-온(Turn-on)상태를 말한다.
한편, 방송수신장치(100)가 외부기기(200-1 ~ 200-n)와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센서에 의해 사용자 부존재가 감지되면 방송수신장치(100)의 동작모드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는 동시에, 외부기기(200-1 ~ 200-n)로 스탠바이 모드 전환을 명령하는 제1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각 외부기기(200-1 ~ 200-n)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외부기기(200-1 ~ 200-n)를 턴-오프(Ture-off)시키거나, 기록매체 재생 중일 경우에는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 후, 방송수신장치(100) 및 외부기기(200-1 ~ 200-n)의 동작모드가 스탠바이 모드인 상태에서, 센서에 의해 사용자 존재가 감지되면 방송수신장치(100)의 동작모드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동시에, 외부기기(200-1 ~ 200-n)에 활성화 모드 전환을 명령하는 제2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방송수신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센서부(120), 타이머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방송수신장치(100) 및 외부기기(200-1 ~ 200-n)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200-1 ~ 200-n)와 연결되어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수신하거나 외부기기(200-1 ~ 200-n)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부(120)는 방송수신장치(100)의 본체 외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존재를 주기적으로 감지한다. 센서부(120)는 센서 감지영역 내에서 사용자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타이머부(130) 및 제어부(140)에 전달한다. 센서 감지영역은 센서부착 위치, 감지각도, 감도 등에 따라 확장 및 축소될 수 있다.
타이머부(130)는 센서부(120)의 감지 결과가 변화된 시점부터 경과되는 기간을 카운팅한다. 구체적으로는, 센서부(120)에 의해 사용자 존재가 감지되다가 사용자 부존재로 감지되거나, 사용자 부존재로 감지되다가 사용자 존재로 감지되는 등의 변화가 있으면, 타이머부(130)는 그 변화시점부터 시간을 측정한다. 타이머부(130)의 시간 측정에 있어서 소정의 임계시간을 초과하면, 임계시간 경과를 알리는 신호를 제어부(140)에 전송한다.
제어부(140)는 센서부(12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존재 여부에 대한 감지결과에 따라 방송수신장치(100) 및 외부기기(200-1 ~ 200-n)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방송국 전송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방송수신장치(100)가 턴-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센서부(120)에 의해 사용자 부존재가 감지되면, 타이머부(130)에서 측정되는 소정의 임계시간 후, 방송수신장치(100)의 동작모드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방송수신장치(100)의 동작모드가 스탠바이 모드일 경우, 센서부(120)에 의해 사용자 존재가 감지되면, 타이머부(130)에서 측정되는 소정의 임계시간 후, 방송수신장치(100)의 동작모드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40)는 방송수신장치(100)와 외부기기(200-1 ~ 200-n)가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센서부(120)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타이머부(130)에서 측정되는 소정의 임계시간 후, 외부기기(200-1 ~ 200-n)의 동작모드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제1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외부기기(200-1 ~ 200-n)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외부기기(200-1 ~ 200-n)의 동작모드가 스탠바이 모드일 경우, 센서부(120)에 의해 사용자 존재가 감지되면, 타이머부(130)에서 측정되는 소정 시간 후, 외부기기(200-1 ~ 200-n)의 동작모드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제2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외부기기(200-1 ~ 200-n)를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방송수신장치(100)의 센서부(120)를 통해 사용자가 감지되는지를 확인한다(S310). 사용자 부존재가 감지되면, 현재 방송수신장치(100)의 동작모드가 활성화 모드인지를 확인한다(S320). 활성화 모드로 동작되고 있으면,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여 방송수신장치(100)의 전원을 차단하여 전원 대기 상태가 되도록 한다(S330).
S320 단계에서, 방송수신장치(100)의 동작모드가 활성화 모드가 아닌, 스탠 바이 모드라면, 스탠바이 모드를 그대로 유지한다(S340).
한편, S310 단계에서, 사용자가 감지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현재 방송수신장치(100)의 동작모드가 스탠바이 모드인지를 확인한다(S350).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되고 있으면, 방송수신장치(100)의 동작모드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여 전원 공급 상태가 되도록 한다(S360).
S350 단계에서, 방송수신장치(100)의 동작모드가 스탠바이 모드가 아닌, 활성화 모드로 동작하고 있으면, 활성화 모드를 그대로 유지한다(S34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기기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방송수신장치(100)에 외부기기(200-1 ~ 200-n)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410). 외부기기(200-1 ~ 200-n)가 연결되어 있으면, 방송수신장치(100)의 센서부(120)를 통해 사용자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S420).
이 후, 사용자 부존재가 감지되면, 외부기기(200-1 ~ 200-n)가 활성화 모드로 동작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S430). 활성화 모드로 동작되고 있다면, 외부기기(200-1 ~ 200-n)의 동작모드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제1 제어신호를 전송한다(S440).
반면, S430 단계에서, 외부기기(200-1 ~ 200-n)가 활성화 모드가 아닌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스탠바이 모드를 유지한다(S450).
한편, S420 단계를 통해 센서부(120)로부터 사용자 존재가 감지되면, 외부기기(200-1 ~ 200-n)가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S460). 확인결과,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하고 있으면, 외부기기(200-1 ~ 200-n)의 동작모드를 활 성화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제2 제어신호를 전송한다(S470).
반면, S460 단계를 통해 외부기기(200-1 ~ 200-n)가 스탠바이 모드가 아닌 활성화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활성화 모드를 유지한다(S450). 이와 같이 방송수신장치(100)의 센서부(120)를 통해 사용자 존재를 감지함으로써, 방송수신장치(100) 및 외부기기(200-1 ~ 200-n)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수신장치에 사용자를 감지할 수있는 센서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센서 감지 영역을 벗어난 후, 일정 시간이 지나게 되면 방송수신장치 및 외부기기들의 동작모드를 스탠바이 모드로 한다. 차후, 센서에 사용자가 감지되면 방송수신장치 및 외부기기들의 동작모드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가 급하게 자리를 비우게 되더라도 방송수신장치 및 외부기기의 전원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되다.
또한,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는 시점에서 방송수신장치 및 외부기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전원을 차단하기 때문에 외부기기가 계속 재생됨으로 인해 이전에 시청하던 구간을 찾아 되돌려 보아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 다.

Claims (5)

  1. 소정의 센서 감지 영역 내에서 사용자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와 연결된 인터페이스부; 및,
    소정 작업을 수행하는 활성화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부존재(不存在)가 감지되면 상기 작업을 중지하고 대기하는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되면 상기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부존재가 감지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소정의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소정의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가 변화된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부에 의해 카운팅된 시간이 소정의 임계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모드 전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4. 센서가 장착된 방송수신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서 사용자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소정 작업을 수행하는 활성화 모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부존재가 감지되면, 상기 작업을 중지하고 대기하는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고, 소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로 소정의 제1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의 동작모드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상기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존재가 감지되면 상기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로 소정의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의 동작모드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5. 삭제
KR1020050068490A 2005-07-27 2005-07-27 센서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100768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8490A KR100768951B1 (ko) 2005-07-27 2005-07-27 센서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8490A KR100768951B1 (ko) 2005-07-27 2005-07-27 센서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848A KR20070013848A (ko) 2007-01-31
KR100768951B1 true KR100768951B1 (ko) 2007-10-19

Family

ID=38013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8490A KR100768951B1 (ko) 2005-07-27 2005-07-27 센서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89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0188B2 (en) * 2020-05-30 2023-10-24 Jio Platforms Limited System and method of contextual standby of set top box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174A (ko) * 1996-09-20 1998-07-06 구자홍 영상표시기기의 전원자동제어장치
KR19990019937U (ko) * 1997-11-21 1999-06-15 전주범 컴퓨터의 전원 오프 장치
KR200212316Y1 (ko) * 2000-09-07 2001-02-15 소닉스텍주식회사 냉.난방기의 절전장치
KR20020076598A (ko) * 2001-03-29 2002-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기기의 기록/재생 동작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174A (ko) * 1996-09-20 1998-07-06 구자홍 영상표시기기의 전원자동제어장치
KR19990019937U (ko) * 1997-11-21 1999-06-15 전주범 컴퓨터의 전원 오프 장치
KR200212316Y1 (ko) * 2000-09-07 2001-02-15 소닉스텍주식회사 냉.난방기의 절전장치
KR20020076598A (ko) * 2001-03-29 2002-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기기의 기록/재생 동작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848A (ko) 200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750B1 (ko) 방송수신장치의 상태에 따라 모드를 설정하는 원격제어장치
EP260021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state of mobile device and related mobile device
JPWO2009101804A1 (ja) 省電力システム
US20090195704A1 (en) Power saving device
JP2006211370A (ja) コンテンツ伝送システム
KR20040079474A (ko) 전원제어 기능을 갖는 홈게이트웨이 시스템
KR100768951B1 (ko) 센서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US20170085598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same
KR20140089740A (ko) 휴대 단말기, 전기기기 및 감시 시스템
AU2016204533A1 (en) Standby Power Controller With Enhanced Use Detection
JP2000037045A (ja) 省電力システム
JP2004023591A (ja) 緊急放送受信システム、及び、該緊急放送受信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テレビ放送受信装置と表示装置
KR101624866B1 (ko) 방송수신장치의 상태에 따라 모드를 설정하는 원격제어장치
JP5116515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H06351020A (ja) 監視装置
JP2007060246A (ja) タイマ機能付き電子機器
JP2001100871A5 (ja) コンピュータ装置
JP2005276595A (ja) 省電機器
JP2014013462A (ja) 告知放送受信機
JP2008076062A (ja) リモコン送信機付目覚まし時計及びavシステム
JP2009273014A (ja) モニタシステム、テレビ、無線子機、およびモニタ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02223487A (ja) 音声サポート装置
JP2002247479A (ja) ビデオ無線送受信システム
JPH0441514Y2 (ko)
KR101282526B1 (ko)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