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8822B1 - 천공제본기의 제본대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천공제본기의 제본대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822B1
KR100768822B1 KR1020060071130A KR20060071130A KR100768822B1 KR 100768822 B1 KR100768822 B1 KR 100768822B1 KR 1020060071130 A KR1020060071130 A KR 1020060071130A KR 20060071130 A KR20060071130 A KR 20060071130A KR 100768822 B1 KR100768822 B1 KR 100768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binding
unit
punching
movement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석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림피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림피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림피앤비
Priority to KR1020060071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88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28Electr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26D7/32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for conveying or stacking cut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공제본기의 제본대 이송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본대 이송장치는, 천공과 제본이 연속하여 수행되는 천공제본기에서 제본대상인 서류가 천공적층된 상태에서 천공부에서 제본부로 이동하는 제본대와; 상기 제본대가 천공부와 제본부 사이에서 왕복이동을 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제본대 이동수단과; 상기 제본대 이동수단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본대가 목적지점 도달시 충돌에 의한 반발력으로 역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반동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천공, 제본, 제본대, 이송, 반발력

Description

천공제본기의 제본대 이송장치{A Bookbinding-Frame Carrier For Drilling & Bookbinding Machine}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천공제본기를 예시한 사시도.
도 2a는 종래 일반적인 천공제본기의 제본대를 예시한 사시도.
도 2b는 종래 일반적인 천공제본기의 제본대를 예시한 정면도.
도 2c는 종래 일반적인 천공제본기의 제본대를 예시한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의 천공제본기의 제본대 이송장치를 예시한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의 천공제본기의 제본대 이송장치를 예시한 정면도.
도 3c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의 천공제본기의 제본대 이송장치를 예시한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의 제본대 이송장치의 주요부를 예시한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의 제본대 이송장치의 주요부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의 제본대 이송장치의 주요부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5a, 도 5b, 도 5c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예의 제본대 이송장치의 동작상태를 예시한 플로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천공제본기 20..........천공부
30.........제본부 50..........제본대
51.........적층판 61..........푸쉬샤프트
63.........압착판 71..........랙기어
81,83......가이드레일 85,87.......가이드홀더
110........제본대이동수단 111.........구동모터
112........회전축 113.........회전기어
120........기어지지핀 130.........지지휠
143........스프링 150.........슬립장치
본 발명은 천공제본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공제본기의 천공부와 제본부사이의 목적지점까지의 구간에서 고속 위치이동을 가능케하는 천공제본기의 제본대이송장치에 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천공제본기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2c는 종래 천공 제본기의 제본대의 예시도이다.
특허출원 제 10-2005-0015048호에 도시된 종래의 천공제본기(10)는 드릴(21)에 의해 적층된 서류뭉치에 대하여 천공이 수행되는 천공부(20)와 천공이 완료된 서류뭉치에 철심을 삽입하고 하단을 구부려서 제본이 수행되는 제본부(30)와, 제본대상인 서류뭉치를 압축한 상태에서 천공부(20)와 제본부(30) 사이를 좌우이동하는 제본대(50)를 포함한다.
종래 제본대(50)에는 제본대상인 서류가 적층되는 적층판(51)과, 적층판(51)과 일체가 되도록 연결 형성되어 제본대(50)의 골격을 이루는 케이싱(53)과, 천공과 제본의 과정에 걸쳐서 서류뭉치를 압축하는 압축고정부(60)를 포함한다.
케이싱(53)은 전방케이싱(55)과 후방케이싱(57)과 압축고정부(60)가 지지되는 지지대(5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축고정부(60)는 한쌍의 푸쉬샤프트(61)와, 푸쉬샤프트(61) 하방에 연결설치되며 적층된 서류뭉치를 압착고정하는 압착부(63)와, 푸쉬샤프트(61)에 의해 압착부(63)에 인가되는 최초압력을 편심에 의한 마찰력으로 고정시키는 스토퍼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종래의 천공제본기(10)에 의한 전체 제본과정을 살펴보면, 적층판(51)에 적층된 종이를 압축고정부(60)가 일정압력으로 압축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한쌍이 드릴(21)이 하강하여 천공을 수행하며, 천공이 완료된 제본대(50)는 제본부(30)로 이동한다.
제본대(50)가 제본부(30)로 이동하여 정지하면, 적층된 서류뭉치의 2공에 철 심이 삽입되고, 삽입된 철심의 길이에 따라 철심을 절단하는 절차와 절단이 완료된 철심을 구부리는 단계가 수행된다.
종래의 천공제본기(10)의 제본대 이송장치는 제본대(50)가 천공부(20)에서 제본부(30)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부와, 이동이 일정궤도를 따라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제본대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종래 동력전달부는 제본대(50)의 적층판(51) 하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랙기어(71)와,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랙기어에 맞물리도록 구동모터와 동축상에 설치되는 회전기어를 포함한다.
제본대 가이드부(80)는, 봉형상의 상/하부 가이드레일(81,83)과 상/하부 가이드레일(81,83) 외주면을 둘러싸서 상대이동하는 가이드홀더(85,87)를 포함한다. 도시된 종래 천공제본기(10)에서 상하부 가이드레일(81,82)은 천공제본기(10) 본체에 고정설치되며, 가이드홀더(85,87)는 제본대(50)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레일(81,83)의 양단에는 홀더스토퍼(88,89)가 형성되어 있어서, 제본대(50)가 각각 천공부(20)와 제본부(30)의 양방향 구간이동을 가능케 하고 양측 목적지점에서 고속이동을 멈출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적층판(51)에 제본대상인 서류가 적층된 상태에서 천공제본기(10) 스위치를 온(on)시키면, 천공부(20)가 동작하며 동시에 압축고정부(60)가 동작된다. 즉, 드릴(21)이 고정된 헤드베이스(23)가 하강하여 한쌍의 푸쉬샤프트(61)에 하방압력을 인가하면, 스토퍼 어셈블리(65)는 푸쉬샤프트(61) 외주에 인가되는 편심에 의한 마찰력으로 푸쉬샤프트(61)의 상하위치를 고정시키고, 압착부(63)는 푸쉬샤프트(61) 의 하강시 함께 하강하여 적층된 서류뭉치를 일정한 하향압력으로 고정시킨다.
드릴(21)이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여 천공이 완료된 후 드릴(21)과 헤드베이스(23)는 상승하며, 압축고정부(60)가 서류뭉치를 압축하고 있는 상태에서 구동모터가 동작하여 제본대(50)는 제본부(30)로 이동하게 된다.
제본대(50)가 제본부(30)로 이동하여 목적지점에 도달되면, 철심이 하강하여 서류뭉치에 천공된 2공에 삽입된다. 서류뭉치의 두께에 따라 일정한 길이로 철심하단이 절단되며, 철심이 절단된 후 철심 하단부를 구부리는 연속동작이 수행된다. 리턴스위치(52)를 동작시키면, 압축고정부(60)는 상향이동하여 제본이 완료된 서류뭉치를 꺼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천공제본기의 제본대 이송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어왔다.
종래의 제본대 이송장치는 제본대의 적층판(51) 하면에 설치되는 랙기어(71)나 이동경로에 걸쳐 설치되는 체인을 구동모터에 의해 연동시켜 위치이동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천공부(20)에서 제본부(30)로 제본대(50)를 고속이동시키게 되며, 제본대(50)가 목표지점 도달시 반발력에 의해 이동하여 목적지점에서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반발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본대(50)의 이동속도를 감소시키면, 천공과 제본의 전체과정에 장시간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천공과정이 종료후 제본대를 천공부에서 제본부로 고속 이동시 목적지점에 도달한 제본대에 미치는 반발력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천공과 제본의 연속동작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천공제본기의 제본대 이송장치를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천공제본기의 제본대 이송장치는, 천공과 제본이 연속하여 수행되는 천공제본기에서 제본대상인 서류가 천공적층된 상태에서 천공부에서 제본부로 이동하는 제본대와; 상기 제본대가 천공부와 제본부 사이에서 왕복이동을 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제본대 이동수단과; 상기 제본대 이동수단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본대가 목적지점 도달시 충돌에 의한 반발력으로 역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반동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본대 이동수단은 상기 제본대에 형성되는 랙기어와, 상기 제본대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동축상에 설치되어 상기 랙기어상을 상대 회전이동하는 회전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본대 이동수단은, 상기 제본대의 이동경로에 걸쳐 왕복설치되며 상기 제본대에 연결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양단에 설치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동제어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와 동축상에 구비되는 슬립장치로 상기 제본대가 상기 목표지점을 도달시에 상기 슬립장치가 동작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공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제본대의 반발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동제어수단은, 상기 제본대가 목적지점에 도달직전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역회전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동제어수단은, 상기 제본대 이동수단이 상기 제본대를 제본부로 이동시 일정지점을 통과한 직후 상기 제본대의 이동속도를 감소시키는 감속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동제어수단은, 상기 제본대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본대가 목적지점에 도달시 상기 제본대가 부딪히는 부위에 설치되는 충격흡수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동제어수단은, 상기 제본대 이동수단이 상기 제본대를 목적지점에 도달하는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본대에 걸쳐지는 꺽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동제어수단은, 상기 제본대 일측 종단에 연설되는 플런저(plunge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천공제본기의 제본대 이송장치는, 천공과 제본이 연속하여 수행되는 천공제본기에서 제본대상인 종이가 천공적층된 상태에서 천공부에서 제본부로 이동하는 제본대와; 상기 제본대를 천공부와 제본부 사이에서 왕복이동을 가능케하는 제본대 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본대 이동수단은, 상기 천공부에서 천공이 종료된 후 상기 제본대 이동수단이 상기 제본대를 제본부로 이동시켜 목적지점 도달시 상기 제본대의 역방향 반발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제본대의 상대이동 경로의 양단에 걸쳐설치되는 웜기어와, 상기 제 본대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동축상에 설치되어 상기 웜기어에 맞물리는 회전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천공제본기의 제본대 이송장치는, 천공과 제본이 연속하여 수행되는 천공제본기에서 제본대상인 종이가 천공적층된 상태에서 천공부에서 제본부로 이동하는 제본대와; 상기 제본대를 천공부와 제본부 사이에서 왕복이동을 가능케하는 제본대 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본대 이동수단은, 상기 천공부에서 천공이 종료된 후 상기 제본대 이동수단이 상기 제본대를 제본부로 이동시켜 목적지점 도달시 상기 제본대의 역방향 반발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제본대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는 스텝핑모터를 사용하여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천공부에서 제본부로 제본대의 고속이동을 가능케 하면서도 고속이동에 따른 반발력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오차없이 제본대가 목적위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천공제본기의 제본대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의 천공제본기의 제본대 이송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4a, 도4b는 주요부의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4c는 그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a, 도 5b, 도 5c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의 동작방식을 예시한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천공제본기의 제본대 이송장치는, 제본대(50)를 천 공부(20)와 제본부(30) 사이에서 구간 이동시켜 천공과 제본 동작이 연속하여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본대 이송장치는, 제본대상인 서류뭉치가 놓여지는 제본대(50)와, 동력을 발생시켜 제본대(50)가 천공부(20)와 제본부(30) 사이에서 왕복이동 가능케하는 제본대 이동수단(110), 그리고, 제본대(50)가 목적지점 도달시 상기 제본대(50)의 역방향 반발이동을 제어하는 반동제어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제본대 이동수단(110)은 제본대에 일체로 설치되는 랙기어(71)와,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11)와, 구동모터(111)와 동축으로 설치되어 랙기어에 맞물리는 회전기어(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랙기어(71) 대신에 이동구간에 걸쳐 왕복으로 설치된 체인과 체인 양측에 설치되어 체인의 이동을 가능케하는 롤러 및 롤러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도 3a, 도 3b, 도 3c에서 제본대 이송수단(110)은 제본대(50)의 적층판(51) 하면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실시예에 따라서 전/후방케이싱(55,57)의 후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실시예의 반동제어수단(150)은, 구동모터(111) 및 회전기어(113)에 축합설치되는 슬립장치이다. 본 실시예의 슬립장치는 회전롤러 및 체인을 사용하는 경우와 랙기어를 사용하는 경우에 모두 적용된다.
즉, 슬립장치의 구성은, 왕복체인과 롤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롤러나 모터 에 축합설치되어 체인에 인가되는 장력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랙기어(71)와 회전기어(113)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구동모터(111) 및 회전기어(113)와 동축상에 설치되도록 한다.
이송수단(110)으로 랙기어(71)와 회전기어(113)를 사용하는 경우 슬립장치가 설치된 구조를 도시된 바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동모터(111)의 회전축(112)과 일체가 되어 회전하는 기어지지핀(120)은 전방 돌출핀(121)과 후방의 지지판(125)으로 구성되며 모터지지대(115)에 형성된 홀(116)을 통하여 모터 회전축(112)과 결합되며, 기어지지핀(120)의 전방으로는 회전기어(113) 및 슬립장치가 동축상에 연설된다.
본 실시예의 회전기어(113)는 랙기어(71) 상을 상대 회전이동하는 것으로, 슬립장치가 동작하지 않을 때에는 모터 회전축(112)과 일체가 되어 회전하며, 랙기어(71)와 맞물려지기 때문에 제본대(50)의 이동을 가능케 하지만, 슬립장치가 동작하게 되면 기어지지핀(120)이 회전기어(113)와 별개가 되어 공회전하게 된다.
즉, 기어지지핀(120) 전방 돌출 핀(121)은 회전기어(113)가 결합되는 후단부(123)분과 슬립장치가 결합되는 전단부분(125)과의 사이에 단차져 있으며, 전단부분(125)에는 너트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기어(113)의 전방으로는 다각형상 홀(131)이 형성된 지지휠(130)이 양측의 와셔(133,135)가 부착된 상태에서 회전기어(113)와 접촉되도록 설치되는데, 지지휠(130)의 다각형상 홀(131)에는 휠지지너트(141)가 삽입되어 전방돌출 핀 전단부분(127)에 나사체결된다.
휠지지너트(141)의 전방에는 코일스프링(143)이 설치되며, 코일스프링(143)의 전방에는 스프링 지지너트(145)가 기어지지핀(120)에 나사체결되고, 그 전방에는 다시 이탈방지너트(147)가 기어지지핀(120) 체결된다. 이에 의해 슬립장치는 구동모터(111)의 동축상에 고정설치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슬립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스프링(143)에 의해 일정한 압력이 회전기어(113)에 인가되며, 이 압력에 의해 기어지지핀(120)의 지지판(125) 전측면에 회전기어가 밀착되기 때문에 구동모터(111)의 회전시에 회전기어(113)는 기어지지핀(120)과 일체가 되어 회전하며 랙기어(71) 상을 상대 이동하기 때문에 제본대(50)의 수평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제본대(50)가 목적지점에 도달시는 이동속도에 의한 충돌로 반발력이 발생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슬립장치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반발력을 최소로하여 제본대가 되튕겨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제본대(50)가 목표지점에 다다르면 제본대(50)가 이동방향으로 더 이동할 수 없게 되고, 랙기어(71)가 회전기어(113)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압력을 인가하므로, 회전기어(113)는 회전을 멈추고 구동모터(111) 및 축합설치된 슬립장치는 회전기어(113)와 별도로 분리동작하게 되어 공회전을 하게 된다.
이 경우 구동모터(111)의 공회전에 의해 관성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고속 충돌에 의한 반발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제본대(50)는 목적한 위치에 안전하게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슬립장치는 체인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나 이에 연결된 롤러와 동 축상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한데, 이 경우에도 목적지점 도달시에는 체인에 인가되는 압력의 증가에 따라 슬립장치가 동작하여 제본대에 인가되는 반발력을 최소로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1실시예에서는 제본대(50)가 부딪히는 부분에 충격흡수가 가능한 재질의 물질을 설치하는 방법이 슬립장치와 동시에 혹은 독립하여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본대 이송장치는 상기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슬립장치를 사용하는 대신에 도 5a 내지 도5c의 프로그램적인 제어에 의해 충돌에 의한 반발력을 제어한다. 즉, 제 2실시예는 제본대(50)가 이동하는 경로상의 일정지점에 센서를 설치하거나 특정지점을 통과하는 시점을 전기적 혹은 기계적인 다른 방법(예컨대 타이머의 동작 등)으로 포착할 수 있도록 하여 이 일정지점을 통과시에는 도 5a의 경우처럼 모터 구동을 멈추거나 도 5b에서와 같이 구동모터(111)의 회전속도를 격감시키거나 도 5c의 경우처럼 구동모터(111)를 순간 역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충돌에 의한 역방향 위치이동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본대(50)가 천공부(20)에서 제본부(30)로 이동하는데 걸리는 총시간이 3초라 할 때, 마지막 0.2 ~0.3초의 시간에 대해서는 모터의 회전속도를 극감시키거나 구동을 정지시키거나 역회전시켜 관성력을 최소로 하거나 제본대(50)의 이동속도를 낮추는 방법에 의하는 것이다.
또한 속도제어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스프링플런저 등의 플런저를 제본대(50) 일단에 연결되도록 하여 충격을 흡수하여 반발력에 의한 위치 이탈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본대가 목적지점에 도달시 꺽쇠를 동작시켜 목적지점에 고정시키는 기구적인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반동제어수단을 별도 설치하지 않고, 이송수단과 일체로 되도록 구성하는 방법을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랙기어(71) 대신에 이동구간에 걸쳐 설치되는 웜기어를 이용하여 제본대(50) 이동의 안정성을 배가시킴과 동시에 역방향이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웜기어는 제본대(50)에 고정설치되며 구동모터(111)에 동축으로 설치된 회전기어에 맞물리며 회전하여 상대위치이동을 하게 된다. 웜기어의 각도는 일방향의 이동에서 순간 타방향의 이동으로 변경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반발력에 의한 위치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예로서 스텝핑모터를 사용하여 인가되는 펄스신호에 따라서 정확히 모터의 구동횟수를 조절하여 제본대의 도달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천공제본기의 제본대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압축고정부(60)에서 제본대상인 서류뭉치를 압착한 상태에서 드릴(21)이 하강하여 천공을 수행하며, 천공이 종료되면 드릴(21)이 상승한다. 연속하여 구동모터(111)의 동작 및 슬립장치의 인가 압력에 의한 마찰력으로 회전기어(111)가 회전을 하며 랙기어(71) 상을 상대이동하는 것에 의해 제본대(50)는 천공부(20)에서 제 본부(30)로 고속이동된다.
제본대(50)가 목적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이동방향의 홀더스토퍼(88,89)에 의해 이동을 멈추게 되고 제본대(50) 이동방향으로 인가되는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회전기어(113)는 랙기어(71)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스프링(43) 인가 압력에 의한 마찰력보다 랙기어(71)로부터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인가되는 압력이 커지게 되면, 슬립장치가 동작한다. 이 경우 구동모터(111)의 회전축(112)은 기어지지핀(120) 후방에 삽입된 상태에서 기어지지핀(120)을 포함하는 슬립장치와 함께 공회전하며, 회전기어(113)를 회전시키지는 않으므로 관성이 최소가 되어 반발력에 의한 위치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본대(50)가 목적지점에 도달하여 안착된 상태에서 구동모터(111)가 정지하고, 철심이 하강하여 제본절차가 수행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사항과 균등범위에서 당업자가 행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포함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천공부에서 제본부로 제본대의 고속이동을 가능케 하면서도 고속이동에 따른 반발력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오차없이 제본대가 목적위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천공과 제본의 연속동작이 신속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고 제본상태 를 양호하게 한다.

Claims (11)

  1. 천공과 제본이 연속하여 수행되는 천공제본기(10)에서 제본대상인 서류가 천공적층된 상태에서 천공부(20)에서 제본부(30)로 이동하는 제본대(50)와;
    상기 제본대(50)가 천공부(20)와 제본부(30) 사이에서 왕복이동을 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제본대 이동수단(110)과;
    제본대상인 서류가 천공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제본대 이동수단(11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본부(30)로 도착한 상기 제본대(50)가 대향 지점 충돌에 의한 반발력으로 역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제본대(50) 역방향 동작을 저지하는 반동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제본기의 제본대 이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본대 이동수단(110)은 상기 제본대(50)에 형성되는 랙기어(71)와, 상기 제본대(50)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11)와, 상기 구동모터(111)와 동축상에 설치되어 상기 랙기어(71) 상을 상대 회전이동하는 회전기어(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제본기의 제본대 이송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본대 이동수단은,
    상기 제본대(50)의 이동경로에 걸쳐 왕복설치되며 상기 제본대에 연결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양단에 설치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제본기의 제본대 이송장치.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반동제어수단은, 상기 구동모터(111)와 동축상에 구비되는 슬립장치(150)로 상기 제본대(50)가 상기 목표지점을 도달시에 상기 슬립장치(150)가 동작하여 상기 구동모터(111)를 공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제본대(50)의 반발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제본기의 제본대 이송장치.
  5.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반동제어수단은,
    상기 제본대(50)가 목적지점에 도달직전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111)를 역회전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제본기의 제본대 이송장치.
  6.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반동제어수단은,
    상기 제본대 이동수단(110)이 상기 제본대(50)를 제본부(30)로 이동시 일정지점을 통과한 직후 상기 제본대(50)의 이동속도를 감소시키는 감속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제본기의 제본대 이송장치.
  7.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반동제어수단은,
    상기 제본대 이동수단(110)에 의해 상기 제본대(50)가 제본부(30)에 도달시 상기 제본대(50)가 부딪히는 부위 즉 대향 지점에 설치되는 충격흡수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제본기의 제본대 이송장치.
  8.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반동제어수단은,
    상기 제본대 이동수단(110)이 상기 제본대(50)를 목적지점에 도달하는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본대(50)에 걸쳐지는 꺽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제본기의 제본대 이송장치.
  9.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반동제어수단은,
    상기 제본대(50) 일측 종단에 연설되는 플런저(plung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제본기의 제본대 이송장치.
  10. 천공과 제본이 연속하여 수행되는 천공제본기(10)에서 제본대상인 서류가 천공적층된 상태에서 천공부(20)에서 제본부(30)로 이동하는 제본대(50)와;
    상기 제본대(50)를 천공부(20)와 제본부(30) 사이에서 왕복이동을 가능케하는 제본대 이동수단(110)을 포함하며,
    상기 제본대 이동수단(110)은, 상기 천공부(20)에서 천공이 종료된 후 상기 제본대 이동수단(110)이 상기 제본대(50)를 제본부(30)로 이동시켜 목적지점 도달시 상기 제본대(50)의 역방향 반발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제본대(50)의 상대이동 경로의 양단에 걸쳐설치되는 웜기어와, 상기 제본대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동축상에 설치되어 상기 웜기어에 맞물리는 회전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제본기의 제본대 이송장치.
  11. 천공과 제본이 연속하여 수행되는 천공제본기(10)에서 제본대상인 서류가 천공적층된 상태에서 천공부(20)에서 제본부(30)로 이동하는 제본대(50)와;
    상기 제본대(50)를 천공부(20)와 제본부(30) 사이에서 왕복이동을 가능케하는 제본대 이동수단(110)을 포함하며,
    상기 제본대 이동수단(110)은, 상기 천공부(20)에서 천공이 종료된 후 상기 제본대 이동수단(110)이 상기 제본대(50)를 제본부(30)로 이동시켜 목적지점 도달시 상기 제본대(50)의 역방향 반발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제본대(50)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11)는 스텝핑모터를 사용하여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제본기의 제본대 이송장치.
KR1020060071130A 2006-07-28 2006-07-28 천공제본기의 제본대 이송장치 KR100768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130A KR100768822B1 (ko) 2006-07-28 2006-07-28 천공제본기의 제본대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130A KR100768822B1 (ko) 2006-07-28 2006-07-28 천공제본기의 제본대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8822B1 true KR100768822B1 (ko) 2007-10-19

Family

ID=38815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130A KR100768822B1 (ko) 2006-07-28 2006-07-28 천공제본기의 제본대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88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360B1 (ko) * 2017-10-20 2019-05-23 노희옥 제본천공기용 이동식 테이블 장치
KR102512428B1 (ko) 2022-10-19 2023-03-31 주식회사 오피스 케이 천공 제본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047Y1 (ko) 2000-02-15 2000-08-16 노희옥 제본기의 천공장치
KR20030050272A (ko) * 2001-12-18 2003-06-25 박철우 이송계용 볼나사
KR100457310B1 (ko) 2002-06-25 2004-1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홀 가공 장치
KR200376004Y1 (ko) 2004-11-12 2005-03-11 박상오 전자동식 지편천공기
KR100531506B1 (ko) 2005-04-26 2005-11-25 (주)가림아이엔지 자동 천공 제본장치
KR20050122156A (ko) * 2004-06-23 2005-12-28 김중 스크류 실린더의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047Y1 (ko) 2000-02-15 2000-08-16 노희옥 제본기의 천공장치
KR20030050272A (ko) * 2001-12-18 2003-06-25 박철우 이송계용 볼나사
KR100457310B1 (ko) 2002-06-25 2004-1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홀 가공 장치
KR20050122156A (ko) * 2004-06-23 2005-12-28 김중 스크류 실린더의 제어장치
KR200376004Y1 (ko) 2004-11-12 2005-03-11 박상오 전자동식 지편천공기
KR100531506B1 (ko) 2005-04-26 2005-11-25 (주)가림아이엔지 자동 천공 제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360B1 (ko) * 2017-10-20 2019-05-23 노희옥 제본천공기용 이동식 테이블 장치
KR102512428B1 (ko) 2022-10-19 2023-03-31 주식회사 오피스 케이 천공 제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5979B2 (ja) バンド掛機用加振アンビル付き溶着ヘッド
JP5792965B2 (ja) 自動製本機の穿孔装置の構造
TWI337575B (en) Paper cutting machine having rest
JP2004535309A (ja) 小冊子作成機用のステープル綴じ装置
KR100768822B1 (ko) 천공제본기의 제본대 이송장치
JP4524868B2 (ja) 電動ホッチキス
US6755410B2 (en) Sheet folding and binding apparatus and method
JP4709422B2 (ja) 穿孔装置
WO2003056395A1 (en) Finishing apparatus in copying machine
JP2010274416A (ja) 穿孔装置
JP2004067260A5 (ko)
JP6067217B2 (ja) シート穿孔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後処理装置
JPH05305787A (ja) 用紙クランプ装置
US5237898A (en) Autotaper
CN109774339B (zh) 装订机构和装订单元
KR100814766B1 (ko) 플라즈마 타공장치
KR102512428B1 (ko) 천공 제본 장치
KR20200002177A (ko) Dc모터를 이용한 자동 펀칭머신
JP4169817B2 (ja) 用紙ナイフ折り装置
JP4688256B2 (ja) パンチ処理装置
KR101024057B1 (ko) 제본기의 천공장치
CN107848287A (zh) 用于制造片材单元的方法和机器
JPH01295798A (ja) ステープラー
WO2003022539A1 (fr) Agrafeuse integree
JPH08206996A (ja) 多機能孔明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