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8336B1 -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 키패드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 키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336B1
KR100768336B1 KR20060011301A KR20060011301A KR100768336B1 KR 100768336 B1 KR100768336 B1 KR 100768336B1 KR 20060011301 A KR20060011301 A KR 20060011301A KR 20060011301 A KR20060011301 A KR 20060011301A KR 100768336 B1 KR100768336 B1 KR 100768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onants
keypad
input unit
vowel
alphab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11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0148A (ko
Inventor
정영재
정홍재
Original Assignee
정홍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홍재 filed Critical 정홍재
Priority to KR20060011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8336B1/ko
Priority to KR2020060003290U priority patent/KR200421161Y1/ko
Priority to PCT/KR2007/000622 priority patent/WO2007091814A1/en
Publication of KR20070080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단말기의 영문 등의 언어의 알파베트 자모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IK)의 알파뉴매릭의 키버턴의 배열을 가지는 키패드에서, 영문을 포함하는 언어의 알파베트의 사용빈도가 높은 모음용의 키버턴(NB)을 모음입력부(V)로서 그루핑하여 사용자의 문자입력을 위한 손가락의 조작을 위한 접근이 최소화될 수 있는 키버턴(NB)들에 배당하여 구성한 모음입력부(V)와, 상기 키패드의 상기 모음입력부(V)를 제외한 잔여의 키버턴(NB)과, 상기 모음입력부(V)에 분배, 배당되는 자음으로써 자음입력부(C)를 구성하며, 상기 모음입력부(V)와 자음입력부(C)에 그루핑되어 배당되는 알파베트 자모음은 기하학적 형태의 연관성이 유사한 2 개 이상의 자모음을 그루핑하고, 상기 자모음의 그루핑된 조합으로서 같은 키버턴에 배당되는 복수의 자모음중 그 형상이 간단한 자모음을 해당 키버턴(NB)의 대표음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문자입력을 위한 키버턴의 조작회수를 저감시킨다.
휴대폰, 키패드, 영문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 키패드{A keypad for languages having alphabeticla characters of mobile phone}
도 1 은 종래의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 키패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도시되는 휴대단말기의 키패드의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 키패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선된 제 1 실시예의 휴대단말기의 키패드의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 키패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선된 휴대단말기의 키패드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 키패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선된 휴대단말기의 키패드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 키패드가 중문에 적용되는 경우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선된 휴대단말기의 키패드의 예시적인 변형례를 도시하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K: 휴대단말기의 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B: 키버턴
C: 자음입력부
V: 모음입력부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휴대단말기에의 입력수단으로서 키패드, 특히 영어 등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를 가지는 언어의 입력이 용이한 구성의 개선된 키패드의 배열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그 사용이 급속히 보급되고 있는 휴대폰, PDA, GPS 등의 휴대형 정보기기에서 머신-휴먼 인터페이스는 대부분 기계적 또는 물리적인 키패드를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키패드는 한글 또는 영문 또는 수출기종의 경우, 기타 다수국가의 경우, 해당 국가의 언어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와 숫자 조합의 다수의 뉴메릭캐릭터(numeric-character)의 조합을 가지는 구성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키패드를 사용하여 문자전송을 하기 위하여서는 제한된 수의 키패드를 가장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사용하게 하는 구성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종래로부터 다양한 방법과 구성의 키패드를 제공하여 문자입력의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고, 특히 한글의 경우는 자모의 숫 자가 영문과 거의 유사한 굴절어에 속하는 표음문자체계로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영문, 중문 등의 기타국가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한국인들이 많이 사용하지 않고 외래어 표기 등의 극히 제한적인 영역에서만 사용하므로 다양한 입력방법이나 키패드의 배열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최근 들어 다수의 휴대폰을 비롯한 다양한 휴대용단말기가 외국, 특히 영미 문화권, 중화권으로 수출되고 있어 이러한 기타국가의 언어의 자모, 특히 알파베트 형식의 형식을 가지는 굴절어의 적합한 효율적인 키패드의 배열과 사용방법에 대한 요청이 증대되고 있다.
휴대 단말기에서의 영문의 알파베트 자모의 입력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구성의 선출원으로서는 한국 특허공개 2004-0033691호의 "영문입력을 위한 휴대폰의 키패드", 한국 특허공개 2000-0044417호의 "영문자 간편입력방법" 등이 있으나,
이들은 모두 단순히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의 키입력빈도순 또는 자음과 모음의 단순분리에 따른 키패드조작회수의 개선등에 관한 것이나, 사용방법의 숙지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고, 그 효율성 또한 높지 않은 것이었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 키패드는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새로운 구성의 키패드배열 및 그 입력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영문, 중문, 기타국가 언어의 입력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다양한 휴대단말기에 적용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유추, 연상작용을 극히 용이하게 설정하여 인식이 용이하고 물리적으로도 최소한의 키패드의 조작으로서 소망하는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며 입력실수와 오조작의 가능성을 극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입력방법은 영문과 중문을 예로 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영문 알파베트와 유사한 형태의 자모를 가지는 독일어, 스페인어, 불어 등의 다수의 굴절어 형태의 대부분의 언어에도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의 부수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 키패드를 종래의 키패드배열과 비교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종래의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 키패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도시되는 휴대단말기의 키패드의 평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 키패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안된 제 1 실시예의 휴대단말기의 키패드의 평면도, 도 3 은 제 2 실시예, 도 4 는 제3실시예, 도 5 는 본 발명이 중문(Chinese)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하는 제 4 실시예의 키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1 에 예시적으로 도시되는 종래로부터 일반화된 휴대단말기의 대표적인 휴대폰(M)에서,
키패드(K)는 그 평면도에서와 같이, 다수의 키버턴(B) 상에 영문의 경우, 사용빈도나 형태적인 어떠한 고려도 없이 QZ, ABC, DEF, GHI ...와 같이 단순한 알파베트 형식의 순으로 그루핑(G)되어 배당되어 있다.
이는 제한된 키패드의 숫자에 부합하게 배열하는 가장 단순한 방법으로 현재 대부분의 휴대폰, 특히, 영미계, 중화권의 국가로의 수출사양의 휴대폰에도 그대로 적용이 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성의 키패드(K)의 키버턴(B)은 하기와 문제점을 대부분의 사용자와, 특히 영어문화권에 익숙하지 아니한 한국인, 중국인 등이 가지게 된다.
대부분의 사용자는 어떠한 키버턴(B)에 어떠한 영문의 알파베트가 배당되어 있는 지를 사실상 기억하기가 불가능하고 단순히 그루핑되어 그룹들이 순차적(Sequential)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일단 키패드(K)를 주시하여 자기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어느 키버턴(B)의 영문 알파베트 그룹(G)에 배당되어 있는지를 확인한 후,
다시 그 문자가 해당 키버턴(B) 상에서 몇 번째에 위치하는 지를 인지한 이후에, 해당 키버턴(B)을 누르고 다시 해당 문자가 나타날 때까지 반복적인 키버턴(B)을 눌러야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K'라면 'K'가 배당된 키버턴(B)이 뉴메릭 '5' 키의 그룹(G)에 배당되어 있음을 인식한 이후, 다시 'K' 가 뉴메릭 '5' 키의 2 번째에 위치함을 인식한 후에 뉴메릭 '5' 를 2 번 눌러 해당문자를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알파베트의 자모입력에는 대단한 사용자의 주의력과 집중력이 필요하여 대부분의 한국인, 중국인 등의 경우에는 영문표기 대신에 한글발음으 로 표기하는 현상까지 있는 실정으로서 영미계 국가, 중화권 국가에서의 휴대폰의 문자메시지 서비스가 발전하지 못하는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구성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 도 2의 구성의 키패드어레이로서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그 기술적인 사상이 동일하면 후술하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 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키패드(K1)의 구성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전체 키패드(K1)의 키버턴(NB)의 배열을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서,
전체 키패드(K1)에서 그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영문 등의 알파베트의 모음인 A,E,I,O,U 를 사용자의 손가락에 근접하고, 사용자의 시각적인 식별력이 높은 선택적인 위치( 도면에서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키패드(K1)의 좌측수직배열과 하측 일부배열)에 배당하여 모음입력부(V)를 구성하고,
남은 영문 등의 알파베트의 자음을 전체 키패드(K1)의 잔여의 키버턴(NB) 및 모음입력부(V)에 배당하되,
키패드의 키버턴(NB) 상단으로부터 영문 등의 알파베트 순으로 배당하고 각 알파베트 형식의 자음의 형태가 유사한 자음끼리 그루핑지어 자음입력부(C)의 키버턴(NB)과 모음입력부(V)의 키버턴(NB)에 배당한다.
예를 들면, 영문 등의 언어의 알파베트의 자음 D 와 B 는 기하학적인 형태가 유사하므로 이를 그루핑하고, 자음 C 와 G 는 기하학적인 형태소가 유사하므로 이를 그루핑하고, 자음 N 와 M 는 기하학적인 형태소가 유사하므로 이를 그루핑하고, 자음 P 와 R 는 기하학적인 형태소가 유사하므로 이를 그루핑하고, 자음 T 와 J 는 기하학적인 형태소가 유사하므로 이를 그루핑하고, 자음 S 와 K 는 기하학적인 형태의 유사성은 없으나 그루핑하는 예외적인 요소로서 하고,
자음 W 와 V 는 모음입력부(V)의 U 와 기하학적인 형태소가 유사하므로 이를 그루핑하고, 자음 H 는 모음입력부(V)의 A 와 기하학적인 형태소가 유사하므로 이를 그루핑하고, 자음 F 는 모음입력부(V)의 E 와 기하학적인 형태소가 유사하므로 이를 그루핑하고, 자음 L 는 모음입력부(V)의 I 와 기하학적인 형태소가 유사하므로 이를 그루핑하고, 자음 Q 는 모음입력부(V)의 O 와 기하학적인 형태소가 유사하므로 이를 그루핑하고, 자음 Y 와 반모음의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모음입력부(V)로 그루핑하여 자음 X 와 Z를 기하학적이고도 순서적인 유사성에 근거하여 그루핑한다.
이때에 형태적으로 그룹지을 수 있는 자음과 모음에서 형태가 간단한 것을 해당 키버턴(NB)의 대표음으로 한다.
예를 들면, 자음입력부(C)의 키버턴(NB)의 뉴메릭2 에 D 와 B를 배당하되 형태가 간단한 D를 대표음을 하는 것이다.
단, 여기에서 모음입력부(V)의 E 에 배당되는 F의 경우와, 모음 U 에 배당하는 W, V의 경우는 그 사용빈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자음이므로 예외로서 단순한 형태인 F 와 대신 출현빈도가 높은 E 와 W 가 배당 된다.
상기에서 모음입력부(V)의 위치는 도 2 의 좌측수직방향 배열이 아닌 도 4 의 실시예의 키패드(K3)에서와 같이, 하단배열로 하여도 무방하며 사용자의 조작 손가락의 접근성이 좋은 방향이면 어디에 그루핑되어 배열되어도 무방하다. 이는 휴대폰의 크기나 기종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사상에 근거하여 변형가능한 키패드의 제2실시예가 도 3 에 개시되어 있다.
도 3 의 키패드(K2)는 상기하는 제1실시예의 구성에 기초하되,
모음입력부(V)의 모음 I 에 L 을 매칭시키는 대신 J 를 매칭하고, 자음입력부(C)의 S 에 K 를 매칭시키는 대신 Z 를 매칭하고, 자음입력부(C)의 Y 에 XZ 를 매칭시키는 대신 XK 를 매칭시키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이는 형태적인 유사성에 근거하여 그루핑되는 것보다 우선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매칭된 자모가 일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단어에서 근접하여 출몰하는 빈도가 높아서 실험적인 결과에서 얻어진 것이다.
상기하는 실시구성으로서의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 키패드의 사용과 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모음입력부(V)가 문자입력 시에 가장 많은 출몰빈도가 나타나므로 이들을 중심으로 하여 자음이 자음입력부(C)에 배당되고, 배당된 영문 등의 알파베트의 자음은 자음입력부(C) 또는 모음입력부(V)의 영문 등의 알파베트의 자음 또는 모음과 형태적으로 유사하도록 배당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별히 자모그룹을 기억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그 문자를 연상할 수 있어 키패드에서 찾아서 인식하는 절차가 간략화되고 사용빈도가 높은 모음이 전면에 대표음으로 배설되어 요구되는 키입력회수를 대폭 단축시킨다.
예를 들면, D 배당의 키버턴(NB) 상에 B 가 있고, P 배당의 키버턴(NB) 상에 R 이 있을 것임은 누구나 연상유추가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유용성으로서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 키패드는,
(1) 사용빈도가 높은 모음의 키패드(K)에서의 모음입력부(V)로 그루핑하고, 모음입력부(V)의 키버턴(IB)의 대표음으로 설정하며,
(2) 자음입력부(C)의 자음의 키버턴(IB)을 형태적으로 유사한 것끼리 그루핑하고,
삭제
(3) 형태적인 유사성과 출몰빈도를 반영하여 구성함으로서 키버턴(NB) 입력의 물리적인 조작 회수의 대폭적인 저감과, 사용자의 연상, 추론에 의한 인식을 간단하게 함으로서 영문 등의 알파베트의 자모입력의 효율을 대폭 향상시킨다.
이를 실제적인 예문을 사용하여 보면 그 작용효과는 더욱 확연하다.
만일 사용자가 HEY EVERYONE DINNER TONIGHT AROUND 9 ? DOWNTOWN I GUESS 이라는 단문을 보내고자 하면, 도 1 의 종래의 영문 키패드(K)의 키패드(K)로서는, 부호를 제외하고서, 223 23233322 132223 1323121 133221 13121312 3 12244 를 입력하여 총조작회수는 95 회가 되나,
도 2의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 키패드에서는, 211 12121111 111112 1111221 121111 11211121 1 21111로서 총 55 회의 조작이면 되고,
만일 DO YOU HAVE ANY PLAN TUESDAY? WHY DON'T WE GO TO OLD SCHOOL TO HAVE SOME DRINK? 인 경우에는 도 1의 종래 구성으로서는 총 129 회의 조작이 필요하나 본 발명의 도 2의 경우에는 78 회의 조작으로서 문장의 작성이 가능하여 거의 40 % 이상의 키조작의 회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이 영문이 아닌 영문 알파베트 입력방식에 의한 중국어용 키패드(K4)에 구현된 제5실시예이다.
중국어의 경우에도 한자가 무수히 많기 때문에 한자음을 영문 알파베트의 자모로써 입력하여 해당 발음인 병음에 맞는 한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병음기준 입력방식을 가지므로 영문 알파베트를 찾아 입력하는 것은 영문의 경우와 동일하다.
그러나 중국어에는 복모음, 비모음이라는 그룹화된 모음들이 존재하고 이들의 출몰빈도가 대단히 높아서 이들을 별도로 그룹화하여 키패드(K4)에 배당할 필요가 있다.
비모음인 비운모는 ANG, ENG, ING, ONG, IAN , UAN이 있고 복모음인 복운모는 IAO 가 있다.
이들을 도 2의 실시예와 같은 자모의 키패드(K4)에 대하여,
비운모 ANG은 그 형태적이고 음성적인 필요에서 당연히 모음입력부(V)의 A 키버턴(NB)에, ENG은 모음입력부(V)의 E에, ING은 모음입력부(V)의 I에, ONG은 모음입력부(V)의 O에 배당하고, IAN , UAN은 예외적인 경우로서 ING과 ONG에 인접하여 배치하고 복모음은 IAO는 IAN옆에 배당한다.
IAN , UAN은 예외적인 경우이더라도 ING과 ONG에 발음 및 기하학적인 형태상 근접하고, 복모음은 IAO는 IAN과 기하학적인 형태가 유사하므로 용이하게 인식이 가능한 것이다.
물론 해당 키버턴(NB)에서 모음 A를 선택하는지 또는 비모음 ANG을 선택하는 지는 휴대폰 자체의 메뉴에서 선택하게 하거나 길게 누르는 경우에 선택되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예시적으로 영문과 중문을 예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영문과 같은 굴절어로서 알파베트 자모로서 표기 및 발음되는 다양한 언어, 예를 들면 스페인어, 독일어, 불어, 중국어 등의 언어에도 적용이 가능함으로서 수출대상 국가의 언어에 부합되도록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 키패드는 종래의 무의미한 영문 자모의 그루핑에 따른 반복적이고 순차적인 입력방식에 비하여,
형태적으로 연상되는 자모의 모양으로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해당 자모 문자의 키버턴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심리적이고도 인간공학적인 효율성의 제고와,
키버턴의 조작회수를 저감시키는 물리적인 효율성의 제고를 동시에 수행하게 함으로서 문자발신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유용성을 가진다.

Claims (8)

  1. 휴대단말기의 영문 등의 언어의 알파베트 자모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IK)의 알파뉴매릭의 키버턴의 배열을 가지는 키패드에서,
    영문을 포함하는 언어의 알파베트의 사용빈도가 높은 모음용의 키버턴(NB)을 모음입력부(V)로서 그루핑하여 사용자의 문자입력을 위한 손가락의 조작을 위한 접근이 최소화될 수 있는 키버턴(NB)들에 배당하여 구성한 모음입력부(V)와,
    상기 키패드의 상기 모음입력부(V)를 제외한 잔여의 키버턴(NB)과, 상기 모음입력부(V)에 분배, 배당되는 자음으로써 자음입력부(C)를 구성하며,
    상기 모음입력부(V)와 자음입력부(C)에 그루핑되어 배당되는 알파베트 자모음은 기하학적 형태의 연관성이 유사한 2 개 이상의 자모음을 그루핑하고,
    상기 자모음의 그루핑된 조합으로서 같은 키버턴에 배당되는 복수의 자모음중 그 형상이 간단한 자모음을 해당 키버턴(NB)의 대표음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 키패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문 등의 언어의 알파베트 자음으로서 자음입력부(C)와 모음입력부(V)에 배당되는 복수 개의 자음은 그 형태가 유사하여 연상하기 용이한 것을 그루핑하고, 단순한 형상의 자음을 해당 키버턴(NB)의 대표음으로 배당함에 있어,
    상기 모음입력부(V)의 E에 배당되는 F의 경우와, 모음 U 에 배당하는 W, V 의 경우는 그 사용빈도의 저하로 예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 키패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의 알파뉴매릭의 키버턴(NB)의 배열을 가지는 키패드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영문 등의 언어의 알파베트 모음이 배당되는 모음입력부(V)는 뉴매릭 키패드의 좌측 수직방향으로 상단에서부터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 키패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하는 모음입력부(V)와 자음입력부(C)에 배당되는 자모음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형태의 유사성에 따른 자모음의 그루핑보다 단어 상에서의 근접하여 출몰하는 빈도에 따라서 우선 배당되어 그루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 키패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하는 모음입력부(V)의 모음 I 에 L 을 매칭시키는 대신 J 를 매칭하고 자음입력부(C)의 S 에 K 를 매칭시키는 대신 Z 를 매칭하고, 자음입력부(C)의 Y 에 XZ 를 매칭시키는 대신 XK 를 매칭함으로써 단어 상에서의 근접하여 출몰하는 빈도가 높은 자모를 우선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 키패드.
  6. 제 1항에 있어서,
    영문을 포함하는 언어의 알파베트의 사용빈도가 높은 모음용의 키버턴(NB)들인 상기 모음입력부(V)는 형태적으로 유사하여 그룹화된 키버턴들로서 키패드의 선택위치에 그룹화되어 배당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 키패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태에 의한 영문 등의 알파베트 자음의 키버턴(NB) 상에서의 배당은,
    영문 등의 언어의 알파베트의 자음 D 와 B 는 기하학적인 형태가 유사하므로 이를 그루핑하고, 자음 C 와 G 는 기하학적인 형태소가 유사하므로 이를 그루핑하고, 자음 N 와 M 는 기하학적인 형태소가 유사하므로 이를 그루핑하고, 자음 P 와 R 는 기하학적인 형태소가 유사하므로 이를 그루핑하고, 자음 T 와 J 는 기하학적인 형태소가 유사하므로 이를 그루핑하고, 자음 S 와 K 는 기하학적인 형태의 유사성은 없으나 그루핑하는 예외적인 요소로서 하고,
    자음 W 와 V 는 모음입력부(V)의 U 와 기하학적인 형태소가 유사하므로 이를 그루핑하고, 자음 H 는 모음입력부(V)의 A 와 기하학적인 형태소가 유사하므로 이를 그루핑하고, 자음 F 는 모음입력부(V)의 E 와 기하학적인 형태소가 유사하므로 이를 그루핑하고, 자음 L 는 모음입력부(V)의 I 와 기하학적인 형태소가 유사하므로 이를 그루핑하고, 자음 Q 는 모음입력부(V)의 O 와 기하학적인 형태소가 유사하므로 이를 그루핑하고, 자음 Y 와 반모음의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모음입력부(V)로 그루핑하여 자음 X 와 Z를 기하학적이고도 순서적인 유사성에 근거하여 그루핑하되,
    형태적으로 유사하여 그룹지어져 같은 키버턴에 배당되는 복수의 자음들과 모음들중 그 형상이 더 간단한 자음 또는 모음을 해당 키버턴(NB)의 대표음으로 배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 키패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이 중국어입력용인 경우, 그룹화된 비모음은 상기 모음입력부(V)의 대표음과 발음이 유사한 것 키버턴(NB)에 배당하고, 복모음은 배당된 비모음과 기하학적 형태와 발음의 유사성에 따라서 키버턴(NB)에 배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 키패드.
KR20060011301A 2006-02-06 2006-02-06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 키패드 KR100768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11301A KR100768336B1 (ko) 2006-02-06 2006-02-06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 키패드
KR2020060003290U KR200421161Y1 (ko) 2006-02-06 2006-02-06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키패드어레이
PCT/KR2007/000622 WO2007091814A1 (en) 2006-02-06 2007-02-06 Keypad array of portable terminal for input of alphabetic lett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11301A KR100768336B1 (ko) 2006-02-06 2006-02-06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 키패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290U Division KR200421161Y1 (ko) 2006-02-06 2006-02-06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키패드어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148A KR20070080148A (ko) 2007-08-09
KR100768336B1 true KR100768336B1 (ko) 2007-10-18

Family

ID=383453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11301A KR100768336B1 (ko) 2006-02-06 2006-02-06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 키패드
KR2020060003290U KR200421161Y1 (ko) 2006-02-06 2006-02-06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키패드어레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290U KR200421161Y1 (ko) 2006-02-06 2006-02-06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키패드어레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0768336B1 (ko)
WO (1) WO20070918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9060A (ko) * 2007-05-08 2008-11-12 정영재 러시아어권역 언어의 휴대단말기의 문자입력용키패드어레이
WO2012098544A2 (en) * 2011-01-19 2012-07-26 Keyless Systems, Ltd. Improved data entry systems
WO2012101636A2 (en) * 2011-01-26 2012-08-02 Keyless Systems, Ltd. Improved data entry system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352A (ko) * 2003-09-22 2005-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 장치
KR20060089702A (ko) * 2006-07-20 2006-08-09 조선재 휴대전화의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영문 입력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3067A (ja) * 2000-11-24 2002-06-07 Isao Nagaoka 携帯電話機等の操作ボタン
JP2002189554A (ja) * 2000-12-21 2002-07-05 Nooba Medeiko:Kk 文字入力装置
KR20030004230A (ko) * 2002-12-04 2003-01-14 류동기 자모 분리 할당을 통한 문자 입력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352A (ko) * 2003-09-22 2005-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 장치
KR20060089702A (ko) * 2006-07-20 2006-08-09 조선재 휴대전화의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영문 입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91814A1 (en) 2007-08-16
KR200421161Y1 (ko) 2006-07-13
KR20070080148A (ko) 200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0389B2 (en) Handwriting recognition in electronic devices
KR101036903B1 (ko)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문자 입출력 장치
US11467727B2 (en) Character input device
CN101414213A (zh) 人类语言、文字、符号点划式人机界面
KR100768336B1 (ko)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 키패드
KR20080099060A (ko) 러시아어권역 언어의 휴대단말기의 문자입력용키패드어레이
KR101426643B1 (ko) 일본어 입력장치
KR100599873B1 (ko)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Niu et al. Stroke++: A new Chinese input method for touch screen mobile phones
KR102459508B1 (ko) 일본어 문자 입력기 및 입력 방법
US7576662B2 (en) Keypad array of portable terminal for input of alphabetic letters
KR100517029B1 (ko) 한국어 자모 입력방법
CN107608533A (zh) 一种轻量型的嵌入式输入法
KR20080061662A (ko)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키패드어레이
US10664064B2 (en) Input device implementing predictive input method by assigning characters to keys
KR101249329B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918082B1 (ko) 사전식 순서 및 사용 빈도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KR20190140135A (ko) 일본어 키패드
KR101615862B1 (ko)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자와 숫자입력 자판 및 그 입력방법
KR20120080474A (ko) 선긋기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KR100596478B1 (ko) 알파벳 모음 중심의 키보드
KR101128734B1 (ko) 휴대단말기의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KR101127689B1 (ko) 문자표시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CN101561712B (zh) 一种应用十二键朝鲜文字键盘输入朝鲜文字的方法
KR200377783Y1 (ko) 기능성 버튼을 이용한 휴대폰 문장 부호 자판 배열에관한 고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