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8734B1 - 휴대단말기의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8734B1
KR101128734B1 KR1020100120274A KR20100120274A KR101128734B1 KR 101128734 B1 KR101128734 B1 KR 101128734B1 KR 1020100120274 A KR1020100120274 A KR 1020100120274A KR 20100120274 A KR20100120274 A KR 20100120274A KR 101128734 B1 KR101128734 B1 KR 101128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haracter
fixed
hindi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용
Original Assignee
(주)케이앤피어소시에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앤피어소시에이티드 filed Critical (주)케이앤피어소시에이티드
Priority to KR1020100120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87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면에 가상의 키보드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받는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에 있어서,
화면상에 4행 5열의 가상키패드를 형성하되, 9개의 고정문자키와, 7개의 가변문자키를 할당하여, 상기 고정문자키가 터치되면, 터치된 고정문자키에 대응하는 부수문자가 가변문자키에 표시되며, 그 상태에서 가변문자키를 터치하면 가변문자키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HINDI TOUCH SCREEN KEYPAD ARRAY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등의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 PDA 등의 휴대단말기 또는 키보드 등의 문자를 입력하는 터치스크린 자판에서의 힌디어 입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으로 대표되는 휴대단말기는, 키 입력 방식에 따라 물리적인 키패드를 가지는 피처폰과, 터치스크린 방식의 가상 키패드를 가지는 스마트폰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 피처폰은 12개의 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일부 스마트 폰의 경우 26키의 쿼티(qwerty) 자판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스마트폰의 쿼티자판의 경우 한개의 키의 크기가 너무 작고, 간격이 좁아 빠른 입력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인도유럽어족의 인도-이란어파에 속하는 힌디어는 "데바나가리" 라고 불리우는 표음문자를 그 표기에 사용하고 있고, 데바나가리 문자의 입력은 현재 현지에서 판매되는 일반적인 영문키패드의 영문알파벳을 사용하여 발음대로 영문 알파벳 자모를 조합하여 입력하고 있다.
따라서 힌디어 표기법인 데바나가리에 대한 어떠한 문자특성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종래로부터의 휴대폰문자자판 또는 QWERTY 방식의 키보드자판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인도인구의 40 %, 인도면적의 80 %의 사용지역을 점하고 있는 힌디어의 입력은 종래로부터도 영문자판을 사용하여 힌디어의 발음대로 영어 알파벳의 입력방법으로 사용하여 옴으로써 초기 사용자가 영문자판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데에 익숙하여지기 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또한 영문해독및 사용능력이 없는 사용자는 문자메시지의 사용이 불가능하고 , 또한, 발음에 따른 영문입력방법이 표준화되지 못하여 사용상의 어려움을 주고 있어 힌디어권의 휴대단말기의 보급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의 키패드를 5행 4열로 구성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액정화면에서 크기가 너무 작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입력에 불편함이 없는 키의 개수를 확보하고, 더 나아가 보다 적은 횟수의 터치로 힌디어 문자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힌디어의 문자특성에 부합하는 입력 방식을 가지는 터치스크린 힌디어 키패드 어레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손쉽게 문자 입력 방법을 습득할 수 있으며, 문자 입력의 효율성을 향상시킨 터치스크린 힌디어 키패드 어레이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면에 가상의 키보드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받는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에 있어서,
화면상에 4행 5열의 가상키패드를 형성하되, 9개의 고정문자키와, 7개의 가변문자키를 할당하여, 상기 고정문자키가 터치되면, 터치된 고정문자키에 대응하는 부수문자가 가변문자키에 표시되며, 그 상태에서 가변문자키를 터치하면 가변문자키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고정문자키와 그에 해당하는 가변문자키는 하기와 같이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0503928754-pat00001
또한, 키패드의 배열에 있어서, 상기 9개의 고정문자키는 2행과 4행의 중앙에 배열하고, 상기 7개의 고정문자키는 1행 전체와 2행의 양측에 배열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나머지 4개의 키는 기능키로 영문숫자전환키, 특수문자전환키, 백스페이스키, 엔터키를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의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는 20개의 키를 사용하여 키버튼의 크기를 확보할 수 있으며, 비교적 적은 수의 키를 이용하여 다양한 힌디어 문자를 직관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의 초기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의 고정문자키 "
Figure 112010503928754-pat00017
"가 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의 고정문자키 "
Figure 112010503928754-pat00018
"가 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의 고정문자키 "
Figure 112010503928754-pat00019
"가 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의 고정문자키 "
Figure 112010503928754-pat00020
"가 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의 고정문자키 "
Figure 112010503928754-pat00021
"가 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의 고정문자키 "
Figure 112010503928754-pat00022
"가 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의 고정문자키 "
Figure 112010503928754-pat00023
"가 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의 고정문자키 "
Figure 112010503928754-pat00024
"가 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의 고정문자키 "
Figure 112010503928754-pat00025
"가 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의 힌두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먼저 힌디어 문자에 관하여 살펴본다.
힌디어어 표기를 위한 "데바나가리" 문자는 11 개의 모음과 35 개의 자음을 조합하여 표기하는 표음문자이다.
모음은 아래의 표와 같이, 아(1),이(4),우(6), 에(8), 오(10)를 기본으로 하여 장음 아-(3), 장음 이-(5), 장음 우-(7), 오우(11) , 애(9), 반자음 리(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ure 112010503928754-pat00002
자음은 아래의 표 2 의 자음도표에서와 같이, 연구개음의 유성음으로서 거(22), 거ㅎ(23), 무성음으로서 꺼(20), 커(21), 경구개음의 유성음으로서 저(32), 저ㅎ(33), 무성음으로서 쩌(30), 처(31), 권설음의 유성음으로서 더(42), 더ㅎ(43), 무성음으로서 떠(40), 터(41) 치경음의 유성음으로서 더(52), 더ㅎ(53), 무성음으로서 떠(50), 터(51)양순음의 유성음으로서 버(62), 버ㅎ(63), 무성음으로서 뻐(60), 퍼(61), 마찰음의 유성음으로서 써(72), 허(73), 무성음으로서 셔(70), 셔(71), 그리고 비음으로서 엉(80) 녀(81), 머(82), 너(83), 너(84), 반모음으로서 여(90),러(91), 러(92), 버/워(93) 가 존재하게 된다.
Figure 112010503928754-pat00003
본 발명은 이러한 힌디어 문자를 20개의 키패드 어레이에 배열하되,
4개의 키는, 숫자 영문 전환키, 특수문자전환키, 백스페이스키, 엔터키로 배당하고 나머지 16개의 키패드를 문자 입력에 사용하도록 하였다.
16개의 키패드 중 9개의 키는 화면상에 항상 같은 문자키를 표시하는 고정문자키로 할당하고, 7개의 키는 고정문자키의 터치에 따라 부수문자가 표시되는 가변문자키로 할당하였다.
표 3은 본 발명의 고정문자키와 그에 대응하는 부수 문자키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0503928754-pat00004
표 3을 살펴보면 하나의 고정문자키에 3개에서 7개의 부수문자를 대응시킴으로써, 16개의 키를 이용하여 힌디어 문자를 모두 입력할 수 있다.
고정문자중의 1개는 연결모음을 나타내도록 하고 부수문자로 연결모음 기호 4개를 배당하여 다양한 연결모음을 효과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의 초기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는 2행에서 4열의 중앙에 9개의 고정문자키(FC)를 배열하고, 그 양측 하단에 4개의 기능키(AL, SY, BS, ET)를 배열하고, 고정문자키(FC)의 위쪽으로 7개의 가변문자키(VC)를 배열한다. 즉 가변문자키(VC)는 1행 전체와 2행의 양측에 배치된다.
초기 상태에서는 가변문자키(VC)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초기 상태에서 고정문자키(FC) 중의 하나를 터치하게 되면, 가변문자키(VC)에는 터치된 고정문자키(FC)에 대응하는 부수문자가 표시된다.
4개의 기능키는 영문숫자전환키(AL), 특수문자전환키(SY), 백스페이스키(BS), 엔터키(ET)이다.
도 2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의 각 고정문자를 터치한 상태를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정문자키(FC) 중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26
"가 터치되면, 가변문자키(VC)에는
Figure 112012009417659-pat00027
의 부수문자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28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29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30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31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32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33
" 가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부수문자가 표시된 가변문자키(VC)를 터치하게 되면, 표시되어 있던 부수문자가 입력되며, 고정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터치한 고정문자키(FC)를 한번 더 터치하거나, 엔터키(ET)를 터치하면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문자키(FC) 중
Figure 112012009417659-pat00034
가 터치되면, 가변문자키(VC)에는
Figure 112012009417659-pat00035
의 부수문자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36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37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38
"가 표시된다.
이상태에서 부수문자가 표시된 가변문자키(VC)를 터치하게 되면, 표시되어 있던 가부문자가 입력되며, 고정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터치한 고정문자키(FC)를 한번 더 터치하거나, 엔터키를 터치하면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문자키(FC) 중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39
" 가 터치되면, 가변문자키에는
Figure 112012009417659-pat00040
의 부수문자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41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42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43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44
"가 표시된다.
이상태에서 부수문자가 표시된 가변문자키(VC)를 터치하게 되면, 표시되어 있던 부수문자가 입력되며, 고정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터치한 고정문자키(FC)를 한번 더 터치하거나, 엔터키(ET)를 터치하면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문자키(FC) 중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45
" 가 터치되면, 가변문자키에는
Figure 112012009417659-pat00046
의 부수문자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47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48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49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50
"가 표시된다.
이상태에서 부수문자가 표시된 가변문자키(VC)를 터치하게 되면, 표시되어 있던 부수문자가 입력되며, 고정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터치한 고정문자키(FC)를 한번 더 터치하거나, 엔터키(ET)를 터치하면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문자키(FC) 중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51
" 가 터치되면, 가변문자키(VC)에는
Figure 112012009417659-pat00052
의 부수문자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53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54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55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56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57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58
"가 표시된다.
이상태에서 부수문자가 표시된 가변문자키(VC)를 터치하게 되면, 표시되어 있던 부수문자가 입력되며, 고정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터치한 고정문자키(FC)를 한번 더 터치하거나, 엔터키(ET)를 터치하면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정문자키(FC) 중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59
"가 터치되면, 가변문자키(VC)에는
Figure 112012009417659-pat00060
의 부수문자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61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62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63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64
"가 표시된다.
이상태에서 부수문자가 표시된 가변문자키(VC)를 터치하게 되면, 표시되어 있던 부수문자가 입력되며, 고정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터치한 고정문자키(FC)를 한번 더 터치하거나, 엔터키(ET)를 터치하면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고정문자키(FC) 중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65
" 가 터치되면, 가변문자키(VC)에는
Figure 112012009417659-pat00066
의 부수문자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67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68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69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70
"가 표시된다.
이상태에서 부수문자가 표시된 가변문자키(VC)를 터치하게 되면, 표시되어 있던 부수문자가 입력되며, 고정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터치한 고정문자키(FC)를 한번 더 터치하거나, 엔터키(ET)를 터치하면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고정문자키(FC) 중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71
" 가 터치되면, 가변문자키(VC)에는
Figure 112012009417659-pat00072
의 부수문자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73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74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75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76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77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78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79
"가 표시된다.
이상태에서 부수문자가 표시된 가변문자키(VC)를 터치하게 되면, 표시되어 있던 부수문자가 입력되며, 고정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터치한 고정문자키(FC)를 한번 더 터치하거나, 엔터키(ET)를 터치하면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문자키(FC) 중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80
" 가 터치되면, 가변문자키에는
Figure 112012009417659-pat00081
의 부수문자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82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83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84
,
Figure 112012009417659-pat00086
"가 표시된다.
이상태에서 부수문자가 표시된 가변문자키(VC)를 터치하게 되면, 표시되어 있던 부수문자가 입력되며, 고정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터치한 고정문자키(FC)를 한번 더 터치하거나, 엔터키(ET)를 터치하면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FC : 고정문자키
VC : 가변문자키
AL : 영문숫자전환키
SY : 특수문자전환키
BS : 백스페이스키
ET : 엔터키

Claims (5)

  1. 화면에 가상의 키보드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받는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에 있어서,
    화면상에 4행 5열의 가상키패드를 형성하되, 9개의 고정문자키와, 7개의 가변문자키와, 엔터키를 할당하여,
    초기 상태에서는 상기 가변문자키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은 상태이고,
    상기 고정문자키가 터치되면, 터치된 고정문자키에 대응하는 부수문자가 가변문자키에 표시되며, 그 상태에서 가변문자키를 터치하면 가변문자키에 표시되어 있는 부수문자가 입력되며, 터치한 고정문자키를 한번 더 터치하거나, 엔터키를 터치하면 고정문자가 입력되고,
    각각의 고정문자에 해당하는 부수문자는 하기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Figure 112012009417659-pat00005

    Figure 112012009417659-pat00006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9개의 고정문자키는 2행과 4행의 중앙에 배열하고,
    상기 7개의 고정문자키는 1행 전체와 2행의 양측에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4. 제 3 항에 있어서,
    나머지 3개의 키는 기능키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5. 제 4 항에 있어서,
    3개의 기능키는 영문숫자전환키, 특수문자전환키, 백스페이스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KR1020100120274A 2010-11-30 2010-11-30 휴대단말기의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KR101128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274A KR101128734B1 (ko) 2010-11-30 2010-11-30 휴대단말기의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274A KR101128734B1 (ko) 2010-11-30 2010-11-30 휴대단말기의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8734B1 true KR101128734B1 (ko) 2012-03-23

Family

ID=46142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274A KR101128734B1 (ko) 2010-11-30 2010-11-30 휴대단말기의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87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6115A (ja) 2002-03-04 2003-09-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6115A (ja) 2002-03-04 2003-09-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1518B2 (ja) 文字入力装置
KR20120134580A (ko) 성조 선택 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중국어 입력 방법
KR100894382B1 (ko) 한글 입력방법 및 한글 키보드
KR102459508B1 (ko) 일본어 문자 입력기 및 입력 방법
JP5882497B2 (ja) 小型日本語キーボード及び方法
KR101128734B1 (ko) 휴대단말기의 힌디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KR20110137679A (ko) 휴대단말기의 일본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JP5650345B2 (ja) 子音英字キーからの母音英字及び仮名によるフリック操作方法。
KR101249329B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120056582A (ko) 터치스크린패널을 이용한 중국어 문자입력장치
KR20120060732A (ko) 준세벌 한글자판과 새로운 두루자판 시스템
KR101071812B1 (ko) 휴대단말기의 일본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CN105426109A (zh) 一种滑行输入文字的方法
KR20070080148A (ko) 휴대단말기의 알파베트 형식의 자모입력을 위한 키패드
KR101130894B1 (ko) 모음의 기능성 타법을 중심으로 한 스마트폰의 쿼티자판용 한글 문자판
KR20120080474A (ko) 선긋기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KR20130004648A (ko) 터치스크린패널기기에서의 문서편집기능이 있는 다국어 문자입력장치
KR20110061737A (ko) 입력 모드 선택이 가능한 휴대용 기기의 한글 배열 통합형 자판
KR101615862B1 (ko)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자와 숫자입력 자판 및 그 입력방법
KR20130038427A (ko) 터치스크린 한글자판
KR101000348B1 (ko) 휴대전화의 자판을 이용한 훈민정타 한글 입력 시스템
KR20080083986A (ko) 휴대단말기 등을 위한 힌디어용 키패드어레이
KR20130081518A (ko) 터치스크린패널기기에서의 문서편집기능이 있는 다국어 문자입력장치
KR101509571B1 (ko) 대기시간이 없는 터치패드 문자 입력방법
CN201698338U (zh) 用于汉字音序码输入的电脑键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