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7840B1 - 보행자 및 자전거 전용 도로용 탄성바닥재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보행자 및 자전거 전용 도로용 탄성바닥재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7840B1
KR100767840B1 KR1020070066018A KR20070066018A KR100767840B1 KR 100767840 B1 KR100767840 B1 KR 100767840B1 KR 1020070066018 A KR1020070066018 A KR 1020070066018A KR 20070066018 A KR20070066018 A KR 20070066018A KR 100767840 B1 KR100767840 B1 KR 100767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weight
parts
hot melt
great gr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일
Original Assignee
듀라케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라케미 (주) filed Critical 듀라케미 (주)
Priority to KR1020070066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78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8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자 및 자전거 전용 도로용 탄성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인더로서 핫 멜트 수지를 사용하고, 여기에 일정 규격 크기의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PDM) 또는 폐타이어 또는 폴리우레탄 칩을 혼합하여 프리믹스 형태로 제조한 후, 가열 용융기기를 이용, 제품을 용융시켜 일정두께로 도포하여 보행자와 운전자에 충격 완화 효과 및 안락함을 제공하고 내구성 및 내후성이 뛰어나 시인성을 우수하게 유지하며, 제품 시공 시 온도 및 계절의 영향이 적고 투수성 및 미끄럼 저항성이 우수하며 아스콘 등 포재와의 접착성이 뛰어나 오랜 시간이 지나도 탈락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공 후 1~2시간 내 빠르게 개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행자 및 자전거 전용 도로용 탄성바닥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중합체, 에틸렌 비닐아세트산 공중합체, 폴리아마이드 중에서 1종이 선택되며 도막의 유연성 및 내 충격성을 개선시켜 하중에 우수한 내구성을 지니고 높은 접착력을 갖는 제1수지 10~50중량부와, 석유 수지, 페놀 수지, 로진 수지 중에서 1종이 선택되며 소지와의 접착력 향상 및 칩 제품의 바인더로서의 역할을 가지는 제2수지 10~80중량부와, 제품의 흐름성 향상 및 내후성을 증대시키는 왁스 수지 10~4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핫 멜트 수지 19~39중량부와, 5~15mm 크기의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PDM), 폴리우레탄(PU), 폐타이어 중에서 1종이 선택되며 미끄럼방지 기능, 보행 감의 향상, 안전 성이 부여되는 미끄럼방지용 칩 58~78중량부와, 제품의 외관 및 시인성 유지를 위한 안료 3~6중량부로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행자도로, 자전거도로, 탄성바닥재, 핫 멜트 수지,

Description

보행자 및 자전거 전용 도로용 탄성바닥재 및 그 시공방법{Elastic floor materials for a road of walker and bicycle, and pa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보행자 및 자전거 전용 도로용 탄성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인더(binder)로서 핫 멜트(Hot Melt)수지를 사용하고, 여기에 일정 규격 크기의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PDM) 또는 폐타이어 또는 폴리우레탄(PU) 칩을 혼합하여 프리믹스(Pre-mix) 형태로 제조한 후, 가열 용융기기를 이용, 제품을 용융시켜 일정두께로 도포하여 보행자와 운전자에 충격 완화 효과 및 안락함을 제공하고 내구성 및 내후성이 뛰어나 시인성을 우수하게 유지하며, 제품 시공 시 온도 및 계절의 영향이 적고 투수성 및 미끄럼 저항성이 우수하며 아스콘 등 포재와의 접착성이 뛰어나 오랜 시간이 지나도 탈락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공 후 1~2시간 내 빠르게 개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행자 및 자전거 전용 도로용 탄성바닥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 보행자 및 자전거 전용도로의 시공제품들은 수지 자체의 특성과 더불어 이들이 갖는 단점을 보완하기에는 여러 한계가 있다.
가령 예를 들어 칼라 아스콘의 경우에는 반발탄성이 미흡하여 발의 피로감이 증대되고 보행감이 떨어지고 접착 내구성이 약하여 탈색이 일어나 시인성이 떨어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칼라 투스콘의 경우에는 시공 공정이 복잡하며 제품 포설 후 일정기간의(하절기:2~3일, 동절기 1~2주) 양생기간이 필요하며, 양생 후에도 여러 단계의 후 공정이 필요하므로 시간적 및 계절적으로 많은 제약이 따른다.
또한, 고무 칩(Rubber Chip) 탄성체 제품의 경우에는 상온 경화형 제품으로 동절기 시공이 어렵고, 타 계절에도 시공 후 개방 시간이 길어 1일 내지 2일 정도의 경화숙성이 필요한 제품으로 교통개방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을 보이고 있다.
실제 아스팔트의 경우 기온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수축, 팽창이 발생하고 있으며, 노면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소성변형(Rutting), 피로균열(Fatigue crack) 등의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칼라 아스콘 제품의 경우 내구성이 떨어지고, 고무 칩 제품의 경우 아스팔트와의 수축, 팽창 차이로 인한 들뜸 현상 및 탈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바인더로서 핫 멜트 수지를 사용하고, 여기에 일정 규격 크기의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PDM), 폐타이어, 폴리우레탄 칩 중에서 선택된 1종을 혼합하여 프리믹스 형태로 제조한 후, 가열 용융기기로서 제품을 용융시켜 일정두께로 도포함으로서 보행자와 운전자에 충격 완화 효과 및 안락함을 제공하고 내구성 및 내후성이 뛰어나 시인성을 우수하게 유지하며, 제품 시공 시 온도 및 계절의 영향이 적고 투수성 및 미끄럼 저항성이 우수하며 아스콘 등 포재와의 접착성이 뛰어나 오랜 시간이 지나도 탈락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공 후 1~2시간 내 빠르게 개통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공성과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중합체, 에틸렌 비닐아세트산 공중합체, 폴리아마이드 중에서 1종이 선택되며 도막의 유연성 및 내 충격성을 개선시켜 하중에 우수한 내구성을 지니고 높은 접착력을 갖는 제1수지 10~50중량부와, 석유 수지, 페놀 수지, 로진 수지 중에서 1종이 선택되며 소지와의 접착력 향상 및 칩 제품의 바인더로서의 역할을 가지는 제2수지 10~80중량부와, 제품의 흐름성 향상 및 내후성을 증대시키는 왁스 수지 10~4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핫 멜트 수지 19~39중량부와, 5~15mm 크기의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PDM), 폴리우레탄(PU), 폐타이어 중에서 1종이 선택되며 미끄럼방지 기능, 보행 감의 향상, 안전성이 부여되는 미끄럼방지용 칩 58~78중량부와, 제품의 외관 및 시인성 유지를 위한 안료 3~6중량부로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중합체, 에틸렌 비닐아세트산 공중합체, 폴리아마이드 중에서 1종이 선택된 제1수지 10~50중량부와, 석유 수지, 페놀 수지, 로진 수지 중에서 1종이 선택된 제2수지 10~80중량부와, 왁스 수지 10~4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핫 멜트 수지 19~39중량부와, 5~15mm 크기의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 폴리우레탄, 폐타이어 중에서 1종이 선택된 미끄럼방지용 칩 58~78중량부와, 안료 3~6중량부로 혼합하여 이루어진 탄성 바닥재를 가열 용융하는 용융단계와, 상기 용융단계에서 용융된 탄성 바닥재를 소지면에 3~10mm 두께로 도포하는 도포단계와, 상기 탄성 바닥재 도포단계에서 소지에 도포되어진 용융된 탄성 바닥재를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경화시키는 경화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및 자전거 전용 도로용 탄성바닥재 및 그 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및 자전거 전용 도로용 탄성바닥재는 도막의 유연성 및 내 충격성을 개선시켜 하중에 우수한 내구성을 지니고 접착력에도 우수함과 동시에 소지(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와의 접착력 향상 및 칩의 바인더로서의 역할을 하며 제품의 흐름성 향상 및 내후성을 증대시키는 핫 멜트 수지 19~39중량부와, 미끄럼 방지 기능 및 보행 감의 향상을 가져오고 안전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갖는 미끄럼 방지용 칩(chip) 58~78중량부와, 제품의 외관 및 시인성 유지를 위한 안료 3~6중량부로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핫 멜트 수지는 19중량부 미만 첨가 시에는 유연성 및 내 충격성이 미흡하여 크랙의 발생과 접착력 미비로 인한 칩의 탈락 현상 및 흐름성 저하로 인해 시공성 및 내후성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39중량부 이상 첨가될 경우에는 제품의 유연성 및 내 충격성이 떨어져 제품 표면의 크랙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어 19~39중량부 범위 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끄럼방지 기능 및 보행 감의 향상을 가져오고 안전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갖는 미끄럼방지용 칩은 5~15mm 입자 크기를 갖는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 머(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EPDM), 폴리우레탄(PU), 폐타이어 중에서 선택된 1종을 사용하고, 58중량부 이하 첨가 시에는 미끄럼 방지 기능의 저하 및 투수성이 떨어지며, 78중량 이상 첨가할 경우에는 흐름성이 저하되어 시공성 저하 및 칩의 탈락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 58~78중량부 범위 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끄럼방지용 칩의 입자크기는 제품의 시공성, 탄성, 투수성, 미끄럼저항성 등을 고려할 경우 상기크기의 입자가 적합하며, 5mm 이하의 경우 탄성력은 양호하나 제품의 작업성 및 투수성이 저하되고 15mm 이상일 경우에는 투수성등은 양호하나 포장재의 강도나 제반물성이 저하되므로 5~15mm 크기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품의 외관 및 시인성 유지를 위해 첨가되는 안료는 3중량부 미만 첨가 시에는 은폐되어 시인성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6중량부 이상 첨가할 경우에는 점도 상승의 원인이 되므로 3~6중량부 범위 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핫 멜트 수지는 도막의 유연성 및 내 충격성을 개선시켜 하중에 우수한 내구성을 지니게 하고 접착력에도 우수한 역할을 하는 제1수지 10~50중량부와, 소지(아스팔트)와의 접착력 향상 및 칩 제품의 바인더로서의 역할 향상을 가져오는 제2수지 10~80중량부와, 제품의 흐름성 향상 및 내후성을 증대시키는 왁스(WAX) 수지 10~40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핫 멜트 수지를 구성하며 도막의 유연성 및 내 충격성을 개선시켜 제품에 전해지는 하중에 우수한 내구성을 지니게 하고 접착력에도 유효한 역할 을 하는 제1수지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중합체(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 TPU), 에틸렌 비닐아세트산 공중합체(EVA),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중에서 선택된 1종을 사용하고, 10중량부 미만 첨가 시에는 유연성 및 내 충격성이 미흡하여 크랙 발생에 대한 우려가 있으며, 50중량부 이상 첨가할 경우에는 유연성은 증대되나 제품의 강도 유지가 불안정한 문제가 발생되어 10~50중량부 범위 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핫 멜트 수지를 구성하며 소지(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와의 접착력 향상 및 칩 제품의 바인더로서의 역할 향상을 가져오는 제2수지는 석유 수지, 페놀(Phenol) 수지, 로진(Rosin)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을 사용하고, 10중량부 미만으로 첨가 시에는 접착력 미비로 인한 칩의 탈락 현상을 가져오고, 80중량부 이상 첨가할 경우에는 제품의 유연성 및 내 충격성이 떨어져 제품 표면의 크랙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10~80중량부 범위 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핫 멜트 수지를 구성하며 제품의 흐름성 향상 및 내후성을 증대시키는 왁스 수지는 10중량부 미만으로 첨가 시에는 접착강도는 증대되나 흐름성 저하로 인해 시공성이 떨어지고 내후성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40중량부 이상 첨가할 경우에는 제품의 접착강도가 떨어져 접착성 저하와 바인더로서의 역할에 문제점이 발생되어 10~40중량부 범위 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보행자 및 자전거 전용 도로용 탄성바닥재의 제조공정 및 시공방법을 도 1 및 도 2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중합체, 에틸렌 비닐아세트산 공중합체, 폴리아마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제1수지 10~50중량부와, 석유 수지, 페놀 수지, 로진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제2수지 10~80중량부와, 왁스 수지 10~40중량부를 교반조에 투입한 후, 고르게 혼합 및 균질화 하여 핫 멜트 수지를 제조한다.
상기 과정에서 제조된 핫 멜트 수지 19~39중량부와,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 폴리우레탄, 폐타이어 중에서 선택된 1종의 미끄럼방지용 칩 58~78중량부와, 안료 3~6중량부를 교반조에 투입한 후, 고르게 혼합 및 균질화 하여 보행자 및 자전거 전용 도로용 탄성바닥재의 제조를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핫 멜트 수지를 구성하는 각 성분 즉, 제1, 제2수지 및 왁스 수지가 전체 탄성바닥재에 포함되는 비율을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성 분 전체혼합비율 (중량부)
핫 멜트 수지 제1수지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중합체, 에틸렌 비닐아세트산 공중합체, 폴리아마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10~50중량부 2~11
제2수지 석유 수지, 페놀 수지, 로진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10~80중량부 2~16
왁스 수지 10~40중량부 2~9
안료 3~6
미끄럼 방지용 칩 58~78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보행자 및 자전거 전용 도로용 탄성바닥재를 사용하여 도로에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포장하고자 하는 도로의 표면에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탄성바닥재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라이머 작업을 진행한 다음, 핫 멜트 수지 19~39중량 부와, 미끄럼방지용 칩 58~78중량부와, 안료 3~6중량부를 가열 용융조에 투입하여 150~250℃에서 1~3시간 동안 용융 및 교반함으로써 탄성바닥재를 형성한 후, 상기 용융된 탄성바닥재를 히팅롤러(heating roller)를 사용하여 도로의 표면에 3~10mm 두께로 도포하여 1~2시간 동안 경화시킴으로써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여기서 탄성바닥재의 용융온도가 150℃ 이하일 경우에도 제품의 용융점도가 높아 제품도포가 까다로우며, 용융온도가 250℃ 이상일 경우에는 원료의 탄화현상이 발생하여 물성이 저하됨으로써 150~250℃ 범위 내에서 용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바닥재의 용융시간이 1시간 이하일 경우에는 완전한 용융이 어려우며 3시간 이상일 경우에는 원료의 탄화현상이 발생하여 물성이 저하됨으로써 용융된 탄성바닥재를 1~3시간 범위 내에서 용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바닥재를 3mm 두께 이하로 도포할 경우에는 탄성 및 접착력 저하 등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하지 못하고, 탄성바닥재를 10mm 이상 두께로 도포할 경우에는 제반적인 물성은 양호하나 경제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3~10mm 두께 범위 내에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바닥재의 경화시간은 실제 경화시간은 교통개방시간과 연관이 있으므로 빠르면 빠를수록 좋으나 제품 도포 후, 상태 안정화 등을 고려하여 1~2시간 범위 내에서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및 자전거 전용 도로용 탄성바닥재는 핫 멜트 수지를 바인더로 사용하므로 시공성이 개선되어 계절의 영향이 적고 개방시간 이 빠르며 모재와의 접착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배합에 사용되는 수지의 물성이 우수하여 장기간의 사용에서도 내구성 및 내후성 등의 물성이 양호하며 골재로써 탄성체의 칩을 사용하므로 안락함과 투수성 등 제반적인 효과를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시공된 본 발명의 탄성바닥재와 기존 바닥재와 비교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2) 본 발명의 탄성바닥재와 기존 바닥재와 비교
항 목 기존 시공제품 본 발명 비 고
칼라아스콘/ 칼라투스콘 고무 칩(Rubber Chip) 탄성체
시공방식 가열형 상온 경화형 가열형
시공공정 복잡 복잡 단순 용융형
반발탄성 미흡 우수 우수
동절기 시공성 양호/미흡 미흡 우수
개방시간 2-3hrs/ 일주일 전후 24-48(hrs) 1-2(hrs) 제품 시공 후
미끄럼 저항성 미흡 우수 우수
시인성 미흡(탈색) 우수 우수
보행감 미흡 우수 우수
접착 내구성 미흡 양호 우수
제품단가 중/저가 고가 중가
이하 본 발명의 보행자 및 자전거 전용 도로용 탄성바닥재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에서는 아래의 표 2에서와 같이 안료 3중량부, 미끄럼 방지용 칩 75중량부로 고정한 상태에서 핫 멜트 수지를 구성하는 제1수지를 6중량부, 5중량부, 4중량부, 3중량부로 각각 다르게 첨가하고, 제2수지는 13중량부, 13중량부, 16중량부, 14중량부로 각각 다르게 첨가하고, 왁스 수지는 3중량부, 4중량부, 2중량부, 5중량부로 각각 다르게 첨가하였다.
(표 2)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조성물 함량 비율표(단위:중량부)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핫 멜트 수지 제1수지 6 5 4 3
제2수지 13 13 16 14
왁스 수지 3 4 2 5
안료 3 3 3 3
미끄럼 방지용 칩 75 75 75 75
성분 합계 100 100 100 100
상기와 같은 실시예 1 내지 제 4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바닥재를 융융시킨 후, 아스팔트 도로에 가로 3m, 세로 1m, 두께 4mm 두께로 도포한 다음, 3~12개월 뒤 제품의 투수성, 부착상태, 마모상태 및 크랙발생 상태 등을 확인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조성물의 물성 비교표
구분 투수성 마모상태(개월) 부착상태(개월) 크랙발생 상태(개월)
3 6 9 12 3 6 9 12 3 6 9 12
실시예 1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실시예 2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실시예 3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실시예 4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상기 표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및 자전거 전용 도로용 탄성바닥재의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 범위 안에서 투수성, 부착상태, 마모상태 및 크랙발생을 측정한 결과 모두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다음은 다른 실시예에 의해 핫 멜트 수지를 구성하는 제1, 제2수지 및 왹스 수지를 선택적으로 배제하는 반면에, 배제된 수지 대신에 상대적으로 다른 수지의 함량을 증가하여 보았으며, 그 때의 함량 비율을 아래의 표 4에 나타내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 5 내지 7에서는 아래의 표 4에서와 같이 안료를 모두 3중량부, 그리고 미끄럼 방지용 칩을 75중량부, 77중량부, 75중량부로 고정한 상태에서 핫 멜트 수지를 구성하는 제1수지를 0중량부, 11중량부, 9중량부로 각각 다르게 첨가하고, 제2수지는 14중량부, 0중량부, 13중량부로 각각 다르게 첨가하고, 왁스 수지는 8중량부, 9중량부, 0중량부로 각각 다르게 첨가하였다.
(표 4) 실시예 5 내지 7에 따른 조성물 함량 비율표(단위:중량부)
성분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핫 멜트 수지 제1수지 - 11 9
제2수지 14 - 13
왁스 수지 8 9 -
안료 3 3 3
미끄럼 방지용 칩 75 77 75
성분 합계 100 100 100
상기와 같은 실시예 5 내지 제 7에서와 같은 바닥재 조성물을 융융시킨 후, 아스팔트 도로에 가로 3m, 세로 1m, 두께 4mm 두께로 도포한 다음, 3~12개월 뒤 제품의 투수성, 부착상태, 마모상태 및 크랙발생 상태 등을 확인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실시예 5 내지 7에 따른 조성물의 물성 비교표
구분 투수성 마모상태(개월) 부착상태(개월) 크랙발생 상태(개월)
3 6 9 12 3 6 9 12 3 6 9 12
실시예 5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양호
실시예 6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양호 양호 미흡
실시예 7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양호 미흡 미흡
(양호: 제품 끝단 표면에서 실 크랙이 소수발생)
(미흡: 제품 표면 및 내부 크랙이 발생)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핫 멜트 수지를 구성하는 제1, 제2수지 및 왁스 수지 중에서 어느 하나를 배제하여 탄성 바닥재를 조성하였을 경우 투수성, 마모상태, 부착상태는 우수하지만 기간이 경과할수록 크랙이 발생되는 현상이 나타나 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하여 볼 때 핫 멜트 수지를 구성하는 제1, 제2수지 및 왁스 수지가 상호 보완 작용을 함으로써 크랙 발생을 억제하는 것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인더로서 핫 멜트 수지를 사용하고, 여기에 일정 규격 크기의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PDM), 폐타이어, 폴리우레탄 칩 중에서 선택된 1종을 혼합하여 프리믹스 형태로 제조한 후, 가열 용융기기로서 제품을 용융시켜 일정두께로 도포함으로서 보행자와 운전자에 충격 완화 효과 및 안락함을 제공하고 내구성 및 내후성이 뛰어나 시인성을 우수하게 유지하며, 제품 시공 시 온도 및 계절의 영향이 적고 투수성 및 미끄럼 저항성이 우수하며 아스콘 등 포재와의 접착성이 뛰어나 오랜 시간이 지나도 탈락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공 후 1~2시간 내 빠르게 개통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공성과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중합체(TPU), 에틸렌 비닐아세트산 공중합체(EVA),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중에서 1종이 선택되며 도막의 유연성 및 내 충격성을 개선시켜 하중에 우수한 내구성을 지니고 높은 접착력을 갖는 제1수지 10~50중량부와, 석유 수지, 페놀(Phenol) 수지, 로진(Rosin) 수지 중에서 1종이 선택되며 소지와의 접착력 향상 및 칩 제품의 바인더로서의 역할을 가지는 제2수지 10~80중량부와, 제품의 흐름성 향상 및 내후성을 증대시키는 왁스 수지 10~4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핫 멜트 수지 19~39중량부와,
    5~15mm 크기의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PDM), 폴리우레탄(PU), 폐타이어 중에서 1종이 선택되며 미끄럼방지 기능, 보행 감의 향상, 안전성이 부여되는 미끄럼방지용 칩 58~78중량부와,
    제품의 외관 및 시인성 유지를 위한 안료 3~6중량부로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및 자전거 전용 도로용 탄성바닥재.
  2.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중합체, 에틸렌 비닐아세트산 공중합체, 폴리아마이드 중에서 1종이 선택된 제1수지 10~50중량부와, 석유 수지, 페놀 수지, 로진 수지 중에서 1종이 선택된 제2수지 10~80중량부와, 왁스 수지 10~4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핫 멜트 수지 19~39중량부와, 5~15mm 크기의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 폴리우레탄, 폐타이어 중에서 1종이 선택된 미끄럼방지용 칩 58~78중 량부와, 안료 3~6중량부로 혼합하여 이루어진 탄성 바닥재를 150~250℃에서 1~3시간 동안 가열 용융하는 용융단계와,
    상기 용융단계에서 용융된 탄성 바닥재를 소지면에 3~10mm 두께로 도포하는 도포단계와,
    상기 탄성 바닥재 도포단계에서 소지에 도포되어진 용융된 탄성 바닥재를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경화시키는 경화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및 자전거 전용 도로용 탄성바닥재 시공방법.
KR1020070066018A 2007-07-02 2007-07-02 보행자 및 자전거 전용 도로용 탄성바닥재 및 그 시공방법 KR100767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018A KR100767840B1 (ko) 2007-07-02 2007-07-02 보행자 및 자전거 전용 도로용 탄성바닥재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018A KR100767840B1 (ko) 2007-07-02 2007-07-02 보행자 및 자전거 전용 도로용 탄성바닥재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7840B1 true KR100767840B1 (ko) 2007-10-18

Family

ID=3881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018A KR100767840B1 (ko) 2007-07-02 2007-07-02 보행자 및 자전거 전용 도로용 탄성바닥재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78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135B1 (ko) * 2009-03-05 2009-08-13 주식회사 태웅산업 포장도로의 표면 처리 및 미끄럼 방지를 위한 노면개선제의 시공방법
KR100920165B1 (ko) 2009-02-26 2009-10-06 주식회사 포이닉스 노면 미끄럼 방지용 포장재
GB2487949A (en) * 2011-02-10 2012-08-15 Trade Fabrication Systems Ltd Flooring material having slip resistant coating applied using a roller
KR101553054B1 (ko) 2015-04-24 2015-09-14 현대건업 (주) 건축물 내·외 바닥 마감재 및 주차장 마감 바닥재 조성물 및 도장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795A (ko) * 2003-12-27 2004-01-16 미래피앤씨(주) 탄성바닥재용 고무분말과, 그 고무분말을 이용한탄성바닥재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795A (ko) * 2003-12-27 2004-01-16 미래피앤씨(주) 탄성바닥재용 고무분말과, 그 고무분말을 이용한탄성바닥재의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165B1 (ko) 2009-02-26 2009-10-06 주식회사 포이닉스 노면 미끄럼 방지용 포장재
WO2010098530A1 (ko) * 2009-02-26 2010-09-02 주식회사 포이닉스 노면 미끄럼 방지용 포장재
KR100912135B1 (ko) * 2009-03-05 2009-08-13 주식회사 태웅산업 포장도로의 표면 처리 및 미끄럼 방지를 위한 노면개선제의 시공방법
GB2487949A (en) * 2011-02-10 2012-08-15 Trade Fabrication Systems Ltd Flooring material having slip resistant coating applied using a roller
KR101553054B1 (ko) 2015-04-24 2015-09-14 현대건업 (주) 건축물 내·외 바닥 마감재 및 주차장 마감 바닥재 조성물 및 도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181B1 (ko) 자전거 전용 도로용 포장재 조성물
US10392509B2 (en) High-grade asphalt composition having waterproof fun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103696B1 (ko) 피복 그루빙용 미끄럼방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44376B1 (ko) 노면 미끄럼방지제 및 그 시공방법
KR101612544B1 (ko) 도로 노면 미끄럼방지 친환경 포장재 조성물, 도로 노면 미끄럼방지 친환경 포장재, 이의 제조방법 및 미끄럼방지 도로 노면 시공방법
KR102209863B1 (ko) 미끄럼방지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KR100767840B1 (ko) 보행자 및 자전거 전용 도로용 탄성바닥재 및 그 시공방법
KR100812339B1 (ko) 박층 도로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KR101726192B1 (ko) 요철형성층 도포용 바닥재 조성물
KR101037033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횡단보도 및 과속방지턱 제조용 도로노면 표시 조성물
KR101045361B1 (ko) 황토를 이용한 친환경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및 도막형 바닥재
KR100536955B1 (ko) 도로상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포장재
KR100948044B1 (ko) 노면 칼라 코팅용 융착식 미끄럼 방지 도포재,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CN102219437B (zh) 水泥混凝土道路快速修补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144143B1 (ko) 내크랙성이 우수한 미끄럼방지용 포장재 조성물
KR20140060038A (ko) 아스팔트 표면 보수제, 이의 제조방법 및 아스팔트 균열 보수방법
KR100947888B1 (ko) 보행도로 및 자전거 전용 도로용 도로 포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공법
KR101110574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지며 내크랙성 및 휘도가 우수한 도로노면 표시 조성물
KR100938212B1 (ko) 보행로 포장재 조성물
KR100242911B1 (ko) 잔 입도 아스팔트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811724B1 (ko) 보행자 및 자전거 전용 도로용 탄성바닥재
KR101091774B1 (ko) 미끄럼 방지용 자전거, 자동차 또는 보행도로용 포장재 조성물
CN109722078A (zh) 一种环保彩色路面涂覆材料及道路标识铺设方法
KR101182672B1 (ko) 도로용 미끄럼방지 포장재의 시공방법
KR101989903B1 (ko) 시트 보강 자착식 프리캐스트 실란트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 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