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7209B1 - 수평 편파 무지향성 어레이 안테나 - Google Patents

수평 편파 무지향성 어레이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7209B1
KR100767209B1 KR1020040100799A KR20040100799A KR100767209B1 KR 100767209 B1 KR100767209 B1 KR 100767209B1 KR 1020040100799 A KR1020040100799 A KR 1020040100799A KR 20040100799 A KR20040100799 A KR 20040100799A KR 100767209 B1 KR100767209 B1 KR 100767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dipole antennas
pair
feed
ma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0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3514A (ko
Inventor
타이라류이치
우치노시게루
카와사키모리요시
Original Assignee
하라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라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라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3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3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1/00Electrically-long antennas having dimensions more than twice the shortest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11/02Non-resonant antennas, e.g. travelling-wave antenna
    • H01Q11/04Non-resonant antennas, e.g. travelling-wave antenna with parts bent, folded, shaped, screened or electrically loaded to obtain desired phase relation of radiation from selected sections of the 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006Particular feeding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with folded element or elements,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operating wavelength
    • H01Q9/27Spiral antennas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 편파 무지향성 어레이 안테나가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수평 편파 무지향성 어레이 안테나는 축방향이 수직 방향에 대응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축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급전선로를 포함하고, 기부를 갖는 안테나 지지 부재와, 상기 한 쌍의 급전선로에 따라 배열 및 접속된 복수의 다이폴 안테나와, 상기 한 쌍의 급전선로에 직렬 급전을 행하기 위한 상기 기부의 급전측상에 형성된 평형/불평형 변환부를 포함한다.
무지향성 어레이 안테나

Description

수평 편파 무지향성 어레이 안테나{HORIZONTAL POLARIZED WAVE NON-DIRECTIONAL ARRAY ANTENNA}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PHS 기지국용의 수평 편파 무지향성 어레이 안테나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제 1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 스미스 차트(Smith chart).
도 3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제 1의 측정 결과의 리턴 로스(return loss)를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 4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의 측정 결과의 VSWR을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 5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제 2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 스미스 차트.
도 6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제 상기 2의 측정 결과의 리턴 로스를 도시한 다이어 그램.
도 7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2의 측정 결과의 VSWR을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 8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의 측정 결과의 수직 방향의 방사 패턴을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 9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2의 측정 결과의 수직 방향의 방사 패턴을 도시한 다이어그램.
도 10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의 측정 결과의 수평 방향의 방사 패턴을 도시한 다이어그램.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등에 특히 알맞는 수평 편파 무지향성 어레이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종래 기술에 있어서, 수평 편파의 수평면에서 무지향성을 달성하는 휴대전화,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 제 2세대 코드리스 전화 시스템) 등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안테나 장치가 여러가지 생각되고 있다. (예를 들면, JP-A-11-340733을 참조)
그러나, 고이득화를 위한 어레이 안테나화를 생각한 경우에, 상기 언급된 JP-A-11-340733에 개시된 것을 포함하는 수평 편파 무지향성 안테나는 어느것이나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상승되고, 또는 반대로 구조가 지나치게 간이하여 어레이화 하는 때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수 없다는 결점이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 목적은 수평면에서의 충분한 무지향성을 실현하면서, 구조가 간이하고 생산성이 우수하고, 설치에 적합한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수평 편파 무지향성 어레이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축방향이 수직 방향에 대응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축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급전선로를 포함하고, 기부(base portion)를 갖는 안테나 지지 부재와, 상기 한 쌍의 급전선로에 따라 배열 및 접속된 복수의 다이폴 안테나와, 상기 한 쌍의 급전선로에 직렬 급전을 행하기 위해 상기 기부의 급전측상에 형성된 평형/불평형 변환부를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복수의 다이폴 안테나 각각은 대상 주파수의 거의 1/2파장의 안테나 길이를 갖는다.
양호하게는, 상기 복수의 다이폴 안테나 각각은 상기 급전선로의 축방향에 대해 거의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양호하게는, 상기 안테나의 배열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면에 대한 방사의 틸트(tilt) 각도는 상기 복수의 다이폴 안테나의 간격에 의해 설정된다.
양호하게는, 상기 평형/불평형 변환부는 상기 복수의 다이폴 안테나를 정합하기 위한 정합 회로를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안테나 지지 부재는 PPE(PolyPhenylene Ether : 폴리페닐렌에테르) 또는 불소 수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간이하고 생산성에 우수하고, 설치에 적합한 기계 적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직렬 급전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급전선로의 폭을 좁힐 수 있고, 결과적으로 안테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안테나 전체의 외경을 작고 가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면 1.9[GHz]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PHS에서 필요한 안테나 길이가 80[㎜] 보다 작게 되고, 다이폴 안테나의 형상을 궁리함에 의해 안테나 전체의 외경을 보다 작고 가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면에서의 우수한 무지향성을 실현할 수 있음과 함께, 안테나 전체의 외경을 보다 작게 하고 둥근 파이프 형상의 레이돔(radome)에 수납할 수 있을 정도로 극히 실현성이 풍부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면, 기지국 안테나로서 시가지의 빌딩 옥상에 안테나를 설치하는 경우에 필요한 틸트 각을 설정하는 등, 필요한 틸트 각의 설정을 안테나 간격에 의해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는 보다 높은 안테나 효율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 소자인 다이폴 안테나와 입/출력 케이블 사이의 정합을 취하기 쉽고 무지향성을 얻기 쉽다.
이하, 본 발명을 1.9[GHz]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PHS의 기지국 안테나에 적용한 경우의 한 실시예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레이돔(radome)을 제거한 안테나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면 번호 1은 그 긴변 방향이 수직으로 지지되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안테나 기판이다. 상기 안테나 기판(1)은 예를 들면 PPE(PolyPhenylene Ether : 폴리페닐렌 에테르)(유전율 3.3 정도)나, 테플론(R)(유전율 2.3 정도) 등의 불소 수지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안테나 기판(1)은 평형/불평형 변환부(2)가 마련되고, 그 선단(front end)에서 커넥터(4)를 포함하고 동축 케이블에 의해 형성된 급전선(3)에 접속되는 급전 기부(feeding base)를 포함한다.
상기 평형/불평형 변환부(2)는 예를 들면 발룬(balun)에 의한 정합 회로를 겸하고 있다. 서로 평행한 한 쌍의 급전선로(5, 5)는, 상기 안테나 기판(1) 기부의 평형/불평형 변환부(2)를 통하여, 안테나 기판(1)의 긴변에 따라, 하나의 단부측의 표면 및 후면상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급전선로(5, 5)을 따라 각각 반원형상으로 구부린 안테나 소자(6, 6, ‥‥)를 쌍으로 하여 배설하고, 수평 방향으로 상기 급전 선로에 의해 상기 안테나 소자(6, 6, ‥‥)가 지지되도록, 복수 쌍의 다이폴 안테나(dipole antenna)를 형성한다. 즉, 급전선로(5, 5)에 각각 접속된 한 쌍의 안테나 소자(6, 6)는 단일한 다이폴 안테나로서 기능하고, 그 복수 쌍이 안테나 기판(1)의 긴 변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급전선로(5, 5)에 의해 직렬 급전된다.
다이폴 안테나 각각을 구성하는 한 쌍의 안테나 소자(6, 6)에 따르면, 안테나 길이는 합쳐서 대상 주파수의 거의 λ/2(λ ; 파장)로 되도록 설정되고, 여기서 대상 주파수는 1.9[GHz]로 설정되면, λ/2는 78[㎜] 정도로 된다.
그에 더하여. 링형상의 다이폴 안테나의 직경을 0,18λ, 즉 28[㎜] 정도로 한다.
또한, 상기 각 다이폴 안테나의 어레이 간격은 수평 방향에 대해 필요한 틸트 각도에 의해 가변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기판상에서의 1λ에 상당하는 100[㎜]를 어레이 간격으로 하는 경우에, 틸트(tilt)는 실행되지 않고, 수평 방향으로 복사가 실행된다.
반면에, 각 다이폴 안테나의 어레이 간격을 상기 100[㎜]보다 작게 하면 급전 방향, 도 1에서는 지면(paper face)의 아래방향으로 틸트한다. 반대로 100[㎜]보다 크게 하면 급전 방향과는 역방향, 도 1에서는 지면의 윗방향으로 틸트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다음고 같은 실험의 결과로서 얻어진 각종 특성에 관해 설명한다.
(제 1의 측정예)
도 2 내지 도 4, 및 도 8은 수평 방향의 틸트각이 0°로 되도록 다이폴 안테나의 각각의 어레이 간격을 100[㎜]로 하고, 안테나 소자(6, 6, ‥‥)에 의한 다이폴 안테나를 16 쌍으로 하여 구성한 경우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PHS의 주파수대를 커버하고자 도면중에 삼각 기호에 의해 도시된 마커 '1' 내지 '3'이 다음 주파수의 값을 취한다. 즉,
마커 '1' : 1884.65[MHz]
마커 '2' : 1902.05[MHz]
마커 '3' : 1919.45[MHz]
도 2는 상기 마커 '2'의 주파수 1902,05[MHz]를 중심으로 하여 200[MHz]의 범위에 걸쳐서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스미스 차트(Smith chart)이다.
여기서, 마커 '1'은 약 67[Ω], 마커 '2'는 약 49[Ω], 마커 '3'은 약 62[Ω]이고, 중심 주파수의 마커 '2'가 이상치(ideal value) 50[Ω]에 근사한 값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거의 소망하는 특성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리턴 로스(return loss)를 도시한 것으로, 상술한 주파수의 마커 '1'은 -16.277[dB], 마커 '2'는 -27,812[dB], 마커 '3'은 -16.646[ dB]이고, PHS에 필요한 주파수 범위에 걸쳐서 리턴 로스를 -14[dB] 이하가 되게 억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도 4의 VSWR(전압 정재파비(voltage standing wave ratio))에서도 현저하고, 상술한 주파수를 갖는 마커 '1'의 VSWR은 1.3637, 마커 '2'의 VSWR은 1.0848, 마커 '3'의 VSWR은 1.3455의 값을 취하고 있고, PHS에 필요한 주파기 범위에 걸쳐서 VSWR을 1.5 이하로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의 결과로부터, 급전에 있어서 반사 등이 극히 적고, 매우 효율 좋게 복사 구동하는 것이 가능한 안테나 구조로 구성되어 있을 알 수 있다.
도 8은 수직면의 방사 패턴의 측정예를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거의 틸트각을 0도로 설정함에 의해, 안테나 방사는 수평면으로 실행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설정 수치를 갖는 안테나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비교적 인구 밀도가 낮고, 넓은 범위에 걸쳐서 송수신을 행할 필요가 있는 교외 등에 기지국을 설치하는 경우에, 이런 종류의 틸트각을 설정하지 않은 수평면에서의 특성을 중시 한 안테나가 사용되게 된다.
(제 2의 측정예)
도 5 내지 도 7, 및 도 9는 틸트각이 (급전측의 아래방향으로) 8°가 되도록 다이폴 안테나의 각각의 어레이 간격을 93[㎜]로 하고, 안테나 소자(6, 6, ‥‥)에 의한 다이폴 안테나를 20쌍으로 하여 구성한 경우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소, PHS의 주파수대를 커버하고자 도면중에 삼각 기호에 의해 나타내는 마커 '1' 내지「3」은 다음의 주파수의 값을 취한다. 즉,
마커 '1' : 1884.65[MHz]
마커 '2' : 1902.05[MHz]
마커 '3' : 1919.45[MHz]
도 5는 상기 마커 '2'의 주파수 1902.05[MHz]를 중심으로 하여 200[MHz]의 범위에 걸쳐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스미스 차트이다.
여기서, 마커 '1'은 약 39[Ω], 마커 '2'는 약 48IΩ], 마커 '3'은 약 50[Ω]이고, 중심 주파수의 마커 '2'와 마커 '3'은 이상치 50[Ω]에 거의 근사한 값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거의 소망하는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이 판단될 수 있다.
도 6은 리턴 로스를 도시한 것으로, 상술한 주파수를 갖는 마커 '1'의 리턴 로스는 -17.700[dB], 마커 '2'의 리턴 로스는 -33,179[dB], 마커 '3'의 리턴 로스는 -23,591[dB]이고, PHS에 필요한 주파수 범위에 걸쳐서 리턴 로스를 -14[dB] 이하로 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도 7의 VSWR에서도 현저하고, 상술한 주파수를 갖는 마커 '1'의 VSWR은 1.2996, 마커 '2'의 VSWR는 1.0448, 마커 '3'의 VSWR은 1.1415의 값을 취하고, PHS에 필요한 주파수 범위에 걸쳐서 VSWR을 1.5 이하로 충분히 여유를 갖고서 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도 5 내지 도 7의 결과로부터, 급전에 있어서 반사 등이 극히 적고, 매우 효율 좋게 복사 구동하는 것이 가능한 안테나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9는 수직면의 방사 패턴의 측정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거의 틸트각을 (아래 방향으로) 8도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치 설정을 갖는 안테나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비교적 인구 밀도가 높고, 한정된 범위 내에서 송수신을 행할 필요가 있는 예를 들면 시가지의 빌딩의 옥상에 기지국을 설치하는 경우 등에, 이런 종류의 수평면으로부터 약간 하향의 틸트각으로 설정한 안테나가 사용되게 된다.
최종적으로, 도 10은 상기 제 1의 측정예에서 설명한, 틸트각을 0°로 한 경우의 수평면에서의 방사 패턴을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360°의 전체 둘레에 걸쳐 거의 균일한 양호한 방사 특성을 얻고 있고, 소망되는 무지향성이 거의 양호하게 실현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안테나 구조를 채택함에 의해, 그리고, 안테나 기판(1)의 단변을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상의 다이폴 안테나의 외경 이하로 함에 의해, 상기 안테나 전체를 둥근 파이프 형상의 레이돔(radome) 내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점은 평행한 한 쌍의 급전선로(5, 5)에 의해 안테나 소자(6, 6, ‥‥)를 직렬 급전함으로써, 한 쌍의 급전선로의 폭을 포함하는 안테나 기판(1)의 단변(short side) 방향의 치수를 작게 설정할 수 있다는 사실로부터 기여한다. 안테나 자체의 구조가 간이하고 생산성이 우수하고, 설치에 적합한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안테나 기판(1)을 포함하는 안테나 전체의 외경을 작고 가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양호한 무지향성과 안테나 효율을 확보하면서도, 안테나를 매우 컴팩트하고 설치 등의 취급이 용이하고, 또한 내 기후성에도 우수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기판(1)의 단변 방향의 치수가 링형상의 다이폴 안테나의 직경과 개략 동등하게 설정되고, 다이폴 안테나를 구성하는 각각의 안테나 소자(6, 6, ‥‥)의 선단(front end)이 안테나 기판(1)의 급전선로(5, 5)를 마련한 측과는 반대측상의 안테나 기판(1)의 단부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경우에, 안테나 소자(6, 6, ‥‥)의 기계적 강도를 더욱 올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테나 기판(1)과 같은 직사각형 판형상의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환봉형상의 안테나 지지부재에 평형/불평형 변환부(2)와 급전선로(5, 5)를 마련하여 안테나 소자(6, 6, ‥‥)를 배열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따라 1.9[GHz]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PHS의 기지 국 안테나에 적용한 경우에 관해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사용하는 주파수대나 용도, 각 안테나 소자의 형상이나 배열 간격, 배열 수 등을 한정하는 것도 아니다.
그 밖에,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는 여러 단계의 발명이 포함되어 있고, 개시된 복수의 구성 요건을 적절히 조합함에 의해 의해 여러가지의 발명이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예에 나타나는 전체 구성 요건으로부터 몇개의 구성 요건이 삭제되는 경우에도,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에서 기술된 문제점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해결될 수 있고, 발명의 효과에서 기술되어 있는 효과 중의 적어도 하나는 달성되는 경우에, 구성 요건이 삭제된 구성이 본 발명으로서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간이하고 생산성에 우수하고, 설치에 적합한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직렬 급전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급전선로의 폭을 좁힐 수 있고, 결과적으로 안테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안테나 전체의 외경을 작고 가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면 1.9[GHz]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PHS에서 필요한 안테나 길이가 80[㎜] 보다 작게 되고, 다이폴 안테나의 형상을 궁리함에 의해 안테나 전체의 외경을 보다 작고 가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면에서의 우수한 무지향성을 실현할 수 있음과 함께, 안테나 전체의 외경을 보다 작게 하고 둥근 파이프 형상의 레이돔(radome)에 수납할 수 있을 정도로 극히 실현성이 풍부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면, 기지국 안테나로서 시가지의 빌딩 옥상에 안테나를 설치하는 경우에 필요한 틸트 각을 설정하는 등, 필요한 틸트 각의 설정을 안테나 간격에 의해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는 보다 높은 안테나 효율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 소자인 다이폴 안테나와 입/출력 케이블 사이의 정합을 취하기 쉽고 무지향성을 얻기 쉽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수평 편파 무지향성 어레이 안테나에 있어서,
    축방향이 수직 방향에 대응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축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급전선로를 포함하고, 기부를 갖는 안테나 지지 부재와, 상기 한 쌍의 급전선로에 따라 배열 및 접속된 복수의 다이폴 안테나와, 상기 한 쌍의 급전선로에 직렬 급전을 행하기 위해 상기 기부의 급전측상에 형성된 평형/불평형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다이폴 안테나 각각은 대상 주파수의 1/2파장의 안테나 길이를 갖고,
    상기 복수의 다이폴 안테나 각각은 상기 급전선로의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편파 무지향성 어레이 안테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의 배열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면에 대한 방사의 틸트(tilt) 각도는 상기 복수의 다이폴 안테나의 간격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편파 무지향성 어레이 안테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불평형 변환부는 상기 복수의 다이폴 안테나를 정합하기 위한 정합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편파 무지향성 어레이 안테나.
  6. 삭제
KR1020040100799A 2003-12-03 2004-12-03 수평 편파 무지향성 어레이 안테나 KR1007672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04827A JP2005167705A (ja) 2003-12-03 2003-12-03 水平偏波無指向性アレイアンテナ
JPJP-P-2003-00404827 2003-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3514A KR20050053514A (ko) 2005-06-08
KR100767209B1 true KR100767209B1 (ko) 2007-10-17

Family

ID=34463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0799A KR100767209B1 (ko) 2003-12-03 2004-12-03 수평 편파 무지향성 어레이 안테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128158A1 (ko)
EP (1) EP1538705A1 (ko)
JP (1) JP2005167705A (ko)
KR (1) KR100767209B1 (ko)
CN (1) CN10043122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95898B2 (ja) * 2006-08-30 2011-10-19 マスプロ電工株式会社 水平偏波無指向性アンテナ
US7936314B2 (en) 2007-04-12 2011-05-03 Nec Corporation Dual polarized antenna
EP2589110A1 (en) * 2010-07-01 2013-05-08 Nokia Siemens Networks Oy Antenna arrangement
SI2883278T1 (en) * 2012-08-07 2018-04-30 Comrod As THREE-SIDE ANTENNA CYCLE
CN106229613B (zh) * 2016-08-23 2018-12-11 安谱络(苏州)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正交双极化辐射天线及双极化全向阵列天线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8446A (ja) * 1986-10-30 1989-07-03 Mitsui Petrochem Ind Ltd 積層体
JPH0537226A (ja) * 1991-07-31 1993-02-12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リント・ダイポールアンテナ
JPH05160630A (ja) * 1991-12-06 1993-06-2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チルトビーム空中線
JP2002271135A (ja) * 2001-03-07 2002-09-20 Ueda Japan Radio Co Ltd コリニアアンテナ
JP2003142934A (ja) * 2001-10-31 2003-05-16 Antenna Giken Kk 水平偏波無指向性アンテナ装置
JP2003188636A (ja) * 2001-12-17 2003-07-04 Tdk Corp 複合アンテナ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12137A (en) * 1944-06-16 1950-06-20 Us Sec War Antenna
FR2061531B1 (ko) * 1969-04-15 1973-12-21 Thomson Csf
US3750185A (en) * 1972-01-18 1973-07-31 Westinghouse Electric Corp Dipole antenna array
US4141014A (en) * 1977-08-19 1979-02-2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Multiband high frequency communication antenna with adjustable slot aperture
US4864320A (en) * 1988-05-06 1989-09-05 Ball Corporation Monopole/L-shaped parasitic elements for circularly/elliptically polarized wave transceiving
SE506868C2 (sv) * 1996-05-29 1998-02-23 Allgon Ab Långsträckt antenn samt metallförbindningselement
US6747605B2 (en) * 2001-05-07 2004-06-08 Atheros Communications, Inc. Planar high-frequency antenna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8446A (ja) * 1986-10-30 1989-07-03 Mitsui Petrochem Ind Ltd 積層体
JPH0537226A (ja) * 1991-07-31 1993-02-12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リント・ダイポールアンテナ
JPH05160630A (ja) * 1991-12-06 1993-06-2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チルトビーム空中線
JP2002271135A (ja) * 2001-03-07 2002-09-20 Ueda Japan Radio Co Ltd コリニアアンテナ
JP2003142934A (ja) * 2001-10-31 2003-05-16 Antenna Giken Kk 水平偏波無指向性アンテナ装置
JP2003188636A (ja) * 2001-12-17 2003-07-04 Tdk Corp 複合アンテ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38705A1 (en) 2005-06-08
CN100431220C (zh) 2008-11-05
CN1624979A (zh) 2005-06-08
US20050128158A1 (en) 2005-06-16
JP2005167705A (ja) 2005-06-23
KR20050053514A (ko) 2005-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1246B2 (en) Antenna with one or more holes
US5757329A (en) Slotted array antenna with single feedpoint
Alibakhshikenari et al. Wideband sub-6 GHz self-grounded bow-tie antenna with new feeding mechanism for 5G communication systems
CN1298265A (zh) 折叠偶极天线
US8698696B1 (en) Corporate feed network for compact ultra wideband high gain antenna arrays
CN107611601B (zh) 小型化高增益双极化全向天线
CN108598699B (zh) 垂直极化全波振子阵列天线以及定向辐射天线
US20090309804A1 (en) Array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KR101859179B1 (ko) 소형 광대역 대수 주기 안테나
KR100767209B1 (ko) 수평 편파 무지향성 어레이 안테나
Elsheakh et al. Circularly polarized triband printed quasi‐Yagi antenna for millimeter‐wave applications
CN102110876B (zh) 长期演进lte双频高增益全向天线
Parchin et al. A beam-steerable antenna array with radiation beam reconfigurability for 5G smartphones
JP4795898B2 (ja) 水平偏波無指向性アンテナ
JP2011087241A (ja) アンテナおよびアレイアンテナ
Lee et al. A 60-GHz Yagi-Uda circular array antenna with omni-direcitional pattern for millimeter-wave WBAN applications
KR101816018B1 (ko) 소형 광대역 대수 주기 안테나
AU2011202962B2 (en) Low-tilt collinear array antenna
JP4895922B2 (ja) アンテナ装置
KR100846490B1 (ko) 안테나
RU217561U1 (ru) Многослойная двухдиапазонная всенаправленная печатная антенна
JP2006014152A (ja) 平面アンテナ
Zhang et al. A Printed Log Periodic Dipole Antenna with Broadband Application from 0.5 to 15 GHz
JP2005184526A (ja) アンテナ装置
KR102062803B1 (ko) 대수주기 다이폴 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