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475B1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슬러지 건조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슬러지 건조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475B1
KR100765475B1 KR1020060136778A KR20060136778A KR100765475B1 KR 100765475 B1 KR100765475 B1 KR 100765475B1 KR 1020060136778 A KR1020060136778 A KR 1020060136778A KR 20060136778 A KR20060136778 A KR 20060136778A KR 100765475 B1 KR100765475 B1 KR 100765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dry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6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열웅
Original Assignee
(주)가우디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우디환경 filed Critical (주)가우디환경
Priority to KR1020060136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54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슬러지를 건조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슬러지 건조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에 미생물과 물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슬러지가 포함된 오수로 처리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구비한 슬러지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서 나오는 슬러지가 포함된 오수를 저장하는 저장조가 구비되고, 상기 저장조에서 슬러지가 침전되어 물과 슬러지가 분리되며, 분리된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관과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슬러지 이송관이 형성된 슬러지 유입조와, 상기 슬러지 이송관을 통해 이송되는 슬러지를 건조 처리하는 건조실이 구비된 슬러지 건조장치로 슬러지 건조처리장치가 구성되어 슬러지가 포함된 오수를 정화하기 위한 정화조의 설치에 필요한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건조된 슬러지를 비료등으로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의 재활용하여 수자원 절약 및 자연환경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음식물쓰레기, 슬러지, 건조장치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슬러지 건조처리장치{Sludge dry device of A food trash control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슬러지 건조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2 : 오수 이송관
20 : 슬러지 유입조 22 : 저장조
24 : 배출관 26 : 슬러지 이송관
28 : 여과기 30 : 슬러지 건조장치
32 : 건조실 40 : 이송펌프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슬러지 건조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를 건조하여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쓰레기는 상온에서 쉽게 부패하여 악취를 풍기게 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고, 최근에는 음식물쓰레기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슬러지가 포함된 오수로 배출하는 방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은 미생물과 음식물쓰레기를 교반기로 교반하고, 급수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물과 히터에 의해 공급되는 열에 의해 미생물의 생육이 활성화되면서 미생물에 의해 음식물이 완전 발효 분해하지만, 음식물쓰레기가 분해되어 형성된 슬러지가 포함된 오수가 발생되어 이를 처리하기 위한 정화조를 따로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서 나오는 슬러지가 포함된 오수를 저장조(22)로 이송하여 침전분리를 통해 슬러지와 물을 분리하고 슬러지를 건조장치에서 건조시킨 슬러지를 처리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슬러지 건조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슬러지 건조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에 미생물과 물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슬러지가 포함된 오수로 처리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구비한 슬러지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서 나오는 슬러지가 포함된 오수를 저장하는 저장조가 구비되고, 상기 저장조에서 슬러지가 침전되어 물과 슬러지가 분리되며, 분리된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관과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슬러지 이송관이 형성된 슬러지 유입조와, 상기 슬러지 이송관을 통해 이송되는 슬러지를 건조처리하는 건조실이 구비된 슬러지 건조장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와 상기 슬러지 유입조 사이에 오수 이송관을 형성하여 슬러지를 포함하는 오수를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관이 상기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연결되어 물을 재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조는 슬러지의 침전분리가 가능한 침전조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러지 유입조에 형성된 배출관의 단부에는 여과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슬러지 건조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슬러지 건조처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의 슬러지 건조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 처리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에서 배출되는 슬러지가 포함된 오수를 저장하여 슬러지와 물을 분리하는 슬러지 유입조(20)와, 상기 슬러지 유입조(20)에서 분리된 슬러지를 건조처리하는 슬러지 건조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는 종래의 음식물쓰레기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하여 액상 처리하는 모든 기종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에서 미생물에 의해 음식물쓰레기가 처리되어 발생되는 슬러지가 포함된 오수를 슬러지 유입조(20)로 유입시킨다
상기 슬러지가 포함된 오수의 유입은 상기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와 상기 슬러지 유입조(20)에 오수 이송관(12)을 형성하여 이송시킬 수도 있다.
상기 슬러지 유입조(20)는 슬러지가 포함된 오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조(22)가 구비된다.
상기 저장조(22)에 유입된 슬러지가 포함된 오수는 상기 저장조(22)에서 슬러지가 침전되어 저장조(22)서 슬러지와 물이 분리된다.
상기 저장조(22)는 슬러지의 침전분리가 잘 이루어지도록 침전조 기능을 갖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분리된 물은 상기 슬러지 유입조(20)에 형성된 배출관(24)을 통해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로 이송되고, 분리된 슬러지는 상기 슬러지 유입조(20)에 형성된 슬러지 이송관(26)을 통해 슬러지 건조장치(30)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 분리된 물은 배출관(24)을 통하여 상기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에 공급하여, 배출되는 물을 재사용함으로써 물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관(24)의 단부에 여과기(28)를 설치하여 침전되지 못한 슬러지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슬러지 이송관(26)을 통해 이송되는 슬러지는 상기 슬러지 건조장치(30)에 구비된 건조실(32)로 이송되어 건조 처리된다.
상기 슬러지 건조장치(30)는 건조실(32)에 열선을 구비되어 건조실(32) 자체의 온도를 상승시켜 슬러지를 건조하거나 열선이 내재된 스크류에 의한 간접 건조등 다양한 건조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슬러지 건조장치(30)에 건조된 슬러지를 압축시킬 수 있는 압축용 실린더가 형성하여 건조된 슬러지를 압축하여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자동 배출도어를 형성하여 건조된 슬러지를 자동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슬러지 및 물이 이송되는 오수 이송관(12), 배출관(24), 슬러지 이송관(26)에 이송펌프(40)를 각각 개재하여 슬러지 및 물의 이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슬러지 건조장치(30)에서 생산되는 건조된 슬러지는 건조 과정 중 높은 온도에 의해 유해한 균들이 모두 멸균시키고, 음식물쓰레기를 미생물에 의해 교반중에 발생되는 것으로 유기물이 풍부하여 자연친화적인 비료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서 발생되는 슬러지가 포함된 오수를 슬러지와 물로 침전분리하여 슬러지는 건조처리하는 장치로써 슬러지가 포함된 오수를 정화하기 위한 정화조의 설치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건조된 슬러지를 비료등으로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재활용하여 수자원 절약 및 자연환경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음식물쓰레기에 미생물과 물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슬러지가 포함된 오수로 처리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를 구비한 슬러지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에서 배출되는 슬러지가 포함된 오수를 저장하는 저장조(22)가 구비되고, 상기 저장조(22)에서 슬러지가 침전되어 물과 슬러지가 분리되며, 분리된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관(24)과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슬러지 이송관(26)이 형성된 슬러지 유입조(20)와,
    상기 슬러지 이송관(26)을 통해 이송되는 슬러지를 건조 처리하는 건조실(32)이 구비된 슬러지 건조장치(3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슬러지 건조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와 상기 슬러지 유입조(20) 사이에 오수 이송관(12)을 형성하여 슬러지를 포함하는 오수를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슬러지 건조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24)이 상기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에 연결되어 물을 재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슬러지 건조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22)는 슬러지의 침전분리가 가능한 침전조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슬러지 건조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유입조(20)에 형성된 배출관(24)의 단부에는 여과기(28)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슬러지 건조처리장치.
KR1020060136778A 2006-12-28 2006-12-28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슬러지 건조처리장치 KR100765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778A KR100765475B1 (ko) 2006-12-28 2006-12-28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슬러지 건조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778A KR100765475B1 (ko) 2006-12-28 2006-12-28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슬러지 건조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5475B1 true KR100765475B1 (ko) 2007-10-09

Family

ID=39419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778A KR100765475B1 (ko) 2006-12-28 2006-12-28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슬러지 건조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547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7931A (ko) * 1988-11-11 1990-06-02 이상철 난연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정물
KR960028965A (ko) * 1995-01-19 1996-08-17 송민헌 폐분말활성탄 및 폐규산염을 주제로 한 복합흡착제의 제조 및 폐수여과처리방법
KR19990075974A (ko) * 1998-03-26 1999-10-15 엄기화 음식물찌꺼기의 사료화 장치 및 그 사료화방법
KR100265669B1 (ko) 1998-04-28 2001-03-02 김영주 음식찌꺼기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20030071138A (ko) * 2002-02-27 2003-09-03 (주) 자이모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7931A (ko) * 1988-11-11 1990-06-02 이상철 난연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정물
KR960028965A (ko) * 1995-01-19 1996-08-17 송민헌 폐분말활성탄 및 폐규산염을 주제로 한 복합흡착제의 제조 및 폐수여과처리방법
KR19990075974A (ko) * 1998-03-26 1999-10-15 엄기화 음식물찌꺼기의 사료화 장치 및 그 사료화방법
KR100265669B1 (ko) 1998-04-28 2001-03-02 김영주 음식찌꺼기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20030071138A (ko) * 2002-02-27 2003-09-03 (주) 자이모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3789A (en) Pasteurization process
KR100419259B1 (ko) 슬러지 감량형 막분리 활성슬러지 공법을 이용한하수처리방법
JP2010264436A (ja) スラッジ処理の方法
CN103232137B (zh) 造纸废水处理系统及处理工艺
KR20160098989A (ko) 가용효율이 높고, 탈취 및 고농축처리가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탈리여액 처리시스템
KR101649735B1 (ko)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시스템
KR102098046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수직원통형 혐기성 소화장치
KR100765475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슬러지 건조처리장치
KR101894502B1 (ko) 혐기소화여액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소화장치
JP7339671B2 (ja) 下水処理システム
KR101112007B1 (ko) 배수 정화 장치 및 그의 세정 방법.
KR100851947B1 (ko) 하수 및 정수 슬러지의 안정화 처리 장치 및 공법
KR100603990B1 (ko) 슬러지 감량 및 바이오 가스 증산이 가능하도록 초음파 공동화 현상을 이용한 슬러지 리액터
JP2003300035A (ja) メタン発酵処理システム並びにその消化液の脱窒方法
KR20160098990A (ko) 가용효율이 높고 고농축처리가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탈리여액 처리시스템
KR20090085918A (ko) 하수처리장의 반려수 및 슬러지를 저감시키는 방법
JP2006326438A (ja) 汚泥処理装置及び汚泥処理方法
CN210825836U (zh) 一种养猪场废水处理装置
MX2014001695A (es) Sistema y proceso de tratamiento de aguas residuales generadas en rastros, casas de matanza y similares.
KR20150114152A (ko) 가용효율이 높고 탈질 및 고농축처리가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탈리여액 처리시스템
KR101381748B1 (ko) 유기물류 폐수 정화 시스템
CN112010519B (zh) 一种污泥干化系统及工艺
KR20180106072A (ko) 공동주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10017261A (ko) 하·폐수처리장의 슬러지 처리방법
KR20130008133A (ko) 고온성 미생물을 이용한 전기적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