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4934B1 - 색발현 및 잉크퍼짐방지 실사액이 처리된 실사출력용 원단 - Google Patents

색발현 및 잉크퍼짐방지 실사액이 처리된 실사출력용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4934B1
KR100764934B1 KR1020040104502A KR20040104502A KR100764934B1 KR 100764934 B1 KR100764934 B1 KR 100764934B1 KR 1020040104502 A KR1020040104502 A KR 1020040104502A KR 20040104502 A KR20040104502 A KR 20040104502A KR 100764934 B1 KR100764934 B1 KR 100764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water
weight
solubl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4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5311A (ko
Inventor
이경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광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광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광화학
Publication of KR20050065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02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63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41M5/5281Polyurethanes or polyur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18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inorganic additives, e.g. pigments, c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27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organic non-macromolecular additives, e.g. UV-absorbers, plasticisers, surf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9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thermal means, e.g. infrared radiation, hea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사출력용 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단표면에 프린팅되는 광고용 문자나 문양의 색상이 선명하면서 잉크의 퍼짐이 없고, 또한 각종 견뢰도가 우수하면서 방오, 방수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실사액을 처리하되, 실리카의 사용을 배제하여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뿐 아니라 사용 중 실리카의 탈락으로 인한 2차적인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사출력용 원단에 실리카를 함유하지 않은 실사액을 처리한 다음 건조하고, 건조 완료된 원단을 필요한 폭과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케 한 것이다.

Description

색발현 및 잉크퍼짐방지 실사액이 처리된 실사출력용 원단{Textile for manufacturing placard}
도 1 :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원단의 실사액 처리구성도
도 2 : 도 1에서 제조된 원단의 단면구성도
도 3 :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원단의 실사액 처리구성도로서 타실시도
도 4 : 도 3에서 제조된 원단의 단면구성도
도 5 : 본 발명의 도 1과 도 3의 장치를 2중처리한 원단의 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원단 (20)--실사액
(31)--가이드롤러 (32)--침지조
(33)--침지롤러 (34)--압착롤러
(35)--건조기 (36)--인날박스
(37)--나이프
본 발명은 실사출력용 원단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단의 표면에 다양한 색상의 문자나 문양을 직접 출력 혹은 인쇄하고자 할 때 보다 선명한 발색과 잉크의 번짐을 막기 위하여 원단의 전처리 과정에서 사용하였던 실리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선명한 발색과 잉크의 번짐을 방지토록 함과 아울러, 실리카 사용으로 인한 내마모성, 내마찰성, 내수성, 내알카리성의 저하 및 원단오염방지는 물론 실리카 이탈로 야기되는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사출력용 원단은 원단의 표면에 프린팅 기계에서 출력 혹은 인쇄되는 문자나 문양의 선명한 발색 및 잉크의 번짐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원단에 처리되는 실사액에 실리카의 사용이 필수적이었다.
따라서 실리카의 사용으로 인하여 각종 견뢰도, 즉 내마모성과 내마찰성 및 내수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될 뿐 아니라 사용 중 실리카의 탈락으로 인한 환경오염문제를 야기시키게 되고, 또한 외부환경에 대한 현수막의 오염을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이외에도 고가인 실리카의 사용으로 인한 생산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또한 실사액처리를 위한 원단의 호발, 정련, 표백과 같은 전처리공정을 거쳐야 하는 공정상 번거로운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시정하고자 실사출력용 원단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원단에 출력, 인쇄되는 문양이나 문자의 선명한 색발현과 잉크의 퍼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사액 처리를 하되, 실사액에 실리카의 사용없이도 선명한 발색과 잉크의 퍼짐을 방지토록 할 뿐 아니라, 출력 및 인쇄된 문양이나 문자의 견뢰도가 우수하고, 또한 원단의 오염방지 및 실리카 탈락으로 인한 2차적인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사출력용 원단을 실리카를 함유하지 않은 실사액으로 전처리하고, 건조한 다음 필요한 규격으로 절단사용케 한 것이다.
상기의 실사출력용 원단으로는 원사로 제직한 호발, 정련, 표백 및 염색처리와 같은 전처리를 하지 않은 생지나 상기 전처리를 한 가공지를 모두 포함한다. 즉, 생지의 경우는 원사의 제직 시 얼룩이 많이 발생하여 표백이나 염색처리와 같은 전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생지를 그대로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의 얼룩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표면에 실리카를 사용한 실사액을 처리하여 코팅두께를 두껍게 하여 얼룩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실사액으로 처리한 원단에 인쇄할 경우 실리카에 의해 인쇄가 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원단에 인쇄하는 디지털인쇄기로서 열승화형 프린터를 채택하여 인쇄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딥코팅에 의해 생지에 염색과 동시에 프라이머 코 팅을 실시하여 생지를 처리하고, 이러한 생지에 직접적으로 인쇄잉크에 딥핑하여 잉크를 딥코팅 함으로써 현수막을 제작하도록 하고 있다. 열승화형 프린터로서는 태일시스템의 디젠디지털 프린터 등을 예로 들수 있는데, 원단에 인쇄를 한 후 150~200℃의 열드럼을 통과시켜 용제를 승화시키거나 또는 용제의 승화와 동시에 반응성 잉크의 반응에 의해 단단히 고착하여 인쇄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열승화형 프린터를 사용하는 경우 기지의 실리카를 함유한 실사액을 나이프코팅 방법 등으로 두껍게 처리한 경우 인쇄잉크가 잘 침투하지 못하여 내부까지 잉크가 인쇄되지 않고 표면에만 인쇄층이 형성되므로, 실사액층의 실리카가 현수막의 바람에 의한 구김이나 힘을 받을 경우 탈리하여 쉽게 인쇄층이 상실되어 인쇄층이 헤어지게 되어 반영구적으로 현수막을 사용할 수 없고 또한 실리카의 분말에 의한 환경오염이 야기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자는 상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한 결과, 생지에 실리카를 사용하지 않은 실사액인 프라이머층을 코팅하는 동시에 프라이머코팅과 동시에 염색을 실시함으로서, 생지에 직접 인쇄층을 코팅할 수 있는 있도록 하여, 기존의 원단이 갖는 실리카를 포함하는 실사액에 의해 두꺼운 두께의 코팅층을 형성시키지 않고도 우수한 인쇄특성을 갖는 생지원단을 제공하였다.
상기의 생지에 코팅하는 프라이머층은 통상 프라이머층이라고 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실사액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사용되는 실사액으로서는 수용성 실사액과 용제형 실사액, 용제형 실사액에 적량의 수용성 접착제를 혼합한 복합형 실사액이 사용되어질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실사액의 조성은 수용성 점·접착제나 수용성 우레탄에 염·안료용 고착제, 물, 발수제, 염료나 안료 또는 형광염료를 적량의 비율로 사용하게 되며, 필요에 의해 강압제, 유화제등이 사용되어질 수 있다. 각 조제의 혼합비율은 중량비로 수용성 점·접착제 혹은 수용성 우레탄이 0.1~98%, 고착제 0.005~30%, 물 1~95%, 발수제 0.01~20% 및 염료나 안료 또는 형광염료 0.01~20%의 비율로 투입하게 되며, 사용목적 또는 원단이나 생지의 가공상태에 따라서 상기 투입범위 내에서 혼합비율을 조정 또는 가감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사용되는 수용성 접착제는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PVAc(폴리비닐아세테이트), PVA(폴리비닐알콜), 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 계열등 모든 수용성 점접착제를 단독 또는 2가지 이상 혼합사용이 가능하다.
수용성 우레탄은 열경화성 수용성 우레탄으로 용제가 함유되지 않은 수분산 폴리우레탄 계열로 일반적으로 천연섬유와 합성섬유에 반발탄성 및 방추성을 부여할 수 있는 모든 수용성 우레탄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식회사 헴스켐의 HFT-250M등이 있다.
고착제는 폴리아민계 및 폴리아미드계, 폴리암모늄계 등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로는 풍림유화의 HETA Fix-400 concR이 있다.
발수제는 불소계열과 실리콘계열 모두 사용가능하며, 상기의 발수제에 관하여는 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인 이상 모두 사용가능하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하고 다만 하나의 예로서 동남합섬 공업주식회사의 DN GUARD 824가 있다. 형광염료의 예로는 주식회사 삼원화학의 SFN 2000을 사용하고 있다.
용제형 실사액은 일정양의 수용성 성분들이 용제에 희석 사용할 수 있다는 발견에서 시작되었다. 즉, 용제형 실사액으로서는 메탄올, 톨루엔, IPA, MEK, 초산에칠알콜과 같은 용제 1종류 이상과 수용성 점접착제 혹은 수용성 우레탄 0.1~90%, 고착제 0.005~20%, 용제 1~99%, 발수제 0.01~20%, 염료 또는 안료 또는 형광염료 0.01~20%의 비율로 투입하게 되며, 사용목적 또는 생지나 가공지의 원단의 상태에 따라 상기 투입범위 내에서 혼합비율을 조정 또는 제외시킬 수 있다. 상기 원료는 수용성 실사액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복합형 실사액으로서는 상기 용제형 실사액에 적량의 수용성 접착제, 즉 EVA, PVAc, PVA, 아크릴바인더계열등과 같은 수용성 계열의 접착제가 사용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각종 실사액의 처리방법으로서는 롤상태로 권취된 원단을 인출하면서 실사액이 충진된 침지조에 완전히 침지, 흡착되게 하거나 일측면에 코팅, 혹은 침지후 일측면에 코팅하는 방법등 여러수단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에서 침지나 코팅의 횟수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성은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는 실사액의 처리방법으로 롤 상태로 권취된 원단을 인출하면서 실사액이 충진된 침지조에 완전히 침지하여 딥핑한 후 딥핑된 원단을 롤러사이에 압착하여 과량의 실사액을 짜주어 얇게 코팅한 후, 건조단계로 이송한다. 상기 코팅과정에서 실사액은 원단의 내부로 깊숙이 침투하여 코팅이 되고 또한 잉크로 인쇄시 원단의 두께가 얇아 원단의 내부로 깊숙이 침투하여 인쇄되므로 선명하고 내구성이 있는 인쇄층이 형성되지만, 기존의 나이프코팅의 경우는 코팅층이 두꺼워 실리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인쇄층이 코팅되기 어렵고 또한 색이 선명하지 못하며, 더구나 코팅층의 두께가 두꺼워 내부깊숙이 인쇄가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실사액이 처리된 원단의 건조는 통상의 건조방법과 다를 바 없으나 대략 100~190℃에서 1~20분 건조하되 1회 이상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원단은 면, T/C, T/P, 나일론, 폴리에스텔등 다양한 종류의 원단을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방염기능을 포함하는 원단을 제공하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방염제 7~50중량%와 실사액 50~93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생지 또는 가공지로 된 실사출력용 원단(10)의 표면에 필요한 광고문자나 문양을 프린팅 기계로 출력, 인쇄하고자 할 때 선명한 색발현과 잉크의 퍼짐방지를 위한 실사액(20)을 침지, 혹은 코팅 처리한다.
상기에서 원단(10)의 표면에 침지 혹은 코팅되는 실사액(20)은 수용성 실사액, 용제형 실사액 및 복합형 실사액이 사용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실사액에는 실리카의 사용이 배제된다.
상기에서 극히 필요한 경우 미량의 실리카(약2%미만) 사용은 가능하나 2%이 상이 되면 실사액(20)이 처리된 원단(10)의 표면에 얼룩이 발생하게 되므로 사용에 신중을 기할 필요성이 있다.
각 실사액(20)의 조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수용성 실사액의 조성은 다음과 같으며, 조성은 별도의 한정이 없는 한 중량비이다.
즉, 수용성 실사액의 조성은 수용성 점·접착제나 수용성 우레탄에 염·안료용 고착제, 물, 발수제, 염료나 안료 또는 형광염료를 적량의 비율로 사용하게 되며, 필요에 의해 강압제, 유화제등이 사용되어질 수 있다.
상기 각 조제의 혼합비율은 중량비로 수용성 점·접착제 혹은 수용성 우레탄이 0.1~98%, 고착제 0.005~30%, 물 1~95%, 발수제 0.01~20% 및 염료나 안료 또는 형광염료 0.01~20%의 비율로 투입하게 되며, 사용목적 또는 원단이나 생지의 가공상태에 따라서 상기 투입범위 내에서 혼합비율을 조정 또는 가감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사용되는 수용성 접착제는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PVAc(폴리비닐아세테이트), PVA(폴리비닐알콜), 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 계열등 모든 수용성 점접착제를 단독 또는 2가지 이상 혼합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조제로서는, 수용성 접착제 혹은 수용성 우레탄 0.1~50%에 고착제 0.005~10%, 강압제 0.01~10%, 물 1~90%, 유화제 0.1~20%, 발수제 0.01~10% 및 염료 또는 안료 0.01~20wt%의 비율로 투입하게 되며 사용목적에 따라 상기 투입범위 내에서 혼합비율은 조정될 수 있다.
수용성 우레탄은 열경화성 수용성 우레탄으로 용제가 함유되지 않은 수분산 폴리우레탄 계열로 일반적으로 천연섬유와 합성섬유에 반발탄성 및 방추성을 부여할 수 있는 모든 수용성 우레탄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식회사 헴스켐의 HFT-250M등이 있다.
고착제는 폴리아민계 및 폴리아미드계, 폴리암모늄계 등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로는 풍림유화의 HETA Fix-400 concR이 있다.
발수제는 불소계열과 실리콘계열 모두 사용가능하며, 상기의 발수제에 관하여는 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인 이상 모두 사용가능하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하고 다만 하나의 예로서 동남합섬 공업주식회사의 DN GUARD 824가 있다. 형광염료의 예로는 주식회사 삼원화학의 SFN 2000을 사용하고 있다.
용제형 실사액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즉, 용제형 실사액으로서는 메탄올, 톨루엔, IPA, MEK, 초산에칠알콜과 같은 용제 1종류 이상과 수용성 점접착제 혹은 수용성 우레탄 0.1~90%, 고착제 0.005~20%, 용제 1~99%, 발수제 0.01~20%, 염료 또는 안료 또는 형광염료 0.01~20%의 비율로 투입하게 되며, 사용목적 또는 생지나 가공지의 원단의 상태에 따라 상기 투입범위 내에서 혼합비율을 조정 또는 제회시킬 수 있다. 상기 원료는 수용성 실사액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또한 필요에 의해 수용성점접착제 대신에 용제형 점접착제를 사용할 수 도 있으며, 오일, 계면활성제등을 필요에 의해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유성접착제는 아크릴계열이나 아세트산 모노머계열등 모든 계열의 유성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복합형 실사액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에서 설명한 용제형 실사액에 메인 접착제에 대하여 반대성능을 가지는 유용성 또는 수용성 접착제를 중량비로 1~15%정도 투입, 혼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상기에서 실사액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고, 물성의 안정을 위하여 비이온 계면활성제나, 음이온 및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추가할 수도 있으며, 황변현상을 막기 위하여 수용성 우레탄을 삭제하거나 수용성 우레탄과 수용성 접착제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의 조성성분 및 조성비를 벗어날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원하는 정도의 선명한 인쇄나 장기 안정성 등이 열세로 나타나 좋지 않다.
상기한 조성의 실사액(20)을 실사출력용 원단(10)에 처리하기 위한 수단은 아래와 같다.
실사출력용 원단(10)에 실사액(20) 처리를 위한 수단은 침지방식 혹은 코팅방식, 침지후 일측면에 재차 코팅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처리수단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효율적인 처리를 위하여 원단(10)을 롤상태로 권취되게 한 다음 순차적으로 인출하면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실사액(20)을 실사출력용 원단(10)에 침지방식으로 처리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서와 같이 롤상태로 권취된 원단(10)을 가이드롤러(31)를 통하여 실사액(20)이 충진된 침지조(32) 내의 침지롤러(33)로 안내되게 하므로서 원단(10)의 양면에 실사액(20)이 흡착되게 하고, 실사액(20)이 흡착된 원단(10)은 다시 침지조(32) 상부에 위치한 한쌍의 압착롤러(34)를 경유하면서 압착되게 하여 적량의 실사액(20)만 원단(10) 양면에 코팅되게 한다.
상기 원단(10)은 침지조(32) 일측에 구성된 건조실(35)을 경유하면서 충분히 건조되게 하고, 건조완료된 원단은 다시 롤상태로 권취된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원단(10) 일측에만 실사액(20)이 코팅되게 할 수도 있다.
즉 롤상태로 권취된 원단(10)을 가이드롤러(31)를 통하여 전방으로 인출되게 하되, 전면에 구성된 인날박스(36)에서 원단(10) 표면 일측에 실사액(20)이 도포되게 한다.
상기 인날박스(36)는 내면에 실사액(20)이 지속적으로 공급충진되면서 원단(10) 표면에 도포되고, 상기 원단(10)이 인날박스(36)를 지나면서 나이프(37)에 의해 실사액(20)이 원단(10) 표면에 골고루 도포되고, 상기 원단(10)은 건조실(35)를 통과하면서 충분히 건조된 다음 다시 롤상태로 권취된다.
실사액(20)의 또다른 처리방법으로서는 도 1에서와 같이 원단(10)을 침지조 (32)에 완전히 침지시킨다음 건조하고, 상기 원단(10)을 다시 도 3에서와 같이 구성된 장치를 이용하여 일측면에 실사액(20)이 2차로 코팅되게 한 다음 건조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원단이 실사액이 충진된 침지조나 인날박스에서 처리되게 하는 횟수는 1회 혹은 그 이상 처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건조실(35)의 조건은 100~190℃에서 1~20분이하의 시간으로 건조처리하게 되며, 온도 및 시간의 조정은 원단의 두께 및 실사액의 처리상태에 따라 조정하여 사용하면 된다.
상기 본 발명에서 실사액처리를 위한 원단은 호발, 정련, 표백과 같은 전처리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전처리 공정을 생략한 생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실사출력용 원단에 방염기능을 부가하고자 할 경우에는 실사액에 대하여 방염제 7~50중량%와 실사액 50~93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면 방염의 기능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사용되는 방염제로서는 제2인산암모늄, 주석산 나트륨, 텅스텐산 나트륨, 산화 제이철, 산화 제2주석1산화납, 이산화망간, 삼산화 안티몬등 모든 방염제를 적용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실사출력용 원단의 표면에 실사액의 처리 및 건조완료된 원단을 필요한 길이와 폭으로 절단하여 실사출력용 원단으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실사출력용 원단의 표면에 수용성 실사액이나 용제형 실사액, 혹은 복합형 실사액의 처리가 완료되게 한 다음 건조하고, 상기 건조된 원단을 이용하여 실사출력용 원단으로 사용케 하므로서 종래와 같이 실리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잉크의 번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선명한 발색을 기대할 수가 있고, 또한 실리카 탈락으로 인한 환경오염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사출력용 원단을 제조함에 있어서, 원단에 프린팅되는 광고용 문자나 문양의 색발현도를 향상시키고, 잉크의 퍼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사액을 처리하되, 실사액에 실리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 실사액에 함유된 수용성 접착제나 수용성 우레탄이 원단조직간에 결합력을 높혀 문양의 색도를 탁월하게 유지시켜 주게 되므로 내마모성이나 내마찰성과 같은 견뢰도가 우수하고, 실리카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른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실사출력용 원단을 롤로부터 인취하는 단계;
    중량비로 수용성 접착제 혹은 수용성 우레탄 0.1~50중량%, 염료안료의 고착제 0.005~10중량%, 염료안료 강압제 0.01~10중량%, 물1~90중량%, 유화제 0.1~20중량%, 염료 또는 안료 0.01~20중량% 및 발수제 0.01~10중량%로 이루어진 수용성 실사액을 인취된 원단에 침지방식으로 코팅처리 하는 단계;
    코팅한 실사원단을 인출하여 압착롤러를 경유하여 적량의 상기 수용성 실사액을 원단에 코팅하게 하는 단계;
    상기 원단을 건조실에서 100~190℃에서 충분히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원단을 일정한 폭과 길이로 절단하거나 롤에 의해 권취하는 단계;
    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발현 및 잉크퍼짐방지 실사액이 처리된 실사출력용 원단.
  4. 실사출력용 원단을 롤로부터 인취하는 단계;
    중량비로 수용성 점·접착제 혹은 수용성 우레탄 0.1~98중량%, 고착제 0.005~30중량%, 물 1~95중량%, 발수제 0.01~20중량% 및 염료 또는 안료 0.01~20중량%로 이루어진 수용성 실사액을 인취된 원단에 침지방식으로 코팅처리 하는 단계;
    코팅한 실사원단을 인출하여 압착롤러를 경유하여 적량의 상기 수용성 실사액을 원단에 코팅하게 하는 단계;
    상기 원단을 건조실에서 100~190℃에서 충분히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원단을 일정한 폭과 길이로 절단하거나 롤에 의해 권취하는 단계;
    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발현 및 잉크퍼짐방지 실사액이 처리된 실사출력용 원단.
  5. 삭제
  6. 실사출력용 원단을 롤로부터 인취하는 단계;
    중량비로 수용성 점접착제 혹은 수용성 우레탄 0.1~90중량%, 고착제 0.005~20중량%, 메탄올, 톨루엔, IPA, MEK, 초산에칠알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용제 1~99중량%, 발수제 0.01~20중량% 및 염료 또는 안료 0.01~20중량%로 이루어진 용제형 실사액을 인취된 원단에 침지방식으로 코팅처리 하는 단계;
    코팅한 실사원단을 인출하여 압착롤러를 경유하여 적량의 상기 용제형 실사액을 원단에 코팅하게 하는 단계;
    상기 원단을 건조실에서 100~190℃에서 충분히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원단을 일정한 폭과 길이로 절단하거나 롤에 의해 권취하는 단계;
    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발현 및 잉크퍼짐방지 실사액이 처리된 실사출력용 원단.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형 실사액 85~99%에 유용성 접착제를 1~15% 중량비로 혼합한 복합형 실사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발현 및 잉크퍼짐방지 실사액이 처리된 실사출력용 원단.
  9. 삭제
KR1020040104502A 2003-12-23 2004-12-10 색발현 및 잉크퍼짐방지 실사액이 처리된 실사출력용 원단 KR100764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5808 2003-12-23
KR1020030095808 2003-12-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275A Division KR100801169B1 (ko) 2003-12-23 2007-04-19 색발현 및 잉크퍼짐방지 실사액이 처리된 실사출력용 원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311A KR20050065311A (ko) 2005-06-29
KR100764934B1 true KR100764934B1 (ko) 2007-10-09

Family

ID=372567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4502A KR100764934B1 (ko) 2003-12-23 2004-12-10 색발현 및 잉크퍼짐방지 실사액이 처리된 실사출력용 원단
KR1020070038275A KR100801169B1 (ko) 2003-12-23 2007-04-19 색발현 및 잉크퍼짐방지 실사액이 처리된 실사출력용 원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275A KR100801169B1 (ko) 2003-12-23 2007-04-19 색발현 및 잉크퍼짐방지 실사액이 처리된 실사출력용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7649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498B1 (ko) 2008-11-17 2012-09-06 권영수 환경 친화성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의 제조방법과 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환경 친화성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107B1 (ko) * 2005-09-16 2007-08-01 (주)티피엠켐 잉크젯 실사용 방염원단
KR100678432B1 (ko) * 2005-12-12 2007-02-02 김광일 디지털 날염기 출력용 원단 및 침지 약제
KR100743156B1 (ko) * 2006-03-23 2007-07-30 (주)티피엠켐 대형플로터 출력용 실사전사원단 및 그 사용방법
KR101056298B1 (ko) * 2009-01-19 2011-08-11 이동칠 재도장이 가능한 함침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2353718B1 (ko) * 2020-02-17 2022-01-19 이성준 실사출력물의 방염층 후코팅 방법 및 그 장치
KR102549830B1 (ko) * 2023-03-16 2023-06-30 (주)태기산자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로 제직되는 스크린사를 이용한 디지털 프린팅용 인쇄시트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용 인쇄시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423A (ko) * 2000-12-14 2002-06-21 주식회사 티엔지코리아 실사출력용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직물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423A (ko) * 2000-12-14 2002-06-21 주식회사 티엔지코리아 실사출력용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직물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498B1 (ko) 2008-11-17 2012-09-06 권영수 환경 친화성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의 제조방법과 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환경 친화성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1169B1 (ko) 2008-02-05
KR20070065269A (ko) 2007-06-22
KR20050065311A (ko) 200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1169B1 (ko) 색발현 및 잉크퍼짐방지 실사액이 처리된 실사출력용 원단
CN109627848B (zh) 一种功能性墨水及其打印方法
US20100043152A1 (en) Method of dry transfer printing of synthetic fibrous material with disperse dye and transfer paper
JP2004528195A (ja) 画像の視覚化及び保持性を向上させるための浸染溶液を含むインクジェット印刷用の基材を処理するコーティング、該基材を処理する方法、及びそれで生成された物品
CN102341543A (zh) 喷墨印染记录方法
US20190300704A1 (en) Binder Composition for Sublimation Printing Natural Fibers
KR20150017175A (ko) 합성 원사의 승화분산 염료 전사 인쇄용 표면처리제, 및 승화 전사방법으로 인쇄된 합성 원사 인쇄물
JP2018538387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用の繊維専用水性転写インク及びそれを適用するための繊維転写紙
KR101739352B1 (ko) 천연섬유원사의 본염 및 DTP(digital textile printing)용 표면처리제, 이 표면처리제 제조방법 및 이 표면처리제를 이용하여 인쇄된 천연섬유원사 인쇄물
KR100597046B1 (ko) 디지털 프린팅용 실사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8020519A (ja) 印刷済媒体製造方法、印刷済媒体製造装置およびインク
KR20020012577A (ko) 잉크-제트 인쇄가능한 마크로다공성 물질
KR100678432B1 (ko) 디지털 날염기 출력용 원단 및 침지 약제
KR200349822Y1 (ko) 염색된 디지털 프린팅용 실사원단 제조장치
JP5841635B2 (ja) 繊維製品の製造方法
KR200345541Y1 (ko) 색발현 및 잉크퍼짐방지 실사액이 처리된 실사출력용 원단
KR101622902B1 (ko) 날염하는 인디고 페이스트 및 인디고 페이스트로 날염하는 염색방법
KR100451470B1 (ko) 염색된 디지털 프린팅용 실사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의제조장치
JPH02112489A (ja) インクジェット用布帛の製造法
CN114945721A (zh) 在彩色合成织物上印刷的方法
JP2009215686A (ja) インクジェット捺染用の後処理液および布帛のインクジェット捺染方法
JP2021042514A (ja) 植物性繊維を含む繊維製品の転写捺染方法
EP0522898A1 (fr) Procédé perfectionné d&#39;impression transfert
KR200417473Y1 (ko) 디지털 날염기 출력용 원단 및 침지 약제
RU2586463C2 (ru) Способ вытравной печати по гладкокрашеным тканям с применением интерференционных пигмен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