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4884B1 -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 필터 - Google Patents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4884B1
KR100764884B1 KR1020070028151A KR20070028151A KR100764884B1 KR 100764884 B1 KR100764884 B1 KR 100764884B1 KR 1020070028151 A KR1020070028151 A KR 1020070028151A KR 20070028151 A KR20070028151 A KR 20070028151A KR 100764884 B1 KR100764884 B1 KR 100764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iber member
kapok fiber
oil filter
kap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엽
김재성
김진홍
안병철
이승식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28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48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15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natural orig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유 및 비극성 유기용매 등을 함유한 폐수가 상측에서 유입가능하도록 상단은 개구되고, 하측 내부에 소정 높이를 가지며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배수부를 포함하는 원통 형상의 중공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내주면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스틸(steel) 재질의 탄성 스프링(elastic spring)과, 상기 탄성 스프링의 내주면에 결합 및 고정되며 상기 폐수로부터 폐유 및 비극성 유기용매 등을 흡수하도록 카폭(kapok) 섬유를 포함하는 원형의 카폭 섬유 부재(kapok fiber member)와, 하측에 필터링(filtering)된 액체가 상기 배수부를 통과하여 배출하도록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대략 깔때기 형상의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된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부(receiv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오일이 섞인 액체로부터 매우 효과적으로 오일을 분리 및 필터링(filtering)할 수 있으며, 특히 전기도금과 금속표면 처리공업, 야금공업, 피혁 제조, 화학 제조 공장, 광산 배수, 축전지 제조 공장, 쓰레기 매립지의 침출수 및 유해 폐기물 처리장 등에서 발생하는 폐유 또는 폐수 등에서 매우 용이하고 효율적인 유수분리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도 대폭 단순해져 제작도 용이하고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널리 보급할 수 있는 실익을 제공한다.
폐유, 카폭 섬유(kapok fiber), 가압부, 탄성 스프링, 배수부, 필터링(filtering)

Description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 필터{Oil filter using kapok fiber memb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 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요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폭 섬유 부재 및 탄성 스프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 및 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요부 절개 사시도,
도 6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요부 절개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필터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필터에 함유폐수를 통과시키는 상 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필터에서 흡유 및 배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필터에서 가압부에 의한 흡유 분리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필터의 2중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필터에 함유 폐수를 통과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필터에서 흡유 및 배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필터에서 가압부에 의한 흡유 분리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필터의 분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진,
도 16은 도 6a를 나타내는 사진,
도 17은 도 7을 나타내는 사진,
도 18은 도 8을 나타내는 사진,
도 19는 도 9를 나타내는 사진,
도 20은 도 10을 나타내는 사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 필터 10: 바디부
13: 배출부 15: 배수부
15a: 배수공 20: 카폭 섬유 부재
30: 탄성 스프링 40: 가압부
50: 저장부
본 발명은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오일에 대한 뛰어난 흡유 성능을 가진 카폭 섬유(kapok fiber)을 이용하여 오일로 오염된 액체로부터 효과적으로 오일을 분리 및 배출할 수 있는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 필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회 환경이 다양해지고 자연보호를 고려한 의식주는 시대와 주변 환경에 맞게 여러 종류의 생활용품을 다기능호, 사용편리 및 휴대간편해 지도록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다. 상기 의식주의 생활용품을 개발하여 대량생산할 경우, 생산에 따른 산업폐수가 생겨나고 그 폐소를 여러 방법을 동원하여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자연환경을 보호하게 된다.
또한, 금속부품 등을 세정할 때 사용되는 세척제는 염소계 탄화수소, 석유계 용제등으로서 이들 약품은 오존층을 파괴하고 수질오염 등을 발생시키는 공해물질로 처리상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냉간압연시 고열고압하 상태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각종 롤(백업롤, 중간롤 등)을 지지하는 베어링에는 마찰에 의한 고열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고열에 의해서 베어링이 소손되어 접착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베어링 내에 오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윤활냉각시켜준다.
이에, 상기 베어링을 윤활냉각시키기 위해서 공급된 오일이 누적되면 외부로 배출시켜 재활용할 수 있는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가정이나 공장에서 발생되는 소규모의 폐유나 기계유 등의 누유를 간편하고도 안전하게 처리하는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으로, 현재까지 해상에 유출된 기름이나 폐수 등의 유분 회수 혹은 폐유나 누유의 처리를 위해서는 흡유제로 기름을 흡착한 후, 유수분리를 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자동차정비공장, 선박수리소, 정유공장 등에서 쏟아져 나오는 폐수는 많고 적음을 떠나 에멀젼, 분산오일과 같은 유분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가 흔하다. 이러한 함유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은 약품을 섞어 분해하는 화학적 처리방법, 음극 판과 양극 판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전해방법, 및 폐수의 수면으로 떠오른 기름기를 단순히 흡유하는 물리적 방법이 있는데, 본 발명은 후자의 경우에 속하는 장치이다.
함유폐수에서 물리적으로 기름기를 분리하는 선행기술로서는 실용신안공보 89-4038호가 있다. 이 선행기술의 특징은 분리조의 내부를 격판에 의해서 여러 정화실로 나뉘고 각 정화실의 천정에는 기름흡착포를 댄 여과판을 매달아 각 정화실을 차례로 통과하는 폐수 중에서 기름기만 상기 흡착포에 달라붙게 하여 기름을 분리하는 것으로, 분리조 내에서의 폐수의 움직임이 둔해 기름기가 수면위로 제대로 떠오르지 않는데, 이 경우 흡착포의 기름기 흡착능에 문제가 있기때문에 유수분리효율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고, 흡착유분의 과다흡착을 인해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그때마다 흡착포와 여과판을 청소하든가 새로이 교체해야 하는데 실제로 이같은 수시적 내부청소 또는 교체작업은 매우 번거롭고 많은 비용이 드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그 밖에 일본국 특공소 평2-9875호는, 반응실에 유입된 함유폐수는 반응전극부를 구성하는 반응재 상호간에 형성된 간극을 난류상으로 흐르는 사이에 폐수중의 에멀젼화된 기름성분을 포함한 오탁물질은 전해작용으로 분해됨과 동시에 반응재에 의해서 생긴 활성화된 수산화알루미늄이나 수산화철에 포획응집되어 불활성 플록으로 되고, 이 플록의 일부는 음극측 및 양극측에 발생하는 미세한 흡착가스를 흡착하여 부상분리되며, 반응전극부에 의하여 전해처리된 처리수는 미부상 플록을 포함하여 조내부 아래쪽으로 흐르는 데, 이 사이에 전해전극부에서 생긴 다량의 흡착가스를 흡착한 플록은 부상분리되며, 또한 미분해 오탁물질은 전해전극부의 망상전극을 통과하는 사이에 강력하게 분해됨과 동시에 전해반응으로 발생한 미세가스를 흡착하여 부상분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유수분리장치는 내부구조가 복잡하고 처리시간이 더디며, 고가화 및 유지보수비용의 부담이 큰 점등 여러 방면에서 개선의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폐유 또는 폐수 등에서 폐유 및/또는 폐수 처리 전에 선행되는 유수분리 과정에 카폭 섬유(kapok fiber)를 이용하고자 한다.
최근 카폭 섬유(kapok fiber)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상기 카폭 섬유는 자바, 수마트라, 인도, 태국, 인도네시아 등에서 생산되며, 높이 10 - 15 m에 달하는 교목의 다래에서 채취한 섬유이다.
이 섬유의 길이는 약 10 - 30 mm정도이고 직경은 약 15 - 45 ㎛정도이다. 상기 카폭은 58%의 셀룰로오스, 20%의 리그닌 및 20%의 펜토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대부분이 셀룰로오스를 함유한다.
더욱이, 섬유 각각은 독립적으로 얇은 관을 형성하고 상기 셀은 물분자 크기보다 작고 친유성이기 때문에 기름만 흡수하며, 한번에 많은 기름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물의 침투에 견디는 힘이 강하고 부연성이 풍부하며 자체 중량의 35배 정도를 띄울 수 있다.
또한, 가격이 저렴하므로 경제적인 면에서도 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카폭 섬유는 차세대 흡유제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카폭 섬유를 포함하는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하여 별도의 복잡한 기계설비로 된 유수분리장치를 설비할 필요없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매우 효과적으로 유수분리가 가능한 오일 필터(oil filter)를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폭 섬유를 포함하는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하여 세정폐수를 매우 효과적으로 유수분리하고, 카폭 섬유 부재는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적으로도 대폭 단순해져 제작도 용이하고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널리 보급할 수 있는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 필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폐유 및 비극성 유기용매 등을 함유한 폐수가 상측에서 유입가능하도록 상단은 개구되고, 하측 내부에 소정 높이를 가지며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배수부를 포함하는 원통 형상의 중공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내주면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스틸(steel) 재질의 탄성 스프링(elastic spring)과, 상기 탄성 스프링의 내주면에 결합 및 고정되며 상기 폐수로부터 폐유 및 비극성 유기용매 등을 흡수하도록 카폭 섬유(kapok fiber)를 포함하는 원형의 카폭 섬유 부재(kapok fiber member)와, 하측에 필터링(filtering)된 액체가 상기 배수부를 통과하여 배출하도록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대략 깔때기 형상의 배출부와, 그리고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된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부(receiv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 필터를 제공한다.
더욱이, 상기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필터는 막대 형상의 손잡이와 원반 형상의 접촉부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부의 상측으로부터 내주면을 따라 폐유를 흡수한 상기 카폭 섬유 부재에 상기 접촉부가 접촉하여,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시켜 상기 카폭 섬유 부재로부터 상기 폐유를 이탈시키도록 하는 가압부(pressurer)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 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요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폭 섬유 부재 및 탄성 스프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 및 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요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6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요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필터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필터에 함유폐수를 통과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필터에서 흡유 및 배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필터에서 가압부에 의한 흡유 분리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필터의 분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16은 도 6a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17은 도 7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18은 도 8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19는 도 9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20은 도 10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먼저, 도 1, 도 2,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폭 섬유 부재(kapok fiber member)를 이용한 오일 필터(oil filter, 1)는, 폐유 및 비극성 유기용매 등을 함유한 폐수가 상측에서 유입가능하도록 상단은 개구되고, 하측 내부에 소정 높이를 가지며 다수의 배수공(15a)이 형성된 배수부(15)를 포함하는 원통 형상의 중공의 바디부(10)(도 5 참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10)의 내주면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스틸(steel) 재질의 탄성 스프링(elastic spring, 30)을 구비하는데, 상기 탄성 스프링(30)의 내주면에 상기 폐수로부터 폐유를 흡수하도록 카폭(kapok) 섬유를 포함하는 원형의 카폭 섬유 부재(kapok fiber member, 20)를 결합 및 고정시킨다(도 3 참조).
상기 카폭 섬유 부재(20)가 흡유한 후, 하측에서 흡유된, 즉 필터링(filtering)된 후의 액체가 상기 배수부(15)를 통과하여 배출하도록 배출공(13a)이 형성된 대략 깔때기 형상의 배출부(13)를 상기 바디부(10)의 하단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13)로부터 배출된 액체가 효과적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저장부(receiver, 5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카폭 섬유 부재(20)에 흡유된 폐유 및 비극성 유기용매 등을 함 유한 폐수를 사용자가 상기 바디부(10) 내측으로부터 상기 카폭 섬유 부재(20)를 분리한 후, 손이나 기타 도구를 사용하여 가압시켜 상기 카폭 섬유 부재(20)로부터 폐유 및 비극성 유기용매 등을 효과적으로 이탈시켜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막대 형상의 손잡이(41)와 원반 형상의 접촉부(43)로 이루어지는 가압부(pressurer,40)(도 4 참조)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가압부(40)는 상기 바디부(10)의 상측으로부터 내주면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시켜 폐유를 흡수한 상기 카폭 섬유 부재(20)에 상기 접촉부(43)가 접촉됨으로써, 상기 가압부(40)에 의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된 상기 카폭 섬유 부재(20)로부터 상기 폐유 및 비극성 유기용매 등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탈시켜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폐수는 폐유 및 비극성 유기용매 등을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바디부(10)를 통과할 때, 상기 폐수와 접촉되는 상기 바디부(10)의 내측면이 부식되거나 녹아내릴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바디부(10)의 재질은 폐유 및 비극성 유기용매 등을 포함하는 폐수에 대해 부식되거나 녹아내리지 않도록 PVC 재질 또는 스틸(steel)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디부(10) 내에서 상기 카폭 섬유 부재(20)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상기 탄성 스프링(30) 또한 상기 폐수와 접촉하게 되므로, 폐유 및 비극성 유기용매 등에 녹아내리지 않는 스틸(steel)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틸 외에 상기 폐유 및 유기용매 등에 녹아내리지 않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10)를 함유폐수 즉, 폐유 및 비극성 유기용매 등을 포함한 폐수가 통과할 때, 실질적으로 상기 바디부(10)의 내주 면과 상기 카폭 섬유 부재(20) 사이에는 유격이 생길 수 있어, 통과된 폐수로부터 폐유 및 비극성 유기용매 등에 대한 흡유율이 다소 떨어질 수도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바디부(10)의 내주면에 카폭 섬유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천을 더 부착시킴으로써, 상기 바디부(10)의 내주면과 상기 카폭 섬유 부재(20) 사이의 유격을 상기 카폭 섬유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천이 보상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디부(10)를 통해 폐유 통과시, 실질적으로 상기 카폭 섬유 부재(20)와 원통 형상의 천에서 흡유함으로써, 흡유율이 거의 100%에 이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10)의 단면 형상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형으로 나타내었지만, 원형 외에 삼각 또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가능하며, 사각 이상의 형상으로도 형성가능하다. 또한, 그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가능하여 더욱 다양한 시설이나 지역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오일 필터(1)를 확대하여 실용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폭 섬유로 이루어지는 천은 원통 형상 외에 상기 바디부(10)의 변화된 단면 형상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43)의 외경은 상기 바디부(10)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하여야 한다. 이는 상기 가압부(40)에 의해 상기 카폭 섬유 부재(20)에 가압을 할 경우, 상기 카폭 섬유 부재(20)에 흡수되었던 오일이 하측 방향으로 분리되어 상기 배수부(15)를 통해 배수가 이루져야 하는데, 만일 상기 바디부(10)의 내경보다 상기 접촉부(43)의 외경이 작을 경우, 상기 카폭 섬유 부재(20)로부터 흡유가 상기 바디부(10)와 접촉부(43) 사이의 유격을 통해 하측 방향이 아닌 상측 방향으로 역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접촉부(43)의 외경은 상기 바디부(10)의 내경과 동일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필터(1)는 설비 시설이나 지역에 따라 상기 바디부(10)의 형상을 더욱 크거나 길게 형성해야 할 경우, 그에 맞게 상기 탄성 스프링(30)의 길이 및 폭을 변경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탄성 스프링(30)의 변경된 길이 및 폭에 따라 상기 카폭 섬유 부재(20)는 하나 이상 다수개 더 구비할 수 있으며, 그 형상의 크기를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 필터의 작동 과정을 도면(도 7 내지 도 10) 및 사진(도 19 내지 도 22)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기에 물과 같은 액체(60)와 오일(70)을 함께 담는다. 상기 오일(70)은 폐유 및 비극성 유기 용매 등을 나타낸다.
따라서, 액체(60)와 오일(70)의 밀도차에 의해 상기 오일(70)이 상기 액체(60) 위에 부유상태가 된다(도 7 및 도 19 참조).
상기와 같이 오일(70)과 액체(60)가 혼합된 상태를 함유폐수 즉, 폐유 및 비극성 유기용매 등을 포함하는 폐수로 확대하여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일(70) 및 액체(60)의 혼합수를 상기 오일 필터(1)의 바디부(10) 상단의 개구에 붓는다(도 8 및 도 20 참조).
이어서, 상기 액체(60)는 상기 바디부(10)의 배수부(15)의 배수공(15a)을 통해 배수되어 상기 배출부(13)의 배출공(13a)을 통해 상기 저장부(50)에 저장된다(도 9 및 도 21 참조).
이는 상기 오일(70)은 이미 상기 바디부(10) 내에서 상기 카폭 섬유 부재(20)에 효과적으로 흡수되었고, 상기 액체(60)는 흡수되지 않고 배출된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카폭 섬유 부재(20)의 매우 큰 흡유 성능을 극명히 나타내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저장부(50)의 액체(60)는 제거시킨 후, 상기 가압부(40)를 사용자(70)가 손잡이(41)를 사용하여 하측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저장부(50) 내에는 상기 오일(70)이 효과적으로 분리되어 저장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상기 카폭 섬유 부재(20) 내에 흡수되었던 오일(70)이 상기 가압부(40)의 가압에 의해 상기 오일(70)가 분리된 것으로, 이때, 가압 해제시 상기 카폭 섬유 부재(20)는 원상태의 모양으로 복원되며, 상기 탄성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제 위치로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바디부(10)를 통해 도 8 및 도 20에서와 같은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카폭 섬유 부재(20)는 포함하고 있는 카폭 섬유의 성질로 인해 반복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대량의 함유폐수에서 유수분리가 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카폭 섬유 부재(20)는 여러번 반복적인 재사용 후에 카폭 섬유의 수명이 다할 경우, 상기 오일 필터(1)의 비교적 간단한 구조상, 상기 카폭 섬유 부재(20)의 교체가 매우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카폭 섬유 부재(20)에 의해 흡수 및 배출된 상기 오일(70)은 상태에 따라 폐유 및/또는 폐수 처리 장치에서 재처리되거나 상태에 따라 충분히 재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필터의 2중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폭 섬유 부재(20)를 이용한 오일 필터(1)를 상측 및/또는 하측에 다른 하나의 오일 필터(1)를 연결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이는 함유 폐수의 함유율이 높을 경우, 상기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 필터(1)를 한 개만을 사용하면 상기 카폭 섬유 부재(20)의 최대 흡유량을 초과하게 되어 초과한 함유량은 그대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함유 폐수의 함유율 정도에 따라, 상기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 필터(1)를 상측 및/또는 하측에 하나 이상 다수개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오일 필터(1)를 통한 유수분리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필터에 함유 폐수를 통과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필터에서 흡유 및 배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필터에서 가압부에 의한 흡유 분리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로 서,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 등과 같은 소규모의 공간이 아닌, 정비공장, 각종 세차장, 주유소, 온천장, 사우나, 호텔, 수영장, 섬유, 유압, 병원 석재 공장 및 식품 가공 공장과 같은 장소에서 배출되는 폐수 및 폐유의 규모는 매우 크기 때문에, 폐유 및/또는 폐수 처리 장치로 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오일 필터(1)들의 크기 및 개수를 폐유 및/또는 폐수의 규모에 맞게 변경시켜 설비할 수 있다.
이에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면이 큰 상기 다수의 오일 필터(1)들을 함께 연결하여 구비한 후, 대규모의 함유폐수를 통과시킨다.
그 다음, 상기 오일 필터(1) 내에서 흡유가 이루어지고, 나머지 액체(A)는 상기 저장부(50) 내에 분리 및 배출되어 저장된다.
그리고나서, 상기 대규모의 가압부(40)에 의해 상기 오일 필터(1)들이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저장부(50) 내에는 흡수되었던 오일(B)이 배출된다.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 등을 적용하여 폐수의 유입 및 통과 작동과, 가압부의 가압 작동을 가능하게 할 경우, 함유폐수의 유수분리작업의 자동화를 이룰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 필터는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설비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카폭 섬유 부재의 카폭 섬유의 뛰어난 흡유 성능을 통해 가정과 같은 소규모의 장소에서 뿐만 아니라 공장 등과 같은 대규모의 장소에서 폐유 및/또는 폐수 처리에 앞서 유 수 분리 과정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폐유를 분리해냄으로써, 분리된 폐유의 상태에 따라 재처리 및 재사용이 가능하게 해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 필터는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가정이나 소규모 식당 등에서 폐유 및 비극성 유기용매 등이 포함된 폐수로부터 매우 용이하게 유수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지며, 대규모의 장소에서 적용 가능하여 효율적으로 흡유 회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재사용이 가능한 카폭 섬유 부재는 그 수명이 다하게 되면 교체가 용이하며, 정비공장, 각종 세차장, 주유소, 온천장, 사우나, 호텔, 수영장, 섬유, 유압, 병원 석재 공장 및 식품가공공장과 같은 폐유 및 폐수가 나오는 장소에서 쉽게 단독 또는 기존의 유수분리 장치 등과 같은 처리장치와의 병합을 통해 폐수로부터 폐유 및 비극성 유기 용매 등을 매우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폐유 및 비극성 유기용매 등을 함유한 폐수가 상측에서 유입가능 하도록 상단은 개구되고, 하측 내부에 소정 높이를 가지며 다수의 배수공(15a)이 형성된 배수부(15)를 포함하는 원통 형상의 중공의 바디부(10);
    상기 바디부(10)의 내주면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스틸(steel) 재질의 탄성 스프링(elastic spring, 30);
    상기 탄성 스프링(30)의 내주 면에 결합 및 고정되며 상기 폐수로부터 폐유 및 비극성 유기용매 등을 흡수하도록 카폭(kapok) 섬유를 포함하는 원형의 카폭 섬유 부재(kapok fiber member, 20); 및
    하측에 필터링(filtering)된 액체가 상기 배수부(15)를 통과하여 배출하도록 배출공(13a)이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10)의 하단에 결합되는 깔때기 형상의 배출부(13); 및
    상기 배출부(13)로부터 배출된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부(receiver, 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막대 형상의 손잡이(41)와 원반 형상의 접촉부(43)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부(10)의 상측으로부터 내주면을 따라 폐유 및 비극성 유기용매 등을 흡수한 상기 카폭 섬유 부재(20)에 상기 접촉부(43)가 접촉하여, 상측에서 하측 으로 가압시켜 상기 카폭 섬유 부재(20)로부터 상기 폐유 및 비극성 유기용매 등을 이탈시키도록 하는 가압부(pressurer, 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 필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0)의 재질은 PVC 또는 스틸(steel) 등과 같이 기름 및 유기용매에 녹지 않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 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프링(30)의 재질은 스틸 외에 기름 및 유기 용매에 녹지 않는 재질로 형성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 필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폭 섬유 부재(20)는 반복적인 폐유 및 비극성 유기 용매의 흡수 및 분리 과정에서 재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 필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0)의 내주면에 카폭 섬유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천을 더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 필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43)의 외경은 상기 바디부(10)의 내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 필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0)의 단면 형상은 원형 외에 삼각 또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 필터.
  11. 삭제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폭 섬유 부재(20)는 하나 이상 다수개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 필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 필터의 상측 또는 하측에 하나 이상 다수개의 오일 필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 필터.
KR1020070028151A 2007-03-22 2007-03-22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 필터 KR100764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151A KR100764884B1 (ko) 2007-03-22 2007-03-22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151A KR100764884B1 (ko) 2007-03-22 2007-03-22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4884B1 true KR100764884B1 (ko) 2007-10-09

Family

ID=39419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151A KR100764884B1 (ko) 2007-03-22 2007-03-22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48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8184A2 (ko) * 2010-08-03 2012-02-09 (주)유압코리아 음식 기름 부유물 제거용 카폭 섬유를 이용한 흡착티슈와 흡착봉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629Y1 (ko) * 1995-12-30 1998-10-15 허원상 해상에 분포된 기름의 회수장치
JP2000237061A (ja) * 1999-02-17 2000-09-05 Fukusuke Kogyo Kk 調理用油吸収構造体
KR200230764Y1 (ko) * 2001-02-19 2001-07-19 주식회사 이에스켐 폐유 흡수 및 수거용 팩
JP2002180447A (ja) * 2000-12-14 2002-06-26 Ooita Ken 樹皮を含有する油吸着材
JP2003154351A (ja) * 2001-11-20 2003-05-27 Oyo Corp 地中油分の吸取り方法およびその装置、ならびに、清浄な土壌および清浄な地下水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629Y1 (ko) * 1995-12-30 1998-10-15 허원상 해상에 분포된 기름의 회수장치
JP2000237061A (ja) * 1999-02-17 2000-09-05 Fukusuke Kogyo Kk 調理用油吸収構造体
JP2002180447A (ja) * 2000-12-14 2002-06-26 Ooita Ken 樹皮を含有する油吸着材
KR200230764Y1 (ko) * 2001-02-19 2001-07-19 주식회사 이에스켐 폐유 흡수 및 수거용 팩
JP2003154351A (ja) * 2001-11-20 2003-05-27 Oyo Corp 地中油分の吸取り方法およびその装置、ならびに、清浄な土壌および清浄な地下水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8184A2 (ko) * 2010-08-03 2012-02-09 (주)유압코리아 음식 기름 부유물 제거용 카폭 섬유를 이용한 흡착티슈와 흡착봉 및 그 제조방법
WO2012018184A3 (ko) * 2010-08-03 2012-05-31 (주)유압코리아 음식 기름 부유물 제거용 카폭 섬유를 이용한 흡착티슈와 흡착봉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5272B2 (ja) 油水分離器、油水分離方法、およびろ過膜ユニット
CN101898855B (zh) 一种挥发性有机物污染地下水的一体化异位修复系统
CN2832798Y (zh) 一种基于新型膜材料的高效除油反应器
JP3938913B2 (ja) 油水分離除去装置
JP2004261725A (ja) 油水分離方法および油水分離装置
KR100764884B1 (ko) 카폭 섬유 부재를 이용한 오일 필터
CN102372383A (zh) 一种氯代烃污染水体一体化修复系统
RU2477706C2 (ru)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органических компонентов из их смеси с водо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1559292A (zh) 过滤法除油工艺
CA2175265A1 (en) Liquid separator and polishing filter therefor
EP1307404B1 (en) A plant for purifying water contaminated by droplets of hydrocarbonaceous liquid
CN106587454A (zh) 一种车载式突发水污染事故应急净化系统
JP2007125507A (ja) ビルジ廃水等の含油廃水処理方法及び装置
AU2001276599A1 (en) A plant for purifying water contaminated by droplets of hydrocarbonaceous liquid
KR102251659B1 (ko) 오염 토양의 오염수 회수 및 정화 처리 시스템
KR20050058765A (ko) 오존접촉식 가압부상 오폐수처리시스템 및 오폐수처리방법
SK50262010U1 (en) Device for waste disposal
RU198431U1 (ru) Коалесцирующий фильтр для разделения эмульсий типа &#34;масло в воде&#34;
RU2341407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льяльных и сточных вод от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и других загрязнени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0433754B1 (ko) 정수처리용 이온교환수지 세정 방법
KR20170114089A (ko) 카트리지형 유흡착포 롤을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
KR20230171462A (ko) 퍼플루오로 및 폴리알킬 물질 (pfas)의 포집 및 탈불용 흡착제 및 그 방법
KR19980033085A (ko) 유수분리용 필터
CN205347033U (zh) 一种分离有害物质的中水回用处理系统
CN206173036U (zh) 一种阻截式油水分离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