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4779B1 - 직류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직류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4779B1
KR100764779B1 KR1020060023713A KR20060023713A KR100764779B1 KR 100764779 B1 KR100764779 B1 KR 100764779B1 KR 1020060023713 A KR1020060023713 A KR 1020060023713A KR 20060023713 A KR20060023713 A KR 20060023713A KR 100764779 B1 KR100764779 B1 KR 100764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voltage
input current
inpu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3635A (ko
Inventor
김학원
임선경
김대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3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4779B1/ko
Priority to DE602006017793T priority patent/DE602006017793D1/de
Priority to EP06017551A priority patent/EP1835607B1/en
Priority to US11/470,321 priority patent/US7532491B2/en
Priority to CN2006101274733A priority patent/CN101039079B/zh
Publication of KR20070093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22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for scaffold members in end-to-side re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wedg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7Converter structures employing plural converter units, other than for parallel operation of the units on a single load
    • H02M1/007Plural converter units in casca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83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 H02M1/0085Partially controlled brid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ctifiers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하의 변화에 따른 부하의 요구 에너지를 증감함으로써, 입력 전원의 역률을 개선하는 직류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 전류량을 검출하고 그 입력 전류량에 대응되는 부하의 크기를 판단하여 출력하는 입력전류 검출부와; 상기 부하의 크기에 따라 스위치의 통전시간 및 통전 지연시간을 가변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부와; 입력전류의 고조파를 저감시키고, 입력전압을 정류하는 필터/정류부와;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충전된 에너지를 부하에 공급하는 역률 개선부와; 상기 정류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평활하는 평활부와; 부하의 구동을 위하여 상기 평활된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하가 커지더라도 역률 개선(PFC) 규격을 만족시키며, 저 용량의 리액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직류 전원 공급 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DC POWER SOUR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직류 전원 공급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직류 전원 공급 장치의 전류 파형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류 전원 공급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역률 제어 시의 전류 파형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직류 전원 공급 방법의 실시 예의 흐름도이다.
도 6(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부하시 평활 커패시터의 전압 및 리액터의 전류 파형도 이다.
도 7(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부하시 평활 커패시터의 전압 및 리액터의 전류 파형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 : 입력전류 검출부 320 : 스위칭 제어부
321 : 동기신호 생성부 322 : 온/오프 제어부
330 : 필터/정류부 331 : 스몰 리액터
332 :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 340 : 역률 개선부
최근의 공기 조화기는 그 압축기의 구동 전동기로서 3상 전동기를 사용한다. 상기 3상 전동기의 전원 공급 장치는 상용 전원의 교류를 직류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된 직류를 인버터를 이용하여 교류로 재변환하여 상기 3상 전동기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3상 전동기를 구동한다.
이하에서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직류 전원 공급 장치를 첨부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직류 전원 공급 장치를 도시한 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직류 전원 공급 장치는, 액티브 필터(111)와 평활 커패시터(C)를 구비하여, 상용 전원으로부터 입력받은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터(110)와; 상기 액티브 필터(111)를 제어하는 액티브 필터 제어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컨버터(110)는 상기 변환된 직류전압을 인버터(130)로 출력하고, 상기 인버터(130)는 상기 컨버터(110)로부터 입력된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압축기 구동용 3상 전동기(140)에 공급한다.
상기 액티브 필터 제어부(120)는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 입력된 교류전압의 영 전압을 검출하여 동기신호를 발생하는 동기신호 발생부(121)와; 상기 동기신호 발생부(121)에서 발생된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액티브 필터(111)의 전력 반도 체 소자들(Q1, Q2)을 구동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온/오프 제어부(122)로 구성된다.
상기 액티브 필터(111)는 리액터(L)와 전력 반도체 소자들(Q1, Q2)로 구성되어 입력 전류의 파형을 그 위상이 입력 전압의 위상과 거의 같은 정현파가 되도록 정형한다. 따라서, 상기 액티브 필터(111)는 입력 전류를 제어하여 고조파 제거와 역률 개선(PFC)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평활 커패시터(C)는 상기 액티브 필터(111)의 출력 전압을 직류 전압이 되도록 평활하고, 상기 평활 된 직류 전압을 상기 인버터(130)에 공급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직류 전원 공급 장치의 입력전류 파형도 이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직류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전력 반도체 소자들(Q1, Q2)을 교대로 반 주기에 일정시간 동안 1회 구동되므로, 상기 상용 전원의 교류 전압에 따른 상기 평활 커패시터로의 입력 전류의 파형은 전류의 피크 값이 크고, 통전 폭이 좁은 펄스 형상이 된다.
또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직류 전원 공급장치에 스몰 리액터(small reactor)가 사용된 경우, 입력전류의 파형은 부하 변동에 따른 입력 전류량이 충분하지 않으므로, 스몰 리액터를 사용하지 않은 종래기술에 따른 도 2(a)의 파형보다 더욱 심하게 왜곡되어 있음을 보여 준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직류 전원 공급 장치는 부하 변동에 대한 고려 없이 상기 액티브 필터(300)를 구동하기 때문에, 부하가 커질 경우 역률 개선(PFC) 규격을 만족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직류 전원 공급 장치는 부하가 작을 경우 역률 개선 동작으로 인한 전력 반도체 소자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직류 전원 공급 장치는 고조파 제거 및 역률 개선(PFC)을 위해 상기 리액터(L)로서 용량이 큰 것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재료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하의 변화에 따른 입력 전류량을 검출하여 부하의 크기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부하의 크기에 따른 역률 제어를 통하여 부하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가변함으로써, 입력 전원의 역률을 개선하고, 저 용량의 리액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 목적을 이루도록 한 직류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력 전원의 역률을 개선하는 직류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 전류량을 검출하고 그 입력 전류량에 대응되는 부하의 크기를 판단하여 출력하는 입력전류 검출부와; 상기 부하의 크기에 따라 스위치의 통전시간 및 통전 지연시간을 가변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부와; 입력전류의 고조파를 저감시키고, 입력전압을 정류하는 필터/정류부와;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충전된 에너지를 부하에 공급하는 역률 개선부와; 상기 정류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평활하는 평활부와; 부하의 구동을 위하여 상기 평활된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직류 전원 공급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류 전원 공급 장치(300)는 입력 전류량을 검출하여 부하의 크기를 판단 및 출력하는 입력전류 검출부(310)와; 상기 부하의 크기에 따라 스위치의 통전시간 및 통전 지연시간을 가변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부(320)와; 입력전류의 고조파를 저감시키고, 입력전압을 정류하는 필터/정류부(330)와;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충전된 에너지를 부하에 공급하는 역률 개선부(340)와; 상기 정류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평활하는 평활부(350)와; 부하의 구동을 위하여 상기 평활된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버터(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력전류 검출부(310)는 실험에 의한 입력 전류량과 이에 대응되는 부하 크기에 관한 데이터 테이블이 저장된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테이블을 이용하여 검출된 입력 전류량을 기초로 부하의 크기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입력전류 검출부(310)는 직류 링크(DC-Link) 전류를 검출하여 부하의 크기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위칭 제어부(320)는 입력 전원의 제로-크로싱 시점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제로-크로싱 시점을 기초로 동기신호를 생성하는 동기신호 생성부(321)와; 상기 판단된 부하의 크기에 따라, 스위치(S1)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온/오프 제어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는 상기 동기신호에 동기된다.
상기 동기신호 생성부(321)는 입력 전원이 영 전압으로 되는 시점, 즉 제로 크로싱 시점을 검출하며, 그 검출된 제로 크로싱 시점에 기초한 동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온/오프 제어부(322)로 출력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동기신호는 입력 전원의 + 반주기 또는 - 반주기의 시작 시점에 동기된다.
상기 온/오프 제어부(322)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스위치(S1)의 통전시간(Ton) 및 통전 지연시간(Td)을 가변하며, 부하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스위치(S1)의 통전 시간(Ton)을 증가한다.
또한, 상기 온/오프 제어부(322)는 상기 부하의 크기에 비례하여 상기 입력 전류량 제어신호 및 역률 제어신호의 PWM Duty 비를 결정한다.
상기 필터/정류부(330)는 입력전류의 고조파를 저감시키고 돌입전류의 유입 을 방지하는 스몰 리액터(331)와; 입력 교류전압을 정류하는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3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스몰 리액터(331)는 입력 전류의 고조파를 저감시키며, 이와 아울러 돌입전류의 유입을 방지하고, 입력전류의 파형을 입력전압의 파형에 근접하도록 정형하며, 상기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332)는 상용전원이 공급하는 교류전압을 전파정류한다.
상기 역률 개선부(340)는 에너지를 충전 및 방전하는 제1,2 커패시터(Cr1,Cr2)와; 에너지의 충/방전 경로를 형성하는 제1,2,3,4 다이오드(D1,D2,D3,D4)와; 부하로 에너지를 공급하는 경로를 단속하는 스위치(S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역률 개선부(340)는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교번으로 에너지를 충전 및 방전하여 입력 전원의 역률을 개선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역률 개선부(340)는 스위치(S1)의 온(On) 시, 입력 전원의 + 반주기의 시작 시점에서, 제1 다이오드(D1) 및 제2 다이오드(D2)는 온(On) 되고, 제3 다이오드(D3) 및 제4 다이오드(D4)는 오프(Off) 되어, 제1 커패시터(Cr1)는 에너지를 충전하고 제2 커패시터(Cr2)는 에너지를 방전하며, 입력 전원의 - 반주기의 시작 시점에서, 제1 다이오드(D1) 및 제2 다이오드(D2)는 오프(Off) 되고, 제3 다이오드(D3) 및 제4 다이오드(D4)는 온(On)되어, 제1 커패시터(Cr1) 에너지를 방전하고 제2 커패시터(Cr2)는 에너지를 충전한다.
여기서, 상기 역률 개선부(340)를 구성하고 있는 커패시터 Cr1 및 Cr2는 실험에 의하여 적절한 용량으로 구성된다. 상기 커패시터 Cr1,Cr2의 크기가 적정용량 보다 크면 오히려 입력전류의 파형을 더욱 왜곡시키게 되고, 적정 용량보다 작으면 입력전류의 파형을 개선하지 못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류 전원 공급 방법은 입력 전류량을 검출하여 부하의 크기를 판단 및 출력하는 과정(S510)과; 상기 판단된 부하의 크기에 따라, 입력 전원의 역률 개선을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과정(S531)과; 입력전류의 고조파를 저감시키고, 입력전압을 정류하는 과정(S530, S540))과;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충전된 에너지를 부하에 공급하는 과정(S532)과; 상기 정류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평활하는 과정(S550))과; 부하의 구동을 위하여 상기 평활된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는 과정(S560)을 수행한다.
상기 부하의 크기를 판단 및 출력하는 과정(S520)은 입력 전류량에 대응되는 부하의 크기를 저장한 데이터 테이블이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하의 크기를 판단 및 출력하는 과정(S520)은 직류 링크(DC-Link)의 전류를 검출하여 부하의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과정(S531)은 입력 전원의 제로-크로싱을 검출하여 그 검출된 제로-크로싱 시점에 따라, 동기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된 부하의 크기에 따라, 역률 개선을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는 상기 동기신호에 동기되어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과정(S531)은 부하의 크기에 따라 스위치(S1)의 통전시간(Ton) 및 통전 지연시간(Td)을 가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과정(S531)은 상기 판단된 부하의 크기에 비례하여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의 PWM Duty 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전류의 고조파를 저감시키고, 입력전압을 정류하는 과정(S530, S540)은 입력전류의 고조파를 저감시키고 돌입전류의 유입을 방지하는 단계와; 입력 교류전압을 정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에너지를 부하에 공급하는 과정(S532)은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교번으로 에너지를 충전 및 방전하여 입력 전원의 역률을 개선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에너지를 부하에 공급하는 과정(S532)은 스위치(S1)의 온(On) 시, 입력 전원의 + 반주기의 시작점에서 제1 다이오드(D1) 및 제2 다이오드(D2)는 온(On) 되고, 제3 다이오드(D3) 및 제4 다이오드(D4)는 오프(Off)되어, 제1 커패시터(Cr1)는 에너지를 충전하고 제2 커패시터(Cr2)는 충전된 에너지를 방전하는 단계와; 스위치(S1)의 온(On) 시, 입력 전원의 - 반주기의 시작 시점에서 제1 다이오드(D1) 및 제2 다이오드(D2)는 오프(Off) 되고, 제3 다이오드(D3) 및 제4 다이오드(D4)는 온(On)되어, 제1 커패시터(Cr1) 에너지를 방전하고 제2 커패시터(Cr2)는 에너지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에너지를 부하에 공급하는 과정(S532)은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 전원의 반주기에 맞추어 교번으로 에너지를 커패시터에 충전하고 부하로 방전 하여 입력 전압의 승압 및 입력 전원의 역률을 개선함과 동시에 입력 전류의 파형을 입력 전압의 파형인 정형파로 정형함으로써 입력 전류의 파형을 개선한다.
도 6(b)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부하시 스몰 리액터의 전류 파형도로써, 상기 도 2(a),(b)에서 보여진 종래기술에 의한 입력전류의 파형보다 이상적인 파형인 정현파에 더 근접하게 정형된 입력전류 파형임을 보인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검출된 입력 전류량을 기초로 부하의 크기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부하의 크기에 따라, 역률 개선부의에너지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여 부하에 구동에 최적인 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부하의 변동이 있더라도 역률 개선 규격을 만족시킬 수 있고, 역률 개선 동작으로 인한 입력전원의 역률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용량 리액터를 사용하더라도 역률 개선 동작을 수행하여 입력전류의 왜곡을 방지하므로, 저 용량의 리액터의 사용으로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입력 전류량을 검출하고 그 입력 전류량에 대응되는 부하의 크기를 판단하여 출력하는 입력전류 검출부와;
    상기 부하의 크기에 따라 스위치의 통전시간 및 통전 지연시간을 가변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부와;
    입력전류의 고조파를 저감시키고, 입력전압을 정류하는 필터/정류부와;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충전된 에너지를 부하에 공급하는 역률 개선부와;
    상기 정류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평활하는 평활부와;
    부하의 구동을 위하여 상기 평활된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전원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전류 검출부는,
    상기 입력 전류량에 대응되는 부하의 크기에 관한 데이터 테이블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전원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입력 전원의 제로-크로싱을 검출하여 그 검출된 제로-크로싱 시점에 따라, 동기신호를 생성하는 동기신호 생성부와;
    상기 판단된 부하의 크기에 따라 PWM Duty 비를 조정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온/오프 제어부를 포함하는 직류 전원 공급 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제어부는,
    부하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스위치의 통전시간을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전원 공급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정류부는,
    입력전류의 고조파를 저감시키고 돌입전류의 유입을 방지하는 스몰 리액터와;
    입력 교류전압을 정류하는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를 포함하는 직류 전원 공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률 개선부는,
    에너지를 충전 및 방전하는 제1,2 커패시터와;
    상기 제1,2 커패시터의 충/방전 경로를 형성하는 제1,2,3,4 다이오드와;
    부하로 에너지를 공급하는 경로를 단속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직류 전원 공급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률 개선부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교번으로 에너지를 충전 및 방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전원 공급 장치.
KR1020060023713A 2006-03-14 2006-03-14 직류 전원 공급 장치 KR100764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713A KR100764779B1 (ko) 2006-03-14 2006-03-14 직류 전원 공급 장치
DE602006017793T DE602006017793D1 (de) 2006-03-14 2006-08-23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Gleichstromversorgung
EP06017551A EP1835607B1 (en) 2006-03-14 2006-08-23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DC power source
US11/470,321 US7532491B2 (en) 2006-03-14 2006-09-06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DC power source
CN2006101274733A CN101039079B (zh) 2006-03-14 2006-09-15 供应直流电源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713A KR100764779B1 (ko) 2006-03-14 2006-03-14 직류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635A KR20070093635A (ko) 2007-09-19
KR100764779B1 true KR100764779B1 (ko) 2007-10-11

Family

ID=38180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713A KR100764779B1 (ko) 2006-03-14 2006-03-14 직류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32491B2 (ko)
EP (1) EP1835607B1 (ko)
KR (1) KR100764779B1 (ko)
CN (1) CN101039079B (ko)
DE (1) DE60200601779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283B1 (ko) * 2007-03-31 2008-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동작방법
KR101395891B1 (ko) * 2007-11-20 2014-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US20090157848A1 (en) * 2007-12-18 2009-06-18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Application server processing tcp/ip requests from a client by invoking an asynchronous function
CN101807861B (zh) * 2009-12-10 2012-08-29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三相有源功率因数整流方法
KR20120069349A (ko) * 2010-12-20 2012-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칭 손실을 줄이는 직류-직류 전압 변환기, 상기 직류-직류 전압 변환기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 장치
CN102819993A (zh) * 2011-06-09 2012-12-12 四川柏狮光电技术有限公司 低功耗led显示模组供电系统
CN103178704B (zh) * 2011-12-20 2015-10-21 英飞特电子(杭州)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峰值电流控制的功率因数补偿电路
KR101955977B1 (ko) * 2012-01-30 2019-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제어 장치와 방법, 및 이를 포함한 냉장고
KR101284929B1 (ko) * 2012-02-09 2013-07-10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전원 공급기의 역률 보상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4052773A1 (en) * 2012-09-28 2014-04-03 Fluidic, Inc. Droop compensation using current feedback
CN104079159B (zh) * 2014-06-11 2017-05-17 成都芯源系统有限公司 数字功率因数校正电路及其方法
CN104362861B (zh) * 2014-09-29 2018-06-01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压缩机驱动频率的方法和装置
CN104359184B (zh) * 2014-09-30 2017-02-15 海信科龙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变载频变频控制方法及控制器
US9800133B2 (en) * 2016-03-22 2017-10-24 Infineon Technologies Ag Active common mode cancellation
US10763740B2 (en) 2016-04-15 2020-09-0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witch off tim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10305373B2 (en) 2016-04-15 2019-05-28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Input reference signal generation systems and methods
US9933842B2 (en) 2016-04-15 2018-04-03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Microcontroller architecture for power factor correction converter
US10277115B2 (en) 2016-04-15 2019-04-30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Filtering systems and methods for voltage control
US10656026B2 (en) 2016-04-15 2020-05-19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Temperature sensing circuit for transmitting data across isolation barrier
US10320322B2 (en) 2016-04-15 2019-06-1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witch actuation measurement circuit for voltage converter
US10770966B2 (en) 2016-04-15 2020-09-08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and method including dual bridge rectifiers
WO2018080614A1 (en) * 2016-10-28 2018-05-03 Mark Telefus Load identifying ac power supply with control and methods
CN109991499B (zh) * 2019-04-19 2024-01-30 山东省产品质量检验研究院 用于无功补偿装置动态响应和谐波抑制的检测装置及方法
CN110474527B (zh) * 2019-08-15 2020-10-09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三相电功率因素矫正的变频装置及其控制方法、空调器
CN111934532B (zh) * 2020-07-15 2022-02-01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倍压整流pfc电路及其控制方法和变频空调器
CN111934533B (zh) * 2020-07-15 2022-02-01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倍压整流pfc电路及其控制方法、存储介质和变频空调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8376A (ja) * 1991-09-10 1993-03-19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H10172746A (ja) * 1996-12-09 1998-06-26 Toshiba Corp インバータ装置
KR20020046152A (ko) * 2000-12-08 2002-06-20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원장치 및 그 전원장치를 이용한 공기조화기
JP2002281775A (ja) * 2001-03-16 2002-09-27 Ebara Corp モータ駆動用インバータ装置
JP2004254392A (ja) * 2003-02-19 2004-09-09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8691A (ja) * 1989-07-27 1991-05-31 Seiko Epson Corp 電圧形pwmコンバータ・インバータ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式
JP2863833B2 (ja) * 1996-09-18 1999-03-03 岡山大学長 アクティブコモンモードキャンセラ
US6137700A (en) * 1997-10-08 2000-10-24 Daikin Industries, Ltd. Converter with a high power factor using a DC center point voltage
GB2345593B (en) * 1998-07-16 2002-02-20 Mitsubishi Electric Corp Inverter Apparatus
US5956243A (en) * 1998-08-12 1999-09-21 Lucent Technologies, Inc. Three-level boost rectifier with voltage doubling switch
JP3496532B2 (ja) * 1998-08-18 2004-02-16 日立工機株式会社 遠心機用モータの制御装置
EP1022844A3 (en) * 1999-01-19 2002-04-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ower supply device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TW513850B (en) * 2000-04-03 2002-12-11 Shan Ken Oenki Kabushiki Kaish Electric power converting apparatus
JP3783598B2 (ja) * 2001-09-28 2006-06-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インバータエアコン
US6906933B2 (en) * 2002-11-01 2005-06-14 Powerware Corporation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s with power-factor correcting bypass mod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8376A (ja) * 1991-09-10 1993-03-19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H10172746A (ja) * 1996-12-09 1998-06-26 Toshiba Corp インバータ装置
KR20020046152A (ko) * 2000-12-08 2002-06-20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원장치 및 그 전원장치를 이용한 공기조화기
JP2002281775A (ja) * 2001-03-16 2002-09-27 Ebara Corp モータ駆動用インバータ装置
JP2004254392A (ja) * 2003-02-19 2004-09-09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32491B2 (en) 2009-05-12
DE602006017793D1 (de) 2010-12-09
US20070217236A1 (en) 2007-09-20
CN101039079A (zh) 2007-09-19
KR20070093635A (ko) 2007-09-19
EP1835607A2 (en) 2007-09-19
CN101039079B (zh) 2012-06-13
EP1835607B1 (en) 2010-10-27
EP1835607A3 (en) 200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4779B1 (ko) 직류 전원 공급 장치
KR100823922B1 (ko) 직류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US7042740B2 (en) Soft-switching half-bridge inverter power supply system
TWI538351B (zh) 不斷電電源裝置
JP2008022625A (ja) 交流−直流変換装置
JP2009232537A (ja) モータ制御装置
JP6073077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を備えた電子機器
KR20040088356A (ko) 모터 구동용 인버터 제어장치 및 그 인버터 제어장치를이용한 공기조화기
JPWO2020115800A1 (ja) 電力変換装置
KR100823923B1 (ko) 직류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JP2016073203A (ja) 電力変換装置
JP2012125090A (ja) スイッチング電源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表示装置
KR101300273B1 (ko) 공기조화기의 구동제어 장치
JP2003106616A (ja) インバータエアコン
JP4857812B2 (ja) 電源システム
JP2006238616A (ja) 電力変換装置
JP2000188867A (ja) コンバータ回路および直流電圧制御用装置
KR101228451B1 (ko) 공조기의 직류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110077801A (ko) 직류전원 공급장치 및 직류전원 공급방법
JP2007082317A (ja) 電力システム
KR100823930B1 (ko) 직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0788286B1 (ko) 직류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JP2008099510A (ja) 直流電源装置とそれを用いた機器
Komeda et al. Load voltage regulation method for an isolated AC-DC converter with power decoupling operation
JP2019080408A (ja) 直流電源装置、及び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