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2483B1 - 냉각압연용 보강롤 초크 윤활장치 - Google Patents

냉각압연용 보강롤 초크 윤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2483B1
KR100762483B1 KR1020010067657A KR20010067657A KR100762483B1 KR 100762483 B1 KR100762483 B1 KR 100762483B1 KR 1020010067657 A KR1020010067657 A KR 1020010067657A KR 20010067657 A KR20010067657 A KR 20010067657A KR 100762483 B1 KR100762483 B1 KR 100762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ting oil
cylinder body
choke
cold rolling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7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5549A (ko
Inventor
이성호
이동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67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2483B1/ko
Publication of KR20030035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7Adaptation of roll neck bearings
    • B21B31/076Cooling; Lubricating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2Rolling stand frames or housings; Roll mountings ; Roll ch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하중 상태에서 고속회전하는 압연기의 보강롤 4열 원통 롤러 베어링 윤활시 별도의 동력 없이 압연속도의 증가에 따라 비례적으로 윤활유 양이 자동 제어되고 윤활유 내의 철성분을 자동 포집할 수 있는 냉각압연용 보강롤 초크 윤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원형관(23)과 결합하는 한 쌍의 베어링블록(4)이 캠가이드(21)와 결합하여 초크블록(2)에 수용되는 보강롤 베어링부(110)와, 상기 보강롤 베어링부(110)의 캠가이드(21)에 고정되는 제1실린더 바디(45)와, 이의 양측에 결합하는 제2실린더 바디(66)로 이루어지는 윤활유 분사부(120)와, 상기 보강롤 베어링부(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윤활유 케이스(94)의 중앙부에 수용되면서 상기 윤활유 분사부(120)의 제1실린더 바디(45)와 체결되는 원형필터(48) 및 전자석(87)과, 드레인 케이스(92) 및 구동모터(82)로 이루어지는 윤활유 필터링부(130)로 구성되는 냉각압연용 보강롤 초크 윤활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베어링의 윤활효과를 향상시켜 윤활불량에 의해 압연작업시 발생되는 진동을 방지하여 냉간압연 작업시 두께가 균일하고 품질이 우수한 냉간 압연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냉각압연, 보강롤, 초크, 윤활장치, 캠가이드, 원형필터, 전자석

Description

냉각압연용 보강롤 초크 윤활장치{APPARATUS FOR LUBRICATING THE CHOKE OF REINFORCING ROLL USED IN COLD ROLLING}
도 1은 종래의 보강롤 초크 장치의 윤활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압연용 보강롤 초크 윤활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압연용 보강롤 초크 윤활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압연용 보강롤 초크 윤활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압연용 보강롤 초크 윤활장치를 구성하는 윤활유 분사부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압연용 보강롤 초크 윤활장치를 구성하는 윤활유 필터링부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압연용 보강롤 초크 윤활장치의 볼 유닛이 캠가이드와 접촉하는 연결부의 확대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압연용 보강롤 초크 윤활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원형관 4:베어링블록 21:캠가이드 110:보강롤 베어링부
31:볼유닛 45:제1실린더 바디 66:제2실린더 바디
120:윤활유분사부 94:윤활유케이스 48:원형필터 89,90:스크류바
87:전자석 92드레인 케이스 130:윤활유 필터링부
본 발명은 냉각압연용 보강롤 초크 윤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하중 상태에서 고속회전하는 압연기의 보강롤 4열 원통 롤러 베어링 윤활시 별도의 동력 없이 압연 속도의 증가에 따라 비례적으로 윤활유 양이 자동 제어되며, 윤활유 내의 철성분을 자동 포집할 수 있는 냉각압연용 보강롤 초크 윤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간 압연긴 보강롤의 윤활방식은 크게 윤활유 미스트 방식과 모그 윤활유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압연기와는 별개로 윤활유 공급장치가 별도로 설치되어 외부에서 윤활유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방식 중 윤활유 미스트 방식은 윤활유가 1회 사용되고 폐기되도록 되어 있어 윤활유 과소비의 문제점이 있고, 또한 모그 윤활유방식은 윤활유를 순환시켜 재사용하게 되는데 별도로 마련된 설비가 복잡하고 필터의 막힘과 고속 압연 하에서는 윤활유의 부족이 발생되고 저속압연 시에는 필요이상의 과대윤활유가 공급되어 오히려 베어링 회전의 저항적 요소로 작용하여 발열이 발생 된고 있어 일반적인 냉간 압연기의 보강롤 윤활 방식은 윤활유 미스트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제1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윤활유 탱크(10)의 윤활유(14)이 에어펌프(11)의 작동에 의해 윤활유 미스트장치(13)로 공급된대 윤활유 미스트장치(13)에서는 일정온도로 윤활유(14)을 가열하고 노즐(미도시)을 통하여 미스트 상태로 분사시키게 되며, 이 때 분사된 윤활유 미스트는 공급배관(8)을 통해 초크 블록(2) 내로 유입되어 회전되는 베어링(5)에 윤활작용을 하고 있으나 미스트 상태로 공급됨에 따라 압연속도의 가감속시 필요한 윤활유 공급량의 제어가 되지 않고, 특히 고속압연 시에는 윤활정도가 절대 부족하여 베어링(5)과 내부링(7)의 마찰로 인한 철편이 발생되고, 이 철편에 의한 베어링(5)의 표면 손상이 발생됨으로써 냉간압연 작업시 정밀 판두께 제어에 장애요인인 진동 발생으로 압연두께 품질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대형 설비사고가 발생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강롤의 롤네크에 캠가이드를 설치하여 보강롤의 회전속도에 따라 윤활유 분사부의 실린더가 작동되도록 하여 압연속도에 따라 윤활유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전자석을 이용하여 윤활유 내의 철편을 포집하여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베어링의 윤활효과를 향상시키는 냉각압연용 보강롤 초크 윤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분사노즐이 구비된 다수개의 제1배관이 원주 내면에 형성된 원형관과, 이의 제1배관과 결합하는 한 쌍의 베 어링블록을 좌우 양측부에 접촉하면서 양쪽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중심이 편심으로 이루어진 캠가이드와, 상기 구성의 베어링블록을 수용하는 초크블록으로 이루어져 보강롤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보강롤 베어링부와, 상기 보강롤 베어링부의 캠가이드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접촉하면서 고정블록에 유동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볼 유닛과, 이의 하부에 고정되는 제1체결바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제1피스톤을 수용하는 제1실린더 바디와, 이의 양측 하부와 관통결합하는 한 쌍의 제2실린더 바디에 수용되는 제2피스톤과, 이와 고정되면서 상기 고정블록에 고정되는 제2체결바와, 상기 한 쌍의 제2실린더 바디의 외측 상부면에 형성된 관통결합하여 상기 보강롤 베어링부의 원형관에 접촉하는 제4배관으로 이루어지는 윤활유 분사부와, 상기 보강롤 베어링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윤활유 케이스의 중앙부에 수용되면서 상기 윤활유 분사부의 제1실린더 바디와 체결되는 원형 필터와, 이의 양측 하부에 한 쌍으로 관통결합하고 스크류바에 나사결합하여 좌우 이동가능한 전자석과, 상기 윤활유 케이스의 하부 양측에서 한 쌍으로 관통결합하는 드레인 케이스 및 상기 스크류바와 축결합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윤활유 필터링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압연용 보강롤 초크 윤활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압연용 보강롤 초크 윤활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압연용 보강롤 초크 윤활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압연용 보강롤 초크 윤활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베어링블록(4)과 원형관(23), 캠가이드(21)등으로 이루어진 보강롤 베어링부(110)와, 볼 유닛(31), 제1,2실린더 바디(45,66) 등으로 이루어진 윤활유 분사부(120)와, 원형 필터(48) 및 전자석(87) 및 구동모터(82) 등으로 이루어진 윤활유 필터링부(130)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보강롤 베어링부(11)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 및 제4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윤활유가 흐르도록 공간이 형성된 원형관(23)의 양측면에 제1배관(24)이 일정수량 만큼 고정되고 각 제1배관(24)의 끝에는 분사노즐(25)이 일정각도만큼 점차적으로 격차가 나도록 고정되고 또한 각 제1배관(24)은 베어링(5)이 원주방향으로 일정수량 만큼 배열되어 고정된 베어링블록(4)의 제1홀(22)에 삽입되어 베어링블록(4)과 같이 초크블록(2)에 삽입된 외부링(6)에 삽입된다. 이때 제1배관(24)에 고정된 분사노즐(25)의 위치 및 방향은 베어링(5)의 중앙부에 위치되며, 각 베어링(5)의 면에 직접분사가 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양쪽에 가이드 흠이 형성되고, 중심이 편심으로 이루어진 캠가이드(21)가 중앙부에 삽입되어 고정된 내부링(7)이 베어링블록(4)에 삽입되어지고 캠가이드(21)를 중심으로 이미 조립되어진 베어링블록(4) 및 원형관(21)에 좌우 대칭되도록 베어링블록(4)과 원형관(21) 등이 조립되어 삽입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윤활유 분사부(120)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압연용 보강롤 초크 윤활장치를 구성하는 윤활유 분사부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압연용 보강롤 초크 윤활장치의 볼 유닛이 캠가이드와 접촉하는 연결부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고,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브라켓(34)이 용접되어 고정된 캡(32)에 삽입되어 제1볼트(33)에 의해 고정된 볼 유닛(31)이 상기 보강롤 베어링부(110)의 캠가이드(21)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맞물리는 형태로 제2볼트(35)에 의해 고정블록(36)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블록(36) 하부의 중앙에는 원기둥 형태의 제1체결바(37)의 한쪽 끝이 용접되어 고정되고 제1실린더 캡(38)이 삽입되어진 상태로 제1고정링(39)에 의해 제1체결바(37)의 끝부분에 제1피스톤(40)이 고정되어진다. 또한 원통형태로 이루어진 제1실린더 바디(45)의 하부 바닥 중앙부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고 배관(42-1)이 용접되어지고, 그 단부에는 제1스프링(51)과 제1체크볼(44)이 삽입된 제1가이드 바(43)가 고정된 제2고정링(42)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이 때 제1체크볼(44)은 하부 홀을 막는 형태가 되어 상기 제1피스톤(40)에 삽입되어져 제3볼트(41)에 의해 제1실린더 캡(38)과 조립되어진다.
상기 제1실린더 바디(45)의 측면에는 서로 대칭되는 부분에 두개의 홀이 형성되며, 이 홀에는 제1조인트(46)가 조립되어지고, 하부에는 유입관(47)이 중앙부 홀에 맞도록 용접되어 조립되고 제5볼트(52)에 의해 윤활유 케이스(94)의 바닥면에 고정된 고정판(50)의 상부에 고정된 고정관(49)에 삽입된 원형 필터(48)와 완전 접합되어진다.
상기 제1실린더 바디(45)의 양측면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의 양쪽에 홀이 뚫린 제2실린더 바디(66)가 역시 고정관(49)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2실린더 바디(66)의 외측부 홀 중 제1실린더 바디(45)와 맞닿는 쪽의 홀에는 제2 조인트(78)가 조립되어 제1실린더 바디(45)의 측면에 조립된 제1조인트(46)에 삽입되어지고 다른 한쪽에는 제3스프링(76)과 제3체크볼(77)이 삽입되어진 제3가이드 바(75)가 고정된 제5고정링(74)이 삽입고정된 제4배관(73)이 조립되어진다.
상기 제4배관(73)에는 제2배관(67)의 관쪽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한 보강롤 베어링부(110)의 원형관(23) 하부에 형성된 홀 위치에 부착되어진다.
상기 제2실린더 바디(66)의 내부의 홀 위치 즉 ,제2조인트(78)가 부착된 홀 위치에는 제3배관이 부착되고, 상기 제2가이드 바(70)에 제2스프링(71)과 제2체크볼(72)이 삽입되고, 제4고정링(69)에 고정되어 제3배관(68)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제2실린더 캡(62)이 삽입된 제2체결바(61)의 한쪽 끝에는 제3고정링(64)에 의해 제2피스톤(65)이 고정되어진 형태로 제2실린더 바디(66)로 삽입되어지고, 제4볼트(63)에 의해 제2실린더 캡(62)이 제2실린더 바디(66)에 조립되어지며, 제2바(61)의 다른 한쪽은 고정블록(36)의 측면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윤활유 필터링부(13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압연용 보강롤 초크 윤활장치를 구성하는 윤활유 필터링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윤활유 케이스(94)에 고정된 상기 윤활유 분사부(120)의 고정판(50)의 좌우측에 제1베어링블록(97)이 고정되고, 상기 제1베어링블록(97)의 양쪽에는 나사산이 반대로 형성된 제1스크류바(89)와 제2스크류바(90)가 각각 고정된다.
상기 각각의 제1스크류바(89) 및 제2스크류바(90)에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실링판(88)이 한쪽방향에 부착 고정된 원통형의 전자석(87)이 삽입된다. 상기 각각의 스크류바에 삽입된 전자석(87)은 윤활유 케이스(94) 측면에 형성된 홀을 통해 내부에서 외부로 빠져나온 상태에서 다시 역시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실링판(86)이 각각의 스크류바에 삽입되어져 전자석에 고정된다.
또한 윤활유 케이스(94)의 측면에는 센서(101)가 부착된 드레인케이스(92)가 제5볼트(93)에 의해 각각 고정되며, 상기 각각의 스크류바들(89,90)은 드레인케이스(92)에 고정되며, 상기 제1스크류바(89)의 한쪽 끝에는 제1풀리(83)가 삽입되고 그 끝에는 제2브라켓(81)에 설치된 구동모터(82)와 연결된다. 또 다른 쪽의 제1스크류바(89)의 끝에는 제2풀리(84)싸 삽입되어지고 벨트(85)에 의해 제1풀리(83)와 연결되며, 제1베어링블록(97)과 양쪽의 제2실링판(88)의 하부에는 제4가이드 바(91)가 삽입되어져 윤활유 케이스(94)의 내측면에 고정되며, 윤활유 케이스(94)의 한쪽측면에는 제5배관(95) 및 그 내부에 레벨 게이지(96)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 제4도 및 제5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롤(1)에 초크블록(2)이 조립된 상태에서 압연롤(16)의 스트립(100)의 압연작업에 따라 보강롤(1)이 회전하게되면 보강롤(2)의 롤네크(3)에 삽입된 캠가이드(21)가 회전을 하게된다. 캠가이드(21)의 회전에 따라 캠가이드(21)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맞물리게된 볼 유닛(31)이 캠가이드(21)의 지름변화에 가라 상승 및 하강작용을 하게되고, 상기 고 정블록(36)의 하부 및 측면에 연결된 제1체결바(37)와 제2체결바(61)가 작동하면서 각각의 제1피스톤(40)과 제2피스톤(65)을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캠가이드(21)의 지름이 큰 쪽이 위쪽으로 향하게 되면 각 제1피스톤(40)과 제2피스톤(65)이 상승하게 되고 이때 제1실린더 바디(45) 내부에 설치된 제1체크볼(44)이 압력에 의해 상승되면서 유입관(47)을 통하여 원형 필터(48)에서 이물질이 필터링된 윤활유가 제1실린더 바디(45)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제2실린더 바디(65)의 내부에 설치된 제2체크볼(72)은 압력에 의해 홀을 막게 되고 외측에 설치된 제3체크볼(77)은 밀리면서 제2실린더 바디(65) 내부에 있는 윤활유를 제2배관(67)을 통하여 원형관(23)으로 공급되게 되며, 원형관(23)에 공급된 윤활유는 제1배관(24)을 통해 각각의 분사노즐(25)을 통하여 베어링(5) 표면에 분사되어 베어링(5)의 윤활작용을 하게된다.
또한 캠가이드(21)의 지름이 큰 쪽이 아래방향으로 이동되면 각 제1피스톤(40)과 제2피스톤(65)이 아래방향으로 작동되면서 제1실린더 바디(45) 내부의 제1체크볼(44)은 압력과 제1스프링(51)에 의해 아래방향으로 작동되면서 하부 홀을 막게되고 동시에 제2실린더 바디(65)의 제2체크볼(72)은 압력에 의해 밀려 홀이 개방되면서 제1실린더 바디(45) 내부로 유입되어 있던 윤활유가 제1조인트(46)와 제2조인트(78)를 통하여 제2실린더 바디(65) 내로 유입된다. 또한 제3체크볼(77)은 제3스프링(76)과 제2실린더 바디(65) 내부의 압력에 의해 홀을 막게되어 원형관(23)쪽으로의 윤활유 공급이 중단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보강롤(1)의 연속적인 회전에 의해 반복적으로 작용되며, 특히 보강롤(1)의 속도 변화에 따라 윤활유 공급량을 증감 가능하도록 작용한다. 한편 분사노즐(25)에서 분사된 윤활유는 베어링(5)과 내부링(7) 사이에 윤활작용을 하며, 윤활작용 후 내부에서 생성되는 철성분(미도시)과 함께 윤활유 케이스(94)로 낙하되어 윤활유 분사부(120)의 작동에 따라 순환되며, 윤활작용을 하게된다.
순환되는 윤활유에 의해 윤활유 케이스(94) 내부로 유입된 철편(미도시)은 윤활유 필터링부(130)의 전자석(87)에 의해 포집되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전자석(87)에 의해 포집된 철편의 제거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모터(82)를 구동시키면 나사산의 형태가 반대로 이루어진 제1스크류바(89) 및 제2스크류바(90)가 회전됨과 동시에 제1스크류바(89)에 삽입된 제1풀리(83) 및 벨트(85)에 의해 반대쪽에 설치된 제1스크류바(89) 및 제2스크류바(90)가 회전되면서 제4가이드 바(91)의 안내에 따라 제1실링판(86)과 제2실링판(88)이 부착된 전자석(87)이 윤활유 케이스(94) 측면의 홀을 통해 드레인 케이스(92)로 이동된다. 전자석(87)이 윤활 장치케이스(92) 내로 완전히 이동되어 센서(101)에 제1실링판(86)이 감지되면 구동모터(82)는 동작이 멈추게 되고, 이 때 윤활유 케이스(94)와 드레인 케이스(92) 사이는 제2실링판(88)에 의해 완전 밀폐되게 되며, 상기 드레인 케이스(92) 내로 완전히 이동된 전자석(87)은 센서(101)의 감지와 동시에 자력을 상실하게 된고 전자석(87)에 붙은 철편은 드레인 케이스(92) 내의 윤활유와 함께 외부로 배출시키게된다.
윤활유와 철편의 배출이 완료되면 구동모터(82)를 반대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전자석(87)이 윤활장치 케이스(94) 내로 이동이 되고 동시에 전자석(87)에 다시 자 력이 형성되며, 상기 드레인 케이스(92)내로 완전 이동이 끝나면 구동모터(82)는 정지하게 된다. 이 때 윤활장치 케이스(94)와 드레인 케이스(92)는 제1실링판(86)에 의해 완전 밀폐되어지는 상태가 되며, 상기 전자석(87)은 순환되는 윤활유에 함유된 철편을 포집하게된다.
또한, 일반 이물질은 원형 필터(48)에 의해 걸려지게 되고, 철편과 함께 외부로 배출된 윤활유량은 레벨 게이지(96)에서 윤활유레벨을 감지하여 제5배관(95)을 통해 자동 공급되도록 되는 작용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강롤의 롤네크에 설치된 캠가이드의 회전에 따라 일정량의 윤활유를 베어링과 내부링에 직접 분사하여 윤활작용을 함은 물론 압연속도 변화에 따라서 윤활유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윤활과정 중에서 생성되는 철편을 전자석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포집하여 제거함으로써 베어링의 윤활효과를 향상시켜 베어링 수명을 연장시킴은 물론 베어링 이상과 윤활작용 불량에 의해 압연작업시 발생되는 진동을 방지하여 냉간압연 작업시 두께가 균일하고 품질이 우수한 냉간 압연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분사노즐(25)이 구비된 다수개의 제1배관(24)이 원주 내면에 형성된 원형관(23)과, 이의 제1배관(24)과 결합하는 한 쌍의 베어링블록(4)을 좌우 양측부에 접촉하면서 양쪽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중심이 편심으로 이루어진 캠가이드(21)와, 상기 구성의 베어링블록(4)을 수용하는 초크블록(2)으로 이루어져 보강롤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보강롤 베어링부(110)와;
    상기 보강롤 베어링부(110)의 캠가이드(21)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접촉하면서 고정블록(36)에 유동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볼 유닛(31)과, 이의 하부에 고정되는 제1체결바(37)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제1피스톤(41)을 수용하는 제1실린더 바디(45)와, 이의 양측 하부와 관통결합하는 한 쌍의 제2실린더 바디(66)에 수용되는 제2피스톤(65)과, 이와 고정되면서 상기 고정블록(36)에 고정되는 제2체결바(61)와, 상기 한 쌍의 제2실린더 바디(66)의 외측 상부면에 형성된 관통결합하여 상기 보강롤 베어링부(110)의 원형관(23)에 접촉하는 제4배관(71)으로 이루어지는 윤활유 분사부(120)와;
    상기 보강롤 베어링부(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윤활유 케이스(94)의 중앙부에 수용되면서 상기 윤활유 분사부(120)의 제1실린더 바디(45)와 체결되는 원형 필터(48)와, 이의 양측 하부에 한 쌍으로 관통결합하고 스크류바(89,90)에 나사결합하여 좌우 이동가능한 전자석(87)과, 상기 윤활유 케이스(94)의 하부 양측에서 한 쌍으로 관통결합하는 드레인 케이스(92) 및 상기 스크류바(89,90)와 축결합하는 구 동모터(82)로 이루어지는 윤활유 필터링부(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압연용 보강롤 초크 윤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롤 베어링부(110)의 캠가이드(21)는 베어링블록(4)의 회전시 편심 회동하여 상기 윤활유 분사부(120)의 제1실린더 바디(78)에 수용된 제1피스톤(40)을 하방으로 구동시키도록 중심이 편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압연용 보강롤 초크 윤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분사부(120)의 제2실린더 바디(2)에 수용된 제2피스톤(65)은 상기 제1피스톤(40)이 하방으로 구동됨과 동시에 윤활유를 공급받아 상기 보강롤 베어링부(110)의 원형관(23)에 공급하고, 상기 제1피스톤(40)이 상방으로 구동될 때 윤활유 역류를 차단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체크볼(72,7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압연용 보강롤 초크 윤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필터링부(130)는 상기 윤활유 분사부(120)의 제1실린더 바디(45)로부터 윤활유 역류를 방지하도록 설치된 체크볼(44)과, 윤활유의 유량을 표시하도록 윤활유 케이스(94)에 형성되는 레벨 게이지(9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압연용 보강롤 초크 윤활장치.
KR1020010067657A 2001-10-31 2001-10-31 냉각압연용 보강롤 초크 윤활장치 KR100762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657A KR100762483B1 (ko) 2001-10-31 2001-10-31 냉각압연용 보강롤 초크 윤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657A KR100762483B1 (ko) 2001-10-31 2001-10-31 냉각압연용 보강롤 초크 윤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549A KR20030035549A (ko) 2003-05-09
KR100762483B1 true KR100762483B1 (ko) 2007-10-02

Family

ID=29567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7657A KR100762483B1 (ko) 2001-10-31 2001-10-31 냉각압연용 보강롤 초크 윤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24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440B1 (ko) * 2012-07-30 2014-07-31 현대제철 주식회사 백업롤
KR101978646B1 (ko) * 2018-08-23 2019-05-15 전갑열 사상압연기의 베어링 윤활유 제어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7095A (en) * 1980-09-05 1982-03-17 Hitachi Ltd Oil heating method for oil supplying equipment, etc.
JPS63177907A (ja) * 1987-01-16 1988-07-22 Nippon Steel Corp 冷間圧延におけるロ−ル冷却方法
JPH0687017A (ja) * 1992-09-09 1994-03-29 Nkk Corp 冷間圧延設備の潤滑剤供給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9980042433U (ko) * 1996-12-24 1998-09-25 김종진 열간압연 플레이트의 이물질 제거 및 윤활 장치
KR200180043Y1 (ko) * 1999-10-30 2000-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압연롤 조립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7095A (en) * 1980-09-05 1982-03-17 Hitachi Ltd Oil heating method for oil supplying equipment, etc.
JPS63177907A (ja) * 1987-01-16 1988-07-22 Nippon Steel Corp 冷間圧延におけるロ−ル冷却方法
JPH0687017A (ja) * 1992-09-09 1994-03-29 Nkk Corp 冷間圧延設備の潤滑剤供給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9980042433U (ko) * 1996-12-24 1998-09-25 김종진 열간압연 플레이트의 이물질 제거 및 윤활 장치
KR200180043Y1 (ko) * 1999-10-30 2000-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압연롤 조립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549A (ko) 200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6029B1 (ko) 마찰방지 베어링
JP3549531B2 (ja) 直動軸受けエレメント
US6357922B1 (en) Lubrication system for high speed antifriction bearings
GB2208241A (en) Pump and drive assembly therefor
DE112006001860T5 (de) Schmiereinrichtung für Wälzlager
DE3347509C2 (ko)
KR100762483B1 (ko) 냉각압연용 보강롤 초크 윤활장치
JP2003011196A (ja) 電動式射出成形装置のボールねじの潤滑構造
DE19930417C2 (de) Kurbelwellenlagerung für einen Viertaktmotor
CN209960194U (zh) 一种手动润滑泵
EP1498608B1 (de) Kompressor mit Ölschmiereinrichtung
US4375944A (en) Lubricating device for a motor compressor
DE2010747A1 (ko)
US5252039A (en) Enclosed motor-driven compressor
DE1012776B (de) Zentrifugal-OElreiniger, insbesondere fuer das Schmieroel von Brennkraftmaschinen
CN220850403U (zh) 一种耐磨损轴承套圈
CN211059056U (zh) 一种卧式离心泵轴承润滑增压装置
KR100807671B1 (ko) 알칼리액 저장탱크내의 가스 및 거품 자동배출장치
DE102020109556B4 (de) Vorrichtungen zum Verdichten eines gasförmigen Fluids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 Vorrichtungen
CN216742480U (zh) 一种高强度自润滑转动轴用轴承
CN214534036U (zh) 一种动式润滑的滚子轴承结构
CN216077992U (zh) 一种可避免单侧受力造成卡顿的直线轴承
KR100405443B1 (ko) 오일보유 능력 향상장치
JPH07314401A (ja) チェーンソー
JP2527497Y2 (ja) 加工穴の切粉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