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2413B1 -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2413B1
KR100762413B1 KR1020060027313A KR20060027313A KR100762413B1 KR 100762413 B1 KR100762413 B1 KR 100762413B1 KR 1020060027313 A KR1020060027313 A KR 1020060027313A KR 20060027313 A KR20060027313 A KR 20060027313A KR 100762413 B1 KR100762413 B1 KR 100762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hair
composition
hair 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7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기선
Original Assignee
한국미용화장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미용화장품(주) filed Critical 한국미용화장품(주)
Priority to KR1020060027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2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4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8Zanthoxylum, e.g. pricklya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 산초 또는 계피 5∼20 중량부; 당귀 2∼4 중량부; 홍삼 1∼2 중량부; 해조 1∼2 중량부; 및 감초 1∼2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액 조성물을 제조한다.
탈모방지, 발모촉진 두피질환, 비듬균, 산초, 계피, 당귀, 홍삼, 해조, 감초

Description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Compositon for Prevention of Hair Loss and Stimulation of Hair Growth}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존의 탈모방지용 생약 조성물에 항균성이 우수한 산초 또는 계피를 더 첨가함으로써 두피의 상처를 치료하고 염증을 예방함과 동시에 탈모를 방지하고 발모를 촉진하는 생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인체의 모발은 약 10만∼15만 개 정도이며 "모낭"에서 형성된다. 모낭에는 유두가 있는데, 이 부위에는 작은 혈관이 분포되어 모발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고 유두 위의 옆으로는 모발에 윤기를 주는 기름을 공급해 주는 지루샘이 있다.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주기를 가지며 성장기(anagen), 퇴행기(catagen), 휴지기(telogen)를 거쳐서 성장하고 탈락한다. 이러한 주기는 3∼6년에 걸쳐 반복되는데, 일일 평균 50∼100 개의 모발이 정상적으로 탈락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탈모증이라 함은 이러한 주기 중에서 성장기 모발의 비율이 짧아지고 퇴행기 또는 유지기 모발이 많아져 탈락하는 모발의 숫자가 비정상적으로 많아지는 것을 일컫는다.
탈모의 원인으로는 남성호르몬 작용 과잉설, 피지분비 과잉설, 혈액순환 불량설, 과산화물, 세균 등에 의한 두피기능 저하설, 유전적 요인, 노화, 스트레스 등이 논의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남성호르몬의 일종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은 5α-reductase라는 효소에 의해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ehydrotestoserone;DHT)으로 활성화된다. 이 DHT가 특정 수용체와 결합하고 탈모를 일으키는 단백질을 유도하여 탈모가 일어난다. 또한 이와 같은 기작에 의하여 피지를 과잉생성하기도 하며 여드름이나 지루성 피부염 등을 일으켜서 두피에 염증을 동반한 탈모가 나타나기도 한다.
탈모를 치료하기 위한 가장 손쉬운 방법은 약을 복용하는 것이다. 특히 미국 제약회사인 머크(Merck)사에서 나오는 "프로페시아(Propecia)"가 유명하다. 그러나 이는 가격이 비싸고 발기부전, 성욕감퇴 등의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다른 탈모방지제로 "미노시딜(Minoxidil)"이 있는데, 기름기가 많고 가마 부분이 빠지는 경우에만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화학약물요법의 부작용을 극복하기 위해 순수 한방생약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제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8-0047340호는 "인삼을 주제로 한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으로 인삼, 천궁, 한현초, 보골지 등의 한약재를 포함하여 만든 발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실험참가자 20명 중 9명에게만이 미미한 탈모방지 효과가 나타고 있을 뿐이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 0016979호에서는 오가피와 인삼 및 사과과즙을 주재료로한 발모촉진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동물에 대한 독성시험만이 기재되어 있어서 그 정확한 효과를 알 수 없고 두피염증에 대한 효과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0018061호는 샴푸"에 관한 것으로, "라벤더오일, 휘튼프로테인, 인삼사포닌" 등을 함유한 "탈모방지용 기능성 샴푸"를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모발손상 및 탈모방지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인삼을 주재료로 하여 기타 다른 천연재료를 첨가한 탈모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이는 두피질환이 발생한 경우에는 전혀 효과가 없는 것이다.
탈모는 노화에 의한 두피세포의 퇴화, 모근에 공급되는 영양소의 부족 뿐만 아니라 지방질이나 이물질 또는 두피질환에 의한 염증과 모공폐쇄현상에 의해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최근에는 유전적 요인 뿐만 스트레스나 환경적 요인에 의한 탈모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두피를 청결하게 관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 하다.
이에 본 발명자는 산초와 계피가 항균성 물질을 함유한 천연물로서 두피질환에도 효과가 있다는 점을 발견하고, 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피질환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샴푸액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두피질환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샴푸액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 산초 또는 계피 5∼20 중량부; 당귀 2∼4 중량부; 홍삼 1∼2 중량부; 해조 1∼2 중량부; 및 감초 1∼2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액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 산초 또는 계피 5∼20 중량부; 당귀 2∼4 중량부; 홍삼 1∼2 중량부; 해조 1∼2 중량부; 및 감초 1∼2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각 성분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산초(Zanthoxylum schinifolium)는 식품의 조리시 첨가하는 우리나라의 전통 향신료로, 향기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잎과 열매에 기름샘이 있어서 특이한 향과 매운 맛이 난다. 한방에서는 탕을 끓이거나 욕탕에 넣어 사지슬통(四肢膝痛)을 제거하는 데 쓰이고 풍한비습(風寒濕痺)에 좋으며 자극성 살충·살균제로 알려져 있다.
산초의 항균성은 실험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증명되고 있다. 산초로부터 항균성 물질을 분리하여 실험한 결과 E. Coli, S. aureus, B. subtilis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김순임, 한영실, 한국조리과학회지 제13권 제1호 pp.56-73, 1997).
이러한 산초의 성질을 이용하면 두피질환을 유발하는 세균 및 비듬균(Pitirosporum ovale)의 작용을 억제하고 두피의 질환을 치료하며, 두피의 모세혈관을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모근에 탁월한 산소공급과 영양공급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산초는 5∼20 중량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중량부 미만으로 이용할 경우에는 항균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고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이용하는 경우에는 두피의 혈액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계피(Cinnamomum cassia Blume) 역시 천연 항균성 물질로 분리되고 있다. 계피는 녹나무과(Lauraceae)에 속하는 상록열대 계피나무의 외피를 건조시킨 것으로 한방에서는 두통, 발열, 신경성심계항진, 진통 등의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다. 계피의 주요 성분은 방향족 화합물인 cinnamon aldehyde로 항산화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계피로부터 항균성 물질을 분리하여 실험한 결과 세균과 곰팡이에 대한 항균력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정은탁 외 3인,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제13권 제1호, pp. 337-343).
이러한 계피의 성질을 이용하면 두피질환을 유발하는 세균 및 비듬균(Pitirosporum ovale)의 작용을 억제하고 두피의 질환을 치료하며, 두피의 모세혈관을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모근에 탁월한 산소공급과 영양공급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계피는 5∼20 중량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중량부 미만으로 이용할 경우에는 항균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고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이용하는 경우에는 두피의 혈액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 산초와 계피는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서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당귀는 두피에 영양을 공급하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며, 2∼4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를 벗어나는 양을 사용하면 두피의 혈액 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 홍삼은 모세포를 활성화시켜 두피의 통풍을 조절하고 영양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1∼2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조원가의 상승으로 효율적이지 못하다.
상기 해조는 상기 산초 또는 계피, 당귀, 인삼에 함유된 항균물질,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에 유효한 성분들이 염증부위나 탈모부위에 원활하게 흡수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해조성분의 피지조절 효과를 이용하여 두피의 피지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해조는 1∼2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두피가 부드럽지 못하고 건조해질 수 있다.
상기 감초는 상기 산초 또는 계피, 당귀, 인삼, 홍삼 및 해조 성분에 포함된 독성을 중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1∼2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들로 이루어진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공지의 샴푸액 조성물과 혼합하여 두피질환을 치료함과 동시에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에 효과적인 샴푸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5∼30 중량%를 공지의 샴푸액 조성물과 혼합하 면 본 발명의 효과 및 일반 샴푸의 세정효과를 동시에 그리고 가장 효과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샴푸에 이용되는 것으로만 그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헤어컨디셔너, 헤어토닉 등에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
정제수 100 중량부; 산초 20 중량부; 당귀 4 중량부; 홍삼 2 중량부; 해조 1.5 중량부; 및 감초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기에 넣고 100∼130℃, 2기압 압력하에서 5시간 동안 가열하여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샴푸액 조성물의 제조
상기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20 중량%, POE 라우릴황산나트륨 40 중량%,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3.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2.0 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중량%, 엘-멘톨 0.3 중량%, 향료 0.5 중량%, 물 34중량%를 첨가하여 통상의 샴푸 제조방법으로 샴푸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산초를 포함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일반적인 한방 탈모방지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한방 탈모방지용 조성물 20 중량%에 통상의 살균제인 살리실산 0.1 중량%, 물 33.9 중량%를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일반적인 한방 샴푸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듬균에 대한 살균력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의 샴푸액 조성물을 액체 배지에 각각 5.0% 첨가시키고 비듬균(Pitirosporum ovale)을 접종하여 3 내지 4일간 배양한 후 최소미생물억제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MIC)를 측정하여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실시예
MIC(%) 0.5 5.0
상기 표 1의 결과와 같이 통상의 살균제인 살리실산을 포함한 비교실시예의 샴푸액 조성물보다 천연 항균물질인 산초를 포함한 실시예의 샴푸액 조성물이 비듬균에 대하여 10배의 살균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임상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의 샴푸액 조성물을 가지고 두피염증과 탈모증이 동시에 있는 성인남성 100명을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하였다. 실험군에 속하는 50명의 남성에게는 실시예의 샴푸액 조성물로 이틀에 한 번씩 머리를 감게 하고, 대조군에 속하는 50명의 남성에게는 비교실시예의 샴푸액 조성물로 이틀에 한 번씩 머리를 감게 하였다.
60일 후에 세발시 평균 탈모량, 육안 판정 소견, 두피염증 완화 정도를 다음의 평가기준에 따라 5단계로 평가하고 각각의 항목을 평균내어 종합 개선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단계 세발시 평균 탈모량 육안 판정 두피염증
5 아주 많이 감소함 아주 많이 개선됨 아주 많이 완화됨
4 중간 정도 감소함 중간 정도 개선됨 중간 정도 완화됨
3 아주 조금 감소함 아주 조금 개선됨 아주 조금 완화됨
2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1 악화되었음 악화되었음 악화되었음
구분 평균연령 세발시 탈모량 육안판정 두피염증 종합 개선도
실험군 36.7세 4.2 3.7 4.1 4.0
대조군 35.8세 2.7 2.5 2.3 2.5
상기 표 2의 결과와 같이 산초를 함유한 실시예의 샴푸액 조성물을 사용한 사람들의 경우 탈모방지효과와 더불어 두피염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상자 전원에게 어떠한 부작용도 발견되지 않아 인체에도 안전한 조성물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천연 항균물질인 산초 또는 계피를 당귀, 홍삼, 해조, 감초 성분과 혼합함으로써 두피질환에 효과가 있으며 탈모를 방지하고 발모를 촉진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고, 이를 포함하는 샴푸액 조성물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3)

  1. 정제수 100 중량부; 산초 5∼20 중량부; 당귀 2∼4 중량부; 홍삼 1∼2 중량부; 해조 1∼2 중량부; 및 감초 1∼2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2. 제1항의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샴푸액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5∼30 중량% 및 공지의 샴푸액 조성물 95∼7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액 조성물.
KR1020060027313A 2006-03-27 2006-03-27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0762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313A KR100762413B1 (ko) 2006-03-27 2006-03-27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313A KR100762413B1 (ko) 2006-03-27 2006-03-27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2413B1 true KR100762413B1 (ko) 2007-10-04

Family

ID=39418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7313A KR100762413B1 (ko) 2006-03-27 2006-03-27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24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207A (ko) * 2018-01-18 2019-07-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탈모 치료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10065495A (ko) 2019-11-27 2021-06-04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탈모방지용 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735A (ko) * 1996-11-28 1998-08-17 손경식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테스토스테론 5α환원효소 저해제
JPH1179951A (ja) 1997-09-12 1999-03-23 Shiseido Co Ltd チロシナーゼ活性促進剤
KR20000032466A (ko) * 1998-11-14 2000-06-15 오흥기 발모제
KR20020025152A (ko) * 2002-03-08 2002-04-03 안용준, 김영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듬균 조성물
KR20020032850A (ko) * 2000-10-27 2002-05-04 김병수 해조류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샴푸대용 모발세정제 및 그의제조방법
KR20050035009A (ko) * 2003-10-11 2005-04-15 김성덕 항진균 활성을 갖는 산초나무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정제된 분획을 함유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735A (ko) * 1996-11-28 1998-08-17 손경식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테스토스테론 5α환원효소 저해제
JPH1179951A (ja) 1997-09-12 1999-03-23 Shiseido Co Ltd チロシナーゼ活性促進剤
KR20000032466A (ko) * 1998-11-14 2000-06-15 오흥기 발모제
KR20020032850A (ko) * 2000-10-27 2002-05-04 김병수 해조류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샴푸대용 모발세정제 및 그의제조방법
KR20020025152A (ko) * 2002-03-08 2002-04-03 안용준, 김영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듬균 조성물
KR20050035009A (ko) * 2003-10-11 2005-04-15 김성덕 항진균 활성을 갖는 산초나무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정제된 분획을 함유하는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207A (ko) * 2018-01-18 2019-07-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탈모 치료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129409B1 (ko) 2018-01-18 2020-07-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탈모 치료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10065495A (ko) 2019-11-27 2021-06-04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탈모방지용 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33710A1 (ko) 자생 식물 및 천연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샴푸 조성물
Dodwad et al. Propolis mouthwash: A new beginning
US8668943B2 (en) Hair care compositions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preventing hair loss
KR20110075626A (ko) 천연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
KR100966902B1 (ko) 모발 건강용 트리트먼트
KR100780577B1 (ko)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천연 복합 조성물
KR10242934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64400B1 (ko) 탈모예방 및 양모(養毛) 조성물
JPH07126146A (ja) 皮膚外用剤
KR100762413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0930688B1 (ko) 천연한방 모근 강화 및 두피 청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09763B1 (ko) 한방 복합 추출물을 이용한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조성물
CN107811902B (zh) 一种防脱发育发剂及其制备方法
KR20100059301A (ko) 비듬방지 및 두피각질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샴푸액조성물
JP2011001326A (ja) エンドセリン−1mRNA発現抑制剤
JP5570744B2 (ja) エラスターゼ活性阻害剤
KR20210083236A (ko) 탈모 방지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Gite et al. A Review on oils used in herbal cosmetics
KR101442181B1 (ko)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211754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1371352A1 (en) Use of a herb mixture for stimulating and/or inducing hair growth
JP2011001328A (ja) 塩基性線維芽細胞増殖因子mRNA発現上昇抑制剤
JP3382148B2 (ja) 頭部用外用剤
KR101456655B1 (ko) 비듬 및 두피가려움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10215535A (ja) メラニン産生抑制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