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207B1 - 전력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력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207B1
KR100761207B1 KR1020010008846A KR20010008846A KR100761207B1 KR 100761207 B1 KR100761207 B1 KR 100761207B1 KR 1020010008846 A KR1020010008846 A KR 1020010008846A KR 20010008846 A KR20010008846 A KR 20010008846A KR 100761207 B1 KR100761207 B1 KR 100761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wer
connector
housing
cont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8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5458A (en
Inventor
슈에이조셉비.
Original Assignee
커넥터 시스템즈 테크놀로지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커넥터 시스템즈 테크놀로지 엔.브이. filed Critical 커넥터 시스템즈 테크놀로지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10085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5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4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7Coupling devices presenting arrays of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7PCB mounted connector with ground terminal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과 제1 전원 접점 및 제2 전원 접점을 구비한 전력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제1 접점은 하우징에 연결된다. 제1 접점은 적어도 두 개의 접촉 빔을 구비한다. 제2 접점은 하우징에 연결된다. 제2 접점은 제1 접점의 접촉 빔(beam)에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외부에 위치한 적어도 두 개의 제2 접촉 빔을 구비한다. 제2 접점은 각 접촉 빔용의 개별적인 연결부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접점은 그들 길이의 대부분을 따라서 대략 0.8mm(30mil) 미만으로 서로 밀접하게 근접하여 위치한다.
커넥터, 하우징, 제1 접점, 제2 접점, 스페이서

Description

전력 커넥터 {ELECTRICAL POWER CONNECTOR}
도1은 본 발명의 특징을 구현한 전기 연결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
도2a는 도1에 도시된 제1 커넥터에 사용된 두 개의 접점의 사시도.
도2b는 도1에 도시된 제2 커넥터에 사용된 세 개의 접점의 사시도.
도3a는 도1에 도시된 두 개의 커넥터의 접점 부분이 연결되기 전의 개략 평면도.
도3b는 도3a의 두 개의 커넥터가 서로 결합되었을 때의 개략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대체 실시예에 의한 두 개의 커넥터의 접점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제1 커넥터
14: 제2 커넥터
18: 하우징
26: 스페이서
본 발명은 전력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축 전력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제5,516,294호는 신호 단자용 동축 상호 접속 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PCT 공개 제WO99/19943호는 두 개의 접점 사이의 유전체 층에 의해 연결된 외부 접지 접점과 내부 신호 접점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전송 경로용으로 사용되는 동축 커넥터는 수년간 사용되었다. 동축 커넥터가 사용된 이유는 전송 경로의 임피던스(impedance)를 근접하게 일치시킬 수 있는 성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낮은 인덕턴스(inductance)를 가지는 커넥터는 낮은 임피던스를 가지는 커넥터이다. 전자 부품과 관련된 특정 전원 적용예에서, 전원 커넥터, 특히 낮은 임피던스와 낮은 인덕턴스를 가지고 있지 않은 전원 커넥터는 전자 부품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전원 커넥터는 원치 않는 과도 전압 발생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커넥터는 주위의 신호 전송 통로 또는 접점 주변에 잘못된 신호 또는 변질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현대의 (컴퓨터) 전원 응용예에서는 낮은 인덕턴스를 가지는 전원 커넥터를 필요로 한다.
전원 공급기와 전원 소비 장치 사이 또는 직류 대 직류 변환기와 전원 소비 장치 사이의 인터페이스와 같이 낮은 인덕턴스를 가지는 전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적인 모드의 과도 전압 발생을 최소화하고 전원 분배 임피던스를 최소화하는 전원 커넥터의 제공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과, 제1 전원 접점, 제2 전원 접점을 구비한 전력 커넥터가 제공된다. 제1 접점은 하우징에 연결된다. 제1 접점은 적어도 두 개의 접촉 빔을 구비한다. 제2 접점은 하우징에 연결된다. 제2 접점은 제1 접점의 접촉 빔과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외부에 위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접촉 빔을 포함한다. 제2 접점은 각각의 접촉 빔용의 개별적인 연결부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접점은 그 길이의 대부분을 따라 대략 0.8mm(30mil) 미만으로 서로 가까이 근접하도록 위치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과,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을 구비한 동축 전력 커넥터가 제공된다. 제1 접점은 하우징에 연결된다. 제1 접점은 적어도 두 개의 외팔보형 접촉 빔을 갖는 스탬핑 형성된 부재를 구비한다. 제2 접점 또한 하우징에 연결되어 있다. 제2 접점은 제1 접점의 접촉 빔의 외부에 위치하고 제1 접점의 접촉빔에 대해 개별적으로 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접촉 빔을 갖는 스탬핑 형성된 부재를 구비한다. 결합 커넥터가 동축 전력 커넥터와 연결될 때, 제1 접점의 접촉 빔의 일부는 제2 접점의 접촉 아암의 수납 영역 내로 돌출된다. 이 커넥터가 결합 커넥터에 낮은 임피던스와 낮은 인덕턴스를 가지는 전원 연결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접점은 그들의 길이의 대부분을 따라 서로 가까이 근접하도록 통상 평행하게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방법에 의하면, 두 개의 접촉 빔과 스탬핑 형성된 부재를 갖는 제1 접점을 제공하는 단계와, 두 개의 접촉 빔과 스탬핑 형성된 부재를 갖는 제2 접점을 제공하는 단계와, 제1 및 제2 접점을 그 접촉 빔들이 동축 형태로 통상 서 로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서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커넥터 조립 방법이 제공된다. 연결 단계는 제1 및 제2 접점을 접점 길이의 대부분을 따라 서로 근접하도록 위치시킨다. 접점들 사이의 간격은 접점 길이의 대부분을 따라 대략 0.8mm(30mil) 미만이다.
본 발명의 전술된 태양과 다른 특징들은 첨부 도면과 함께 고려되는 이후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된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특징을 구체화한 전기 접속 시스템(10)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된다. 비록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되지만, 본 발명은 많은 대체 형태의 실시예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적합한 크기, 형태 또는 종류의 요소 또는 재료들도 사용될 수 있다.
전기 접속 시스템(10)은 통상 제1 커넥터(12)와 제2 커넥터(14)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커넥터(12)는 두 군의 전원 접점용으로 두 개의 구역(16)을 가진 동축 전력 커넥터이다. 양호하게는, 접점의 각 군은 전원 공급부와 전원 복귀부(return)를 포함한다. 도1에서는 단지 도시의 목적으로 단지 하나의 구역(16) 내의 한 쌍의 접점을 도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특징은 단지 한 군의 전원 접점, 두 개 이상의 군의 전원 접점 및/또는 신호 접점을 또한 갖는 커넥터에 구체화될 수 있다. 제2 커넥터(14) 역시 동축 전력 커넥터이지만, 단 하나의 구역을 가지며 제1 커넥터(12)의 단 하나의 접점 군과 결합하는 하나의 접점 군을 가진다. 그러나, 대체 실시예에서 제2 커넥터(14)는 하나 이상의 구역과 하나 이상의 접점 군을 갖는 전도성 및 절연성 재료의 샌드위치 배치로 제조되고, 제1 커넥터의 신호 접점과 결합하는 신호 접점을 가진다.
제1 커넥터(12)는 통상 하우징(18)과 적어도 한 군의 전기 접점 또는 접점 조립체(20)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커넥터(12)는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전자 부품에 장착되도록 일반적으로 고려된다. 마찬가지로, 제2 커넥터(14)는 일반적으로 다른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다른 전자 부품에 장착되도록 고려된다. 하우징(18)은 성형 플라스틱이나 중합체 재료 같은 적절한 유전체 재료로 구성된다. 그러나, 임의의 적합한 하우징이 제공될 수 있다.
접점 조립체(20)는 일반적으로 내부 전원 접점(22), 외부 전원 접점(24) 및 스페이서(26)를 포함한다. 비록 하우징(18)에 삽입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하우징(18)은 접점 조립체(20) 주위로 오버몰딩(overmolded)될 수 있다. 또한 도2a를 참조하면, 관통 구멍 장착식 내부 접점(22)은 기부(38)와, 접촉 아암(30)과, 장착 단부의 납땜 미부(32)를 통상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 내부 접점(22)은 양호하게는 구리 합금의 평평한 시트와 같은 적합한 전기 전도성 재료로 스탬핑 형성된 단일 부재이다. 그러나, 대체 실시예에서는 이 내부 접점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 및/또는 임의의 적합한 비축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접점 조립체(20)는 전도성 재료와 절연성 재료의 샌드위치 배치로 제조될 수 있다.
기부(28)는 두 개의 단부나 모서리(34, 35)가 서로 일반적으로 대향하게 위치된 위치로 접철된 일반적인 단면 루프 형태를 갖는다. 그러나, 기부(28)는 임의 의 적합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납땜 미부(32)는 기부(28)의 바닥과 모서리(34, 35)로부터 연장된다. 이 실시예에서, 납땜 미부(32)는 각 모서리(34, 35)의 한 부분으로부터 형성된 두 개의 인접한 부분(32a, 32b)으로 각각 구성된다. 그러나, 대체 실시예에서는 납땜 미부는 모서리의 하나로부터 단지 돌출되고, 군을 이루기보다는 산재하여 배치되며, 그리고/또는 모서리보다는 기부에서 돌출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장착 단부의 종단부(termination)는 관통 구멍식 납땜 미부이다. 그러나, 대체 실시예에 있어서 종단부는 압착 고정식 핀이거나, 표면 장착식 납땜 미부이거나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연결 형태이다.
또한 도3a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 내부 접점(22)은 두 개의 접촉 아암(30)을 가진다. 그러나, 대체 실시예에서는 두 개 이상의 접촉 아암이 제공될 수 있다. 두 개의 접촉 아암(30)은 일반적인 외팔보 형태로 두 개의 대향 측면에서 기부(28)의 전방 단부로부터 돌출된다. 각 아암(30)은 제1 부분(36), 제2 부분(38) 및 제3 부분(40)을 구비하거나 또는 (연속적인 곡선형태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부분(36)은 대체로 직선이다. 제2 부분(38) 또한 사실상 직선이나, 제1 부분(36)으로부터 안쪽으로 각을 가지고 연장된다. 제3 부분(40)은 제2 부분(38)으로부터 연장되고 통상 곡선의 형상을 가진다. 두 개의 제3 부분(40)은 그 사이에 접점 수납 구역(42)을 형성하고 서로 대향 위치된 접촉 표면(44)을 갖는다. 커넥터가 결합할 때 내부 접점(22)이 외부 접점(24)과 근접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아암의 형태가 선택된다.
외부 접점(24)은 양호하게는 구리 합금의 평평한 시트와 같은 적합한 전도성 재료로부터 스탬핑 형성된 단일 부재일 수 있다. 그러나, 외부 접점(24)은 하나 이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임의의 적합한 방법 및/또는 임의의 적합한 비축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접점(24)은 통상 기부(46), 접촉 아암(48) 및 납땜 미부(50)를 구비한다. 기부(46)는 사실상 개방된 바닥 측벽을 갖는 일반적인 "U"자형 단면 형태를 가진다. 납땜 미부(50)는 기부(46)의 대향 측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된다. 이 실시예에서 종단부는 관통 구멍식 납땜 미부(50)이다. 그러나 대체 실시예에서 압착 고정식 핀이나 표면 장착식 납땜 미부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종단부가 제공될 수 있다. 접촉 아암(48)은 일반적으로 두 개의 대향 측면으로부터의 일반적인 외팔보 형태로 기부(46)의 전방으로부터 연장된다. 접촉 아암(48)은 각각 제1 부분(52)과 제2 부분(54)을 구비한다. 제1 부분(52)은 사실상 직선인 부분을 구비한다. 양호하게는, 제1 부분(52)들은 임피던스를 제어하기 위해서 내부 접점(22)의 제1 부분(36)과 대체로 평행하다. 그러나, 대체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부분(52)은 결합 커넥터(14)와의 접속 이전에 제1 부분(36)에 대해 임의의 적절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부분(54)은 제1 부분(52)으로부터 연장되고 외향의 접촉 구역(56)을 갖는 곡면이다. 제2 부분(54)의 전단부는 바깥으로 경사진 표면(57)을 가지고 있다.
스페이서(26)는 통상 캡톤(KAPTON) 또는 마일라(MYLAR)와 같은 폴리에스터 필름이나 필름 형태의 폴리마이드 수지 같은 유전체 재료로 구성된다. 그러나, 임의의 적합한 유전체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스페이서(26)는 외부 접점(24)의 내부 표면에 층이나 코팅으로 적용된다. 특히, 스페이서(26)는 기부(46) 의 3개 측부의 내부 표면과 접촉 아암(48)의 내향 표면에 적용된다. 대체 실시예에 있어서, 접촉 아암(30, 48)이 그 사이의 공기 공간에 의해서 서로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될 때와 같이, 접촉 아암(48) 내향 표면은 그곳에 적용되는 스페이서(26)를 가질 필요가 없다. 스페이서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내부 접점(22)의 기부(38)의 외부 표면 및/또는 접촉 아암(30)의 외향 표면에 적용된다. 필름과 같은 스페이서를 접점에 도포하는 것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이 스페이서(26)를 접점(22) 및/또는 접점(24)에 적용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스페이서(26)는 삽입체가 될 수 있다. 스페이서(26)는 양호하게는 대략 0.8mm(30mil) 미만과 같이 매우 얇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스페이서(26)는 대략 0.25mm(10mil) 또는 대략 0.05 내지 0.125mm(2 내지 5mil)와 같은 단지 수 mil의 두께를 가진다.
접점(22) 및/또는 접점(24)에 스페이서(26)가 적용된 후에, 접점(22, 24)들은 접점 조립체(20)의 안으로 조립되고 하우징(18)의 안으로 삽입된다. 기부(28, 46)들은 스페이서(26)가 두개의 기부(28, 46)들 사이에 끼워지도록 스페이서(26)에 의해 양호하게는 서로 분리된다. 따라서, 두 개의 기부(28, 46)들은 서로 매우 근접하게 위치한다. 접촉 아암(30, 48)들은 양호하게는 서로에 대해 개별적으로 편향 가능하다. 스페이서(26)는 접촉 아암(30, 48)들 사이에 끼워지거나 또는 접촉 아암(30, 48)들 사이의 공간이나 간격(즉, 공기를 유전체로 사용함.)으로 될 수 있다. 내부 및 외부 접점(22,24)은 커넥터(12)의 길이의 대부분에서 근접하게 유지된다.
제2 커넥터(14)는 통상 하우징(58)과 3개의 접점(60, 61, 62)을 구비한다. 하우징(58)은 성형 플라스틱이나 중합체 재료와 같은 적합한 유전체 재료로 구성된다. 그러나 임의의 적합한 하우징이 제공될 수 있다. 3개의 접점(60, 61, 62)은 구리 합금의 평평한 시트로 스탬핑 형성된 것과 같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 단일 부재를 각각 구비한다. 각 접점은 주요 부분(64)과 이 주요 부분에서 연장된 납땜 미부(66)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 각 주요 부분(64)은 통상 테이퍼진 전방 모서리를 갖는 일반적으로 평평한 평면의 형상이며, 중앙 접점(61)은 쐐기형 전방 모서리를 갖고, 두 개의 외부 접점(60, 62)은 내향 경사진 전방 모서리를 갖는다. 두 개의 외부 접점(60, 62)의 외부 측부는 하우징(58)의 측부의 내부 표면에 대해 지지된다. 세 개의 접점(60, 61, 62)들은 또한 하우징(58)의 상부 및 하부 측면에 의해 지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8)은 접점 조립체(20)의 주위에 오버몰딩될 수 있다. 수납 구역(68)은 중앙 접점(61)과 두 개의 외부접점(60, 62) 사이에 형성된다. 납땜 미부(66)는 하우징(58)의 하부로부터 연장된다. 이 실시예에서, 종단부는 관통 구멍식 납땜 미부이지만, 압착 고정식 핀 또는 표면 장착식 납땜 미부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종단부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도3a와 도3b를 참조하면, 두 개의 커넥터(12, 14)가 각각 결합할 때 제2 커넥터(14)의 내부 접점(61)은 두 개의 접촉 아암(30) 사이의 구역(42) 안에 수납되어 표면(44)과 전기 접촉한다. 두 접촉 아암(30)은 중앙 접점(61)에 의해 약간 바깥으로 밀린다. 각 아암(30)의 두 부분(36, 38) 사이의 굴곡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펴진다. 제2 커넥터(14)의 두 외부 접점(60, 62)들은 외부 접촉 아암(48)의 외부를 따라 위치한다. 아암(60, 48 및 62, 48)이 서로 접촉할 때, 표면(56)이 아암(60, 62)과 전기적인 접촉을 이룬 상태로 아암(48)은 안쪽으로 편향된다. 일단 연결되면 제1 커넥터(12)의 접촉 아암(30, 48)들은 양호하게 서로 그들의 길이를 따라[비록 곡면 부분(40, 54)에서 약간 평행에서 벗어난 상황이 존재하더라도] 평행하게 위치한다. 스페이서(26)는 접촉 아암(30, 48)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유지한다. 선택적으로, 스페이서(26)가 접촉 아암(30, 48)에 제공되지 않더라도 그들이 휘어질 때 공기의 간격이나 공간이 접촉 아암(30, 48)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현대의 (컴퓨터) 전원 응용 제품에서 필요한 것은 낮은 인덕턴스를 가지는 전원 커넥터이다. 낮은 인덕턴스를 가지는 커넥터는 낮은 임피던스를 가지는 커넥터이다. 임피던스는 물리적 치수에 의해 제어된다. 그래서, 이러한 개념으로 커넥터(12)의 내부 및 외부의 도체 부재들은 커넥터 길이의 대부분에 걸쳐 근접하게 유지된다. 내부 및 외부 접점의 몸체는 단지 수 mil(1mil=0.001inch)의 두께를 가지는 캡톤이나 마일라와 같은 매우 얇은 유전체로 분리된다. 두 접점의 상호간의 근접[예를 들어 대략 0.25mm(10mil) 또는 단지 0.05 내지 0.125mm(2 내지 5mil) 미만]은 인덕턴스를 낮춘다. 접점의 빔은 결합된 상태에서 휘어졌을 때 양호하게 그들의 길이를 따라 거의 평행을 이루며 유전체 재료나 공기에 의해 절연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두 커넥터(12, 14)는 두 개의 부품 사이의 동축 전원 전달 커넥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접점(22, 61)은 전기를 공급하고, 접점(24, 60, 61)은 복귀부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접점(22, 24)은 그들의 길이 대부분을 따라 평행하게 서로 매우 근접한 상태를 유지하고, 한 쌍의 아암(30, 48)은 또한 평행을 유지하거나 그들의 대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사실상 평행을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커넥터(12)는 원치 않는 과도 전압의 유입 또는 잘못된 신호의 발생 또는 신호 전송 경로/접점 주변에서의 신호의 변질과 같이 낮은 인덕턴스를 가지지 않는 전원 커넥터에 의해 야기될 수도 있는 문제점들을 피할 수 있도록 컴퓨터 전원 응용 제품에 사용되기에 특히 양호한 낮은 인덕턴스를 가지는 전원 커넥터와 낮은 임피던스를 가지는 커넥터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낮은 임피던스와 낮은 인덕턴스를 가지는 동축 전원 연결구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들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또는 적어도 사실상 감소시킬 수 있다.
리셉터클 측의 중앙 접점(22)의 리드(lead)는 이 접점의 양쪽으로부터의 리드(32)가 인쇄 회로 기판의 한 구멍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알게 될 것이다. 이것은 사용자에 의한 손쉬운 활용을 위한 편리한 대칭의 구멍 형태를 가지도록 한다.
헤더(header; 14) 상에 두 개의 분리된 판(60, 62)이 외부의 리셉터클 접점(24)과 접촉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일 형성된 접점을 손쉽게 사용할 수도 있다. 도4는 명확하게 하기 위해 두 커넥터 사이의 접점이 하우징 없이 도시된 하나의 대체 사용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헤더 커넥터는 외부 접점(80)과 내부 접점(82)을 구비한다. 외부 접점(80)은 일반적인 "U"자 형태의 본체(84)와 일반적인 "U"자 형태의 양쪽 끝으로부터 연장하는 납땜 미부(86)를 가진 단일 부재로 구성된다. 내부 접점(82)은 양호하게는 접철된 단일 부재이고, 본체(88)와 납땜 미부(90)와 본체(88)의 전방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두 개의 부분(92)을 포함한다. 두 개의 부분(92)은 서로 접철되어 있고, 접촉 아암(30) 사이로의 삽입을 위한 수형된 접점 부분을 형성한다. 외부 접촉 아암(48)은 또한 구역(94) 내에 수납되고, 본체(84)의 횡방향 측면의 내부 표면과 접촉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단지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다양한 대체예와 변경예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당업자에 의해 개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 범위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대체예와 변경예와, 개조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전원 공급기와 전원 소비 장치 사이 또는 직류 대 직류 변환기와 전원 소비 장치 사이의 인터페이스와 같이 낮은 인덕턴스를 가지는 전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적인 모드의 과도 전압 발생을 최소화하고 전원 분배 임피던스를 최소화하는 전원 커넥터의 제공이 바람직하다.

Claims (20)

  1.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력 커넥터이며,
    상기 제1 커넥터는
    하우징과,
    기부와, 상기 기부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두 개의 외팔보형 접촉 빔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제1 전원 접점으로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외팔보형 접촉 빔 각각은 상기 기부에 인접하게 위치한 직선부를 포함하는 제1 전원 접점과,
    제2 기부와, 상기 제1 전원 접점의 외팔보형 접촉 빔의 직선부 각각의 평면에 대해서 평행하면서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기부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두 개의 외팔보형 제2 접촉 빔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제2 전원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전원 접점은 적어도 두 개의 외팔보형 제2 접촉 빔 각각에 대한 개별적인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원 접점 및 상기 제2 전원 접점은 그 길이의 대부분을 따라 대략 0.8mm(30mil) 미만으로 서로 근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제2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에 배치되어 중앙 접점과 두 개의 외부 접점을 형성하고, 상기 중앙 접점과 두 개의 외부 접점 사이에 수납 구역을 형성하고,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 세 개의 접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하우징이 제2 커넥터 하우징과 결합될 때,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중앙 접점은 제1 전원 접점의 적어도 두 개의 외팔보형 접촉 빔 사이에 수용되고, 상기 두 개의 외부 접점은 제2 전원 접점의 적어도 두 개의 외팔보형 제2 접촉 빔의 외측에 위치되는 전력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전원 접점 및 제2 전원 접점 각각은 스탬핑 형성된 단일 부재를 구비하는 전력 커넥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기부는 루프 형태를 취하고, 적어도 하나의 납땜 미부가 상기 루프 형태로부터 연장되는 전력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제1 전원 접점은 스탬핑 형성된 단일 부재를 포함하고, 기부는 서로 대향 위치하는 단일 부재의 두 개의 모서리를 구비하고, 두 개의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납땜 미부를 갖는 전력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제2 전원 접점의 제2 기부는 제1 전원 접점의 기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전력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의 대부분을 따라 상기 제1 전원 접점 및 제2 전원 접점의 일부 사이에 위치된 유전체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전력 커넥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유전체 스페이서는 제1 전원 접점의 외팔보형 접촉 빔과 제2 전원 접점의 외팔보형 제2 접촉 빔 사이에 위치하는 전력 커넥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010008846A 2000-02-23 2001-02-22 전력 커넥터 KR1007612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511,389 2000-02-23
US09/511,389 US6471523B1 (en) 2000-02-23 2000-02-23 Electrical power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5458A KR20010085458A (en) 2001-09-07
KR100761207B1 true KR100761207B1 (ko) 2007-09-21

Family

ID=24034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8846A KR100761207B1 (ko) 2000-02-23 2001-02-22 전력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71523B1 (ko)
EP (1) EP1128478A1 (ko)
JP (1) JP2001250643A (ko)
KR (1) KR100761207B1 (ko)
CN (1) CN1213522C (ko)
CA (1) CA2337681C (ko)
TW (1) TW48475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9075B1 (en) * 1998-04-17 2001-11-20 Fci Americas Technology, Inc. Power connector
US7314377B2 (en) * 1998-04-17 2008-01-01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power connector
US20020098743A1 (en) * 1998-04-17 2002-07-25 Schell Mark S. Power connector
US6850204B1 (en) * 2002-11-07 2005-02-01 Lockheed Martin Corporation Clip for radar array, and array including the clip
US20040147169A1 (en) 2003-01-28 2004-07-29 Allison Jeffrey W. Power connector with safety feature
US6848950B2 (en) * 2003-05-23 2005-02-01 Fci Americas Technology, Inc. Multi-interface power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same
CN101552400B (zh) * 2003-12-31 2012-05-30 Fci公司 电源触头及包括电源触头的连接器
EP1702389B1 (en) 2003-12-31 2020-12-09 Amphenol FCI Asia Pte. Ltd. Electrical power contacts and connectors comprising same
US7458839B2 (en) 2006-02-21 2008-12-02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s having power contacts with alignment and/or restraining features
US6923661B1 (en) 2004-06-17 2005-08-02 Molex Incorporated Power connector for mounting on a circuit board
US20080182679A1 (en) * 2004-06-24 2008-07-31 Larry Trudeau Golf ball retrieving system
US7001189B1 (en) 2004-11-04 2006-02-21 Molex Incorporated Board mounted power connector
US7384289B2 (en) 2005-01-31 2008-06-10 Fci Americas Technology, Inc. Surface-mount connector
US7104812B1 (en) * 2005-02-24 2006-09-12 Molex Incorporated Laminated electrical terminal
US7303427B2 (en) * 2005-04-05 2007-12-04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air-circulation features
US7376215B2 (en) * 2005-12-27 2008-05-2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asurement of ash composition using scanning high voltage X-ray sensor
US7726982B2 (en) 2006-06-15 2010-06-01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s with air-circulation features
US7905731B2 (en) 2007-05-21 2011-03-15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stress-distribution features
US7762857B2 (en) 2007-10-01 2010-07-27 Fci Americas Technology, Inc. Power connectors with contact-retention features
US8062051B2 (en) 2008-07-29 2011-11-22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communication system having latching and strain relief features
USD606497S1 (en) 2009-01-16 2009-12-22 Fci Americas Technology, Inc. Vertical electrical connector
USD608293S1 (en) 2009-01-16 2010-01-19 Fci Americas Technology, Inc. Vertical electrical connector
USD610548S1 (en) 2009-01-16 2010-02-23 Fci Americas Technology, Inc. Right-angle electrical connector
USD664096S1 (en) 2009-01-16 2012-07-24 Fci Americas Technology Llc Vertical electrical connector
USD640637S1 (en) 2009-01-16 2011-06-28 Fci Americas Technology Llc Vertical electrical connector
US8323049B2 (en) 2009-01-30 2012-12-04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ower contacts
USD619099S1 (en) 2009-01-30 2010-07-06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US8366485B2 (en) 2009-03-19 2013-02-05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ibbed ground plate
USD618181S1 (en) 2009-04-03 2010-06-22 Fci Americas Technology, Inc. Asymmetrical electrical connector
USD618180S1 (en) 2009-04-03 2010-06-22 Fci Americas Technology, Inc. Asymmetrical electrical connector
US8366458B2 (en) * 2009-06-24 2013-02-05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power connector system
US8007316B2 (en) * 2009-06-29 2011-08-3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tact assembly having an integrally formed capacitive element
US20120267154A1 (en) * 2011-04-20 2012-10-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w Resistance, Multi-Contact Point Pin
TWM420093U (en) * 2011-08-26 2012-01-01 Aces Electronic Co Ltd Plug connector, jack connector and their assembly
TWM420072U (en) * 2011-08-26 2012-01-01 Aces Electronic Co Ltd Plug connector, jack connector and their assembly
TWM420094U (en) * 2011-08-26 2012-01-01 Aces Electronic Co Ltd Plug connector, jack connector and their assembly
KR101212808B1 (ko) 2011-10-24 2012-12-18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커넥터가 실장된 보드
EP2624034A1 (en) 2012-01-31 2013-08-07 Fci Dismountable optical coupling device
US8944831B2 (en) 2012-04-13 2015-02-03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ibbed ground plate with engagement members
USD727852S1 (en) 2012-04-13 2015-04-28 Fci Americas Technology Llc Ground shield for a right angle electrical connector
US9257778B2 (en) 2012-04-13 2016-02-09 Fci Americas Technology High speed electrical connector
USD727268S1 (en) 2012-04-13 2015-04-21 Fci Americas Technology Llc Vertical electrical connector
USD718253S1 (en) 2012-04-13 2014-11-25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cable connector
US9543703B2 (en) 2012-07-11 2017-01-10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connector with reduced stack height
USD751507S1 (en) 2012-07-11 2016-03-15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connector
JP2014026830A (ja) * 2012-07-26 2014-02-06 Fujitsu Component Ltd ヘッダ、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ヘッダの製造方法
DE202012008969U1 (de) * 2012-09-18 2012-11-09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ung
CN103825122B (zh) * 2012-11-19 2016-02-03 欧品电子(昆山)有限公司 电源连接器
USD745852S1 (en) 2013-01-25 2015-12-22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connector
USD720698S1 (en) 2013-03-15 2015-01-06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cable connector
CN104103931B (zh) * 2013-04-01 2018-02-16 泰科电子公司 具有带多个触头横梁的电触头的电连接器
CN105580211B (zh) * 2013-07-12 2017-12-15 莫列斯有限公司 电源连接器
CN106486805B (zh) * 2015-08-13 2018-09-07 莫列斯公司 电连接装置
CN106785585B (zh) * 2015-11-23 2019-05-10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源连接器
TWI755684B (zh) 2016-06-15 2022-02-21 美商山姆科技公司 提供接觸支撐和阻抗匹配特性之包覆成型導線架
CN112119545B (zh) * 2019-07-26 2022-12-09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连接器、用电设备和连接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4041A (en) * 1987-06-22 1988-03-29 Control Data Corporation Electrical power connector
US4959028A (en) * 1989-04-12 1990-09-25 Switchcraft Inc. Electrical power connector
US5122081A (en) * 1991-04-09 1992-06-16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power connector
JPH06295763A (ja) * 1993-04-02 1994-10-21 Ike Denki Seisakusho:Yugen 電源コネクタ
WO1999019943A1 (en) * 1997-10-15 1999-04-22 Berg Technology, Inc. Connect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0244A (en) 1980-05-12 1982-11-23 Amp Incorporated Miniature coaxial connector assembly
US4398783A (en) 1981-06-22 1983-08-16 International Telephone & Telegraph Corporation Coaxial cable connector
US4448467A (en) 1982-09-02 1984-05-15 Amp Incorporated Connector assembly having compact keying and latching system
US4494816A (en) 1983-07-27 1985-01-22 At&T Bell Laboratories Coaxial cable connector
US4519666A (en) * 1983-08-15 1985-05-28 Allied Corporation Triaxial electrical connector
US4605269A (en) 1984-06-20 1986-08-12 Amp Incorporated Printed circuit board header having coaxial sockets therein and matable coaxial plug housing
US4759729A (en) 1984-11-06 1988-07-26 Adc Telecommunications, Inc.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US5169324A (en) 1986-11-18 1992-12-08 Lemke Timothy A Plug terminator having a grounding member
US5057028A (en) 1986-11-18 1991-10-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Receptacle having a nosepeice to receive cantilevered spring contacts
JPH0313989Y2 (ko) 1987-03-18 1991-03-28
US4975066A (en) 1989-06-27 1990-12-04 Amp Incorporated Coaxial contact element
US5522737A (en) * 1992-03-24 1996-06-04 Molex Incorporated Impedance and inductance control in electrical connectors and including reduced crosstalk
NL9202302A (nl) 1992-12-31 1994-07-18 Du Pont Nederland Koaxiaal interkonnektiesysteem.
DE4400499C2 (de) * 1994-01-11 1996-05-02 Itt Cannon Gmbh Kontaktfeder-Anordnung
JP3563147B2 (ja) 1995-03-07 2004-09-0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US5533901A (en) * 1995-05-23 1996-07-09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tact alignment member
US5807117A (en) * 1996-07-15 1998-09-15 Augat Inc. Printed circuit board to housing interconnect system
US5797770A (en) 1996-08-21 1998-08-25 The Whitaker Corporatio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6162093A (en) 1999-08-06 2000-12-19 Agilent Technologies, Inc. Ultrasound transducer connector assemb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4041A (en) * 1987-06-22 1988-03-29 Control Data Corporation Electrical power connector
US4959028A (en) * 1989-04-12 1990-09-25 Switchcraft Inc. Electrical power connector
US5122081A (en) * 1991-04-09 1992-06-16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power connector
JPH06295763A (ja) * 1993-04-02 1994-10-21 Ike Denki Seisakusho:Yugen 電源コネクタ
WO1999019943A1 (en) * 1997-10-15 1999-04-22 Berg Technology, Inc. Connect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71523B1 (en) 2002-10-29
CN1213522C (zh) 2005-08-03
CA2337681C (en) 2008-08-05
CN1310496A (zh) 2001-08-29
JP2001250643A (ja) 2001-09-14
CA2337681A1 (en) 2001-08-23
KR20010085458A (en) 2001-09-07
TW484753U (en) 2002-04-21
EP1128478A1 (en) 2001-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207B1 (ko) 전력 커넥터
US9331410B2 (en) Electrical connector
US6575793B1 (en) Audio jack connector
US20220173550A1 (en) Integrally shielded cable connector
US6394823B1 (en) Connector with terminals having increased capacitance
US7819703B1 (en) Electrical connector configured by wafer having coupling lead-fram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5800204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KR960706701A (ko) 고밀도 전기 조립체용 커넥터(connector for high density electronic assemblies)
JP2004534358A (ja) インピーダンス調整された高密度コネクタ
US6056559A (en) Punched sheet coax header
US7413476B2 (en) Electrical interconnection with mating terminals
US5421741A (en)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US6478586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ductive terminals that are provided with a dielectric coating
JP3148855B2 (ja) 電気コネクタ
US6358094B1 (en) Low inductance connector with enhanced capacitively coupled contacts for power applications
US6464534B1 (en) Flexible circuit assembly having a flexible circuit support connected to a flexible circuit
US6379179B2 (en) Semiconductor signal connector
JP3079467B2 (ja) グランド強化型電気コネクタ
JP2974293B2 (ja) 活線挿抜コネクタ
JP3715720B2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
US6280204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ultiple rows of terminals
KR20040028768A (ko) 전기 커넥터
JP2021026980A (ja) コネクタ及びそれに用いるソケット
CN113224566B (zh) 连接器
JP3333937B2 (ja) 平行基板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