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162B1 - 전계발광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전계발광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162B1
KR100761162B1 KR1020050130145A KR20050130145A KR100761162B1 KR 100761162 B1 KR100761162 B1 KR 100761162B1 KR 1020050130145 A KR1020050130145 A KR 1020050130145A KR 20050130145 A KR20050130145 A KR 20050130145A KR 100761162 B1 KR100761162 B1 KR 100761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layer
light emitting
region
substrate
pixe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0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8231A (ko
Inventor
정영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0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162B1/ko
Publication of KR20070068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8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ome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계발광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판 상에 형성된 두 개의 전극 사이에 내재된 발광부를 포함하는 픽셀회로부; 두 개의 전극에 각기 연결된 연결배선들; 연결배선들 중 꺾이는 영역 상에 위치하는 절연막; 및 픽셀회로부의 외측 영역에 실란트를 도포하도록 정의된 실링영역을 포함하며, 실링영역에 대응하는 절연막 부분의 두께는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두꺼운 전계발광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전계발광표시 장치, 숏트 방지, 실란트

Description

전계발광표시 장치{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도 1a는 종래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b는 도 1a의 A-A를 절단한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b는 도 2a의 Z-Z를 절단한 단면도.
도 2c 내지 도 2e는 제1실시예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b는 도 3a의 X-X를 절단한 단면도.
삭제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310,410: 기판 312,412: 애노드
320,420: 캐소드 331,431: 스캔배선
332,432: 데이터배선 335,435: 스캔패드부
336,436: 데이터패드부 340,440: 절연막
370,470: 실란트
본 발명은 전계발광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전자(electron) 주입전극(cathode)과 정공(hole) 주입전극(anode)으로부터 각각 전자와 정공을 발광층 내부로 주입시켜,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한 엑시톤(exciton)이 여기상태로부터 기저상태로 떨어질 때 발광하는 소자이다.
이러한, 유기전계발광소자는 구동방식에 따라 수동매트릭스형 유기 전계 발광 소자(Pass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MOLED)와 능동매트릭스형 유기 전계 발광 소자(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AMOLED)로 구분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유기전계발광소자(PMOLED, AMOLED)는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 있는바 관련 분야 기술 개발 또한 계속되고 있다.
이하, 도 1a 와 도 1b를 참조하여 종래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한다.
도 1a는 종래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의 A-A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100)는, 기판(110) 상에 소정 간격으로 분리되어 스트라이프 형태로 형성된 애노드(Anode)(112), 절연층(미도시), 발광부(미도시) 및 캐소드(Cathode)(120)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 수동매트릭스형이다.
기판(110)상에 형성된 애노드(112)는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로 형성되어 투명한 전극을 갖고, 절연층은 애노드(112) 간의 도전성분을 절연하는 목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절연층에는 화소가 형성될 수 있도록 애노드(112)가 형성된 영역에 오픈부를 갖도록 패턴되고, 패턴된 오픈부에 발광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공정의 편의상 기판(110) 상에는 역 마름모형태의 격벽을 더 형성하여 발광부나 캐소드(120)를 형성할 때, 섀도 마스킹 등을 이용하지 않고, 형성된 격벽에 의해 발광부와 캐소드(120)가 기판(110) 상에 분리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애노드(112)와 캐소드(120) 사이에 형성된 발광부는 다수 유기층으로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는 HIL, HTL, EML, ETL, EIL 등이며, 애노드(112)와 캐소드(120)를 통해 전류를 흘려주면 EML에서 빛이 발광하는데, 이들을 포함하여 픽셀회로부(V)가 구성된다.
여기서, 데이터배선(132)은 애노드(112)와 연결되어 그 말단에 데이터패드부(136)를 이루고 형성되어 있고, 스캔배선(131)은 캐소드(120)와 연결되어 그 말단에 스캔패드부(135)를 이루고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데이터패드부(136)와 스캔패드부(135)에는 각각 신호를 드라이빙할 수 있도록 구동부가 실장되어 데이터신호와 스캔신호를 인가하고 이 신호에 의해 발광부는 발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판(110) 상에 형성된 소자를 보호하도록 커버 기판(미도시)을 구비 하여 실란트 등으로 기판(110)과 커버 기판(미도시)이 봉지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유기전계발광표시 장치(100)는, 기판(110) 상에 형성된 소자를 보호하기 위해 커버 기판(미도시)으로 봉지할 때 도포되는 실란트(170)에 의해 스캔배선(131)의 꺾이는 부분의 배선에 손상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자세하게는, 기판(110)과 커버 기판(미도시)을 합착할 때, 가압 되는 압력에 의해 도포된 실란트(170)의 장력에 의해 스캔배선(131) 상부를 보호하는 절연막 또는 금속층이 터지면서 배선 간의 숏트를 일으킨다. 또한, 기판(110)과 커버 기판(미도시)이 합착된 후 과다한 스캔신호의 폭증으로 인해 꺾여져 형성된 스캔배선(131)에 손상을 일으켜 이웃한 배선과 쇼트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계발광표시 장치의 스캔배선 또는 데이터배선에 절연막을 형성하여 봉지 공정에서 가압 되는 압력에 의해 스캔배선 또는 데이터배선이 손상되어 숏트를 일으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과다한 스캔신호 폭증으로 인해 꺾여져 형성된 스캔배선에 손상을 일으켜 이웃한 배선과 쇼트가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판 상에 형성된 두 개의 전극 사이에 내재된 발광부를 포함하는 픽셀회로부; 두 개의 전극에 각기 연결된 연결배선들; 연결배선들 중 꺾이는 영역 상에 위치하는 절연막; 및 픽셀회로부의 외측 영역에 실란트를 도포하도록 정의된 실링영역을 포함하며, 실링영역에 대응하는 절연막 부분의 두께는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두꺼운 전계발광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기판 상에 형성된 두 개의 전극 사이에 내재된 발광부를 포함하는 픽셀회로부; 두 개의 전극에 각기 연결된 연결배선들; 픽셀회로부의 외측 영역에 실란트를 도포하도록 정의된 실링영역; 및 실링영역을 지나는 연결배선들의 영역의 일부 상에 위치하는 절연막을 포함하며, 연결배선들이 꺾이는 영역 상에 대응하는 절연막 부분의 두께는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두꺼운 전계발광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절연막은 제1절연막 및 제1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제2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절연막은 제1절연막과 동일한 재질 또는 제1절연막과 다른 재질일 수 있다.
제1 및 제2절연막 중 하나는 실링 영역과 대응되며 연결배선들 중 꺾이는 영역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기판 상에 형성된 두 개의 전극 사이에 내재된 발광부를 포함하는 픽셀회로부; 두 개의 전극에 각기 연결된 연결배선들; 연결배선들 중 꺾이는 영역 상에 위치하는 절연막; 및 픽셀회로부의 외측 영역에 실란트를 도포하도록 정의된 실링영역을 포함하며, 실링 영역에 대응하는 절연막 부분은 연결배선들을 각각 감싸도록 패턴되는 전계발광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두 개의 전극은 애노드과 캐소드이며, 연결배선들 중 하나는 스캔배선이고, 연결배선들 중 다른 하나는 데이터배선일 수 있다.
발광부는 유기물층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Z-Z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c 내지 도 2e는 제1실시예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계발광표시 장치(300)는, 기판(310) 상에 소정 간격으로 분리되어 스트라이프 형태로 형성된 애노드(Anode)(312), 절연층(미도시), 발광부(미도시) 및 캐소드(Cathode)(220)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 수동매트릭스형이다. 여기서, 두 개의 전극 중 하나는 기판(310) 상에 형성된 애노드(312)이고, 다른 하나는 발광부 상에 형성된 캐소드(320)이다.
기판(310)상에 형성된 애노드(312)는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로 형성되어 투명한 전극을 갖고, 절연층은 애노드(312)와 캐소드(320) 간의 도전성분을 절연하는 목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절연층에는 화소가 형성될 수 있도록 애노드(312)가 형성된 영역에 오픈부를 갖도록 패턴되고, 패턴된 오픈부에 발광부가 형성된다.
한편, 공정의 편의상 기판(310) 상에는 역 마름모형태의 격벽을 더 형성하여 발광부나 캐소드(320)를 형성할 때, 섀도 마스킹 등을 이용하지 않고, 형성된 격벽에 의해 발광부와 캐소드(320)가 기판(310) 상에 분리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애노드(312)와 캐소드(320) 사이에 형성된 발광부는 다수 유기층으로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는 HIL, HTL, EML, ETL, EIL 등이며, 애노드(312)와 캐소드(320)를 통해 전류를 흘려주면 EML에서 빛이 발광하는데, 이들을 포함하여 픽셀회로부(V)가 구성된다.
여기서, 연결배선들 중 하나 이상은 스캔배선(331)으로 캐소드(320)와 연결되고, 연결배선들 중 다른 하나 이상은 데이터배선(332)으로 애노드(312)와 연결된다.
여기서, 데이터배선(332)의 말단에는 데이터패드부(336)가 형성되고, 스캔배선(331)의 말단에는 스캔패드부(335)가 형성된다. 한편, 스캔배선(331)은 캐소드(320)와 연결되어 스캔패드부(335)로 연결될 때, 공간적인 제약에 의해 배선이 꺾여져 형성된다.
여기서, 도 2b의 단면도에 나타나듯이, 스캔배선(331)이 꺾이는 영역 상에는 절연막(340)이 형성된다. 이때, 절연막(340)은 절연 물질로 형성된다.
이어서, 데이터패드부(336)와 스캔패드부(335)에는 각각 신호를 드라이빙할 수 있도록 구동부가 실장되어 데이터신호와 스캔신호를 인가하고 이 신호에 의해 발광부는 발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판(310) 상에 형성된 소자를 보호하도록 커버 기판(미도시)이 구비되며, 구비된 커버 기판(미도시)은 실란트(370) 등에 의해 기판(310)과 봉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전계발광표시 장치(300)는, 스캔배선(331)이 꺾이는 영역 상에 제1절연막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소자를 보호하기 위해 커버 기판(미도시)으로 봉지할 때, 가압 되는 압력에 의해 도포된 실란트(370)의 장력이 발생하여 스캔배선(331)을 형성하는 금속층이 터지지 않도록 완충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기판(310)과 커버 기판(미도시)이 합착된 후 과다한 스캔신호의 폭증으로 인해 꺾여져 형성된 스캔배선(331)에 손상이 일어나더라도 이웃한 배선과 쇼트가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c 내지 도 2e를 참조하면 절연막(340)은 다음과 같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고자 동일 물질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도 2c를 참조하면 실란트(370)가 도포되는 실링영역을 지나는 스캔배선(331)의 꺾이는 영역에만 제1절연막(340a)을 1차로 형성하고, 제1절연막(340a) 상에 제2절연막(340b)을 2차로 형성하여 절연막(340)을 한층 더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도 2d를 참조하면 실란트(370)가 도포되는 실링영역을 지나는 스캔배선(331)의 꺾이는 영역에 제1절연막(340a)을 1차로 형성하고, 제1절연막(340a) 상에 제2절연막(340b)을 2차로 형성하여 절연막(340)을 한층 더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도 2C 및 도 2d와 같이 절연막(340)을 두 번에 걸쳐서 형성하게 되면, 봉지 공정을 할 때, 스캔배선(331)의 꺾여진 부분이 가압에 의해 쉽게 손상되는 현상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2차로 형성된 제2절연막(340b)은 1차로 형성된 제1절연막(340a)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거나 다른 재질로도 형성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e를 참조하면 실란트(370)가 도포되는 실링영역을 지나는 스캔배선(331)의 꺾이는 영역에 절연막(340)을 형성하되, 절연막(340)이 스캔배선(331)을 각각 감싸도록 패턴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제2실시예>
도 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도 3a의 X-X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계발광표시 장치(400)는, 기판(410) 상에 소정 간격으로 분리되어 스트라이프 형태로 형성된 애노드(Anode)(412), 절연층(미도시), 발광부(미도시) 및 캐소드(Cathode)(420)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 수동매트릭스형이다.
기판(410)상에 형성된 애노드(412)는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로 형성되어 투명한 전극을 갖고, 절연층은 애노드(412)와 캐소드(420) 간의 도전성분을 절연하는 목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배선들 중 하나 이상은 스캔배선(431)으로 캐소드(420)와 연결되고, 연결배선들 중 다른 하나 이상은 데이터배선(432)으로 애노드(412)와 연결된다.
여기서, 데이터배선(432)의 말단에는 데이터패드부(436)가 형성되고, 스캔배선(431)의 말단에는 스캔패드부(435)가 형성된다. 한편, 스캔배선(431)은 캐소드(420)와 연결되어 스캔패드부(435)로 연결될 때, 공간적인 제약에 의해 배선이 꺾여져 형성된다.
여기서, 도 3b의 단면도에 나타나듯이, 실란트(470)가 도포되는 실링영역을 지나는 스캔배선(431)의 영역 상에는 절연막(440)이 일부 형성된다.
이어서, 데이터패드부(436)와 스캔패드부(435)에는 각각 신호를 드라이빙할 수 있도록 구동부가 실장되어 데이터신호와 스캔신호를 인가하고 이 신호에 의해 발광부는 발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판(410) 상에 형성된 소자를 보호하도록 커버 기판(미도시)을 구비하고, 구비된 커버 기판(미도시)은 실란트(470) 등에 의해 기판(410)과 봉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전계발광표시 장치(400)는, 실란트(470)가 도포되는 실링영역을 지나는 스캔배선(431)의 영역 상에 절연막(440)이 일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봉지 공정을 할 때, 스캔배선(431)이 가압에 의해 쉽게 손상되는 현상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절연막(440)은 스캔배선(431) 뿐만 아니라 데이터배선(432)에도 형성 가능함은 물론이고, 데이터배선(432) 상에 형성하는 절연막(440)의 구조도 앞서 전술한 스캔배선의 실시예와 같이 형성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전계발광표시 장치의 스캔배선 또는 데이터배선에 절연막을 형성하여 봉지 공정에서 가압 되는 압력에 의해 스캔배선 또는 데이터배선이 손상되어 숏트를 일으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과다한 스캔신호 폭증으로 인해 꺾여져 형성된 스캔배선에 손상을 일으켜 이웃한 배선과 쇼트가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8)

  1. 기판 상에 형성된 두 개의 전극 사이에 내재된 발광부를 포함하는 픽셀회로부;
    상기 두 개의 전극에 각기 연결된 연결배선들;
    상기 연결배선들 중 꺾이는 영역 상에 위치하는 절연막; 및
    상기 픽셀회로부의 외측 영역에 실란트를 도포하도록 정의된 실링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실링영역에 대응하는 절연막 부분의 두께는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두꺼운 전계발광표시 장치.
  2. 기판 상에 형성된 두 개의 전극 사이에 내재된 발광부를 포함하는 픽셀회로부;
    상기 두 개의 전극에 각기 연결된 연결배선들;
    상기 픽셀회로부의 외측 영역에 실란트를 도포하도록 정의된 실링영역; 및
    상기 실링영역을 지나는 연결배선들의 영역의 일부 상에 위치하는 절연막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배선들이 꺾이는 영역 상에 대응하는 절연막 부분의 두께는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두꺼운 전계발광표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제1절연막 및 상기 제1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제2절연막을 포함하는 전계발광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연막은 상기 제1절연막과 동일한 재질 또는 상기 제1절연막과 다른 재질인 전계발광표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절연막 중 하나는 상기 실링 영역과 대응되며 상기 연결배선들 중 꺾이는 영역 상에 위치하는 전계발광표시 장치.
  6. 기판 상에 형성된 두 개의 전극 사이에 내재된 발광부를 포함하는 픽셀회로부;
    상기 두 개의 전극에 각기 연결된 연결배선들;
    상기 연결배선들 중 꺾이는 영역 상에 위치하는 절연막; 및
    상기 픽셀회로부의 외측 영역에 실란트를 도포하도록 정의된 실링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실링 영역에 대응하는 절연막 부분은 상기 연결배선들을 각각 감싸도록 패턴되는 전계발광표시 장치.
  7. 제1항,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전극은 애노드과 캐소드이며, 상기 연결배선들 중 하나는 스캔배선이고,
    상기 연결배선들 중 다른 하나는 데이터배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표시 장치.
  8. 제1항,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표시 장치.
KR1020050130145A 2005-12-26 2005-12-26 전계발광표시 장치 KR100761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145A KR100761162B1 (ko) 2005-12-26 2005-12-26 전계발광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145A KR100761162B1 (ko) 2005-12-26 2005-12-26 전계발광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231A KR20070068231A (ko) 2007-06-29
KR100761162B1 true KR100761162B1 (ko) 2007-09-21

Family

ID=38366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0145A KR100761162B1 (ko) 2005-12-26 2005-12-26 전계발광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1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90431A (zh) * 2010-06-15 2011-12-21 三星移动显示器株式会社 平板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与母基底及其制造方法
KR101137393B1 (ko) 2010-06-01 2012-04-20 주식회사 엔씰텍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231B1 (ko) 2013-11-14 2020-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2934A (ko) * 2004-03-17 2005-09-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2934A (ko) * 2004-03-17 2005-09-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393B1 (ko) 2010-06-01 2012-04-20 주식회사 엔씰텍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US8847484B2 (en) 2010-06-01 2014-09-30 Samsung Display Co., Ltd. Mother substrate for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2290431A (zh) * 2010-06-15 2011-12-21 三星移动显示器株式会社 平板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与母基底及其制造方法
KR101174882B1 (ko) * 2010-06-15 2012-08-17 주식회사 엔씰텍 평판 표시 장치,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 기판, 평판 표시 장치 제조 방법 및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 기판 제조 방법
US8680767B2 (en) 2010-06-15 2014-03-25 Samsung Display Co., Ltd.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mother substrate for flat panel display apparatuses,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other substr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231A (ko) 200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6698B1 (ko) 신축성 표시 장치
KR100765522B1 (ko) 전계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JP2005258395A (ja) 電界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
CN105590953A (zh) 具有高孔径比的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及其制造方法
CN111244115B (zh) 一种显示用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13345945B (zh)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20110070383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502684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61162B1 (ko) 전계발광표시 장치
US10797127B2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102247825B1 (ko) 칼라 필터를 구비한 하부 발광형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76620B1 (ko)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08016279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20110071646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1644581B1 (ko)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 방법
KR100360328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CN108461659B (zh) Oled薄膜封装方法
KR100747185B1 (ko) 전계발광표시장치
KR100761123B1 (ko) 전계발광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82989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070068227A (ko) 전계발광표시 장치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전계발광표시 장치
KR20050011900A (ko) 유기 el 디스플레이 소자
KR100501705B1 (ko) 외력 차단 실드를 구비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0626078B1 (ko) 평판 표시 장치의 단락 부분 검출 및 수리 방법
KR100747367B1 (ko) 전계 발광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