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401B1 - 전자레인지용 다이얼노브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용 다이얼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401B1
KR100760401B1 KR1020060035785A KR20060035785A KR100760401B1 KR 100760401 B1 KR100760401 B1 KR 100760401B1 KR 1020060035785 A KR1020060035785 A KR 1020060035785A KR 20060035785 A KR20060035785 A KR 20060035785A KR 100760401 B1 KR100760401 B1 KR 100760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button
knob body
knob
circumferential surfac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5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0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01Thumb wheel switches
    • H01H19/003Thumb wheel switches having a pushbutton actu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9/00Layers
    • H01H2209/002Materials
    • H01H2209/0021Materials with metallic appearance, e.g. polymers with dispersed particles to produce a metallic appear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02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 H01H2219/01Liquid crystal
    • H01H2219/012Liquid crystal programm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2Household appli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용 다이얼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다이얼노브(50)의 노브본체(51)의 내주면에 체결홈(5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노브본체(51)의 내주면에는 한쌍의 연동홈(53)이 형성된다. 상기 노브본체(51)의 내부에는 푸쉬버튼(55)이 결합된다. 상기 푸쉬버튼(55)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체결돌기(56)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돌기(56)는 상기 푸쉬버튼(55)이 상기 노브본체(51)에 결합되면 상기 체결홈(52)에 안착되어 체결된다. 또한 상기 푸쉬버튼(55)의 외주면에는 한쌍의 연동돌기(57)가 구비된다. 상기 연동돌기(57)는 상기 푸쉬버튼(55)이 상기 노브본체(51)에 결합되면, 상기 연동홈(53)에 삽입된다. 상기 체결돌기(56)가 상기 체결홈(52)에 체결되고, 상기 연동돌기(57)가 상기 연동홈(5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노브본체(51)와 푸쉬버튼(55)이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탈거되지 않고 일체로 거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작과정에서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보다 간단하게 구성 및 제작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자레인지, 다이얼노브, 노브본체, 푸쉬버튼, 고정수단, 연동수단

Description

전자레인지용 다이얼노브{A dial knob for microwave oven}
도 1은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요부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다이얼노브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스위치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를 제작하는 과정을 보인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다이얼노브 51: 노브본체
52: 체결홈 52a: 안내경사면
53: 연동홈 54: 고정홈
55: 푸쉬버튼 56: 체결돌기
56a: 안내경사면 57: 연동돌기
58: 결합부 58a: 결합홀
59: 고무링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레인지의 동작을 위한 각종 조작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전자레인지용 다이얼노브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전자레인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10) 내부에는, 마이크로웨이브나 히터열을 이용하여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한 조리실(12)이 형성되고, 캐비티어셈블리(10)의 일측에는 마그네트론, 고압트랜스 등 각종 전장부품이 장착되는 전장실(14)이 구비된다.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의 전면에는,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조리실(11)을 개폐시키는 도어(16)가 설치되고,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의 상부 및 양측에는, 전자레인지의 상면과 양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18)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6)의 일측에는 컨트롤 패널(18)이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18)은, 전자레인지의 동작을 위한 각종 조작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전자레인지의 동작 중의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18)의 전면에는 전자레인지의 동작을 위한 각종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특히 상기 컨트롤패널(18)의 하부에는 다이얼노브(20)가 설치된다. 상기 다이얼노브(20)는 상기 컨트롤패널(18)의 내부에 설치되는 엔코더(미도시)를 회전조작 또는 누름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엔코더는 상기 다이얼노브(20)의 회전조 작 또는 누름조작에 의하여 전자레인지의 동작을 위한 전원의 인가나 전자레인지의 조리시간 등의 입력받는다.
한편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다이얼노브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노브(20)의 노브본체(21)는 대략 길이방향의 일단부가 개구되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노브본체(21)는 커버부(22)와, 상기 커버부(22)의 내부에 구비되는 몰드부(23)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부(22)는 실질적으로 상기 노브본체(21)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커버부(22)는 전자레인지의 전면 외관과 통일감을 주기 위하여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몰드부(23)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노브본체(21)의 내부를 형성한다. 상기 노브본체(21)는 상기 커버부(22)와 몰드부(23)를 인서트사출하여 성형된다.
상기 노브본체(21)의 내부에는 한쌍의 체결보스(24)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보스(24)는 실질적으로 상기 몰드부(23)와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체결보스(24)는 아래에서 설명할 푸쉬버튼(26)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노브본체(21)의 개구되는 일면을 향하여 소정의 길이만큼 각각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보스(24)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체결공(24a)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노브본체(21)의 내부에는 지지리브(25)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가이즈(25)는 그 선단이 푸쉬버튼(26)의 일면에 밀착되어 푸쉬버튼(26)을 소정의 위치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리브(25)는 상기 노브본체(21)의 내부에서 그 개구된 일면을 향하여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다.
상기 노브본체(21)의 내부에는 푸쉬버튼(26)이 설치된다. 상기 푸쉬버튼(26)은 누름동작에 의하여 상기 노브본체(21)와 동시에 전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엔코더를 누름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푸쉬버튼(26)의 일면에는 결합부(27)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27)는 실질적으로 상기 엔코더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부(27)에는 상기 엔코더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홀(27a)이 형성된다.
상기 푸쉬버튼(26)의 외주면에는 지지가이드(28)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가이드(28)는 상기 푸쉬버튼(26)이 상기 노브본체(21)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 일면이 상기 지지리브(25)의 선단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지지가이드(28)에는 한쌍의 관통개구(26a)가 형성된다. 상기 푸쉬버튼(26)을 상기 노브본체(21)에 고정시키기 위한 한쌍의 체결스크류(S)가 상기 관통개구(26a)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보스(24)의 체결공(24a)에 체결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29는 고무링이다. 상기 고무링(29)은 상기 버튼본체(21)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고무링(29)은 사용자가 상기 다이어노브(20)를 회전조작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가락과 다이얼노브(20)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다이얼노브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노브본체(21)는 상기 커버부(22)와 몰드부(23)를 인서트사출함으로써 성형된다. 그런데 상기 커버부(22)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므로, 상기 노브본체(21)를 인서트사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부(22)에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얼노브(20)는 상기 노브본체(21)와 푸쉬버튼(26), 그리고 양자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스크류(S)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다이얼노브(20)가 다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므로, 상기 다이얼노브(20)의 구성이 복잡해진다.
그리고 상기 다이얼노브(20)는 상기 노브본체(21)의 내부에 상기 푸쉬버튼(26)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스크류(S)로 상기 노브본체(21)와 푸쉬버튼(26)을 고정함으로써 제작된다. 따라서 상기 다이얼노브(20)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다수의 공정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작과정에서 제품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자레인지용 다이얼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간단하게 구성되는 전자레인지용 다이얼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간단하게 제작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자레인지용 다이얼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일면이 개구되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노브본체와; 상기 노 브본체의 내부에 결합되고, 엔코더에 설치되는 푸쉬버튼; 상기 노브본체와 푸쉬버튼의 서로 대응하는 일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노브본체와 푸쉬버튼이 결합된 상태에서 양자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수단; 그리고 상기 노브본체와 푸쉬버튼의 서로 대응하는 일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노브본체와 푸쉬버튼이 결합된 상태에서 양자가 일체로 거동하도록 하는 연동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노브본체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푸쉬버튼은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노브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푸쉬버튼의 외주면 중 어느 일방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에 대응하여 상기 노브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푸쉬버튼의 외주면 중 타방에 구비되어 노브본체와 푸쉬버튼이 결합되면 체결홈에 안착되어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돌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홈은 상기 노브본체의 내주면 선단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는 노브본체의 내주면 일부가 그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체결홈에 대응하여 상기 푸쉬버튼의 외주면 선단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는 푸쉬버튼의 외주면 일부가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홈에 인접하는 상기 노브본체의 내주면 선단부와 상기 체결돌기의 외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푸쉬버튼의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는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돌기를 안내하는 안내경사면이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브본체의 안내경사면은 노브본체의 내주면이 상기 체결홈에 인접하는 부분에서 그 선단을 향하여 경사짐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푸쉬버튼의 안내경사면은 상기 체결돌기의 외측면이 상기 노브본체의 안내경사면과 형합되도록 그 선단에서 후단을 향하여 경사짐으로써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노브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푸쉬버튼의 외주면 중 어느 일방에 푸쉬버튼이 노브본체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동홈과, 상기 연동홈에 대응하는 상기 노브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푸쉬버튼의 외주면 중 타방에 푸쉬버튼이 노브본체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어 상기 노브본체와 상기 푸쉬버튼이 결합되면 연동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동돌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동홈은 그 선단이 상기 노브본체의 내주면 선단에 위치되도록 노브본체의 내주면 일부가 그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동돌기는 상기 연동홈에 대응하여 그 선단이 상기 푸쉬버튼의 외주면 선단에 위치되도록 푸쉬버튼의 외주면 일부가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브본체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고무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작과정에서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보다 간단하게 구성되는 동시에 보다 간단하게 제작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다이얼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다이얼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노브(50)는 회전조작 또는 누름조작에 의하여 전자레인지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다이얼노브(50)를 구성하는 노브본체(51)는 일단부가 개구되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노브본체(51)는 전자레인지의 전면 외관과의 통일감을 위하여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노브본체(51)의 내주면에는 체결홈(5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52)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푸쉬버튼(55)의 체결돌기(56)가 안착되어 체결된다. 상기 체결홈(52)은 상기 노브본체(51)의 내주면 일부가 그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홈(52)의 선단은 상기 노브본체(51)의 내주면 선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홈(52)이 상기 노브본체(51)의 내주면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체결홈(52)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체결홈(52)이 체결돌기(56)의 위치 및 형상에 따라서 각각의 체결돌기(56)가 체결되도록 다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홈(52)에 인접하는 상기 노브본체(51)의 내주면 선단에는 안내경사면(52a)이 구비된다. 상기 노브본체(51)의 안내경사면(52a)은 노브본체(51)의 내주면이 상기 체결홈(52)에 인접하는 부분에서 그 선단을 향하여 경사짐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노브본체(51)의 안내경사면(52a)은 상기 체결홈(52)에 체 결되는 체결돌기(56)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브본체(51)의 안내경사면(52a)이 노브본체(51)의 내주면 선단 전체를 둘러싸는 원호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노브본체(51)의 안내경사면(52a)은 상기 체결홈(52)에 대응하는 노브본체(51)의 서로 마주보는 내주면 선단 양측에 소정의 중심각을 가지는 부채꼴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노브본체(51)의 내주면에는 한쌍의 연동홈(53)이 형성된다. 상기 연동홈(53)은 상기 노브본체(51)와 푸쉬버튼(55)을 일체로 거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동홈(53)은 상기 노브본체(51)의 내주면 일부가 푸쉬버튼(55)이 노브본체(51)의 내부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길게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동홈(53)의 선단은 상기 노브본체(51)의 내주면 선단에 위치되고, 상기 연동홈(53)이 함몰되는 깊이는 상기 체결홈(5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동홈(53)이 상기 체결홈(52) 중 서로 인접하는 체결홈(52)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노브본체(51)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연동홈(53)은 상기 체결홈(52)과 동일하게 상기 다이얼노브(50)의 크기나 형상 등에 따라서 그 위치 및 개수가 상이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노브본체(51)의 외주면에는 고정홈(54)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54)은 아래에서 설명할 고무링(59)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홈(54)은 상기 노브본체(51)의 외주면 일부가 그 내부로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노브본체(51)의 외주면 전체를 둘러싸는 원호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노브본체(51)의 내부에는 푸쉬버튼(55)이 결합된다. 상기 푸쉬버튼(55)은 상기 노브본체(51)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전자레인지에 구비되는 엔코더에 설치된다. 상기 푸쉬버튼(55)은 그 일단부가 개구되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푸쉬버튼(55)이 상기 노브본체(51)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푸쉬버튼(55)의 외주면은 상기 노브본체(51)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버튼(55)은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푸쉬버튼(55)은 상기 노브본체(51)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노브본체(51)를 회전조작하면 이에 연동하여 회전하여 상기 엔코더를 조작한다. 또한 상기 푸쉬버튼(55)은 사용자가 상기 노브본체(51)를 누름조작하면 이에 연동하여 사용자가 누르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엔코더를 조작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푸쉬버튼(55)에는 다수개의 체결돌기(56)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돌기(56)는 상기 푸쉬버튼(55)의 외주면 일부가 외측, 즉 원주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돌기(56)가 상기 푸쉬버튼(55)의 외주면을 4등분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체결돌기(56)는 상기 푸쉬버튼(55)이 상기 노브본체(51)의 내부에 결합되면 상기 체결홈(52)에 안착되어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돌기(56)가 돌출되는 두께는 상기 체결홈(52)의 깊이와 동일 또는 체결홈(52)의 깊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값이어야 하고, 상기 푸쉬버튼(55)의 탄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돌기(56)의 외측면에는 안내경사면(56a)이 구비된다. 상기 푸쉬버튼(55)의 안내경사면(56a)은 상기 체결돌기(56)의 외측면이 그 선단에서 후단을 향하여 경사짐으로써 형성된다. 즉 상기 노브본체(51)의 안내경사면(52a)과 상기 푸쉬버튼(55)의 안내경사면(56a)은 서로 형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푸쉬버튼(55)의 외주면에는 한쌍의 연동돌기(57)가 구비된다. 상기 연동돌기(57)는 상기 푸쉬버튼(55)의 외주면에 푸쉬버튼(55)이 상기 노브본체(51)의 내부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푸쉬버튼(55)이 원주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연동돌기(57)의 길이 및 두께는 상기 연동홈(53)의 길이 및 깊이에 대응하는 값으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동돌기(57)는 상기 연동홈(53)에 대응하는 상기 푸쉬버튼(55)의 외주면, 즉 서로 인접하는 상기 체결돌기(56)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푸쉬버튼(55)의 외주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동돌기(57)는 상기 푸쉬버튼(55)이 상기 노브본체(51)의 내부에 결합되면, 상기 연동홈(53)에 삽입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58은 결합부이다. 상기 결합부(58)는 상기 푸쉬버튼(55)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푸쉬버튼(55)을 상기 엔코더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결합부(58)에는 상기 엔코더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홀(58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노브본체(51)의 외주면 일측에는 고무링(59)이 구비된다. 상기 고무링(59)은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노브(50)를 회전조작 또는 버튼조작하기 위하여 상기 노브본체(51)를 손으로 잡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가락과 노브본체(51) 사이의 마찰력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다이얼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작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d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다이얼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작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버튼(55)을 노브본체(51)의 개구된 일단부에 인접되게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푸쉬버튼(55)의 연동돌기(57)와 상기 노브본체(51)의 연동홈(53)은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푸쉬버튼(55)을 상기 노브본체(51)의 내부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푸쉬버튼(55)은 그 후단부부터 상기 노브본체(51)의 안내경사면(52a)에 의하여 안내되어 노브본체(51)의 내부로 삽입되기 시작한다.
도 6c 및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쉬버튼(55)을 상기 노브본체(51)의 내부를 향하여 계속하여 이동시키면, 상기 연동돌기(57)가 상기 연동홈(53)에 삽입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 노브본체(51)의 안내경사면(52a)과 상기 푸쉬버튼(55)의 안내경사면(56a)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하고, 상기 푸쉬버튼(55)이 소정의 범위, 즉 상기 체결돌기(56)의 선단부 두께에 해당하는 범위에서 탄성변형한다. 따라서 상기 푸쉬버튼(55)이 상기 체결돌기(56)에 의하여 간섭받지 않고, 상기 노브본체(5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푸쉬버튼(55)이 상기 노브본체(51)의 내부에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되면, 상기 푸쉬버튼(55)의 체결돌기(56)가 상기 노브본체(51)의 체결홈(52)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체결홈(52)은 상기 노브본체(51)의 내주면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동돌기(57)와 연동홈(53)만 서로 대응되게 위치된 상 태에서, 상기 푸쉬버튼(55)을 상기 노브본체(51)의 내부를 이동시키면 상기 체결돌기(56)가 상기 체결홈(52)에 안착되어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돌기(56)가 상기 체결홈(52)에 완전하게 안착되어 양자가 서로 체결되면, 상기 노브본체(51)와 푸쉬버튼(55)이 임의로 탈거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연동돌기(57)가 상기 연동홈(53)에 완전하게 삽입되면, 상기 노브본체(51)와 푸쉬버튼(55)이 일체로 거동하게 된다. 즉 상기 다이얼노브(50)를 회전조작 또는 누름조작하는 과정에서, 양자가 임의로 탈거되지 않고 일체로 거동하여 엔코더를 조작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다이얼노브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노브본체의 내부에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푸쉬버튼이 체결홈과 체결돌기의 체결 및 연동홈과 연동돌기의 삽입에 의하여 결합되어 양자가 임의로 탈거하지 않고 일체로 거동하게 된다. 따라서 다이얼노브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상기 노브본체가 손상되는 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다이얼노브가 상기 노브본체와 푸쉬버튼으로 구 성된다. 따라서 상기 다이얼노브의 구성이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간단해짐으로써, 제품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불량률이 상대적으로 저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노브본체에 상기 푸쉬버튼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고, 상기 연동돌기가 상기 연동홈에 삽입됨으로써 노브본체와 푸쉬버튼이 일체로 거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다이얼노브의 제작을 위한 작업공수가 절감됨으로써, 상기 다이얼노브의 제작속도가 증가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Claims (9)

  1. 일면이 개구되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노브본체와;
    상기 노브본체의 내부에 결합되고, 엔코더에 설치되는 푸쉬버튼;
    상기 노브본체와 푸쉬버튼의 서로 대응하는 일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노브본체와 푸쉬버튼이 결합된 상태에서 양자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수단; 그리고
    상기 노브본체와 푸쉬버튼의 서로 대응하는 일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노브본체와 푸쉬버튼이 결합된 상태에서 양자가 일체로 거동하도록 하는 연동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레인지용 다이얼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본체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푸쉬버튼은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다이얼노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노브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푸쉬버튼의 외주면 중 어느 일방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에 대응하여 상기 노브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푸쉬버튼의 외주면 중 타방에 구비되어 노브본체와 푸쉬버튼이 결합되면 체결홈에 안착되어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돌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다이얼노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상기 노브본체의 내주면 선단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는 노브본체의 내주면 일부가 그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체결홈에 대응하여 상기 푸쉬버튼의 외주면 선단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는 푸쉬버튼의 외주면 일부가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다이얼노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에 인접하는 상기 노브본체의 내주면 선단부와 상기 체결돌기의 외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푸쉬버튼의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는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돌기를 안내하는 안내경사면이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다이얼노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본체의 안내경사면은 노브본체의 내주면이 상기 체결홈에 인접하는 부분에서 그 선단을 향하여 경사짐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푸쉬버튼의 안내경사면은 상기 체결돌기의 외측면이 상기 노브본체의 안내경사면과 형합되도록 그 선단에서 후단을 향하여 경사짐으로써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다이얼노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노브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푸쉬버튼의 외주면 중 어느 일방에 푸쉬버튼이 노브본체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동홈과,
    상기 연동홈에 대응하는 상기 노브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푸쉬버튼의 외주면 중 타방에 푸쉬버튼이 노브본체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어 상기 노브본체와 상기 푸쉬버튼이 결합되면 연동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동돌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다이얼노브.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홈은 그 선단이 상기 노브본체의 내주면 선단에 위치되도록 노브본체의 내주면 일부가 그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동돌기는 상기 연동홈에 대응하여 그 선단이 상기 푸쉬버튼의 외주면 선단에 위치되도록 푸쉬버튼의 외주면 일부가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다이얼노브.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본체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고무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다이얼노브.
KR1020060035785A 2006-04-20 2006-04-20 전자레인지용 다이얼노브 KR100760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785A KR100760401B1 (ko) 2006-04-20 2006-04-20 전자레인지용 다이얼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785A KR100760401B1 (ko) 2006-04-20 2006-04-20 전자레인지용 다이얼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0401B1 true KR100760401B1 (ko) 2007-09-19

Family

ID=38738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785A KR100760401B1 (ko) 2006-04-20 2006-04-20 전자레인지용 다이얼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040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3684A (ja) 2003-04-01 2004-10-28 Yuhshin Co Ltd スイッチ装置
JP2005141999A (ja) 2003-11-06 2005-06-02 Kojima Press Co Ltd 複合スイッチ装置
KR200390399Y1 (ko) 2005-05-06 2005-07-21 김학열 소프트 터치방식 출몰식 버튼
JP2005228549A (ja) 2004-02-12 2005-08-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操作つまみの中点復帰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て構成された回転型電子部品
KR20060026647A (ko) * 2004-09-21 2006-03-24 한라공조주식회사 로타리 스위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3684A (ja) 2003-04-01 2004-10-28 Yuhshin Co Ltd スイッチ装置
JP2005141999A (ja) 2003-11-06 2005-06-02 Kojima Press Co Ltd 複合スイッチ装置
JP2005228549A (ja) 2004-02-12 2005-08-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操作つまみの中点復帰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て構成された回転型電子部品
KR20060026647A (ko) * 2004-09-21 2006-03-24 한라공조주식회사 로타리 스위치
KR200390399Y1 (ko) 2005-05-06 2005-07-21 김학열 소프트 터치방식 출몰식 버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6476B2 (en) Cooking appliance
JP2004185976A (ja) 照光式スイッチ装置
KR100760401B1 (ko) 전자레인지용 다이얼노브
KR20000017574U (ko) 전자렌지의 컨트롤 패널 조립체
KR100942569B1 (ko) 전자레인지의 컨트롤 패널구조
KR200239628Y1 (ko) 전자렌지의 다이얼 스위치 결합장치
KR20190000633A (ko) 푸시 스위치 유닛
GB2337319A (en) Control panel for a microwave oven
KR100942570B1 (ko) 전자레인지의 컨트롤 패널구조
KR100942568B1 (ko) 전자레인지용 스위치 어셈블리
CN111352465A (zh) 带旋钮功能的按键及其家电控制面板
KR100997127B1 (ko)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
JP5671704B2 (ja) 操作装置
KR100429813B1 (ko)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KR100407312B1 (ko) 전자레인지용 다이얼노브 어셈블리 장착장치
KR100614312B1 (ko) 전자레인지의 아웃케이스
KR200214439Y1 (ko) 전자렌지의 제어패널 결합장치_
KR200173444Y1 (ko) 전자 렌지용 마이크로파 통과공 차폐 구조
KR20040061371A (ko) 전자레인지 래치보드 체결구조
KR200390576Y1 (ko)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
KR19980010284U (ko) 노브 일체형 구조의 판넬
KR20040061360A (ko) 전자레인지의 레그구조
KR100233434B1 (ko) 전자렌지의 콘트롤판넬 가조립 장치
KR100437416B1 (ko) 전자레인지용 도어
KR19990025929U (ko) 기능선택 스위치와 버튼을 일체화시킨 오퍼레이팅 패널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