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576Y1 -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576Y1
KR200390576Y1 KR20-2005-0011694U KR20050011694U KR200390576Y1 KR 200390576 Y1 KR200390576 Y1 KR 200390576Y1 KR 20050011694 U KR20050011694 U KR 20050011694U KR 200390576 Y1 KR200390576 Y1 KR 2003905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knob
microwave oven
control panel
elastic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6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16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5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5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5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35Aspects relating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8Arrangements for continuous movement of material
    • H05B6/788Arrangements for continuous movement of material wherein an elongated material is moved by applying a mechanical tension to 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출력조절을 위한 조작노브에 장착된 커플러의 요홈에 커플러의 외주면과 수직하게 접촉하는 탄성와이어가 선택적으로 수용되어 조작노브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는, 전자레인지의 컨트롤패널에 구비된 출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400)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는 조작노브(500)와; 외주면을 따라서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요홈(640)이 형성되며, 상기 컨트롤패널(400)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조작노브(500)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커플러(600)와; 상기 커플러(600)와 인접한 상기 컨트롤패널(400)의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커플러(60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노브구속기구(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노브구속기구(700)는 상기 커플러(600)와 수직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요홈(640)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탄성와이어(720)와, 상기 탄성와이어(720)의 상단과 하단을 고정하는 고정보스(74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 { Control device of output for microwave oven }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출력조절을 위한 조작노브에 장착된 커플러의 요홈에 커플러의 외주면과 수직하게 접촉하는 탄성와이어가 선택적으로 수용되어 조작노브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레인지는 전류의 공급에 의해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리물에 조사하여 조리물을 가열하는 조리기기로서, 조리물의 겉과 속을 동시에 가열할 수 있어 다양한 조리물을 빠르게 조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레인지는 다양한 조리물의 보다 다양한 조리방법으로 조리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다양한 출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조절하여야 하며 이러한 출력 조절장치는 일반적으로 회전식 노브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출력 조절장치는 공개 실용신안 제1997-006502호에 게재(揭載)되어 있으며,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자레인지(1)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과 좌우 양 측면의 외형은 일체로 형성된 아웃케이스(10)에 의해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내측에는 조리물을 수용하는 공간인 조리실(20)이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내측 대부분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조리실(20)은 전면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도어(12)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도어(12)는 상기 조리실(20)의 전단부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도어(12)의 회동에 의해 상기 조리실(20)의 개구된 전면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조리실(20)의 내측 저면에는 조리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턴테이블(22)이 구비된다. 상기 턴테이블(22)은 조리물이 회전에 의해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리실(20) 하방에 구비된 턴테이블모터(도시되지 않음)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자레인지(1)의 전면 우측에는 컨트롤패널(30)이 형성되어 상기 도어(12)와 함께 상기 전자레인지(1)의 외형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패널(30)에는 상기 전자레인지(1)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노브(40)와 각종 버튼 및 디스플레이(32)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컨트롤패널(30)의 후방에는 전장실이 형성된다. 상기 전장실은 상기 전자레인지(1)의 작동을 위한 전장부품들이 구비되는 공간으로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내측과 상기 조리실(20)의 외측면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다.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이고, 도 3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의 작동을 보인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패널(30)에는 조작노브(40)와 커플러(50) 그리고, 판스프링(60)이 장착되어 상기 전자레인지(1)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작노브(40)에는 대략 중앙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노브축(42)이 형성되며, 상기 조작노브(40)는 상기 노브축(42)이 상기 컨트롤패널(30)을 관통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패널(30)의 후면에는 상기 커플러(50)가 장착된다. 상기 커플러(50)의 대략 중앙부는 상기 컨트롤패널(30)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노브축(42)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조작노브(40)의 회전에 연동하여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커플러(50)의 이면에는 다수개의 요홈(54)이 형성된 접촉부(52)가 하방을 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컨트롤패널(30)의 후면 일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판스프링(60)이 장착되기 위한 절결홈(36)을 갖는 한 쌍의 고정보스(34)가 상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고정보스(34)에는 대응되는 방향으로 절결홈(36)이 형성되며, 상기 절결홈(36)에 판스프링(60)이 삽입된다. 한편, 상기 판스프링(60)의 대략 중앙부에는 상기 요홈(54)의 형상과 대응하는 걸림돌기(62)가 형성된다.
상기 판스프링(60)의 걸림돌기는 상기 접촉부(52)와 접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조작노브(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62)는 상기 요홈(54)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걸리고 상기 요홈(54)을 벗어나 상기 접촉부(52)와 접촉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전자레인지(1)의 출력을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에서 상기 판스프링(60)이 상기 접촉부(52)의 측방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걸림돌기(62)는 상기 접촉부(52)의 요홈(54)과 측방에서 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62)와 요홈(54)의 구조의 특성상 상기 걸림돌기(62)의 끝부분이 상기 요홈(54)의 내측에 수용되므로 상기 판스프링(60)이 완전하게 상기 요홈(54)에 수용되기가 어려워 사용자가 전자레인지(1)의 출력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출력조절을 위한 조작노브에 장착된 커플러의 요홈에 커플러의 외주면과 수직하게 접촉하는 탄성와이어가 선택적으로 수용되어 조작노브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는, 전자레인지의 컨트롤패널에 구비된 출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는 조작노브와; 외주면을 따라서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컨트롤패널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조작노브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와 인접한 상기 컨트롤패널의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커플러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노브구속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노브구속기구는 상기 커플러와 수직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요홈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탄성와이어와, 상기 탄성와이어의 상단과 하단을 고정하는 고정보스로 구성된다.
상기 조작노브의 중앙부에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노브회전축이 형성되며, 상기 노브회전축은 상기 커플러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보스는 상기 컨트롤패널의 후면에서 상기 커플러의 상방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보스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고,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의 사이에 상기 탄성와이어가 고정된다.
상기 커플러의 외주면 일측은 상기 고정보스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탄성와이어가 요홈에 완전하게 삽입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자레인지(10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과 양 측면의 외관이 아웃케이스(120)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전면과 후면 그리고 하면은 각각 전면플레이트(140)와 베이스플레이트(160) 그리고 후면플레이트(180)에 의해 형성되며, 이들은 서로 결합되어 대략 직육면체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내측 대부분의 공간에는 조리물이 수용되어 조리되는 공간인 조리실(200)이 형성된다. 상기 조리실(200)은 다수의 플레이트가 절곡, 접합되어 형성된 공간으로 상기 조리실(200)의 전면은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조리실(200)의 개구된 전면은 도어(220)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도어(220)는 일측이 상기 전면플레이트(14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도어(220)의 회동에 의해서 상기 조리실(200)의 개구된 전면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조리실(200)의 내측 저면에는 턴테이블이 장착된다. 상기 턴테이블은 조리물을 올려놓는 것으로 대략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별도의 구동장치에 의해서 회전하여 상기 턴테이블 상면에 놓여지는 조리물에 마이크로웨이브가 고르게 입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조리실(200)의 측방에는 전장실(300)이 형성된다. 상기 전장실(300)은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작동을 위한 전장부품이 구비되는 공간으로 상기 조리실(200)의 우측면(도 4 에서 볼 때)과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우측면(도 4 에서 볼 때)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전장실(300)의 내측에는 조리를 위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하는 마그네트론(320)과, 상기 마그네트론(320)에 고압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고압트랜스(340)와 고압커패시터(360) 그리고, 전장부품들을 제어하기 위한 피시비(380)등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300)의 전방에는 컨트롤패널(400)이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패널(400)은 상기 전장실(300)의 전면을 차폐하여 상기 도어(220)와 함께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전면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컨트롤패널(400)에는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노브(500)와 작동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420)가 장착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로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탄성와이어가 커플러의 요홈에 수용된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컨트롤패널(400)의 전면 일측에는 조작노브(500)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노브(500)의 대략 중앙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노브회전축(520)이 형성되며, 상기 노브회전축(520)은 상기 컨트롤패널(400)을 관통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노브회전축(520)은 회전시 발생하는 회전력을 아래에서 설명할 커플러(600)에 전달하기 위해서 절단면을 가지는 원통형의 키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에는 다수의 고정리브(522)가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패널(400)의 후방에는 커플러(600)가 장착된다. 상기 커플러(600)는 상기 조작노브(500)의 단계별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노브회전축(520)에 의해 관통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커플러(600)의 대략 중앙부에는 상기 노브회전축(52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의 삽입구(620)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620)의 외주에는 상기 노브회전축(520)의 고정리브(522)가 삽입되기 위한 리브홈(6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노브(500)와 상기 커플러(600)는 일체로 결합되어 서로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플러(600)의 외주면에는 등 간격으로 다수개의 요홈(640)이 형성된다. 상기 요홈(640)은 상기 커플러(600)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구속하여 상기 조작노브(500)를 조작하는 사용자가 상기 조작노브(500)를 단계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탄성와이어(720)의 원활한 운동을 위해서 라운드 지도록 함몰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커플러(600)가 장착된 상기 컨트롤패널(400)의 후면 일측에는 노브구속기구(700)가 장착된다. 상기 노브구속기구(700)는 상기 커플러(60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조작노브(500)를 단계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노브구속기구(700)는 상기 커플러(600)와 수직하도록 연장 형성된 탄성와이어(720)와 상기 탄성와이어(720)의 상단과 하단을 고정하는 고정보스(7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성와이어(720)는 상기 커플러(60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것으로 상기 요홈(640)에 선택적으로 수용되어 상기 커플러(600)의 회전을 구속하게 된다. 상기 탄성와이어(720)는 낚시줄과 같은 탄성을 가지는 와이어 소재로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등 탄성을 가지는 다른 와이어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고정보스(740)는 상기 커플러(600)와 인접한 외주면에 장착되며, 상기 탄성와이어(720)의 고정을 위해서 상단부(742)와 하단부(744)가 각각 일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보스(740)는 세로방향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된 면이 상기 커플러(600)를 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고정보스(740)의 상기 절곡된 상단부(742)와 하단부(744)의 사이에 상기 탄성와이어(720)가 상기 커플러(600)와 수직한 세로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와이어(720)의 단부는 각각 상기 고정보스(740)의 상단부(742)와 하단부(744)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보스(740)의 하단부(744)는 상기 컨트롤패널(400)의 후면에 접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고정보스(740)의 상단부(742)는 상기 커플러(600)의 상방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보스(740)는 상기 커플러(600)와 인접하도록 장착된다.
이때 상기 커플러(600)의 외주면 일측은 상기 고정보스(740)의 개구된 부분 즉, 상기 고정보스(740)의 상단부(742)와 하단부(744)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고정보스(740)에 장착된 상기 탄성와이어(720)가 상기 커플러(600)의 외주면과 접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의 작용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자레인지(100)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컨트롤패널(400)의 전면에서 돌출되도록 장착된 조작노브(500)를 파지하여 회전 시키게 된다.
상기 조작노브(50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조작노브(500)의 회전이 노브회전축(520)을 통해서 상기 커플러(600)로 전달되어 상기 커플러(600)는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플러(600)의 외주면은 상기 탄성와이어(720)와 접하는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커플러(600)는 상기 탄성와이어(720)와 접한 상태로 지속적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커플러(600)의 회전 중에 상기 탄성와이어(720)는 상기 커플러(600)의 외주에 형성된 요홈(640)에 수용되어 상기 커플러(600)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제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플러(600)의 회전제한은 상기 커플러(600)와 연동하는 상기 조작노브(500)의 회전까지 제한하게 되어 상기 조작노브(500)를 파지한 사용자에게 일정단계에 도달했음을 인식가능하게 한다.
상기 요홈(640)에 탄성와이어(720)가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노브(500)를 더 회전하게 되면, 상기 커플러(600)는 더 회전하려 하게 되고, 이때 상기 요홈(640)에 수용된 탄성와이어(720)는 자체의 탄성에 의해 상기 커플러(600)의 측방으로 다소 늘어나면서 상기 요홈(640)으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커플러(600)의 외주면과 접하게 된다.
상기 조작노브(500)의 지속적인 회전으로 상기 탄성와이어(720)가 상기 요홈(640)으로 수용되고 빠져나오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사용자에게 단계별 조작을 인식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라서 전자레인지(100)의 출력변화를 조절하여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조리실 내부에 수용된 조리물을 조리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출력을 조절하는 조작노브(50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상기 조작노브(500)는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작동시간을 설정하거나 프로그램화된 조리코스를 설정할 수도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에서는, 탄성와이어가 커플러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플러의 요홈에 완전하게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의 회전제한이 보다 확실해 지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와이어는 상기 커플러의 요홈에 수직한 상/하방에서 고정되어 상기 탄성와이어가 요홈에서 빠져나오게 될 때 탄성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외측으로 늘어나게 되어 상기 요홈에서 상기 탄성와이어의 이탈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조작노브를 조작하여 상기 커플러를 조작함에 있어 보다 확실한 커플러의 회전제한과 상기 탄성와이어가 상기 요홈에서의 이탈이 용이해짐으로 인해 사용자의 조작노브조작에 있어서 조작단계의 인식이 보다 용이하게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의 작동을 보인 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탄성와이어가 커플러의 요홈에 수용된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전자레인지 120. 아웃케이스
140. 전면플레이트 160. 베이스플레이트
180. 후면플레이트 200. 조리실
220. 도어 300. 전장실
320. 마그네트론 340. 고압트랜스
360. 고압커패시터 380. 피시비
400. 컨트롤패널 420. 디스플레이
500. 조작노브 520. 노브회전축
522. 고정리브 600. 커플러
620. 삽입구 622. 리브홈
640. 요홈 700. 노브구속기구
720. 탄성와이어 740. 고정보스
742. 상단부 744. 하단부

Claims (5)

  1. 전자레인지의 컨트롤패널에 구비된 출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는 조작노브와;
    외주면을 따라서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컨트롤패널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조작노브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와 인접한 상기 컨트롤패널의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커플러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노브구속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노브구속기구는 상기 커플러와 수직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요홈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탄성와이어와, 상기 탄성와이어의 상단과 하단을 고정하는 고정보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노브의 중앙부에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노브회전축이 형성되며, 상기 노브회전축은 상기 커플러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보스는,
    상기 컨트롤패널의 후면에서 상기 커플러의 상방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보스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고,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의 사이에 상기 탄성와이어가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의 외주면 일측은 상기 고정보스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
KR20-2005-0011694U 2005-04-27 2005-04-27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 KR2003905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694U KR200390576Y1 (ko) 2005-04-27 2005-04-27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694U KR200390576Y1 (ko) 2005-04-27 2005-04-27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576Y1 true KR200390576Y1 (ko) 2005-07-21

Family

ID=43691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694U KR200390576Y1 (ko) 2005-04-27 2005-04-27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5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2857B1 (ko) 고주파가열장치
EP1708546A2 (en) Microwave oven
EP3282817B1 (en) Structure for covering connection line, electric cooking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cap of electric cooking appliance
KR200390576Y1 (ko)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
US6057533A (en) Control panel of a microwave oven having slide type power control knob
KR100595579B1 (ko) 전자 레인지의 턴테이블장치
KR200390575Y1 (ko) 전자레인지의 회전식 히터시스템
KR100516660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도어 인터락 시스템
KR0121986B1 (ko) 전자렌지용 버튼식 2단 출력선택장치
KR100280916B1 (ko) 전자렌지의 히터 지지장치
KR100942569B1 (ko) 전자레인지의 컨트롤 패널구조
JP2004212035A (ja) 電子レンジ
KR100487323B1 (ko) 토스터 겸용 전자 레인지
KR100701170B1 (ko) 조리실 가변형 전자레인지
KR100302903B1 (ko) 전자렌지의 히터 지지장치
KR200211567Y1 (ko) 전자렌지의 콘트롤패널
KR200391334Y1 (ko) 전자레인지의 턴테이블 회전장치
KR200396064Y1 (ko) 전자레인지
KR20050036439A (ko)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하부플레이트구조
KR100238652B1 (ko) 전자렌지의 인코더 스위치
KR101462179B1 (ko) 전자레인지
KR100200886B1 (ko) 전자렌지의 조작용 회전손잡이
KR0157729B1 (ko) 전자렌지의 출력 조절장치
KR100693148B1 (ko) 전자제품의 연결잭 단자용 도어의 장착구조
KR100487324B1 (ko) 토스터 겸용 전자 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