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0886B1 - 전자렌지의 조작용 회전손잡이 - Google Patents

전자렌지의 조작용 회전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0886B1
KR100200886B1 KR1019970017481A KR19970017481A KR100200886B1 KR 100200886 B1 KR100200886 B1 KR 100200886B1 KR 1019970017481 A KR1019970017481 A KR 1019970017481A KR 19970017481 A KR19970017481 A KR 19970017481A KR 100200886 B1 KR100200886 B1 KR 100200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ember
protrusion
lower body
coupled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7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2512A (ko
Inventor
박상준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7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0886B1/ko
Publication of KR19980082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2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0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0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2Household appli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렌지의 조작용 회전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회전손 잡이 하부몸체에 마련된 돌기에 끼워져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표시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조작용 회전손잡이는 회전축(53)과 결합되는 하 부몸체(32), 하부몸체(32)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상부몸체(31), 하부몸체(32)의 외 주연에서 돌출부(34a)를 매개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측으로 절곡형성된 봉상의 돌기 (34), 돌기(34)에 삽입되어 회전축(53)의 회전정도를 표시하는 원통형상의 표시부재(40)로 구성되는데, 표시부재(40) 하측에 연장리브(41a)와 걸림턱(41b)이 연장되 게 마련되어 상부몸체(31)의 결합시 이의 내면에 연장리브(41a)의 걸림턱(41b)이 걸림으로써 표시부재(40)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조립라인 및 회전손잡이(30)의 사용중에 원통형상의 표시부재(4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이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렌지의 조작용 회전손잡이
본 발명은 전자렌지의 조작용 회전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축의 회전정도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원통상의 표시부재가 장착된 전자렌지의 조작용 회전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마그네트론에서 기본파 2450MHz의 고주파를 조리실 내부로 방사하여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의 분자배열을 급속한 속도로 반복 변환시킴으로써, 이들의 마찰열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전자렌지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에 조리실과 전장품실이 구획되게 형성되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하우징의 전면부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전장품실에는 고주파를 발진하여 조리실로 방사하는 마그네트론, 고압트랜스 및 냉각팬 등이 장착된다.
그리고 하우징 전면부 일측에는 전자렌지를 조작할 수 있도록 콘트롤부가 내장된 콘트롤판넬이 설치되며, 여기에는 콘트롤부를 조작하는 회전손잡이가 구성되어 있는데, 이의 구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제1도은 회전손잡이가 90도 회전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콘트롤판넬(1)에는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에 조리시간과 파워래밸조건이 설정되는 타이머장치(2)와 릴레이장치(미도시)가 체결되어 있으며, 이들은 회전축(2a)의 회전정도에 따라 조리시간 등이 정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회전축(2a)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여기에는 회전손잡이(3)가 장착되는데, 회전손잡이(3)의 장착을 위해 회전축(2a)의 선단부는 콘트롤판넬(1) 전방 외부까지 노출되게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축(2a) 선단부에 장착되는 회전손잡이(3)는 배면에 회전축(2a)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보스(3c)가 돌출되게 성형된 하부몸체(3b)와 이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상부몸체(3a)로 구성된다.
하부몸체(3b)는 원형 접시 모양으로 성형되어 있는데, 이의 외주면에는 선단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봉형상으로 돌출된 하나의 돌기(36)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몸체(3a)는 이러한 하부몸체(3b)의 외주부를 감싸도록 후크결합되어 하나의 몸체를 이룬다. 이 때, 하부몸체(3b)에 형성된 돌기(3d)는 상부몸체(3a)와 하부몸체(3b)의 결합시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는데, 여기에는 상부몸체(3a)와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표시부재(4)가 끼워져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부재(4)를 보고 회전손잡이(3)의 회전정도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즉, 전자렌지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피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회전손잡이(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조리시간 등을 설정하는데, 상부몸체(3a)와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표시부재(4)를 보고 회전손잡이(3)의 회전정도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작용 회전손잡이(3)는 표시부재(4)가 돌기(3d)에 끼워져 결합되기 때문에, 전자렌지의 사용중 약한 외부충격에도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원통형상의 표시부재(4)는 하부몸체(3b) 외 주연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돌기(3d)에 단순히 끼워져 결합되고 이와 일체로 회전됨으로써 , 회전손잡이(3)의 회전정도를 표시하는데, 표시부재(4)가 헐겁게 끼워지거나 외부충격이 가해지면 쉽게 이탈되어 전자렌지의 전체적인 신뢰성이 저하된다. 또한, 이러한 이유로 인해 전자렌지의 조립라인에서도 표시부재(40)가 자주 이탈되어 조립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몸 체에 형성된 돌기에 끼워져 결합되어 회전축의 회전정도를 표시하는 원통형상의 표 시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자렌지의 전체적인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전자렌지의 조작용 회전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 전자렌지의 조작용 회전손잡이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렌지의 외형을 보인 것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콘트롤부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제4도는 제3도의 IV - IV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손잡이의 결합구조를 보인 것이다.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회전손잡이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회전손잡이 31 : 상부몸체
32 : 하부몸체 34a : 돌출부
34 : 돌기 33 : 보스
40 : 표시부재 41 : 걸림부재
41a : 연장리브 41b : 걸림턱
41c : 개방부 50 : 콘트롤부
53 : 회전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자렌지 콘트롤부의 회전축 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배면에 보스가 마련된 원반형상의 하부몸체; 하부몸체의 외주부를 감싸도록 외주연을 따라 결합부가 마련된 원반형상의 상부몸체, 상부몸체가 결합되는 하부몸체의 외주연에 돌출부를 매개로 일체로 마련되며 회전축의 회전 정도를 표시할 수 있도록 봉상으로 절곡된 돌기; 돌기에 삽입되며 회전축의 회전 정도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마련된 표시부재를 갖춘 전자렌지의 조작용 회전손잡이에 있어서;
표시부재가 돌기에 삽입될 경우 표시부재에 의해 돌기가 노출되지 않도록 표시부재 하단에 돌출부가 수용되게 개방형성된 개방부;
개방부가 형성된 표시부재를 돌기에 삽입한 후 하부몸체에 상부몸체가 결합될 경우 상면은 상부몸체의 결합부와 면접촉하며 하면은 돌출부의 상면과 면접촉하도록 개방부의 상측에서 결합부의 두께와 대체로 동일하게 연장된 연장리브;
연장리브가 형성된 표시부재가 하부몸체에 상부몸체가 결합될 경우 상부몸체 내면에 걸림되어 돌기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연장리브의 단부에서 절곡되게 마련된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와 제3도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렌지의 외관과 콘트롤부 구조를 보인 것이고, 제4도와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손잡이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와 분해사시도이다. 제6도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렌지는 이들에 도시한 마와 같이, 외형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10) 내부에 일면이 개구된 조리실(미도시)과 전장품실(미도시)이 구획되게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의 전면부에는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11)가 힌지 결합되어 있고, 조리실의 바닥면에는 턴테이블 방식의 조리접시가 설치된다. 전장품실에는 고주파를 발진하여 조리실로 방사하는 마그네트론, 마그네트론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압트랜스, 열을 발생하는 전기부품을 냉각하는 냉각팬 등이 장착된다.
그리고 전장품실의 전방, 즉 하우징(10)의 전면 일측부에는 원호를 이루도록 눈금(22)이 새겨진 콘트롤판넬(20)이 결합되는데, 콘트롤판넬(20)의 배면에는 전자 렌지의 조리행정을 조작할 수 있도록 콘트롤부(제3도참조, 50)가 마련되며, 콘트롤 판넬(20)의 하측에는 도어개방버튼(21)이 설치된다.
콘트롤부(50)는 제3도과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워래밸을 설정하는 릴레이 장치(52)와 조리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장치(51)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릴레이장치(52)와 타이머장치(51)는 콘트롤판넬(20) 외부까지 연장돌출된 회전축(53)의 회전정도에 따라 파워래밸과 조리시간이 설정된다. 따라서 회전축(53)의 단부에는 회전손잡이(30)가 결합되어 있어서, 이를 잡고 회전축(53)을 적정하게 회전시킨다.
이러한 회전손잡이(30)는 회전축(53)의 단부와 결합되는 하부몸체(32)와 이 를 감싸도록 후크결합되는 상부몸체(31)로 크게 이루어져 있다. 하부몸체(32)는 원반형상으로 성형되며, 배면에 축결합공이 형성된 보스(33)가 마련된다. 또한 하부몸체(32)의 외주연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돌출부(34a)를 매개로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봉상으로 절곡 연장된 돌기(34)가 마련되는데, 이것은 후술하는 표시 부재(40)가 삽입되어 회전축(53)의 회전정도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부몸체(31) 역시 원반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부몸체(32)의 외주면을 감싸 후크결합되도록 이의 외주연을 따라 t의 두께로 이루어진 결합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몸체(31)가 하부몸체(32)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하기 때문에, 이들의 내부에는 외부와 구획된 공간부(35)가 형성된다.
또한, 하부몸체(32)에서 외부로 돌출된 돌기(34)에는 색상이 상부몸체(31)와 다르며 상면이 폐쇄된 원통형상의 표시부재(40)가 결합된다. 표시부재(40)는 회전손잡이(30)의 회전정도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표시부재(40)와 눈금(22)을 보고 회전축(53)의 회전정도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사용자는 표시부재(40)가 위치되는 눈금(22)을 보고 적정한 조리운전을 설정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표시부재(40)에는 상부몸체(31)와 하부몸체(3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35)에 걸림되는 걸림부재(41)가 마련되어 있어서, 상부몸체(31)와 하부몸체(32)의 결합시 표시부재(40)가 돌기(34)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걸림부재(41)는 표시부재(4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돌출부(34a)가 수용되는 개방부(41c)와 공간부(35)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연장된 연장리브(41a) 및 연장리브(41a)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부몸체(31) 내면에 걸리는 걸림턱(41b)으로 크게 구성 되어 있다.
개방부(41c)는 표시부재(40)의 하단에 돌출부(34a)의 폭과 높이만큼 개방되 게 형성되어 있어서, 표시부재(40)가 돌기(34)에 삽입되면 돌출부(34a)는 개방부 (41c)에 완전하게 수용됨으로써 돌기(34)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완전하게 감싸여 진다. 그리고 연장리브(41a)는 개방부(41c)의 상측에서 돌출부(34a) 상면과 면접촉하도록 연장되어 있으며, 걸림턱(41b)은 연장리브(41a)의 단부에서 상측방향으로 절곡되게 마련된다. 이 때, 연장리브(41a)의 길이는 상부몸체(31) 결합부(31a)의 두께 t와 대체로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회전손잡이(30)의 조립라인에서 조립자가 하부몸체(32)의 돌기 (34)에 연장리브(41a)와 개방부(41c)가 형성된 표시부재(40)를 삽입하게 되면, 돌 출부(34a)는 개방부(41c)에 수용되며 결합부(31a)의 두께 t와 동일한 길이로 연장된 연장리브(41a)는 하면리 돌출부(34a)의 상면과 면접촉하면서 하부몸체(32) 내측공간으로 삽입되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몸체(31)를 결합하면, 연장리브(41a) 상면은 상부몸체(31)의 결합부(31a) 하면과 면접촉하게 된다.
결국, 상부몸체(31)가 완전하게 결합되면, 연장리브(41a)의 단부에 마련된 걸림턱(41b)은 상부몸체(31) 내면에 걸리게 되어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져도 돌기 (34)에 삽입된 표시부재(40)는 이탈되지 않는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조리실에 피조리물을 넣고 도어(11)를 닫은 다음 피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회전손잡이(30)를 회전시켜 조리시간과 파워래밸을 설정하면, 마그네트론에서 고압전원이 인가되어 고주파가 발진, 조리실로 방사된다.
따라서 고주파에 조사된 피조리물은 수분의 분자배열이 급속하게 변환되어 마찰열에 의해 조리되는데, 이러한 작동은 회전손잡이(30)를 회전시켜 설정한 파워 레밸과 조리시간동안 수행된다.
이 때, 회전손잡이(30)의 회전정도는 다른색상으로 이루어진 표시부재(40)가 위치되는 눈금(22)을 보고 조절하는데, 표시부재(40)는 걸림턱(41b)과 연장리브 (41a) 등으로 이루어진 걸림부재(41)를 통해 회전손잡이(3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서 사용중 이탈되지 않는다.
즉,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표시부재(40)의 하단부에 상부몸체(31)와 하부몸 체(32) 사이의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리브(41a)와 상부몸체(31)의 내면과 걸림되어 빠지지 않는 걸림턱(41b)에 의해서, 표시부재(40)는 돌기(34)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는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조작용 회전 손잡이는 회전측과 결합되는 하부몸체, 하부몸체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상부몸체, 하부몸체의 외주연에서 돌출부를 매개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측으로 절곡형성된 봉상의 돌기, 돌기에 삽입되어 회전축의 회전정도를 표시하는 원통형상의 표시부재로 구성되는데, 표시부재 하측에 연장리브와 걸림턱이 연장되게 마련되어 상부몸체의 결합시 이의 내면에 연장리브의 걸림턱이 걸림으로써 표시부재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조립라인 및 회전손잡이의 사용중에 원통형상의 표시부재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이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전자렌지 콘트롤부의 회전축(53) 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배면에 보스(33) 가 마련된 원반형상의 하부몸체(32); 상기 하부몸체(32)의 외주부를 감싸도록 외주연을 따라 t의 두께로 결합부(31a)가 마련된 원반형상의 상부몸체(31); 상기 상부몸체(31)가 결합되는 상기 하부몸체(32)의 외주연에 돌출부(34a)를 매개로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회전축(53)의 회전정도를 표시할 수 있도록 봉상으로 절곡된 돌기(34); 상기 돌기(34)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축(53)의 회전정도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마련된 표시부재(40)를 갖춘 전자렌지의 조작용 회전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재(40)가 상기 돌기(34)에 삽입될 경우 상기 표시부재(40)에 의 해 상기 돌기(34)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표시부재(40) 하단에 상기 돌출부(34)가 수용되게 개방형성된 개방부(41c); 상기 개방부(41c)가 형성된 상기 표시부재(40)를 상기 돌기(34)에 삽입한 후 상기 하부몸체(32)에 상기 상부몸체(31)가 결합될 경우 상면은 상기 상부몸체(31) 의 결합부(31a)와 면접촉하며 하면은 상기 돌출부(34)의 상면과 면접촉하도록 상기 개방부(41c)의 상측에서 상기 결합부(31a)의 두께 't와 대체로 동일하게 연장된 연장리브(41a) ; 상기 연장리브(41a)가 형성된 상기 표시부재(40)가 상기 하부몸체(32)에 상 기 상부몸체(31)가 결합될 경우 상기 상부몸체(31) 내면에 걸림되어 상기 돌기(34)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장기 연장리브(41a)의 단부에서 절곡되게 마련된 걸림턱 (41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조작용 회전손잡이.
KR1019970017481A 1997-05-07 1997-05-07 전자렌지의 조작용 회전손잡이 KR100200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7481A KR100200886B1 (ko) 1997-05-07 1997-05-07 전자렌지의 조작용 회전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7481A KR100200886B1 (ko) 1997-05-07 1997-05-07 전자렌지의 조작용 회전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2512A KR19980082512A (ko) 1998-12-05
KR100200886B1 true KR100200886B1 (ko) 1999-06-15

Family

ID=19505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7481A KR100200886B1 (ko) 1997-05-07 1997-05-07 전자렌지의 조작용 회전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088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2512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2857B1 (ko) 고주파가열장치
KR100200886B1 (ko) 전자렌지의 조작용 회전손잡이
KR20010064863A (ko) 전자레인지의 댐퍼장치
KR20150136878A (ko) 전기압력밥솥의 자동 잠금장치
KR200211567Y1 (ko) 전자렌지의 콘트롤패널
KR100277980B1 (ko) 전자렌지의 인코더 스위치
KR200157110Y1 (ko) 전자 렌지용 그릴 석쇠
KR100593060B1 (ko) 전자 레인지 도어의 안전 개폐 구조
US4330697A (en) Drive motor assembly for use in a microwave oven
KR100233435B1 (ko) 전자렌지의 조작용 회전손잡이
KR200150894Y1 (ko) 전자렌지용 후크레버의 스프링 걸림구조
KR200390575Y1 (ko) 전자레인지의 회전식 히터시스템
KR100238652B1 (ko) 전자렌지의 인코더 스위치
KR100277979B1 (ko) 전자렌지의 냉각팬
KR100302903B1 (ko) 전자렌지의 히터 지지장치
KR19990060096A (ko) 전자렌지의 히터 장치
KR100285860B1 (ko) 전자렌지의 마그네트론 고정 구조
KR20000005920U (ko) 전자렌지의 콘트롤패널
KR200390576Y1 (ko)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
JPH0619194Y2 (ja) 高周波調理器
KR20000003404U (ko) 전자렌지의 콘트롤패널
KR0136098Y1 (ko) 전자렌지의 출력선택 단속구조
KR19990019809U (ko) 전자렌지의 도어 개폐구조
KR200386106Y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19990021322A (ko) 전자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