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064Y1 - 전자레인지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064Y1
KR200396064Y1 KR20-2005-0017335U KR20050017335U KR200396064Y1 KR 200396064 Y1 KR200396064 Y1 KR 200396064Y1 KR 20050017335 U KR20050017335 U KR 20050017335U KR 200396064 Y1 KR200396064 Y1 KR 2003960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wave oven
rear plate
cooking chamber
blocking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3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73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0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0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0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6Aspects relating to the exteri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g. metal casing, power cor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면플레이트 일측에서 후방으로 돌출 성형되어 전장부품이 내장된 전장실 내부로의 이물 유입을 규제하는 이물차단루버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원을 인가받아 고주파를 조사(照射)하는 마그네트론에 의해서 음식물이 조리 가능한 전자레인지(100)에 있어서, 상기 전자레인지(100)는, 사각판을 다수회 절곡하여 상면 및 좌우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110)와, 상기 아웃케이스(110) 내부에 다수개의 전장부품이 고정 장착되는 전장실과, 전방이 개구된 직육면체 모양의 공간을 형성하여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140)과, 상기 조리실(140)의 전방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130)와,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플레이트(120)와, 상기 후면플레이트(120)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전자레인지(100)에 전원을 인가하는 파워코드(17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후면플레이트(120) 일측에는 전자레인지(100) 후방으로 돌출 성형되어 상기 전장실 내부로의 이물 유입을 규제하는 이물차단루버(20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조립공수가 감소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 Microwave oven }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레인지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플레이트 일측에 후방으로 돌출 성형되어 전장부품이 내장된 전장실 내부로의 이물 유입을 규제하는 이물차단루버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레인지는 음식물을 수납하여 밀폐한 후,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생된 마이크로파를 음식물에 조사(照射)하여 조리물을 구성하고 있는 분자들을 1초에 24억 5천만번 진동시킴으로써 마찰열로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조리기구이다.
그리고, 전자레인지는 순간 기동, 정지 및 출력조정에 의한 온도 제어가 용이하고, 음식물 각 부위의 동시 발열로 인하여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음식물의 균일한 조리가 가능하며, 조리 시간의 절약, 조작의 편의성 등의 다양한 이점으로 인하여 일반가정에 많이 보급되어 있는 실정이다.
전자레인지의 핵심 부품인 마그네트론은 구리로 형성된 양극(陽極, Anode)과 원통코일형상의 음극(陰極, Cathode) 그리고, 양극과 음극사이의 자계가 직각이 되도록 하는 자석으로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는 무관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외관 구성을 보인 전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후면 외관 구성을 보인 후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1)는 대략 직육면체모양의 외형을 가지며, 사각판을 다수회 절곡하여 상기 전자레인지(1)의 상면 및 좌우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C)와,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플레이트(도 2의 도면부호 R)와, 전방을 선택적으로 차폐 가능한 도어(D)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레인지(1)의 내부에는 전방이 개구된 직육면체 모양의 공간을 형성하여 내부에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조리실(2)이 형성된다. 상기 조리실(2)은 내부에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인입되어 안착되며, 용기에 담긴 음식물은 전술한 마그네트론(미도시)으로부터 조사(照射)된 마이크로파에 의해서 조리 가능하게 된다.
상기 조리실(2) 내부에는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미도시)와 연동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조리실(2) 내부의 음식물이 고르게 조리되도록 하는 트레이(T)가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상기 조리실(2)의 개구된 전방에는 상기 도어(D)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D)는 전자레인지(1)의 전방 좌측 상하부에 돌출 구비된 힌지(H)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도어(D)가 조리실(2)을 차폐하게 되면 상기 전자레인지(1) 작동시에 발생되는 마이크로파는 상기 조리실(2)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도어(D)의 후면에는 대략 "ㄱ"모양의 종단면을 가지는 래치(L)가 구비된다. 상기 래치(L)는 조리실(2)의 전면(前面)에서 세로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모양으로 천공된 래치삽입구(L')에 삽입되며, 상기 도어(D) 내부에 장착된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서 하방으로 탄성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래치(L)가 상기 래치삽입구(L')에 삽입되면 상기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서 탄성 지지되어 상기 래치(L)의 일단부는 상기 래치삽입구(L')의 하단부에 의해서 구속됨으로써 상기 도어(D)는 개방되지 않고 상기 조리실(2)을 차폐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조리실(2)의 우측 보다 상세하게, 상기 아웃케이스(C)로 둘러싸인 전자레인지(1)의 우측 내부공간에는 전장실이 구비된다. 상기 전장실은 다수개의 전장부품(미도시)이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전장실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조작버튼(4') 및 디스플레이(4")를 포함하는 조작부(4)가 구비되어 상기 전장부품의 제어는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자레인지(1)의 후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플레이트(R)를 관통하여 상기 전장실(미도시) 일측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전장실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파워코드(P)가 구비된다.
상기 파워코드(P)는 후면플레이트(R)의 절단면에 의해서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패킹(6)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보호패킹(6)은 상기 파워코드(P)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후면플레이트(R)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파워코드(P)는 안전한 상태로 플렉시블한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보호패킹(6)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곳에는 이물차단판(8)이 설치된다. 상기 이물차단판(8)은 우측에서 볼 때 대략 "ㄱ"모양으로 절곡 성형되며, 일면이 상기 후면플레이트(R)에 부착된 상태로 스크류(S)에 의해서 관통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이물차단판(8)이 상기 후면플레이트(R)에 장착되면 상기 이물차단판(8)의 상면은 상기 보호패킹(6)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보호패킹(6)의 상부를 차폐하게 되며, 상기 보호패킹(6)의 내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장실(미도시) 내부로의 이물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전자레인지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전장실(미도시) 내부로의 이물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인 이물차단판(8)은 후면플레이트(R)와는 별도로 구성되고 절곡 및 천공 작업을 거쳐야하며, 후면플레이트(R)에 장착되기 위해서는 스크류(S) 등의 체결부재가 더 요구된다.
따라서, 작업공수가 증가되고, 생산성이 저하됨으로써 가격 상승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후면플레이트(R) 후방으로 날카롭게 돌출되어 사용자에게 신체상 상해를 입힐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후면플레이트 일측에서 후방으로 돌출 성형되어 전장실 내부로의 이물 유입을 규제하는 이물차단루버를 후면플레이트와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전자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원을 인가받아 고주파를 조사(照射)하는 마그네트론에 의해서 음식물이 조리 가능한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전자레인지는, 사각판을 다수회 절곡하여 상면 및 좌우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와, 상기 아웃케이스 내부에 다수개의 전장부품이 고정 장착되는 전장실과, 전방이 개구된 직육면체 모양의 공간을 형성하여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의 전방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와,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플레이트와,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전자레인지에 전원을 인가하는 파워코드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후면플레이트 일측에는 전자레인지 후방으로 돌출 성형되어 상기 전장실 내부로의 이물 유입을 규제하는 이물차단루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차단루버는, 상기 전장실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개구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 상부를 차폐함으로써 상기 개구부로의 이물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후면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부는 하방향으로 개구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부품수가 감소되어 생산성 향상은 물론 제조원가의 절감도 기대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외관 구성을 보인 전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후면 외관 구성을 보인 후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요부구성인 이물차단루버의 형상을 보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100)는 대략 직육면체모양의 외형을 가지며, 사각판을 다수회 절곡하여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상면 및 좌우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110)와,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플레이트(도 4의 도면부호 120)와, 전방을 선택적으로 차폐 가능한 도어(130)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전면에는 직육면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여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140)과, 상기 전자레인지(100)에 장착된 다수개의 전장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조리실(140)은 내부에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인입되어 안착된다. 그리고, 용기에 담긴 음식물은 전술한 마그네트론(미도시)으로부터 조사(照射)된 마이크로파에 의해서 조리 가능하게 되며, 상부에 다수개의 구멍(142')이 형성된 기류순환장치(142)가 구비되어 조리실(14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음식물의 고른 조리를 돕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140)의 좌측면 상부에는 선택적으로 점등되어 상기 조리실(140) 내부를 밝혀주는 램프(160)가 설치된다. 상기 램프(160)는 전자레인지(100)가 작동중이거나 도어(130)가 개방시에 점등되어 상기 조리실(140) 내부를 밝힘으로써 음식물 조리 상태의 확인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조리실(140)의 개구된 전방에는 상기 도어(130)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130)는 전자레인지(100)의 전방 좌측 상하부에 돌출 구비된 힌지(132)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도어(130)가 조리실(140)을 차폐하게 되면 상기 전자레인지(100) 작동시에 발생되는 마이크로파는 상기 조리실(140)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30)의 전면에는 도어손잡이(134)가 장착된다. 상기 도어손잡이(134)는 하부가 상기 도어(130)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절곡 성형됨으로써 상기 도어(130)의 개폐시에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도어손잡이(134)의 후면에는 대략 "ㄱ"모양의 종단면을 가지는 래치(136)가 구비된다. 상기 래치(136)는 조리실(140)의 전면(前面)에서 세로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모양으로 천공된 래치삽입구(136')에 삽입되며, 상기 도어(130) 내부에 장착된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서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래치(136)가 래치삽입구(136')에 삽입되면 상기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서 탄성 지지되어 래치삽입구(136')의 상단부에 의해서 구속됨으로써 상기 도어(130)는 개방되지 않고 상기 조리실(140)을 차폐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래치삽입구(136')의 우측에는 상기한 조작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150)는 조리실(140) 내부에 인입된 음식물을 종류 및 상태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조리시간 및 마이크로파의 강도로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회전시켜 다양한 메뉴의 선택이 가능한 조작다이얼(15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조작다이얼(152)의 상부에는 음식물 조리시간 및 전자레인지(100)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154)가 설치됨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조작부(150)의 후방 보다 상세하게, 상기 아웃케이스(110)로 둘러싸인 전자레인지(100)의 우측 내부공간에는 전장실이 구비된다. 상기 전장실은 다수개의 전장부품(미도시)이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전장부품은 상기 조작부(150)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후면(도 4 참조)에는 상기 전자레인지(100)에 전원을 인가하는 파워코드(170)가 구비된다. 상기 파워코드(170)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20)를 관통하여 상기 전장실(미도시) 내부 일측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전자레인지(100)에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면플레이트(120)의 좌측 상부에는 상기 파워코드(170)를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파워코드(170)가 상기 후면플레이트(120)의 날카로운 절단면에 의해서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보호패킹(180)이 구비된다.
즉, 상기 보호패킹(180)은 내부가 상기 파워코드(170)의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천공되어 상기 파워코드(170)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파워코드(170)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후면플레이트(120)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파워코드(170)는 안전하게 보호됨은 물론 플렉시블한 유동도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보호패킹(180)의 상측에는 본 고안의 요부구성인 이물차단루버(200)가 구비된다. 상기 이물차단루버(200)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20)를 가로방향으로 슬리팅(Slitting)한 후에 슬리팅 된 상부를 전자레인지(100)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포밍(Forming)한 것으로, 상기 전장실(미도시) 내부로의 이물 유입을 규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이물차단루버(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장실(미도시)과 외부로 연통되도록 개구된 개구부(210)와, 상기 개구부(210) 상부를 차폐함으로써 상기 개구부(210)로의 이물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구부(210)는 차단부(220)가 포밍(Forming)에 의해서 형성될 때 상기 차단부(220)와 후면플레이트(120)가 이격된 틈을 지칭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후면플레이트(120)를 슬리팅한 후에 상부를 포밍하였으므로, 상기 개구부(210)는 하방향으로 개구됨은 자명하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220)는 상기 개구부(210)의 상부를 차폐함은 물론, 상기 보호패킹(180)의 상측도 동시에 차폐하게 된다. 즉, 상기 차단부(220)의 우측단부의 위치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20)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된 보호패킹(180)의 폭보다 우측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보호패킹(180)은 차단부(220)에 의해서 상측이 완전히 차폐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후면플레이트(120)에 근접하여 이물 또는 물이 낙하하게 되더라도 상기 차단부(220)에 의해서 낙하방향이 간섭되어 이물 또는 물은 상기 개구부(210) 또는 보호패킹(180)과의 접촉이 차단됨으로써 상기 전장실(미도시) 내부로의 이물 유입은 규제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자레인지의 작용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3과 같이 상기 조리실(140)이 개구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실(140) 내부에 조리할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인입하게 된다.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인입되면, 상기 도어손잡이(134)를 파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조리실(140)을 차폐하게 된다.
이때, 상기 래치(136)는 래치삽입구(136')에 삽입되어 걸림 구속됨으로써 상기 도어(130)는 사용자의 강제적인 힘이 없이는 개방되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 파워코드(170)는 벽면의 콘센트(미도시)에 꽃혀진 상태이며, 상기 전자레인지(100)는 작동 대기상태이다.
상기 전자레인지(100)를 이용한 음식물의 조리가 준비 완료되면, 상기 조작부(150)의 조작다이얼(152)을 회전시켜 원하는 메뉴를 선택한 다음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전자레인지(100)를 작동시킴으로써 음식물은 조리가능하게 된다.
한편, 일상 생활에서 흔히 발생될 수 있는 사용자의 부주의 예컨대,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상면 즉, 아웃케이스(110)로부터 후방으로 물을 쏟은 경우에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20)를 따라서 쏟아진 물이 하방으로 낙하된다.
이때, 상기 이물차단루버(200)의 차단부(220)는 물의 진행을 간섭하여 상기 후면플레이트(120)의 우측(도 5에서 볼 때)으로 진행방향을 바꾸어 낙하시킴으로써 상기 보호패킹(180)은 낙하되는 물과 접촉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220)의 이러한 작용으로 인하여 상기 전장실(미도시) 내부의 전장부품은 물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누전 등의 파손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는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플레이트 일측에 후방으로 돌출 성형된 이물차단루버를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낙하되는 이물의 진행방향이 전자레인지 외측으로 바뀌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별도의 부품 및 결합부재가 불필요하게 되어 생산성 향상 및 제조원가 절감이 기대된다.
또한, 조리실과 연통된 개구부 및 보호패킹의 상측을 동시에 차폐하여 낙하물의 유입을 규제함으로써 전장실 내부의 전장부품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이점들로 인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만족도 향상도 기대됨은 물론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외관 구성을 보인 전방사시도.
도 2 는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후면 외관 구성을 보인 후방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외관 구성을 보인 전방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후면 외관 구성을 보인 후방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요부구성인 이물차단루버의 형상을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전자레인지 110. 아웃케이스
120. 후면플레이트 130. 도어
132. 힌지 134. 도어손잡이
136. 래치 136'. 래치삽입구
140. 조리실 142. 기류순환장치
142'. 구멍 150. 조작부
152. 조작다이얼 154. 디스플레이
160. 램프 170. 파워코드
180. 보호패킹 200. 이물차단루버
210. 개구부 220. 차단부

Claims (4)

  1. 전원을 인가받아 고주파를 조사(照射)하는 마그네트론에 의해서 음식물이 조리 가능한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전자레인지는,
    사각판을 다수회 절곡하여 상면 및 좌우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와,
    상기 아웃케이스 내부에 다수개의 전장부품이 고정 장착되는 전장실과,
    전방이 개구된 직육면체 모양의 공간을 형성하여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의 전방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와,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플레이트와,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전자레인지에 전원을 인가하는 파워코드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후면플레이트 일측에는 전자레인지 후방으로 돌출 성형되어 상기 전장실 내부로의 이물 유입을 규제하는 이물차단루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차단루버는,
    상기 전장실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개구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 상부를 차폐함으로써 상기 개구부로의 이물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후면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하방향으로 개구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KR20-2005-0017335U 2005-06-16 2005-06-16 전자레인지 KR2003960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335U KR200396064Y1 (ko) 2005-06-16 2005-06-16 전자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335U KR200396064Y1 (ko) 2005-06-16 2005-06-16 전자레인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064Y1 true KR200396064Y1 (ko) 2005-09-16

Family

ID=43697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335U KR200396064Y1 (ko) 2005-06-16 2005-06-16 전자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06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13621B2 (ja) 加熱調理器
EP3282817B1 (en) Structure for covering connection line, electric cooking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cap of electric cooking appliance
EP1519633B1 (en) Microwave oven
US4621180A (en) Cavity illumination means for microwave oven
KR200396064Y1 (ko) 전자레인지
KR0136064Y1 (ko) 전자렌지의 전원코드 열손상 방지장치
KR200386430Y1 (ko) 전자레인지의 빌트인 장착구조
KR200396065Y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인터록장치
KR100627906B1 (ko) 조리실 가변형 전자레인지
KR20040059141A (ko) 전자렌지
US20230092833A1 (en) Heating cooking apparatus
CN108156685B (zh) 加热烹调器
EP1902255B1 (en) Device for preventing leakage of microwave for microwave oven
KR100286026B1 (ko) 전자렌지
KR200386429Y1 (ko) 전자레인지
KR20060104279A (ko) 전자레인지 및 전자레인지의 램프제어방법
KR200386428Y1 (ko) 전자레인지
KR200386106Y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20000004451U (ko) 전자렌지의 도어
KR200169604Y1 (ko) 전자 렌지용 도어
KR100614312B1 (ko) 전자레인지의 아웃케이스
KR200189548Y1 (ko) 전자렌지
KR200185389Y1 (ko) 전자렌지
KR101052154B1 (ko) 전자레인지의 그릴히터 장치
KR100700770B1 (ko) 전기오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