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065Y1 - 전자레인지의 도어인터록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의 도어인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065Y1
KR200396065Y1 KR20-2005-0017336U KR20050017336U KR200396065Y1 KR 200396065 Y1 KR200396065 Y1 KR 200396065Y1 KR 20050017336 U KR20050017336 U KR 20050017336U KR 200396065 Y1 KR200396065 Y1 KR 2003960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rotrusion
microwave oven
door
interloc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3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73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0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0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0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이크로스위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레버 일측에 이탈규제돌기가 더 구비되는 전자레인지의 도어인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도어인터록장치(100)는, 내부에 다수개의 마이크로스위치(M)가 장착된 상태로 전자레인지 일측에 장착 고정되는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 일면에 천공 성형되어 상기 래치(L) 및 스위치작동돌기(S)가 상기 바디(110) 내부로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홀(112') 및 제2가이드홀(112")과; 상기 래치(L) 및 스위치작동돌기(S)의 일측과 접촉되어 회동함으로써 상기 마이크로스위치(M)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레버(120)와; 상기 레버(120)의 내부를 관통하여 레버(120)의 회동을 지지하는 보스(116)와; 상기 보스(116)와 이격 형성되고, 상기 레버(120)의 일측을 구속하여 상기 바디(110)로부터 보스(116)의 이탈을 규제하는 구속돌기(117)와; 상기 레버(120)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단차지게 돌출되어 상기 구속돌기(117)의 일측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레버(120)의 이탈이 규제되도록 하는 이탈규제돌기(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레버의 이탈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도어인터록장치{ Device of door interlock for Microwave oven }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레인지 도어에 돌출 장착된 래치와 간섭되어 마이크로스위치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레버가 이탈이 규제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이탈규제돌기 및 구속돌기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의 도어인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레인지는 음식물을 수납하여 밀폐한 후,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생된 마이크로파를 음식물에 조사(照射)하여 조리물을 구성하고 있는 분자들을 1초에 24억 5천만번 진동시킴으로써 마찰열로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조리기구이다.
그리고, 전자레인지는 순간 기동, 정지 및 출력조정에 의한 온도 제어가 용이하고, 음식물 각 부위의 동시 발열로 인하여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음식물의 균일한 조리가 가능하며, 조리 시간의 절약, 조작의 편의성 등의 다양한 이점으로 인하여 일반가정에 많이 보급되어 있는 실정이다.
전자레인지의 핵심 부품인 마그네트론은 구리로 형성된 양극(陽極, Anode)과 원통코일형상의 음극(陰極, Cathode) 그리고, 양극과 음극사이의 자계가 직각이 되도록 하는 자석으로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는 무관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외관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1)는 대략 직육면체모양의 외형을 가지며, 아웃케이스(C)에 의해서 외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레인지(1)는 크게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10)과, 상기 조리실(10)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20)와, 상기 전자레인지(1)에 장착된 전장부품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조작부(30)로 구성된다.
상기 조리실(10)은 전방이 개구된 직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인입되어 안착된다. 그리고, 용기에 담긴 음식물은 전술한 마그네트론(미도시)으로부터 조사(照射)된 마이크로파에 의해서 조리 가능하게 되며, 상부에 다수개의 구멍(12')이 형성된 기류순환장치(12)가 구비되어 공기를 조리실 내부에서 순환시킴으로써 음식물의 고른 조리를 돕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10)의 좌측면 상부에는 선택적으로 점등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를 밝혀주는 램프(14)가 설치된다. 상기 램프(14)는 전자레인지(1)가 작동중이거나 도어(20)가 개방시에 점등되어 상기 조리실(10) 내부를 밝힘으로써 음식물 조리 상태의 확인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조리실(10)의 개구된 전방에는 상기 도어(20)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20)는 전자레인지(1)의 전방 좌측 상하부에 돌출 구비된 힌지(22)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도어(20)가 조리실(10)을 차폐하게 되면 상기 전자레인지(1) 작동시에 발생되는 마이크로파는 상기 조리실(10)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의 전면에는 도어손잡이(24)가 장착된다. 상기 도어손잡이(24)는 하부가 상기 도어(20)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절곡 성형됨으로써 상기 도어(20)의 개폐시에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도어손잡이(24)의 후면에는 대략 ""모양의 종단면을 가지는 래치(26)가 구비된다. 상기 래치(26)는 조리실(10)의 전면(前面)에서 세로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모양으로 천공된 래치삽입구(14)에 삽입되며, 상기 도어(20) 내부에 장착된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서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래치(26)가 아래에서 설명할 도어인터록장치(40)에 삽입되면 상기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서 탄성 지지되어 도어인터록장치(40)의 일측에 의해서 구속됨으로써 상기 도어(20)는 개방되지 않고 상기 조리실(10)을 차폐 가능하게 된다.
상기 래치(26)의 상측에는 대략 길이가 긴 직사각형 모양의 종단면을 가지고 돌출된 스위치작동돌기(28)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작동돌기(28)는 상기 도어(20)의 후면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도어(20) 회동시에 래치삽입구(14)의 상측에 천공 성형된 돌기삽입구(16)에 삽입됨으로써 마이크로스위치(도 2의 도면부호 M)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돌기삽입구(16)의 우측에는 상기한 조작부(30)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30)는 조리실(10) 내부에 인입된 음식물을 종류 및 상태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조리시간 및 마이크로파의 강도로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회전조작으로 다양한 메뉴의 선택이 가능한 조작다이얼(3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조작다이얼(32)의 상부에는 음식물 조리시간 및 전자레인지(1)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34)가 설치됨이 일반적이다.
한편, 상기 아웃케이스(C)의 내면과 조리실(10)이 형성하는 공간 보다 정확히 설명하자면, 상기 래치삽입구(14) 및 돌기삽입구(16)와 연통되는 전자레인지(1)의 내부에는 도어인터록장치(40)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인터록장치(40)는 상기 도어(20)가 조리실(10)을 차폐시에 상기 래치삽입구(14) 및 돌기삽입구(16)를 각각 관통한 상기 래치(26) 및 스위치작동돌기(28)를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도어(20)의 개폐 및 램프(14)와 같은 전장품의 작동을 동시에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어인터록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는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도어인터록장치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인터록장치(40)는 크게 다수개의 마이크로스위치(M)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래치삽입구(14) 후면에 장착되는 바디(42)와, 상기 바디(42) 내부에 삽입되어 회동함으로써 상기 마이크로스위치(M)의 전원인가를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레버(44)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42)의 좌측면에는 상기 래치삽입구(14) 및 돌기삽입구(16)와 대응되는 크기로 천공 성형된 제1가이드홀(46') 및 제2가이드홀(46")이 구비된다. 상기 제1가이드홀(46') 및 제2가이드홀(46")은 상기 도어(20)가 회동하여 조리실(10)을 차폐시에 상기 래치(26) 및 스위치작동돌기(28)가 상기 바디(42)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홀(46')의 상부에는 상기 바디(42)의 내면에서 우측하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가이드리브(47)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리브(47)는 상기 래치(26)가 제1가이드홀(46') 내부로 삽입시에 래치(26)의 곡면(26')을 간섭함으로써 상기 래치(26)가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강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서 상방으로 탄성 지지된 래치(26)는 상기 곡면(26')이 가이드리브(47)의 하면과 접촉시에 슬라이딩되어 하방으로 유동되며 급격한 상기 곡면(26')과 급격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 경사면(26")에 의해서 간섭이 해지됨과 동시에 걸림으로써 상기 도어(20)는 개방이 규제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42) 내부에는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원기둥 모양을 가지도록 돌출 성형되어 상기 레버(44)가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보스(48)가 구비된다. 상기 보스(48)는 제1보스(48')와 제2보스(4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레버(44)와 동일한 수량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스(48)의 일측에는 상기 바디(42)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레버(44)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까지 그 단부가 수직하게 절곡 성형된 구속돌기(49)가 구비된다. 상기 구속돌기(49)는 제1구속돌기(49')와 제2구속돌기(49")로 구성되어 상기 제1보스(48')와 제2보스(48")의 상면을 각각 구속함으로써 상기 바디(42)로부터 이탈이 규제되도록 한다.
즉, 상기 레버(44)에 포함되는 상기 제1레버(44')와 제2레버(44")가 상기 제1보스(48')와 제2보스(48")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제1구속돌기(49')와 제2구속돌기(49")의 상부 일측과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제1레버(44')와 제2레버(44")는 상기 바디(42)로부터 이탈이 규제된 상태로 상기 제1보스(48')와 제2보스(48")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20)의 래치(26)와 스위치작동돌기(28)가 상기 제1가이드홀(46')과 제2가이드홀(46")을 통해서 상기 도어인터록장치(40)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래치(26)와 스위치작동돌기(28)는 상기 제1레버(44')와 제2레버(44")를 각각 상방으로 들어올려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과 동시에 마이크로스위치를 작동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램프(14) 및 마그네트론(미도시) 등 전장품을 제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음식물을 조리시에 조리실(10) 내부에는 높은 열이 발생되고 이러한 열은 도어인터록장치(40)에도 전달되어 구속돌기(49)에 휨현상을 발생시키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구속돌기(49)는 도 2에서 볼 때 우측으로 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구속돌기(49)의 휨현상으로 인하여 레버(44) 상면의 규제가 해지됨으로써 레버(44)가 바디(42) 바닥면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레버(44)의 이탈로 마이크로스위치(M)의 작동이 불가하여 램프(14) 및 마그네트론(미도시)의 제어가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로어인터록장치(40)를 교체 해야하며, 교체 비용으로 인한 추가 비용이 발생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레버의 일측에 레버보다 낮은 두께를 가지고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이탈규제돌기를 형성하고, 구속돌기의 높이를 이탈규제돌기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형성하여 이탈규제돌기의 상면을 구속함으로써 열에 의한 구속돌기의 휨 발생 및 레버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전자레인지의 도어인터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어 도어의 후면에 돌출 구비된 래치 및 스위치작동돌기를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도어 개폐 및 전장부품 제어를 동시에 수행하는 도어인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인터록장치는, 내부에 다수개의 마이크로스위치가 장착된 상태로 전자레인지 일측에 장착 고정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 일면에 천공 성형되어 상기 래치 및 스위치작동돌기가 상기 바디 내부로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홀 및 제2가이드홀과; 상기 래치 및 스위치작동돌기의 일측과 접촉되어 회동함으로써 상기 마이크로스위치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내부를 관통하여 레버의 회동을 지지하는 보스와; 상기 보스와 이격 형성되고, 상기 레버의 일측을 구속하여 상기 바디로부터보스의 이탈을 규제하는 구속돌기와; 상기 레버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단차지게 돌출되어 상기 구속돌기의 일측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레버의 이탈이 규제되도록 하는 이탈규제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탈규제돌기는 상기 레버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이탈규제돌기의 높이는 상기 레버보다 낮게 형성된다.
상기 구속돌기는, 상기 바디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되게 돌출 성형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서 절곡 성형되어 상기 이탈규제돌기의 일측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레버의 직선 유동을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는 상기 이탈규제돌기의 상면과 동일한 수평면 상에 위치한다.
상기 구속돌기는 상기 바디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구속돌기가 조리실 내부의 열에 영향을 받더라도 휘지 않게 되어 레버의 이탈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전자레인지의 도어인터록장치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도어인터록장치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 도어인터록장치의 요부구성인 제1레버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3 의 A-A'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어인터록장치의 구성 설명에 앞서, 전자레인지의 외관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전자레인지에 대한 별도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미도시)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미도시)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D)의 개폐 및 램프(미도시)와 같은 전장부품의 작동을 동시에 규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도어인터록장치(100)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도어인터록장치(100)는 상기 도어(D)의 내면에서 우측으로 돌출 구비된 스위치작동돌기(S)와, 상기 스위치작동돌기(S)의 하측에서 일단이 상기 도어(D) 내부의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서 탄성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도어(D) 외부로 돌출된 래치(L)를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상기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인터록장치(100)는 크게 다수개의 마이크로스위치(M)가 내부에 장착되고 일측이 상기 전자레인지(미도시) 내부 일측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도어인터록장치(100)의 장착을 가능하게 하는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 내부에 삽입되어 회동함으로써 상기 마이크로스위치(M)의 전원 인가를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레버(120)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110)는 개구된 전면(前面)이 전자레인지(미도시)의 내부 일면에 결합됨으로써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공간에 상기 마이크로스위치(M) 및 레버(120)가 장착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바디(110)의 좌측면 상부에는 상기 스위치작동돌기(S)의 종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천공된 제2가이드홀(112")이 구비된다. 상기 제2가이드홀(112")은 상기 도어(D)가 조리실(미도시)을 차폐시에 상기 스위치작동돌기(S)가 삽입되는 곳으로, 상기 스위치작동돌기(S)가 간섭없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가이드홀(112")은 스위치작동돌기(S)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가이드홀(112")과 이격된 하측에는 제1가이드홀(112')이 구비된다. 상기 제1가이드홀(112')은 상기 도어(D)가 조리실(미도시)을 차폐시에 상기 래치(L)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래치(L)가 도어인터록장치(100) 내부에서 상하방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것을 감안하여 상기 래치(L)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홀(112')의 상단부에는 상기 바디(110)의 좌측 내면에서 우측하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가이드리브(114)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리브(114)는 상기 래치(L)가 제1가이드홀(112') 내부로 삽입시에 래치(L)의 곡면(L')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래치(L)가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강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서 상방으로 탄성 지지된 래치(L)는 상기 곡면(L')과 가이드리브(114) 하면의 간섭에 의해서 슬라이딩되어 하방으로 유동되며, 상기 곡면(L')과 급격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 경사면(L")에 의해서 간섭이 해지됨과 동시에 걸림으로써 상기 도어(D)는 개방이 규제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110) 내부 바닥면에는 상방으로 원기둥 모양을 가지도록 돌출 성형되어 상기 레버(120)가 회동 가능하도록 중심축 역할을 하는 보스(116)가 구비된다.
상기 보스(116)는 상기 바디(110)의 대략 중앙에 위치한 제2보스(116")와 상기 제2보스(116")의 하측에 이격된 제1보스(11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스(116)는 레버(120)의 회동 중심축 역할을 수행하므로 상기 레버(120)와 동일한 수량으로 구비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상기 보스(116)의 일측에는 상기 바디(110)의 내부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돌출 성형된 구속돌기(117)가 구비된다. 상기 구속돌기(117)는 상기 레버(120)의 상면 일측과 접촉하여 레버(120)의 이탈을 규제하는 것으로, 상기 제1보스(116')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1구속돌기(117')와, 상기 제2보스(116")의 우측에 이격 형성된 제2구속돌기(1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속돌기(11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되게 돌출 성형된 지지부(118)와, 상기 지지부(118)의 단부에서 절곡 성형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이탈규제돌기(124)의 상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레버(120)의 직선유동을 구속하는 구속부(119)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바디(110)와 일체로 성형된다.
즉, 상기 지지부(118)의 상단부는 이탈규제돌기(124)의 상면과 동일한 수평면상에 위치하며 상기 구속부(119)의 저면이 이탈규제돌기(124)의 상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레버(120)는 구속돌기(117)에 의해서 상하방 직선유동이 규제된 상태로 상기 보스(116)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레버(120)는 도 3과 같이, 제1보스(116')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상기 제1구속돌기(117')에 의해서 이탈이 규제된 제1레버(120')와, 상기 제2보스(116")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제2구속돌기(117")에 의해서 이탈이 규제된 제2레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스위치(M)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1레버(120')는 상기 스위치작동돌기(S)의 우측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1보스(116')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며, 상기 제2레버(120")는 상기 곡면(L')과 경사면(L")이 만나는 모서리에 의해서 상방 지지되어 시계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제1레버(120')와 제2레버(120")는 마이크로스위치(M)를 각각 작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120)에는 상기 보스(116)를 중심으로 레버(120)가 회동시에 마이크로스위치(M)의 일측과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접촉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122)의 형성 개수는 각각의 레버(120)가 제어하는 마이크로스위치(M)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레버(120)의 외측면에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이탈규제돌기(124)가 구비된다. 상기 이탈규제돌기(124)는 외면에서 외측으로 단차지게 돌출되어 상기 구속돌기(117)의 구속부(도 5의 119) 저면과 접촉하게 되며, 상기 구속돌기(117)는 레버(120)의 상방 유동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레버(120)는 보스(116)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탈규제돌기(124)는 레버(120)가 회동시에 상기 구속부(119)와 면접촉되어 마찰이 발생되므로, 내마모성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며, 상기 레버(12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이탈규제돌기(124)는 레버(120)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탈규제돌기(124)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보스(116)의 저면에서부터 대략 중앙부까지 형성되어 상기 레버(12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며, 상기 구속돌기(117)에 의해서 구속되는 상면이 상기 레버(120)의 높이 중앙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레버(120)가 회동하게 되더라도 안정감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도어인터록장치의 작용을 도 3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3과 같이 상기 도어(D)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실(미도시)을 차폐하기 위해 도어(D)를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스위치작동돌기(S)는 제2가이드홀(112")을 관통하여 상기 제2레버(120")의 좌측면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2레버(120")의 좌측면과 접촉된 상기 스위치작동돌기(S)가 우측으로 좀 더 삽입되면 제2레버(120")는 상기 제2보스(116")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제2레버(120")의 상부에 돌출 성형된 접촉부(122)는 상기 마이크로스위치(M)의 일측을 누름으로써 마이크로스위치(M)에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한편, 스위치작동돌기(S)가 제2가이드홀(112")을 관통시에 상기 래치(L)는 상기 제1가이드홀(112')에 삽입된다. 상기 래치(L)가 제1가이드홀(112')에 삽입되면 이와 동시에 상기 래치(L)의 곡면(L')은 상기 가이드리브(114)의 저면과 접촉하여 간섭됨으로써 상기 래치(L)는 하방으로 강제 유동된다.
상기 도어(D)가 우측으로 조금 더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리브(114)는 곡면(L')을 지나 경사면(")과 접촉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리브(114)에 의해서 하방으로 강제된 상기 래치(L)는 상방으로 유동하여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상기 래치(L)는 가이드리브(114)와의 간섭력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좌측방향의 인장력없이는 상기 제1가이드홀(112')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래치(L)의 상단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곡면(L')과 경사면(L")이 만나는 꼭지점은 상기 제1레버(120')의 좌측 저면을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게 된다.
상기 래치(L)에 의해서 탄성 지지된 상기 제1레버(120')는 상기 제1보스(116')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제1구속돌기(117')는 이탈규제돌기(124)의 상방(도 5 에서 볼 때) 유동을 구속한 상태로 이탈규제돌기(124) 상면을 따라서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제1레버(120')는 상기 바디(110)로부터 이탈이 규제된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기 제1보스(116')를 중심으로 회동한 래치(L)는 상기 접촉부(122)로 마이크로스위치(M) 일측을 눌러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다수개의 전장부품(미도시)의 제어는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도어인터록장치에는 레버의 일측에 레버보다 낮은 두께를 가지고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이탈규제돌기를 형성하고, 구속돌기의 높이를 이탈규제돌기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형성하여 이탈규제돌기의 상면을 구속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조리실 내부의 열이 도어인터록장치에 전달되어 구속돌기가 가열되더라도 열변형량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구속돌기의 열변형량 감소로 인하여 이탈규제돌기와의 구속을 항상 유지하므로 레버의 이탈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외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도어인터록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도어인터록장치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 도어인터록장치의 요부구성인 제1레버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도 3 의 A-A'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도어인터록장치 110. 바디
112. 가이드홀 114. 가이드리브
116. 보스 117. 구속돌기
118. 지지부 119. 구속부
120. 레버 122. 접촉부
124. 이탈규제돌기 D . 도어
L . 래치 M . 마이크로스위치
S . 스위치작동돌기

Claims (6)

  1. 전자레인지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어 도어의 후면에 돌출 구비된 래치 및 스위치작동돌기를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도어 개폐 및 전장부품 제어를 동시에 수행하는 도어인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인터록장치는,
    내부에 다수개의 마이크로스위치가 장착된 상태로 전자레인지 일측에 장착 고정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 일면에 천공 성형되어 상기 래치 및 스위치작동돌기가 상기 바디 내부로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홀 및 제2가이드홀과;
    상기 래치 및 스위치작동돌기의 일측과 접촉되어 회동함으로써 상기 마이크로스위치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내부를 관통하여 레버의 회동을 지지하는 보스와;
    상기 보스와 이격 형성되고, 상기 레버의 일측을 구속하여 상기 바디로부터 보스의 이탈을 규제하는 구속돌기와;
    상기 레버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단차지게 돌출되어 상기 구속돌기의 일측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레버의 이탈이 규제되도록 하는 이탈규제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도어인터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규제돌기는 상기 레버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도어인터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규제돌기의 높이는 상기 레버보다 낮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도어인터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돌기는,
    상기 바디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되게 돌출 성형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서 절곡 성형되어 상기 이탈규제돌기의 일측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레버의 직선 유동을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도어인터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는 상기 이탈규제돌기의 상면과 동일한 수평면 상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도어인터록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돌기는 상기 바디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도어인터록장치.
KR20-2005-0017336U 2005-06-16 2005-06-16 전자레인지의 도어인터록장치 KR2003960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336U KR200396065Y1 (ko) 2005-06-16 2005-06-16 전자레인지의 도어인터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336U KR200396065Y1 (ko) 2005-06-16 2005-06-16 전자레인지의 도어인터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065Y1 true KR200396065Y1 (ko) 2005-09-16

Family

ID=43697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336U KR200396065Y1 (ko) 2005-06-16 2005-06-16 전자레인지의 도어인터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0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755B1 (ko) 2006-04-27 2012-11-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레인지의 도어 인터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755B1 (ko) 2006-04-27 2012-11-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레인지의 도어 인터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6977A1 (en) Cooking apparatus
US6825452B2 (en) Microwave oven to cook food with steam generated through a microwave heating operation
US6953920B2 (en) Combination microwave oven and steamer
CN107734735B (zh) 连接线遮蔽装置、电烹调设备及其盖组装方法
KR200396065Y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인터록장치
US7189950B2 (en) Electric oven
KR20070103247A (ko) 전자렌지
KR200396064Y1 (ko) 전자레인지
KR100516660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도어 인터락 시스템
KR200386430Y1 (ko) 전자레인지의 빌트인 장착구조
JP2004212035A (ja) 電子レンジ
KR200386428Y1 (ko) 전자레인지
KR200386429Y1 (ko) 전자레인지
US5951906A (en) Collapsible microwave oven
US20220307698A1 (en) Door assembly and a cooking appliance therewith
KR200386427Y1 (ko) 전자레인지
KR100302903B1 (ko) 전자렌지의 히터 지지장치
KR200169604Y1 (ko) 전자 렌지용 도어
KR19990052468A (ko) 조리책이 내장된 전자렌지
KR20000004451U (ko) 전자렌지의 도어
KR100614312B1 (ko) 전자레인지의 아웃케이스
KR100272226B1 (ko) 전자렌지의도어조립구조
KR20040087219A (ko) 전자레인지
KR20230139745A (ko) 조리기기
KR200390576Y1 (ko)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