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427Y1 - 전자레인지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427Y1
KR200386427Y1 KR20-2005-0006183U KR20050006183U KR200386427Y1 KR 200386427 Y1 KR200386427 Y1 KR 200386427Y1 KR 20050006183 U KR20050006183 U KR 20050006183U KR 200386427 Y1 KR200386427 Y1 KR 2003864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hamber
food
microwave oven
temperature
sens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1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욱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61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4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4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4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5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실 내부의 음식물 온도를 감지하여 마그네트론의 전원 인가를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온도감지수단이 상기 조리실의 중앙 하부를 향하도록 장착되는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원을 인가받아 고주파를 조사(照射)하는 마그네트론에 의해서 음식물이 조리 가능한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전자레인지는, 전방이 개구된 공간을 형성하고, 후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140)과; 상기 조리실(140)의 내부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플레이트(142)와; 상기 조리실(140)의 전방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130)와; 상기 조리실(140) 내부의 음식물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마그네트론의 전원 인가를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온도감지수단(2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온도감지수단(200)은 상기 상면플레이트(142) 저면에 장착된 상태로 하부가 상면플레이트(142)로부터 하향기울기를 가지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온도감지수단의 온도감지 수행능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 Microwave oven }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실 내부의 음식물 온도를 감지하여 마그네트론의 전원 인가를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온도감지수단이 상기 조리실의 중앙 하부를 향하도록 장착되는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레인지는 음식물을 수납하여 밀폐한 후,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생된 마이크로파를 음식물에 조사(照射)하여 조리물을 구성하고 있는 분자들을 1초에 24억 5천만번 진동시킴으로써 마찰열로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조리기구이다.
그리고, 전자레인지는 순간 기동, 정지 및 출력조정에 의한 온도 제어가 용이하고, 음식물 각 부위의 동시 발열로 인하여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음식물의 균일한 조리가 가능하며, 조리 시간의 절약, 조작의 편의성 등의 다양한 이점으로 인하여 일반가정에 많이 보급되어 있는 실정이다.
전자레인지의 핵심 부품인 마그네트론은 구리로 형성된 양극(陽極, Anode)과 원통코일형상의 음극(陰極, Cathode) 그리고, 양극과 음극사이의 자계가 직각이 되도록 하는 자석으로 구성된 것으로,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1)는 대략 직육면체모양의 외형을 가지며, 사각판을 다수회 절곡하여 상기 전자레인지(1)의 상면 및 좌우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C)와,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플레이트(R)와, 전방을 선택적으로 차폐 가능한 도어(D)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레인지(1)의 내부에는 전방이 개구된 직육면체 모양의 공간을 형성하여 내부에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조리실(2)이 형성된다. 상기 조리실(2)은 내부에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인입되어 안착되며, 용기에 담긴 음식물은 전술한 마그네트론(미도시)으로부터 조사(照射)된 마이크로파에 의해서 조리 가능하게 된다.
상기 조리실(2) 내부에는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회전력을 발생하는 트레이모터(미도시)와 연동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조리실(2) 내부의 음식물이 고르게 조리되도록 하는 트레이(T)가 구비되며, 상기 조리실(2)의 측면에는 다수개의 홀(6')이 천공 성형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램프조립체(10)로부터 발생된 빛이 상기 조리실(2)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빛안내부(6)가 형성됨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빛안내부(6)와 이격된 후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은 아래에서 설명할 온도센서(12)가 상기 트레이(T) 상면에 놓여진 음식물 온도를 감지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온도센서(12)와 수평하게 구비된다.
상기 조리실(2)의 개구된 전방에는 상기 도어(D)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D)는 전자레인지(1)의 전방 좌측 상하부에 돌출 구비된 힌지(H)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도어(D)가 조리실(2)을 차폐하게 되면 상기 전자레인지(1) 작동시에 발생되는 마이크로파는 상기 조리실(2)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2)의 우측 보다 상세하게, 상기 아웃케이스(C)로 둘러싸인 전자레인지(1)의 우측 내부공간에는 전장실(E)이 구비된다. 상기 전장실(E)은 다수개의 전장부품(미도시)이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전장실(E)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조작버튼(4') 및 디스플레이(4")를 포함하는 조작부(4)가 구비되어 상기 전장부품의 제어는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장실(E)의 반대편에는 온도감지수단(10)이 구비된다. 상기 온도감지수단(10)은 조리실(2) 내부의 음식물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마그네트론(미도시)으로의 전원 인가를 선택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음식물의 과열을 규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온도감지수단(10)은 크게 음식물을 이루는 분자가 고주파에 의해서 진동시에 발생되는 마찰열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온도센서(12)와, 상기 온도센서(12)가 장착된 상태로 상기 조리실(2) 좌측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온도센서(12)의 이탈을 규제하는 센서브라켓(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온도센서(12)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적외선센서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적외선센서는 물질을 구성하는 분자의 고유진동수와 거의 같은 범위에 있는 적외선의 양을 감지하여 음식물 온도를 감지하게 되며, 적외선 양에 따라 전기적 신호량을 가변되게 발생하게 된다.
예컨대, 음식물을 이루는 분자가 높은 마찰열을 발생하게 되면, 음식물 자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됨은 물론, 적외선의 방출량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온도센서(12)는 전기적 신호량을 상승시켜 상기 마그네트론(미도시)에 전원인가를 규제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브라켓(14)은 전방에서 볼 때 대략 ""모양의 종단면을 가지는 사각판상으로 구비되며, 중앙부에 상기 온도센서(12)의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센서수용공(14')이 천공되어 상기 온도센서(12)의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센서수용공(14')은 상기한 관통공(미도시)와 동일한 수평선 상에 위치하여 상기 센서수용공(14')에 삽입된 온도센서(12)가 조리실(2) 내부의 적외선을 간섭없이 감지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수용공(14') 및 관통공(미도시)은 전자레인지(1)의 상하 방향으로 볼 때 상기 트레이(T) 상면에 안치되는 음식물의 높이를 고려하여 트레이(T)보다 조금 상측에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전자레인지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조리실(2) 내부의 음식물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2)는 적외선 감지 방향이 조리실(2)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음식물의 상면 전체를 동시에 감지하지 못하고, 국부적으로만 감지하게 되어 온도감지수단(10)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식물 상면의 전체적인 온도 감지가 불가능하므로 음식물의 고른 조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불만족을 야기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리실 내부의 음식물 온도를 감지하여 마그네트론의 전원 인가를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온도감지수단이 조리실 후방 상측에 경사지게 장착되어 넓은 부위의 영역이 온도 감지 가능하도록 하는 전자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원을 인가받아 고주파를 조사(照射)하는 마그네트론에 의해서 음식물이 조리 가능한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전자레인지는, 전방이 개구된 공간을 형성하고, 후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의 내부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플레이트와; 상기 조리실의 전방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와; 상기 조리실 내부의 음식물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마그네트론의 전원 인가를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온도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온도감지수단은 상기 상면플레이트 저면에 장착된 상태로 하부가 상면플레이트로부터 하향기울기를 가지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감지수단은, 음식물로부터 발산된 적외선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상면플레이트 일측에 장착되고, 내부에 상기 온도센서가 수용되는 센서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브라켓은, 상부 일측에서 기둥모양으로 구비되고, 내부에 스크류가 삽입되어 상기 센서브라켓이 상면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스크류체결보스와; 상기 스크류체결보스의 단부가 이루는 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돌출 성형되고, 상기 상면플레이트 저면과 접촉하는 장착리브와, 내부가 천공된 원기둥 모양으로 구비되어 상기 온도센서가 장착되는 관통보스와; 상기 관통보스와 이격 형성되고, 상기 조리실의 외면에 선접촉됨으로써 상기 센서브라켓의 장착각도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보스는 중심 연장선이 상기 조리실의 중앙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돌기의 단부는 상기 조리실의 후면과 대응되는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리실의 내부 벽면에는 원형으로 천공 성형되어 상기 온도감지수단이 음식물 온도를 감지 가능하게 하는 관통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공의 중심은 상기 관통보스의 중심과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온도감지수단의 음식물 온도 감지 능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및 도 4에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요부구성인 온도감지수단이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및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100)는 대략 직육면체모양의 외형을 가지며, 사각판을 다수회 절곡하여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상면 및 좌우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110)와,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플레이트(120)와, 전방을 선택적으로 차폐 가능한 도어(130)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레인지(100) 내부에는 전방이 개구되고 횡단면이 반원형을 가지는 공간을 형성하여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140)과, 상기 전자레인지(100)에 장착된 다수개의 전장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조리실(140)은 사각판모양으로 구비되어 상면을 차폐하는 상면플레이트(142)와, 상방에서 볼 때 대략 "∩" 모양으로 밴딩되어 좌우측면 및 후면을 형성하는 곡률플레이트(144)와, 상기 조리실(140) 하면을 형성하는 하면플레이트(146)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을 지칭하며, 내부에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인입되어 안착된다.
상기 조리실(140)의 좌측면 보다 상세하게는 곡률플레이트(144) 후방 상측에는 원형으로 천공된 관통공(도 4의 도면부호 144')이 구비된다. 상기 관통공(144')은 아래에서 설명할 온도감지수단(200)이 조리실(140) 내부의 음식물 온도를 감지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온도감지수단(200)과 관통공(144')의 중심을 잇는 직선상에는 원판모양의 트레이(148)가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148)는 상면에 조리할 음식물이 안치되는 곳으로, 전원 인가시에 회전력을 발생하는 트레이모터(미도시)와 연동되어 음식물을 지지한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음식물의 고른 조리를 돕게 된다.
상기 조리실(140)의 개구된 전방에는 상기 도어(130)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130)는 전자레인지(100)의 전방 좌측 상하부에 돌출 구비된 힌지(132)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도어(130)가 조리실(140)을 차폐하게 되면 상기 전자레인지(100) 작동시에 발생되는 마이크로파는 상기 조리실(140)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30)의 전면 상부에는 상기한 조작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150)는 조리실(140) 내부의 음식물을 미리 설정된 조리시간 및 마이크로파의 강도로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누름으로써 조작 가능한 조작버튼(152) 및 전자레인지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5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150)의 후방 보다 상세하게, 상기 아웃케이스(110)로 둘러싸인 전자레인지(100)의 우측 내부공간에는 전장실(160)이 구비된다. 상기 전장실(160)은 다수개의 전장부품(미도시)이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전장부품은 상기 조작부(150)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조리실(140)과 아웃케이스(110)에 의해서 형성된 좌측공간 보다 상세하게는 상면플레이트(142)의 좌측 후방 저면에는 본 고안의 요부구성인 온도감지수단(200)이 장착된다. 상기 온도감지수단(200)은 상면플레이트(142)에 대하여 하향기울기를 가지도록 장착되어 상기 트레이(148) 상면에 안치된 음식물의 온도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마그네트론(미도시)의 전원 인가를 선택적으로 규제한다.
즉, 고주파에 의해서 음식물 조리시에 음식물로부터 높은 열이 발생되어 많은 적외선이 방출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마그네트론(미도시)으로 전기적 신호를 보냄으로써 음식물의 비정상적인 조리 예컨대, 국부적인 가열로 인한 탄화(炭化)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 온도감지수단(200)은 음식물로부터 발산된 적외선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온도센서(210)와, 상기 상면플레이트(142)의 좌측후방 저면에 장착되고, 내부에 상기 온도센서(210)가 수용되는 센서브라켓(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온도센서(210)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감지부(212)와, 상기 감지부(2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212)가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상기 마그네트론(미도시)으로 송신하는 송신부(2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적외선량에 따라 마그네트론(미도시)의 전원 인가를 선택적으로 규제 가능한 적외선센서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적외선센서는 물질을 구성하는 분자의 고유진동수와 거의 같은 범위에 있는 적외선의 양을 감지하여 음식물 온도를 감지하게 되며, 적외선 양에 따라 전기적 신호량을 가변되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음식물을 이루는 분자가 높은 마찰열을 발생하게 되면, 상기 감지부(212)는 음식물로부터 방출된 적외선을 관통공(144')을 통해서 감지함과 동시에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전기적 신호는 상기 송신부(214)를 통해서 마그네트론으로 전달됨으로써 마그네트론(미도시)은 전원 공급이 규제된다.
한편, 상기 센서브라켓(220)은 대략 내부가 일방향으로 함몰된 직육면체형상을 가지며 비스듬한 상태로 상기 상면플레이트(142) 및 곡률플레이트(144)에 동시에 접촉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브라켓(220)은 상면플레이트(142)로부터 센서브라켓(220)이 분리되지 않도록 스크류체결되는 스크류체결보스(222)와, 상기 스크류체결보스(222)에 스크류체결시에 상기 상면플레이트(142) 저면과 접촉하는 장착리브(224)와, 상기 온도센서(210)가 삽입되는 관통보스(226)와, 상기 조리실(140) 외면에 선접촉되어 센서브라켓(220)의 장착각도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2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체결보스(222)는 센서브라켓(220)의 상부면에서 수직상방으로 원기둥모양을 가지도록 돌출 성형되며, 내부에는 스크류(도 4의 도면부호 S)의 외경보다 조금 작은 크기로 함몰 성형된 삽입공(2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면플레이트(142)를 관통한 스크류(S)가 상기 삽입공(222')에 삽입되면 상기 센서브라켓(220)은 구속되어 상기 상면플레이트(142)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상기 스크류체결보스(222)와 접한 후방에는 상기 장착리브(224)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리브(224)는 상기 스크류체결보스(222)의 상단부가 이루는 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돌출 성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장착리브(224)의 상단부를 잇는 면은 상기 삽입공(222')의 중심과 직교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체결보스(222)에 스크류(S)를 체결하게 되면 상기 스크류체결보스(222)가 상면플레이트(142) 저면과 접촉시에 상기 장착리브(224)의 상단부도 동시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센서브라켓(220)과 상면플레이트(142) 사이에는 강한 구속력이 발생되며, 상기 센서브라켓(220)은 도 4와 같이 상면플레이트(142)에 대해 비스듬하게 하향기울기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센서브라켓(220)의 함몰된 내부 바닥면에는 내부가 천공된 원기둥 모양을 가지는 관통보스(226)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관통보스(226)는 내부에 상기 감지부(212)가 삽입 장착되는 곳으로, 상기 감지부(212)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보스(226)의 내경은 감지부(212)의 외경과 대응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통보스(226)는 중심의 연장선이 상기 조리실(140)의 중앙하부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 관통보스(226) 내부에 삽입된 온도센서(210)가 음식물 상면 전체의 적외선을 감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하측 대각선 방향을 향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관통보스(226)는 중심 연장선이 상기 관통공(144')의 중심을 지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것은 상기 온도센서(210)가 상기 조리실(140) 내부의 음식물 온도를 간섭없이 감지하기 위함이며, 음식물로부터 발산된 적외선은 상기 관통공(144') 및 관통보스(226)를 관통하여 상기 온도센서(210)의 감지부(212)에 의해서 감지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돌기(228)는 길이가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직사각형 모양을 가지며, 상기 센서브라켓(220)의 저면 전방에서 상기 관통보스(226)와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기(228)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브라켓(220)의 장착각도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센서브라켓(220)이 상면플레이트(142) 저면에 고정 장착되면 상기 가이드돌기(228)의 우측(도 4에서 볼 때) 단부는 상기 곡률플레이트(144)의 외면과 접촉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돌기(228)는 센서브라켓(220)의 장착각도를 가이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돌기(228)의 단부는 상기 센서브라켓(220)이 유동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안정한 상태로 가이드되도록 상기 조리실(140)의 후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곡률플레이트(144)의 외면과 대응되는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온도감지수단의 장착 및 전자레인지의 작용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온도감지수단(200)을 상면플레이트(142) 저면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온도센서(210)의 감지부(212)를 상기 관통보스(226) 내부에 삽입해야 한다. 상기 관통보스(226) 내부에 감지부(212)가 삽입되면, 상기 감지부(212)는 억지끼움방식에 의해서 삽입됨에 따라 상기 관통보스(226) 내부에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브라켓(220)의 장착리브(224) 상단부를 상면플레이트(142) 저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면플레이트(142)를 관통한 스크류(S)를 상기 삽입공(222')에 삽입하여 센서브라켓(220)이 상기 상면플레이트(142) 저면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228)의 단부는 상기 곡률플레이트(144)와 선접촉함으로써 상기 센서브라켓(220)의 장착각도를 가이드하게 되며, 상기 관통보스(226)는 그 중심이 상기 관통공(144')의 중심과 동일한 직선상에 놓이게 됨으로써 상기 온도센서(210)는 조리실(140) 중앙 하부 보다 상세하게는 트레이(148) 상부를 감지 가능하게 된다.
이런 과정을 거쳐 상기 온도감지수단(200)의 장착이 완료되면 상기 아웃케이스(110)로 전자레인지(100)의 외관을 형성한 다음 상기 조리실(140) 내부에 조리할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인입하게 된다.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인입되면, 상기 도어손잡이(134)를 파지하여 상기 도어(130)를 힌지(132)를 기준으로 회동시켜 도 2와 같이 상기 조리실(140) 전면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조리실(140) 내부에 음식물의 인입이 완료되면 상기 조작부(150)의 조작버튼(152)으로 상기 전자레인지(100)를 작동시켜 마그네트론(미도시)에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상기 마그네트론에 전원이 인가되면 마그네트론(미도시)은 고주파를 발생하게 되며 고주파는 상기 조리실(140) 내부로 유입되어 음식물을 이루는 분자를 마찰시킴으로써 음식물은 조리 가능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온도센서(210)의 감지부(212)는 음식물 상면의 적외선을 감지하여 상기 마그네트론으로 전기적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그리고, 음식물 상면에 국부적으로 높은 열이 발생되어 적외선 감지량이 증가되면 상기 감지부(212)는 송신부(214)를 통해서 상기 마그네트론(미도시)으로 전기적 신호를 가변하여 송신함으로써 상기 마그네트론은 전원 공급이 중단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는 조리실 내부의 음식물 온도를 감지하여 마그네트론의 전원 인가를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온도감지수단이 상면플레이트 저면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조리실의 중앙 하부를 향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음식물의 상면 전체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게 되어 온도감지수단의 감지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음식물 상면의 전체적인 온도 감지가 가능함으로 인하여 음식물의 고른 조리를 돕게 되므로 사용편의성 측면에서 볼 때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이점들로 인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만족도 향상도 기대됨은 물론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요부구성인 온도감지수단이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요부구성인 온도감지수단이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전자레인지 110. 아웃케이스
120. 후면플레이트 130. 도어
132. 힌지 134. 도어손잡이
140. 조리실 142. 상면플레이트
144. 곡률플레이트 144'. 관통공
148. 트레이 150. 조작부
152. 조작버튼 154. 디스플레이
160. 전장실 200. 온도감지수단
210. 온도센서 212. 감지부
214. 송신부 220. 센서브라켓
222. 스크류체결보스 222'. 삽입공
224. 장착리브 226. 관통보스
228. 가이드돌기 S . 스크류

Claims (7)

  1. 전원을 인가받아 고주파를 조사(照射)하는 마그네트론에 의해서 음식물이 조리 가능한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전자레인지는,
    전방이 개구된 공간을 형성하고, 후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의 내부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플레이트와;
    상기 조리실의 전방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와;
    상기 조리실 내부의 음식물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마그네트론의 전원 인가를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온도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온도감지수단은 상기 상면플레이트 저면에 장착된 상태로 하부가 상면플레이트로부터 하향기울기를 가지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수단은,
    음식물로부터 발산된 적외선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상면플레이트 일측에 장착되고, 내부에 상기 온도센서가 수용되는 센서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브라켓은,
    상부 일측에서 기둥모양으로 구비되고, 내부에 스크류가 삽입되어 상기 센서브라켓이 상면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스크류체결보스와;
    상기 스크류체결보스의 단부가 이루는 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돌출 성형되고, 상기 상면플레이트 저면과 접촉하는 장착리브와,
    내부가 천공된 원기둥 모양으로 구비되어 상기 온도센서가 장착되는 관통보스와;
    상기 관통보스와 이격 형성되고, 상기 조리실의 외면에 선접촉됨으로써 상기 센서브라켓의 장착각도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보스는 중심 연장선이 상기 조리실의 중앙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의 단부는 상기 조리실의 후면과 대응되는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의 내부 벽면에는 원형으로 천공 성형되어 상기 온도감지수단이 음식물 온도를 감지 가능하게 하는 관통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중심은 상기 관통보스의 중심과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KR20-2005-0006183U 2005-03-08 2005-03-08 전자레인지 KR2003864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183U KR200386427Y1 (ko) 2005-03-08 2005-03-08 전자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183U KR200386427Y1 (ko) 2005-03-08 2005-03-08 전자레인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427Y1 true KR200386427Y1 (ko) 2005-06-13

Family

ID=43687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183U KR200386427Y1 (ko) 2005-03-08 2005-03-08 전자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4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617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조리장치
CN109563998B (zh) 烹饪器具
KR100212857B1 (ko) 고주파가열장치
US6940057B2 (en) Microwave oven
US6953920B2 (en) Combination microwave oven and steamer
EP3282817B1 (en) Structure for covering connection line, electric cooking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cap of electric cooking appliance
EP1680621B1 (en) Microwave oven and radiating structure of microwave in microwave oven
US7189950B2 (en) Electric oven
KR200386427Y1 (ko) 전자레인지
WO2022153942A1 (ja) 加熱調理器
KR200386428Y1 (ko) 전자레인지
KR100302903B1 (ko) 전자렌지의 히터 지지장치
KR200386430Y1 (ko) 전자레인지의 빌트인 장착구조
KR20130120840A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리기기
KR101055952B1 (ko) 랙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0396065Y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인터록장치
KR200396064Y1 (ko) 전자레인지
KR20040087219A (ko) 전자레인지
KR20110083332A (ko) 조리기기
KR101131335B1 (ko) 전자레인지
KR19990060096A (ko) 전자렌지의 히터 장치
KR200386106Y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20050036439A (ko)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하부플레이트구조
KR100722022B1 (ko) 전기 오븐
KR100280917B1 (ko) 전자렌지의 히터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