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9420B1 - 공조장치용 필터 - Google Patents

공조장치용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9420B1
KR100759420B1 KR1020010054411A KR20010054411A KR100759420B1 KR 100759420 B1 KR100759420 B1 KR 100759420B1 KR 1020010054411 A KR1020010054411 A KR 1020010054411A KR 20010054411 A KR20010054411 A KR 20010054411A KR 100759420 B1 KR100759420 B1 KR 100759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filtration member
crossba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4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0997A (ko
Inventor
서재욱
박수두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4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9420B1/ko
Publication of KR20030020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01D46/52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with means for maintaining spacing between the pleats or f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부재의 산과 산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먼지 등의 이물질의 포집 효율 및 공기의 통과량이 제품 출시 시점과 비교하여 거의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산과 골이 연속되게 형성되도록 지그재그 식으로 접힌 여과부재와, 상기 여과부재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블로어의 구동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 경로 상에 설치됨으로써 공기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공조장치용 필터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의 양면중 적어도 어느 한면상에 적정 지점에 상기 프레임을 가로질러 상기 산과 산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간격유지수단은 상기 여과부재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크로스바와; 상기 여과부재에 대응하는 상기 크로스바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여과부재의 골마다 삽입되는 삽입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골의 내측면에 외측면이 접촉되되, 상기 골에 적정 깊이만 삽입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1022695728-pat00011
여과부재, 프레임, 필터, 간격유지수단

Description

공조장치용 필터{A FILTER FOR AIR CONDITIONER APPARATUS}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터가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일체형 타입을 갖는 필터에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필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는 일체형 타입을 갖는 필터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분해 사시도.
도 5b는 일체형 타입을 갖는 필터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분해 사시도.
도 5c는 도 5b에 도시된 필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도 5a에 도시된 필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일체형 타입을 갖는 필터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필터가 송풍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 프레임 42 : 여과부재
42a : 산 42b : 골
45,46 : 간격유지수단 45a : 크로스바
45c,46c : 끼움부 45b,45d : 삽입부재
46b,46a : 요철
본 발명은 공조장치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과부재의 산과 산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먼지 등의 이물질의 포집 효율 및 공기의 통과량이 제품 출시 시점과 비교하여 거의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공조장치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공조장치는 차 실내외 공기를 도입하여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자동차의 실내로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장치로, 이 장치에는 차 실내외 공기를 도입하여 자동차 실내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장치가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통상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로는 도 1에 도시된 일례가 사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장치는 상부 양쪽에 실내기유입구(21)와 실외기유입구(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내기유입구(21) 또는 실외기유입구(22) 사이를 선회하면서 실내기유입구(21) 및 실외기유입구(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전환도어(23)를 가진 공기 인테이크 박스(2)와, 이 공기 인테이크 박스(2)의 하부 에 설치되는 스크롤 케이스(3)와, 상기 공기 인테이크 박스(2)와 스크롤 케이스(3)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벨 마우스(4)와, 상기 스크롤 케이스(3)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기유입구(21) 또는 실외기유입구(22)로부터 공기를 축방향으로 유입하여 스크롤 케이스(3)의 토출구 측으로 반경방향으로 송풍하는 블로어(5)와, 이 블로어(5)를 회동시키도록 스크롤 케이스(3)의 저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모터(6)와, 공기 인테이크 박스(2)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유해성분 등을 제거하기 위해 공기 인테이크 박스(2)의 하단부에 내장 설치된 필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송풍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6)의 구동에 따른 블로어(5)의 회전에 의한 흡입력이 발생되며, 이 흡입력으로 실내기유입구(21) 또는 실외기유입구(22)를 통하여 공기가 공기 인테이크 박스(2) 내부로 유입된 후, 필터(30)를 거쳐 벨마우스(4)를 통하여 스크롤 케이스(3)내로 유동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30)는 산과 골이 연속되게 형성되도록 지그재그 식으로 접힌 여과부재와, 이 여과부재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프레임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상기 여과부재의 주변에 프레임이 구비되어 있다 하더라도 부직포 재질과 같은 여과부재가 산과 골이 연속되게 형성되도록 지그재그 식으로 접혀 있기 때문에 제작 과정에서 프레임과 여과부재의 조립 오류가 발생된 경우, 필터 등을 적재하였을때 그 적재 하중으로 인한 경우, 작업장 주위가 다습한 경우로 인해 여과부재의 찌그러짐이 발생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다.
이렇게 전술한 세가지의 경우로 인해 여과부재가 찌그러진 필터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면 공기 인테이크 박스(2)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일정하게 여과시켜 통과시켜주지 못함과 아울러 먼지 등의 이물질의 포집 효율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30)가 공기 인테이크 박스(2)내에 장착되어 필터링 역할을 하는 과정에서 블로어(5)의 공기 흡입력에 의해 생성된 공기압에 따라 필터의 여과부재의 산과 산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등 여과부재의 일부분이 찌그러짐 현상이 종종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이 필터(30)의 여과부재가 찌그러지게 되면 먼지 등의 이물질의 포집 효율 및 공기의 통과량이 제품 출시 시점과 비교하여 현격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여과부재의 산과 산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먼지 등의 이물질의 포집 효율 및 공기의 통과량이 제품 출시 시점과 비교하여 거의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공조장치용 필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산과 골이 연속되게 형성되도록 지그재그 식으로 접힌 여과부재와, 상기 여과부재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블로어의 구동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 경로 상에 설치됨으로써 공기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공조장치용 필터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의 양면중 적어도 어느 한면상에 적정 지점에 상기 프레임을 가로질러 상기 산과 산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간격유지수단은 상기 여과부재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크로스바와; 상기 여과부재에 대응하는 상기 크로스바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여과부재의 골마다 삽입되는 삽입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골의 내측면에 외측면이 접촉되되, 상기 골에 적정 깊이만 삽입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공조장치용 필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일체형 타입을 갖는 필터에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필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a는 일체형 타입을 갖는 필터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b는 일체형 타입을 갖는 필터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5c는 도 5b에 도시된 필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a에 도시된 필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일체형 타입을 갖는 필터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필터가 송풍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조장치용 필터(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42a)과 골(42b)이 연속되게 형성되도록 지그재그 식으로 접힌 여과부재(42)와, 상기 여과부재(42)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프레임(41)으로 구성되어 블로어의 구동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중의 유동 경로 상에 설치됨으로써 공기의 먼지를 제거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종래와 비교하여 차별화되는 구성은 상기 여과부재(42)의 양면중 적어도 어느 한면상의 적정 지점에 상기 프레임(41)을 가로질러 상기 산(42a)과 산(42a)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수단(45)(46)을 구비한 것이다.
먼저, 상기 간격유지수단(45)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길이를 갖는 크로스바(45a)와, 삽입부재(45b)(45d)로 구성된다.
상기 크로스바(45a)는 상기 여과부재(42)를 가로질러 결합 설치되는데, 그 양단에는 상기 프레임(41)의 양단에 끼움 결합되도록 끼움부(45c)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41a는 상기 끼움부(45c)가 끼워지는 끼움공이다.
상기 삽입부재(45b)(45d)는 상기 여과부재(42)에 대응하는 상기 크로스바(45a)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여과부재(42)의 골(42b)마다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크로스바(45a)의 설치 위치로는 산(42a)과 산(42a)사이의 간격을 가장 잘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여과부재(42)의 중앙으로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바(45a)의 설치 위치를 여과부재(42)의 중앙으로 하였을 때 이 크로스바(45a)가 여과부재(42)를 통과하는 공기의 방해물로 작용하지 않는 범위내가 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바(45a)의 두께(t)를 형성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크로스바(45a)의 설치 위치를 여과부재(42)의 중앙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설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과부재(42)의 양단부중 어느 한지점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삽입부재(45b)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42b)의 전체 형상과 동일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재(45d)는 도 5a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42b)의 내측면에 외측면이 접촉되되, 상기 골(42b)에 적정 깊이만 삽입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두가지의 실시예인 삽입부재(45b)(45d)는 상기 골(42b)내에 일부 또는 전체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산(42a)(42a)간의 간격이 유지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이제까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해당되는 간격유지수단(45)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전술한 간격유지수단(45)의 구성 이외에도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유지수단(47)을 구성하는 크로스바(47a)를 "V"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끼움부(47c)를 세 개 형성하여 필터의 프레임(41)에 3점 지지가 되도록 하여 그 지지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상기 크로스바(47a)가 여과부재(42)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여과부재(42)의 산(42a)과 산(42a)사이에 삽입되도록 삽입부재(47b)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산과 산간의 간격 유지 기능이 향상된다.
이제까지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간격유지수단(46)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간격유지수단(46)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길이의 크로스바를 요철(46b)(46a)형으로 성형하고, 이 성형된 크로스바의 양단부에 상기 프레임(41)의 양단에 끼움 결합되도록 끼움부(46c)를 가공하여서 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크로스바는 전술한 간격유지수단(45)의 실시예의 크로스바(45a)와는 달리 그 재질은 플렉시블하여 절곡 가능한 와이어를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간격유지수단(46)을 구성하는 크로스바에 형성된 요철(46b)(46a)도 전술한 제1 실시예인 간격유지수단(45)의 삽입부재(45b)(45d)의 역할과 마찬가지로 상기 골(42b)내에 일부가 삽입되기 때문에 산(42a)(42a)간의 간격이 유지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간격유지수단을 구비한 필터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인테이크 박스(2)내 설치함에 따라 공기중의 먼지를 필터링하는 과정에서 블로어(5)의 공기 흡입력에 의해 생성된 공기압이 생기더라도 필터(40)의 여과부재(42)의 산과 산 사이의 간격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여과부재의 찌그러짐을 미연에 방지할 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여과부재의 찌그러짐이 방지됨에 따라 먼지 등의 이물질의 포집 효율 및 공기의 통과량이 제품 출시 시점과 비교하여 그대로 유지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간격유지수단(45)(46)을 필터를 구성하는 프레임(41)의 양단에 끼움 결합하는 구조로 하는 것 이외에도 청구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간격유지수단(45)(46)의 양단을 프레임(41)의 양단과 일체가 되도록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필터는 그 설치 위치가 그 일실시예로 공기의 유동 경로중에서 블로워 상단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증발기의 전면에 해당되는 공기의 유동 경로 상에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필터에 따르면, 여과부재의 산과 산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먼지 등의 이물질의 포집 효율 및 공기의 통과량이 제품 출시 시점과 비교하여 거의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산(42a)과 골(42b)이 연속되게 형성되도록 지그재그 식으로 접힌 여과부재(42)와, 상기 여과부재(42)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프레임(41)으로 구성되어 블로어의 구동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 경로 상에 설치됨으로써 공기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공조장치용 필터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42)의 양면중 적어도 어느 한면상에 적정 지점에 상기 프레임(41)을 가로질러 상기 산(42a)과 산(42a)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수단(45)을 구비하고,
    상기 간격유지수단(45)은 상기 여과부재(42)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크로스바(45a)와; 상기 여과부재(42)에 대응하는 상기 크로스바(45a)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여과부재(42)의 골(42b)마다 삽입되는 삽입부재(45d)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부재(45d)는 상기 골(42b)의 내측면에 외측면이 접촉되되, 상기 골(42b)에 적정 깊이만 삽입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용 필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10054411A 2001-09-05 2001-09-05 공조장치용 필터 KR100759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411A KR100759420B1 (ko) 2001-09-05 2001-09-05 공조장치용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411A KR100759420B1 (ko) 2001-09-05 2001-09-05 공조장치용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997A KR20030020997A (ko) 2003-03-12
KR100759420B1 true KR100759420B1 (ko) 2007-09-17

Family

ID=27722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4411A KR100759420B1 (ko) 2001-09-05 2001-09-05 공조장치용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94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1342A (ko) * 2012-06-26 2014-01-07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송풍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956B1 (ko) * 2003-07-01 2009-04-27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 공조장치용 방향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5117U (ko) * 1988-11-29 1990-06-08
JPH03217210A (ja) * 1990-01-22 1991-09-25 Sanyo Electric Co Ltd エアフィルタ
JPH0523522A (ja) * 1991-07-23 1993-02-02 Daikin Ind Ltd フイルターエレメント
JPH0716416A (ja) * 1993-06-30 1995-01-20 Nippondenso Co Ltd エアフィルタ
JPH1142410A (ja) * 1997-07-28 1999-02-16 Japan Vilene Co Ltd フィル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5117U (ko) * 1988-11-29 1990-06-08
JPH03217210A (ja) * 1990-01-22 1991-09-25 Sanyo Electric Co Ltd エアフィルタ
JPH0523522A (ja) * 1991-07-23 1993-02-02 Daikin Ind Ltd フイルターエレメント
JPH0716416A (ja) * 1993-06-30 1995-01-20 Nippondenso Co Ltd エアフィルタ
JPH1142410A (ja) * 1997-07-28 1999-02-16 Japan Vilene Co Ltd フィル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1342A (ko) * 2012-06-26 2014-01-07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송풍장치
KR101941042B1 (ko) 2012-06-26 2019-01-2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송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997A (ko) 2003-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392B1 (ko) 공기 처리 시스템
US11433345B2 (en) Air-conditioning device having dust removing function
KR101906341B1 (ko) 공기청정기
RU2006127372A (ru) Пылесос и способ уменьшения шума, создаваемого им
US11965674B2 (en) Filter device and air cleaner having the same
GB2320691A (en) Plug-in air treatment device
KR100759420B1 (ko) 공조장치용 필터
KR20080006065U (ko) 공기필터
KR100726947B1 (ko) 에어컨의 필터 고정구조 및 그 고정방법
KR20110116864A (ko) 공기조화기
KR20060087158A (ko) 에어컨의 자외선 램프 취부구조
CN1542372A (zh) 空气净化器的集尘过滤器
KR100911997B1 (ko) 자동차용 공조유니트의 필터커버 조립체
EP1512917A2 (en) Air filter and air conditioner
KR100416427B1 (ko) 클린룸의 송풍 여과장치
KR20000016837U (ko) 슬림형 공기조화기
KR101932175B1 (ko)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
JP2606603Y2 (ja) 空気清浄器
KR102293617B1 (ko) 냉난방기의 공기토출부에 장착되는 필터조립체
KR20050066354A (ko) 공기청정기
KR100759336B1 (ko) 집진기가 장착된 에어컨 흡입부 구조
CN210569130U (zh) 冷风机防尘装置及设置其的冷风机
KR100465693B1 (ko) 공기 청정기의 집진 필터 장착구조
KR10085914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980001069A (ko) 자동차용 내장형 공기 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