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9272B1 - 리벳용 요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벳용 요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9272B1
KR100759272B1 KR1020060024542A KR20060024542A KR100759272B1 KR 100759272 B1 KR100759272 B1 KR 100759272B1 KR 1020060024542 A KR1020060024542 A KR 1020060024542A KR 20060024542 A KR20060024542 A KR 20060024542A KR 100759272 B1 KR100759272 B1 KR 100759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aterial
punch
forming
head
h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광
Original Assignee
김성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광 filed Critical 김성광
Priority to KR1020060024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9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58Making machine elements riv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2Die forging; Trimming by making use of special dies ; Punching during forging
    • B21J5/025Closed die fo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9/00Forging presses
    • B21J9/0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 B21J9/02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multi-stage forg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7/00Handling devices, e.g. for feeding, aligning, discharging, Cutting-off means; Arrangement thereof
    • B21K27/02Feeding devices for rods, wire, or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벳용 요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리벳용 요크의 제조시 그 제조공정 단계를 감소시킴으로써 일체형 리벳의 제조가 신속하게 이루어져 제조시간과 제조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리벳용 요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금속성 와이어 재료를 타격함과 동시에 상기 와이어 재료의 일단이 원기둥 형상의 몸통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 재료의 타단은 반구형의 머리부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머리부의 단면직경이 상기 몸통부의 단면직경보다 크게 되도록 하는 제1타격장치와,
상기 반구형의 머리부를 타격하여 원판형태로 변형시키는 제2타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용 요크의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한 제조방법을 마련하고 있다.
리벳, 타격장치, 금형, 삽입홈, 반구형 홈

Description

리벳용 요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mechanism for producting the rivet and this method}
도 1은 절단된 금속성 와이어 재료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타격장치의 공정 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1타격장치의 공정 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2타격장치의 공정 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2타격장치의 공정 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리벳용 요크의 제조방법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하여 생산된 리벳용 요크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기능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머리부 3: 몸통부
20: 성형금형 22: 삽입홈
24: 성형돌기 30: 제1펀치
31: 반구형 홈 40: 제2펀치
본 발명은 리벳용 요크의 제조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리벳용 요크의 제조시 그 품질을 훼손시키지 아니하면서도 그 공정 단계를 감소시킴으로서 리벳용 요크의 제조 시간과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단위시간당 리벳용 요크의 생산수량을 현저하게 증대시킬 수 있는 리벳용 요크의 제조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벳용 요크는 휴대용 무선 개인단말기의 부품들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그러한 부품들을 관통하여 리벳팅함으로써, 그 부품들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종래의 리벳용 요크를 제조하는 제조장치를 보면 등록실용신안 20-0271689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금속성 와이어 재료의 하단부를 압착하여 2단의 원기둥 형상로 제조하는 금형과, 그렇게 제조된 2단의 원기둥 형상의 금속성 와이어를 다른 금형에 삽입한 상태에서 그 일단부를 타격함으로써, 반구형이 되도록 형성하는 금형과, 반구형이 되어 있는 일단부를 다시 타격하여 원판형상으로 변형시키는 금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었으며, 그러한 제조장치를 이용한 제조방법 또한 금속성 와이어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및 2단 원기둥 형성단계, 그리고, 와이어 재 료의 일단부를 반구형과 원판형으로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가 있었다.
그런데, 종래의 제조장치나 제조방법을 보면, 금속성 와이어 재료를 2단 원기둥으로 만드는 공정과, 와이어 재료의 상단부를 반구형으로 만드는 공정, 그리고 반구형의 상단부를 타격하여 원판형태로 만드는 공정이 별도로 독립되어 있었고, 그러한 공정들이 각각 이루어지도록 별개의 금형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각 공정들을 경과하는 시간을 상대적으로 많이 요구하였으며, 또한 각각의 공정에 사용되는 금형이 그 공정의 수만큼 필요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리벳용 요크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리벳용 요크의 품질을 유지하면서도 그 제조 공정의 단계를 축소시킴으로써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단가를 저감시키면서, 단위 시간 당 생산수량을 획기적으로 제고할 수 있는 리벳용 요크의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을 마련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금속성 와이어 재료를 타격함과 동 시에 상기 와이어 재료의 일단이 원기둥 형상의 몸통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 재료의 타단은 반구형의 머리부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머리부의 단면직경이 상기 몸통부의 단면직경보다 크게 되도록 하는 제1 타격장치와, 상기 반구형의 머리부를 타격하여 원판형태로 변형시키는 제2차 타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용 요크의 제조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차 타격장치는 반구형의 홈이 형성된 제1펀치와, 상기 제1펀치에 의하여 타격된 상기 금속성 와이어 재료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성형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타격장치는 상기 반구형의 머리부를 압착할 수 있는 평면부를 구비하는 제2펀치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의 입구 테두리에는 그 테두리를 따라 상기 삽입홈 입구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성형돌기가 배치되고, 상기 성형돌기는 상기 제1펀치의 타격에 의하여 상기 금속성 와이어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성형돌기와 마찰을 일으키면서 상기 몸통부가 원기둥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머리부와 상기 몸통부의 연결부분이 라운딩처리 될 수 있도록 상기 성형돌기의 단부는 라운딩된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조장치 이외에도 금속성 와이어 재료를 절단하여 공급하는 재료 준비단계와, 절단된 상기 금속성 와이어 재료를 그 입구에 성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성형금형 부분 중 상기 성형돌기위에 안착시키는 타격 준비단계와, 상기 성형돌기 위에 안착된 상기 금속성 와이어 재료의 일부를 타격하여 상기 금속성 와이어 재료의 일단은 원기둥 형상의 몸통부로 형성하고 타단은 반구형의 머리부로 형성하는 제1차 타격단계와, 상기 반구형으로 형성된 머리부를 타격하여 원판형상으로 형성하는 제2차 타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용 요크의 제조방법을 마련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서술되는 각 장치들은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미도시)의 유압 또는 공압변화에 직선왕복운동 하는 피스톤(미도시)의 단부에 고정되어 직선왕복운동하도록 된 것이나, 이러한 고정연결구조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1은 절단된 금속성 와이어 재료(M)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금속성 와이어 재료를 도2에서 도시된 제1차 타격장치(10)에 안착하여 놓고 가공을 하게 되는데, 상기 제1차 타격장치(10)는 상기 와이어 재료(M)를 펀칭하여 그 상단부를 반구형상으로 형성하는 반구형 홈(31)을 포함하는 제1펀치(30)와, 상기 제1펀치(3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펀치(30)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 재료(M)가 펀칭될 때, 상기 와이어 재료(M)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22)이 형성된 성형금형(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홈(22)의 입구부에는 그 입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삽입홈(22)의 입구의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성형돌기(2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성형돌기(24)의 단부는 모나지 않게 라운딩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히다.
또한, 상기 제1펀치(30)의 측면의 하단부는 상기 반구형홈(31)의 테두리 부분과 일치하게 되어 날카롭게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제1펀치(30)가 상기 와이어 재료(M)의 상단부를 타격하여 반구형으로 형성할 때, 그 바깥으로 재료의 일부가 나오게 되는 경우에, 그러한 잔여 부분을 절단함으로써, 후에 테두리 부분을 가공하는 수고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제3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펀치(30)가 상기 성형금형(20)을 향하여 하강하고 상기 성형금형(20)의 상단부와 접촉하게 되면, 상기 와이어 재료의 상단부는 상기 반구형 홈(31)의 형상대로 반구형태로 이루어진 머리부(2)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 재료의 하단부는 상기 삽입홈(22)으로 밀려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삽입홈(22)의 입구에 상기 성형돌기(2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성형돌기(24)를 거치면서, 그 단면 지름이 감소하면서 몸통부(3)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몸통부(3)는 상기 성형돌기(24)에 의하여 소성변형이 되어 있으므로, 그 단면지름이 감소된 채로 상기 성형돌기(24)아래쪽으로 하강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1펀치(30)의 하단부에 의하여 상기 머리부(2)에서 일부 흘러가게 되는 잔여부분은 절단되므로, 별도의 후가공이 필요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서는 와이어 재료를 상단부의 단면 지름이 하단부의 단면지름보다 크게 형성된 2단의 원기둥을 별도로 만드는 금형 및 공정이 존재하고, 이후, 그렇게 형성된 와이어 재료의 상단부를 타격하여 상단부를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시키는 금형 및 공정이 별도로 마련되어 했어야 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삽입홈(22)의 입구에 별도의 성형돌기(24)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와이어재료를 바로 1차 타격하여 상단부를 반구형의 머리부(2)로 성형하고 하단부를 원기둥 형상의 몸통부(3)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제1펀치(30)의 하단부의 테두리를 날카롭게 함으로써 오버플로우(over flow)된 일부 재료를 타격과 동시에 절단시킴으로써 별도의 후가공 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 제1펀치(30)에 의한 타격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반구형의 머리부(2)를 타격하여 원판형태로 만들어야 하는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도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머리부(2)를 원판형태로 성형하기 위해 제2타격장치가 마련되는 데 상기 제2타격장치는 그 하단에 평면부(41)가 배치되어 있는 제2펀치(40)로 구성되며, 상기 평면부(41)의 넓이는 상기 머리부(2)의 단면적에 비하여 넓게 형성되어야 한다.
도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펀치(40)가 상기 성형금형(20)을 향하여 하강하여 상기 머리부(2)를 타격하게 되면, 상기 머리부(2)는 상기 평면부(41)의 면을 따라서 넓적하게 퍼지게 됨으로써, 종국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판형상을 띠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리벳용 요크의 제조방법에 대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제조방법은 상기 금속성의 와이어 재료를 제조 공정에 맞게 절단하고 준비하는 와이어 재료 준비단계(S101)와, 준비된 상기 와이어 재료를 제1타격장치에 안치시키는 타격준비단계(S102)와, 상기 와이어 재료의 상단부를 타격하여 그 상단부를 반구형의 머리부로, 그 하단부를 원기둥모양의 몸통부로 형성하는 제1차 타격단계(S103)를 거치는데, 상기 제1차 타격단계(S103)에서는 상기 머리부의 테두리에 플로우된 잔여부분을 절단하는 과정도 동시에 일어나게 된다.
이후, 상기 반구형의 머리부를 타격하여 원판형태로 변경하기 위한 제2차 타격단계(S104)를 거치게 되면, 상기 제조공정이 모두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 공정을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와이어 재료 준비단계(도6참조, S101)는 금속성의 와이어 재료(M)이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절단하는 단계인데, 이러한 절단 단계는 일반적인 절단기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므로 이 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이후, 상기 타격준비단계(도6참조, S102)는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금형(20)의 삽입홈(22)의 입구 부분에 형성된 성형돌기(24)위에 상기 절단된 와이어 재료(M)을 얹어 놓고, 상기 와이어 재료(M)의 상단부를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반구형 홈(31)이 형성된 제1펀치(30)를 위치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타격준비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1차타격단계(도6참조, S103)가 이루어지는데, 이 단계는 상기 제1펀치(30)가 상기 와이어 재료(M)의 상단부를 타격하여 반구형 모양의 머리부(2)를 형성하고, 타격과 동시에 상기 와이어재료(M)의 하단부가 상기 성형돌기(24)와 마찰을 일으키면서 소성변형이 된 채로 상기 삽입홈(22)에 삽입되며 몸통부(3)를 형성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반구형의 머리부(2)의 모양을 일정한 두께의 원판형태로 성형하는 제2차 타격단계(도6참조, S104)에 이르며, 이러한 제2차 타격단계는 그 하부에 상기 평면부(41)가 형성된 제2펀치(40)가 상기 반구형의 머리부(2)를 타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제조방법을 거친 후의 리벳용 요크(1)를 보면, 원판형태의 머리부(2)와, 상기 머리부(2)의 하면 중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몸통부(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상기 머리부(2)와 상기 몸통부(3)의 연결부(4)는 요구되는 정도에 맞도록 라운딩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리벳용 요크의 제조함에 있어서, 기존의 제조 공정에 비하여 그 공정 수를 단축하고, 소요되는 금형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제조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제조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단위 시간당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삭제
  2. 금속성 와이어 재료를 타격함과 동시에 상기 와이어 재료의 일단이 원기둥 형상의 몸통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 재료의 타단은 반구형의 머리부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머리부의 단면직경이 상기 몸통부의 단면직경보다 크게 되도록 하는 제1타격장치; 상기 머리부를 타격하여 원판형태로 변형시키는 제2타격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타격장치는 반구형의 홈이 형성된 제1펀치와, 상기 제1펀치에 의하여 타격된 상기 와이어 재료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성형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2타격장치는 상기 머리부를 압착할 수 있는 평면부를 구비하는 제2펀치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의 입구 테두리에는 그 테두리를 따라 상기 삽입홈 입구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 성형돌기가 배치되고, 상기 성형돌기는 상기 제1펀치의 타격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 재료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성형돌기와 마찰을 일으키면서 상기 몸통부가 원기둥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용 요크의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와 상기 몸통부의 연결부분이 라운딩처리 될 수 있도록 상기 성형돌기의 단부는 라운딩된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용 요크의 제조장치.
  4. 금속성 와이어 재료를 절단하여 공급하는 재료 준비단계와,
    절단된 상기 금속성 와이어 재료를 그 입구에 성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성형금형 부분 중 상기 성형돌기위에 안착시키는 타격 준비단계와,
    상기 성형돌기 위에 안착된 상기 금속성 와이어 재료의 일부를 타격하여 상기 금속성 와이어 재료의 일단은 원기둥 형상의 몸통부로 형성하고 타단은 반구형의 머리부로 형성하는 제1타격단계와,
    상기 반구형으로 형성된 머리부를 타격하여 원판형상으로 형성하는 제2타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용 요크의 제조방법.
KR1020060024542A 2006-03-16 2006-03-16 리벳용 요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759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542A KR100759272B1 (ko) 2006-03-16 2006-03-16 리벳용 요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542A KR100759272B1 (ko) 2006-03-16 2006-03-16 리벳용 요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9272B1 true KR100759272B1 (ko) 2007-09-17

Family

ID=38738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542A KR100759272B1 (ko) 2006-03-16 2006-03-16 리벳용 요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92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136B1 (ko) * 2014-06-18 2014-11-20 (주)우리일렉 리벳용 요크의 제조장치
KR102086730B1 (ko) 2019-09-23 2020-03-09 최두선 단자연결용 리벳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1689A (ja) * 1988-09-07 1990-03-12 Hitachi Ltd 高精細ビデオディスクプレーヤ
JPH0318134A (ja) * 1989-06-15 1991-01-25 Fujitsu Ltd スペースダイバーシティ式受信機
JPH0429670A (ja) * 1990-05-25 1992-01-31 Nissan Motor Co Ltd 自動変速機のベアリング押付力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1689A (ja) * 1988-09-07 1990-03-12 Hitachi Ltd 高精細ビデオディスクプレーヤ
JPH0318134A (ja) * 1989-06-15 1991-01-25 Fujitsu Ltd スペースダイバーシティ式受信機
JPH0429670A (ja) * 1990-05-25 1992-01-31 Nissan Motor Co Ltd 自動変速機のベアリング押付力制御装置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실용신안공보 0271689호
등록특허공보 0318134호
등록특허공보 0429670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136B1 (ko) * 2014-06-18 2014-11-20 (주)우리일렉 리벳용 요크의 제조장치
KR102086730B1 (ko) 2019-09-23 2020-03-09 최두선 단자연결용 리벳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40961A (zh) 成形修边复合模具
CN107470467B (zh) 一种分步式胀形冲孔复合模具及其工作方法
CN102728718B (zh) 一种冷冲压复合模
KR100759272B1 (ko) 리벳용 요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8672557A (zh) 一种级进式冲压模具
US20110034259A1 (en) Method of making a washer
CN215035206U (zh) 一种阀系装配工装
CN104492966A (zh) 一种冲压复合模具
CN204842649U (zh) 级进模
CN209577880U (zh) 一种凹坑成型的模具
CN209664096U (zh) 冲压模具
JPWO2006008861A1 (ja) シャーシ及びシャーシの製造方法並びにシャーシの製造金型
KR101642043B1 (ko) 파이프의 단부 연결구 제조용 금형 및 파이프의 단부 연결구 제조 방법
KR102086730B1 (ko) 단자연결용 리벳의 제조방법
KR100434427B1 (ko) 코일하우징 제조형틀 및 그 제조방법
CN211707896U (zh) 一种冲压模具
CN216226710U (zh) 一种铆钉的加工设备
KR20090130652A (ko) 피봇 볼트 가공용 금형장치 및 그 방법
JPH0691339A (ja) ジョイント金具用成形品の冷間圧造成形法
CN209109987U (zh) 一种电机外壳整形模具结构
KR101163478B1 (ko) 고무 벌징 가공을 이용하여 제조된 전자 제품용 금속 케이스
KR100648058B1 (ko) 스프링 커넥터 핀 및 그 제조방법
WO2022004222A1 (ja) ワークの製造装置
JP2002307130A (ja) リングギヤ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装置
CN209886685U (zh) 粉末冶金整形上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