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8923B1 - automatic conveyor system of line to the assemble an vehicle and control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utomatic conveyor system of line to the assemble an vehicle and control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923B1
KR100758923B1 KR1020050033151A KR20050033151A KR100758923B1 KR 100758923 B1 KR100758923 B1 KR 100758923B1 KR 1020050033151 A KR1020050033151 A KR 1020050033151A KR 20050033151 A KR20050033151 A KR 20050033151A KR 100758923 B1 KR100758923 B1 KR 100758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irculation
branch
unit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1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10670A (en
Inventor
전현수
Original Assignee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3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8923B1/en
Publication of KR20060110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6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9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60Y2304/074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by improved accessi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이송라인 중의 소정 다수개소에 별도 설치되어도 연쇄적인 이송작용이 가능하고 부피 및 중량이 작아서, 배치공간상의 비효율성을 배제시킬 수 있고, 경제적인 구조를 갖추게 됨과 아울러, 경제적인 수리/보수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in transfer operation is possible even if separately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number of places in the transfer line and the volume and weight is small, can eliminate the inefficiency in the layout space, and has an economical structure, economical repair / This is to enable management of the reward.

이의 실현을 위한 본 발명에서는, 연쇄적인 순환 경로를 갖도록 이루어져 구비되는 순환레일; 상기 순환레일로부터 분기 및 합류되도록 이루어져 구비되는 분기레일; 상기 순환레일의 직선 레일상의 다수 개소 위치 및 상기 분기레일의 직선 레일상의 적어도 일 개소 위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직선부 마찰이송수단; 상기 순환레일의 곡선 레일상의 다수 개소 위치 및 상기 분기레일의 곡선 레일상의 적어도 복수 개소 위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곡선부 마찰이송수단; 상기 순환레일 및 분기레일의 분할 위치에 설치되는 분기레일 절환장치부; 상기 순환레일 및 분기레일 의 합류 위치에 설치되는 합류레일 절환장치부; 상기 분기레일 절환장치부와 합류레일 절환장치부에 압축공기를 구동원으로 공급하는 에어콤프레셔와; 상기 순환레일 및 분기레일 상에서 가동되는 캐리어유닛; 상기한 캐리어유닛이 필요에 따라 가동되는 것을 규제시킬 수 있도록 해당 위치의 상기 순환레일 및 분기레일상에 설치되는 복수의 스토퍼유닛; 상기한 캐리어유닛의 위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순환레일 및 분기레일의 해당 다수 개소 각각에 설치되는 다수의 위치검출수단; 상기 다수 위치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값을 입력받아 연산하여 그 값에 따라 상기한 복수 의 스토퍼유닛과 절환장치부들 및 그리고, 다수의 마찰이송수단들과 에어콤프레셔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립/도장 라인의 자동이송시스템을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the circulation rail is provided to have a chain circulation path; A branch rail provided to branch and join from the circulation rail; A plurality of linear portion friction transfer means provid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on a straight rail of the circulation rail and at least one position on a straight rail of the branch rail; A plurality of curved portion friction transfer means provid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on a curved rail of the circulation rail and at least a plurality of positions on a curved rail of the branch rail; A branch rail switching device unit installed at a divided position of the circulation rail and the branch rail; A joining rail switch unit installed at a joining position of the circulation rail and the branch rail; An air compressor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as a driving source to the branch rail switching unit and the joining rail switching unit; A carrier unit operating on the circulation rail and the branch rail; A plurality of stopper units provided on the circulation rails and the branch rails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so as to regulate the operation of the carrier unit as necessary; A plurality of position detecting means provided at each of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portions of the circulation rail and the branch rail so as to detect the position state of the carrier unit; It includes a plurality of stopper unit and the switch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friction transfer means and the air compressor according to the value received and calculated from the plurality of position detection means input; Provides automatic transfer system of automobile assembly / painting line.

자동차 조립, 도장, 운반, 이송, 컨베이어 Automotive Assembly, Painting, Transport, Transfer, Conveyor

Description

자동차 조립/도장 라인의 자동이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automatic conveyor system of line to the assemble an vehicle and controll method thereof}Automatic conveyor system of line to the assemble an vehicle and controll method

도 1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어장치부의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Figure 1a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electrical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이송시스템의 전체 구성 사시도,1b is an overall configuration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transf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이송시스템에 적용되는 직선부 마찰이송수단의 부분 구성 사시도 및 평면도,2a and 2b is a partial configuration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of the linear frictional transfer means applied to the automatic transf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이송시스템에 적용되는 곡선부 마찰이송수단의 부분 구성 사시도 및 평면도,3a and 3b is a partial configuration perspective view and plan view of the friction portion friction transfer means applied to the automatic transf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와 도 4b 및 도 4c와 도 4d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이송시스템에 적용되는 분기레일 절환장치부의 부분 구성 사시도 및 평면도,4a and 4b and 4c and 4d are a partial configuration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of a branch rail switching unit applied to the automatic transf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와 도 5b 및 도 5c와 도 5d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이송시스템에 적용되는 분기레일 절환장치부의 부분 구성 사시도 및 평면도,5a and 5b and 5c and 5d is a partial configuration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of a branch rail switching unit applied to the automatic transf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과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이송시스템에 적용되는 스토퍼유닛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일면도,6 and 7a to 7c is a side view for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opper unit applied to the automatic transf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a와 도 8b 및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이송시스템에 적 용되는 캐리어유닛의 부분 구성 사시도 및 일면도,8A and 8B and 9A to 9D are partial perspective views and one side view of a carrier unit applied to the automatic transf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이송시스템 제어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10A and 10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matic transf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자동차 조립/도장 라인의 자동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를 온라인 방식으로 조립 및 도장하여 생산함에 있어서, 레일 상에서 조립품이 탑재되는 대차(台車)를 각 조립/도장 공정에 연쇄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자동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르러 자동차는 통상 자동차 프레임을 대차에 탑재하여 조립/도장 작업의 공정별로 연속 이송시키면서 상기 프레임에 각종 부속장치들을 탑재하거나 부품들을 조립/도장하는 온라인 제조 방식에 따라 생산된다.
즉, 자동차는 대개 연속생산라인(continuous production line)을 통하여 순차적으로 조립 및 도장하여 생산되는데, 이러한 연속생산라인으로서의 차량 조립/도장 라인은 대개 위치결정 스테이션과 도킹 스테이션 및 체결 스테이션의 3가지 스테이션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결정 스테이션에서는 차량의 바디(프레임)를 받침대 위에 받쳐 고정하고, 받침대의 위치를 제어해서 바디의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서는 팔레트 상에 얹어 놓은 엔진과 서스펜션 어셈블리 등의 부속장치를 바디에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체결 스테이션에서는 바디에 짜맞추어진 부속장치들을 나사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한 위치결정 스테이션에서 사용되는 위치결정장치 및 옮겨싣기장치와, 도킹스테이션에서 사용되는 도킹장치와 슬라이드장치 및 팔레트반송장치, 체결스테이션에서 사용되는 로봇 등은 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시퀀스 제어부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한 각 스테이션은 연속적인 공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한 일련의 스테이션에 따라 차량 바디의 연쇄적인 자동 이송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자동 이송을 위하여 모노레일식 반송장치와 캐리어 이동식 컨베어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모노레일실 반송장치는 복수의 지주로 지면에서 일정 높이의 위치에 수평 상태로 길게 모노레일을 설치하고, 이 위에 그 구동륜의 구름 작용으로 위치 이동되는 무빙헤드와 캐리어유닛을 연결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무빙헤드의 구동륜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제어부에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 시스템은 크게 다수의 각 공정을 수행하는 공정별 작업포지션(working position)을 갖춘 작업라인과, 작업을 마치고 귀환하는 귀환라인으로 구성된다.
상기 캐리어 이동식 컨베어 시스템에 있어서는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 체인 컨베이어(chain conveyor)/ 롤러 컨베이어(roller conveyor)/ 트롤리 컨베이어(trolley conveyor) 등의 구동방식이 널리 채용되고 있다. 특히, 여기서 체인 콘베이어는 다수 롤러들에 체인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롤러를 구동시킴으로써 연속적인 이송작업이 행해지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는 확실한 이송력을 발휘할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하여 대형물의 이송에 적합하므로, 자동차, 전기/전자 제품의 조립/도장 라인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071284호(명칭: 컨베이어 시스템)에는 상기 체인 콘베이어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 개시된 컨베이어 시스템은 다수의 크로스바로 연결된 좌우 한 쌍의 레일을 바닥에 인접하게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의 중간지점에 안내레일을 설치하며, 상기 안내레일의 양단에 폴을 갖는 스프라킷을 설치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프라킷의 폴에 상응하여 종동 컨베이어장치와 프리 컨베이어장치를 더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시스템은 경제성과 내구성 및 정숙성 등의 고유 특성이 요구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체인식 컨베이어시스템들은 초단 부분과 종단 부분이 맞물려서 연속적으로 순환하는 순환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예컨대 도장 공정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공정작업 시간이 길게 소요되는 특정한 공정 구간에서 충분한 정체시간을 확보할 수 없고, 결과적으로 시스템 전체의 제어 응답속도가 느려지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체인의 늘어짐이 발생되면서 마모손상과 소음이 발생됨으로써 내구성과 정숙성이 악화될 수 있고, 예컨대 체인의 벗겨지게 되었을 경우 생산라인 전체를 가동 중단시켜야만 하므로 수리/보수 작업에 따르는 어려움과 작업시간의 소요, 인력 및 부품의 소모 등으로 인하여 경제성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transfer system for an automobile assembly / painting line. More particularly, in the assembly and painting of an automobile online, the trolley for mounting an assembly on a rail is applied to each assembly / painting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transfer system for serial transfer.
In recent years, automobiles are usually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on-line manufacturing method in which various frames are mounted on the frame or assembled / painted parts while the vehicle frame is mounted on a trolley and continuously transport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assembly / painting.
That is, automobiles are usually produced by assembling and painting sequentially through a continuous production line. The vehicle assembly / painting line as a continuous production line is usually composed of three stations, a positioning station, a docking station, and a fastening station. Is done.
In the positioning station, the body (frame) of the vehicle is fixed on the pedestal, and the position of the body is adjusted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pedestal. The docking station is coupled to the body and accessories such as the engine and suspension assembly mounted on the pallet. In addition, the fastening station is made to fasten by fixing the accessories fitted to the body with screws.
Also, the positioning device and the loading device used in the positioning station, the docking device and the slide device used in the docking station, the pallet conveying device, the robot used in the fastening station, etc. may be provided by a sequence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Driven.
Since each of the stations is made through a continuous process, a series of automatic transfer operations of the vehicle body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eries of stations.
For the above automatic transfer, a monorail conveying device and a carrier movable conveyor system can be used.
The monorail compartment convey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osts, the monorail is elongated in a horizontal state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nd connects the moving head and the carrier unit which are moved by the rolling action of the driving wheel thereon. And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driving wheels of the moving head.
The carrier movable conveyor system is largely composed of a work line having a working position for each process that performs a plurality of processes, and a return line which returns after finishing work.
In the carrier movable conveyor system, a driving method such as a belt conveyor, a chain conveyor, a roller conveyor, a trolley conveyor, or the like is widely adopted. In particular, the chain conveyor here is a structure that transmits power to a plurality of rollers to drive the rollers so that the continuous conveying operation is carried out, which can exhibit a certain conveying force and excellent durability, suitable for the transport of large objects Therefore, it is mainly applied to the assembly / painting line of automobiles, electrical / electronic products.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81284 (name: conveyor system) discloses an example of the chain conveyor. The conveyor system disclosed herein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rails connected by a plurality of crossbars adjacent to a floor, a guide rail at an intermediate point between the pair of rails, and a pole having poles at both ends of the guide rail. It is constructed by installing a plaque, and further comprises a driven conveyor device and a free conveyor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oles of the sprocket.
In general, conveyor systems require unique characteristics such as economy, durability, and quietness. 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hain conveyor systems have a circulation mechanism that continuously circulates by engaging the first and the end parts, thereby providing sufficient stall time in a specific process section requiring a relatively long process time such as, for example, a painting process.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be secured, and as a result, the control response speed of the entire system becomes slow.
In addition, the wear and tear of the chain may occur as a result of wear damage and noise may deteriorate durability and quietness, for example, if the chain is peeled off, the entire production line must be shut down, thereby reducing the difficulty and time required for repair / maintenance work.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conomic deterioration due to the consumption, manpower and parts consump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상대적으로 공정작업 시간이 길게 소요되는 특정한 공정부분 구간에서 충분한 정체시간을 확보함으로써 제어 응답속도를 높이고 원만한 조립/도장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조립/도장 라인의 자동이송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인의 늘어짐 발생 및 이에 따른 마모손상으로 인하여 내구성 및 정숙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도 있게 된 자동차 조립/도장 라인의 자동이송시스템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라인 중 다수개의 장소에 별도 설치되어도 연쇄적인 이송작용이 가능하고, 부피 및 중량이 작아서 배치공간상의 비효율성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 조립/도장 라인의 자동이송시스템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인이 벗겨지게 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봉쇄시킬 수 있게 되고, 종래에 생산라인 전체를 가동 중단시킨 후 행하여지던 수리/보수 작업이 간단화됨은 물론 그 작업시간도 적게 소요되며, 결과적으로 수리/보수작업에 따르는 인력 및 부품의 소모를 최소화시켜 컨베이어시스템에 요구되어지는 경제성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 조립/도장 라인의 자동이송시스템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securing a sufficient stall time in a particular process portion section that takes a relatively long process work time to increase the control response speed and smooth assembly / painting work can proce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automatic transfer system for assembly / painting lines.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transport system for an automobile assembly / painting line, which can solve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in durability and quietness due to sagging of the chain and thus wear damag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transfer system of an automobile assembly / painting line, which is capable of chain transfer operation even if separately installed in a plurality of places of the transfer line, and can eliminate inefficiency on the space due to the small volume and weight. There is another purpos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fundamentally block the phenomenon that the chain is peeled off, as well as simplify the repair / maintenance work that was performed after the entire production line was shut down, as well as less work time, resulting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transfer system of an automobile assembly / painting line that can minimize the consumption of manpower and parts in the repair / maintenance work to satisfy the economics required for the conveyor system.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압력으로 작동되는 분기/합류레일 절환장치부들 각각의 작용에 따라 연쇄적인 순환 경로를 갖는 순환레일과, 상기 순환레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레일을 선택적으로 경유하여 운행되는 캐리어유닛에 차량 바디를 탑재하여 이에 조립 및 도장 공정이 행해지도록 하되, 상기 캐리어유닛의 위치 상태를 다수의 위치검출수단으로 검출하여 제어장치부에 입력시켜 연산된 값에 따라 상기한 복수의 스토퍼유닛과 절환장치부들 및 그리고, 다수의 마찰이송수단들과 에어콤프레셔의 구동을 제어하는 자동차 조립/도장 라인의 자동이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순환레일과 분기레일의 직선 및 곡선 레일에 설치되는 다수의 직선부 마찰이송수단과 다수의 곡선부 마찰이송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캐리어유닛의 가동을 제한하기 위한 다수의 스토퍼유닛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기 순환레일과 분기레일이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평행하게 배치되되, 서로 마주하여 이격되어지는 내, 외측 한쌍의 것으로서 ‘ㄷ’자 형강으로 구성되며, 분기 부위 및 합류 부위에서 순환레일의 외측레일을 단선시킨 형태로 하여 이의 각 단부를 분기레일의 내, 외측레일 단부와 일체로 연결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선부 마찰이송수단은 레일을 지지하도록 레일과 일체 형성되는 제1 레일지지 브라켓의 일측에 볼트 체결되는 제1 장착단과; 상기 제1 장착단에 그 내측 단부가 서로 직교하도록 결합되는 제1‘ㄷ’자 형강; 상기 제1‘ㄷ’자 형강의 내측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1 회동부재; 상기 제1‘ㄷ’자 형강의 외측단과 제1 회동부재를 그 고정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제1 축부재; 상기 제1’ㄷ’자 형강으로부터 회동되는 제1 회동부재을 탄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축부재에 감겨 구비되는 제1 스프링부재; 회전축이 제1 회동부재 상판 부분을 관통하는 제1 서보모터를 구비하는 제1 구동수단 및; 상기 제1 서보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제1 프릭션휘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곡선부 마찰이송수단은 레일을 지지하도록 레일과 일체 형성되는 제2 레일지지 브라켓의 일측에 볼트 체결되는 제2 장착단과; 상기 제2 장착단 상단부에 이와 서로 직교하도록 결합되는 힌지장착단; 상기 힌지장착단에 힌지 결합되되, 서로 힌지 결합 상태로 연결되는 1차 회동부재와 2차 회동부재로 이루어지는 제2 회동부재; 1차 회동부재를 원위치로 리턴시키는 탄력을 발하도록 상기 힌지장착단과 1차 회동부재에 장착되어지는 토션스프링; 상기 1차 회동부재를 이루는 제2 ‘ㄷ’자 형강의 외측단과 2차 회동부재를 고정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결합하는 제2 축부재; 상기 제2 ‘ㄷ’자 형강으로부터 회동되는 2차 회동부재를 탄지하게끔 상기 제2 축부재에 감겨져 구비되는 제2 스프링부재; 회전축이 2차 회동부재의 상판 부분을 관통하도록 2차 회동부재에 장착되는 제2 서보모터로 이루어져 구비되는 제2 구동수단; 상기 제2 서보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제2 프릭션휘일; 상기 1차 회동부재의 일측 하부로 연장되되, ‘U’자 형태로 절곡되어 그 단부 높이가 서보모터의 회전축 단부 높이에 준하도록 형성 구비되는 ‘U’자 봉부재; 상기 ‘U’자 봉부재 단부로부터 수평하게 연장 결합되어지는 제1 레버부재 및; 상기 제1 레버부재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지는 텐션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기레일 절환장치부는 순환레일의 외측레일과 분기레일의 내측레일을 연장 결합시키고, 이 연장 결합 부위에 제1 힌지부를 조성하며, 상기 제1 힌지부에 제1 스위치부재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시키고, 상기 제1 스위치부재의 호부 외측면에 제2 레버부재를 연장시키고, 상기 제2 레버부재와 상기 순환레일의 외측레일 사이에 제1 에어실린더를 장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합류레일 절환장치부는 순환레일의 외측레일과 분기레일의 내측레일을 연장 결합시키고, 이 연장 결합 부위에 제2 힌지부를 조성하며, 상기 제2 힌지부에 제2 스위치부재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시키고, 상기 제2 스위치부재의 호부 외측면에 제3 레버부재를 연장시키고, 상기 제3 레버부재와 상기 순환레일의 외측레일 사이에 제2 에어실린더를 장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캐리어유닛은 마주하는 내, 외측 한 쌍의 ‘ㄷ’자 형강에 의해 조성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 쌍의 구동롤러군과; 각각의 군을 이루는 네 개의 상기 구동롤러들이 그 하측 전후좌우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동부재; 상기 가동부재 각각의 중앙의 위치 그리고, 구동롤러 상부 전후의 위치에 장착되는 드러스트롤러; 상기 가동부재의 상부 전후 위치로 힌지 장착되는 제3 회동부재, 이웃하는 제3 회동부재와 연결되는 프릭션바아, 가동부재 중앙 상부에 고정 형성되는 보스부재, 상기 보스부재에 그 힌지핀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대차프레임 및, 자동차 바디프레임의 하부 해당 부위를 안착 상태로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대차프레임의 상부 전후좌우의 모서리 부위에 고정 형성되는 클리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스토퍼유닛은 스토퍼를 레일에 결합함과 더불어 다수의 캠홈을 구비하는 캠브라켓과; 상기 캠브라켓의 캠홈을 관통하는 캠을 구비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 전체가 전후 방향으로 당겨지거나 밀려나게 하여 스토퍼 전방 단부를 승강시키는 제3 에어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다수의 위치검출수단은 상기 순환레일 및 분기레일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의 가동부재의 하부에 설치된 걸림부재에 의해 그 작동간이 움직여 캐리어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값을 제어장치부로 입력시키는 리미트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서버본체, 서버입력장치, 서버출력장치, 경고표시장치, 다수 포토센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어장치부의 전기적 구성을,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이송시스템의 기계적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연쇄적인 순환 경로를 갖도록 구성되는 순환레일(2)과, 이로부터 분기 및 합류되는 분기레일(12)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순환레일(2) 및 분기레일(12)은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평행하게 배치됨과 더불어, 도 2 내지 도 5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여 이격되어지는 내, 외측 한쌍의 ‘ㄷ’자 형강(22a, 24a)(22b, 24b)으로 구성되고, 분기 부위 및 합류 부위에서 순환레일(2)의 외측레일(22a)을 단선시키면서 그 단부를 분기레일(12)의 내, 외측레일(22b, 24b)의 단부와 일체로 연결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순환레일(2) 및 분기레일(12)의 직선 레일 부분에는 다수의 직선부 마찰이송수단(14a1∼14an)이 설치되고, 순환레일(2) 및 분기레일(12)의 곡선 레일 부분에는 다수의 곡선부 마찰이송수단(14b1∼14bn)이 설치된다.
도 2a 및 도 2b는 상기 직선부 마찰이송수단(14a1∼14an)의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면에서 직선부 마찰이송수단(14a1∼14an)은 레일(22a, 24a)과 일체로 형성되어 레일(22a, 24a)을 지지하는 레일지지 브라켓(26a)의 일측에 장착단(28a)을 볼트 체결하고, 상기 장착단(28a)과 다른 'ㄷ’자 형강(30a)을 서로 직교하도록 결합시키며, 상기 'ㄷ’자 형강(30a)의 내측단에 회동부재(32a)를 힌지 결합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직선부 마찰이송수단(14a1∼14an)에는 각각 장력장치(34a)와 구동수단(42a) 및 프릭션휘일(46a)이 더 포함된다. 상기 장력장치(34a)는 ‘ㄷ’자 형강(30a)의 외측단과 회동부재(32a)를 그 고정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상태로 축부재(36a)로 연결하고, 축부재(36a)에 스프링부재(38a)를 구비함으로써, ‘ㄷ’자 형강(30a)에 대하여 회동부재(32a)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42a)은 그 회전축이 회동부재(32a) 상판 부분을 관통하여 프릭션휘일(46a)에 장착되도록 회동부재(32a)에 장착된다.
도 3a 및 도 3b는 곡선부 마찰이송수단(14b1∼14bn)의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면에서, 곡선부 마찰이송수단(14b1∼14bn)은 레일(22a, 24a)과 일체로 형성되어 레일(22a, 24a)을 지지하는 레일지지 브라켓(26b)의 일측에 장착단(28b)을 볼트 체결하고, 상기 장착단(28b) 상단부에 힌지장착단(29b)을 서로 직교하도록 결합시키며, 상기 힌지장착단(29b)에 다른 회동부재(44b)를 힌지 결합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회동부재(44b)는 1차 회동부재(30b)와 2차 회동부재(32b)가 서로 힌지 결합되어 구성된다. 1차 회동부재(30b)는 힌지장착단(29b)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토션스프링(48b)을 구비하는 장력장치의 탄력에 의해 원위치로 리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2차 회동부재(32b)는 상기 1차 회동부재(30b)를 구성하는 ‘ㄷ’자 형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곡선부 마찰이송수단(14b1∼14bn)도 상술한 직선부 마찰이송수단(14a1∼14an)과 마찬가지로 장력장치(34b)와 구동수단(42b) 및 프릭션휘일(46b)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장력장치(34b)는 상기 ‘ㄷ’자 형강(30b)의 외측단과 2차 회동부재(32b)를 그 고정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상태로 축부재(36b)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상기 축부재(36b)에 스프링부재(38b)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ㄷ’자 형강(30b)에 대하여 2차 회동부재(32b)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42b)도 그 회전축이 2차 회동부재(32b)의 상판 부분을 관통하여 프릭션휘일(46b)에 장착되도록 회동부재(32b)에 장착된다.
특히, 곡선부 마찰이송수단(14b1∼14bn)은 ‘U’자 봉부재(50)와, 레버부재(52) 및 텐션롤러(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봉부재(50)는 상기 1차 회동부재(30b)의 일측 하부를 통해 ‘U’자 형태로 절곡되어 구동수단(42b)의 회전축 단부의 높이에 이르도록 연장되고, 여기에 레버부재(52)가 수평방향으로 연장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부재(52)의 단부에 는 텐션롤러(54)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텐션롤러(54)는 상기 프릭션휘일(46b)에 캐리어유닛(C1~Cn: 도 9)을 밀착시켜 마찰력의 손실없이 캐리어유닛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순환레일(2) 및 분기레일(12)의 분할 위치에는 분기레일 절환장치부(16)가, 상기 순환레일(2) 및 분기레일(12)의 합류 위치에는 합류레일 절환장치부(18)가 각각 설치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분기레일 절환장치부(16)의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분기레일 절환장치부(16)는 순환레일(2)의 외측레일(22a)과 분기레일(12)의 내측레일(22b)을 연장 결합시키고, 이 연장 결합 부위에 힌지부를 조성하며, 상기 힌지부에 스위치부재(60a)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기레일 절환장치부(16)는 상기 스위치부재(60a)의 호부 외측면에 레버부재(62a)를 결합시키고, 이 레버부재(62a)와 상기 순환레일(2)의 외측레일(22a) 사이에 에어실린더(64a)를 장착하여, 에어실린더(64a)의 로드 신축 작용에 따라 스위치부재(60a)가 회동되어 스위치부재(60a)가 순환레일(2)이나 분기레일(12)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도 5a 내지 도 5d는 합류레일 절환장치부(18)의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합류레일 절환장치부(18) 역시 순환레일(2)의 외측레일(22a)과 분기레일(12)의 내측레일(22b)을 연장 결합시키고, 이 연장 결합 부위에 힌지부를 조성하며, 이 힌지부에 스위치부재(60b)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합류레일 절환장치부(18)는 상기 스위치부재(60b)의 호부 외측면에 레버부재(62b)를 결합시키고, 이 레버부재(62b)와 상기 순환레일(2)의 외측레일(22a) 사이에 에어실린더(64b)를 장착하여, 에어실린더(64b)의 로드 신축 작용에 따라 스위치부재(60b)가 회동되어 스위치부재(60b)가 순환레일(2)이나 분기레일(12)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분기레일 절환장치부(16)와 합류레일 절환장치부(18)의 에어실린더(64a)(64b)는 에어콤프레셔(Ac)(도 1a 참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구동되고, 이러한 압축공기의 유로 제어는 제어장치부(C)(도 1a 참조)가 솔레노이드밸브(도시생략)를 구동제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순환레일(2) 및 분기레일(12) 상에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캐리어유닛(C1∼Cn)이 가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순환레일(2) 및 분기레일(12)은 서로 마주하여 이격되어지는 내, 외측 한쌍의 ‘ㄷ’자 형강(22a, 24a)(22b, 24b)으로 구성되는 바, 이때 ‘ㄷ’자 형강(22a, 24a)(22b, 24b)에 의해 마련되는 내부 공간에 복수군의 구동롤러(Ra1~Ra4, Rb1∼Rb4)가 구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어유닛(C1~Cn)은 네 개의 구동롤러(Ra1~Ra4)(Rb1~Rb4)를 두개의 가동부재(70a)(70b) 하측 전후좌우에 각각 장착하고, 구동롤러(Ra1~Ra4)(Rb1~Rb4) 상부 전후의 가동부재(70a)(70b) 중앙위치에 드러스트롤러(72a1, 72a2)(72b1, 72b2)를 장착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결합체를 전방의 것과 후방의 것으로 하여 내, 외측 한쌍의 ‘ㄷ’자 형강(22a, 24a)(22b, 24b)으로 이루어지는 레일(2)(12)에 가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시켜 캐리어유닛(C1∼Cn)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가동부재(70a)(70b)의 상부 전후 위치에 회동부재(74a1, 74a2)(74b1, 74b2)를 힌지장착하고, 이웃하는 회동부재(74a1, 74a2)(74b1, 74b2)를 프릭션바아(b1∼bn)로 연결하며, 각 결합체의 가동부재(70a)(70b) 중앙 상부로 보스부재(76a)(76b)를 고정 형성시켜 여기에 대차프레임(F: 도 9d)의 힌지핀(P)들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그리고, 도 9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대차프레임(F)의 상부 전후좌우의 모서리 부위에는 자동차 바디프레임(도시생략)의 해당 부위를 안착 상태로 구속할 수 있는 클리퍼(Cp1∼Cp4)를 고정 설치한다.
또한, 상기 가동부재(70a, 70b)의 하부에는 걸림부재(78, 80)가 설치되고, 이 가동부재(78, 80)의 하부에는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유닛(SU1∼SUn)이 설치된다.
스토퍼유닛(SU1∼SUn)은 캐리어유닛(C2∼Cn)의 가동을 필요에 따라 정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순환레일(2) 및 분기레일(12)의 하측에 설치된다.
도 6 및 도 7은 상기 스토퍼유닛(SU1∼SUn)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스토퍼유닛(SU1∼SUn)은 걸림부재(80)와 선택적으로 걸림 작용되는 스토퍼(82)를 구비하고, 이 스토퍼(82)는 도 7a 내지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브라켓(84)에 의해 순환레일(2) 및 분기레일(12)의 하부 레일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82)는 에어실린더(86)에 의해 승강 작동된다.
상기 캠브라켓(84)에는 스토퍼(82)의 캠(88a)(88b)을 각각 안내하는 캠홀(90a)(90b)이 천공되어, 에어실린더(86)에 의해 스토퍼(82) 전체가 전후 방향으로 당겨지거나 밀려날 때 스토퍼(82)의 전방 단부가 승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캐리어유닛(C1∼Cn)의 위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순환레일(2) 및 분기레일(12)의 일정 장소에는 다수의 위치검출수단이 구비된다. 이러한 위치검출수단은 도 1 내지 도 3의 리미트스위치(Ls1∼Lsn)로서, 이들은 직선부 마찰이송수단(14a1∼14an) 및 곡선부 마찰이송수단(14b1∼14bn)의 각 구성부재(30a)(30b)에 설치되어 해당 브라켓부재(br)에 의해 눌려 작동된다. 또한, 이들 리미트스위치(Ls1∼Lsn)는 캐리어유닛(C1∼Cn) 걸림부재(78)에 의해 그 작동간이 움직여 작동되도록 스토퍼유닛(SU1∼SUn)들과 이웃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리미트스위치(Ls1∼Lsn)는 캐리어유닛(C1∼Cn)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작동되고, 그 검출값은 제어장치부(C)로 입력된다. 일반적으로 주지된 바와 같이 제어장치부(C)는 상기 위치검출수단(리미트스위치(Ls1∼Lsn))으로부터의 검출값을 근거로 상기한 복수의 유닛과 장치부들 및 그리고 다수의 마찰이송수단들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장치부(C)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버본체(Sc), 서버입력장치(Si), 서버출력장치(So), 경고표시장치(Dp) 및 다수 포토센서(ps1∼psn)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자동이송장치는 도 10a 및 도 10b에서와 같이, 시작하여 제1단계(S100)에서 임의로 명명된 모든 레지스터 ‘L1’∼’Ln’,’Cr1’∼’Crn’,’S1’∼’Sn’등을 초기화시키고 다음, 1번째∼n번째의 모든 리미트스위치(LS1∼LSn)로부터의 검출값을 입력받아 임의로 명명된 다수 레지스터 각각에 그 입력값을 저장하는 제2단계(S200)를 실행한다.
또 제3단계(S300)에서 상기 다수 레지스터 ‘L1’∼’Ln’,’Cr1’∼’Crn’,’S1’∼’Sn’ 각각에 저장값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그 결과에 따라 다수 캐리어유닛(C1∼Cn) 각각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즉, 임의로 명명된 레지스터 ‘L1’∼’Ln’에 저장된 값이 ‘0’보다 큰지를 판단하여 그럴 경우 다음 제4단계(S400)를 실행시키며, 아닐 경우 상기 제2단계(S200)로 리턴 실행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4단계(S400)에서는 서버본체(Sc)로부터 출력되는 지시값을 입력받아 해당하는 레지스터에 그 값을 저장하는 작용이 이루어지는데 이를테면, 각각의 고유번호가 부여된 다수 캐리어유닛(C1∼Cn) 각각에 대한 공정 경로 지정값을 읽어들여 임의로 명명된 레지스터(Cr1∼Crn)에 저장함으로써, 다수 캐리어유닛(C1∼Cn) 각각이 정해진 공정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모든 포토센서(Ps1∼Psn)로부터의 검출값을 입력받아 해당 레지스터 각각에 그 값을 저장하는 제5단계(S500)가 실행되어진다. 즉, 상기 제5단계(S500)에서는, 모든 포토센서(Ps1∼Psn)로부터의 검출값을 입력받아 임의로 명명된 해당 레지스터 각각에 그 값을 저장하고 동시에 서버본체(Sc)로 전송함으로써, 캐리어유닛(C1∼Cn) 각각에 해당하는 부품의 탑재 상태 및 조립/도장 상태를 고려하여 작업이 진행될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5단계(S500)에서 입력받은 정보의 분석 결과 부품의 탑재 상태 및 조립/도장 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연산되었는지를 판단(S550)하여 그럴 경우 해당 메시지를 스피커로 출력시키거나 동시에 경고램프를 작동시키는 경고단계(S560)를 실행시킨 후 상기 제5단계(S500)로 리턴되어지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판단단계(S550)에서 부품의 탑재 상태 및 조립/도장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제6단계(S600)를 실행하여 해당하는 캐리어유닛(C1∼Cn)이 분기레일 절환장치부(16) 또는 합류레일장치부에 위치하게 되었을 때 그 장치부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해당의 캐리어유닛(C1∼Cn)들로 하여금 해당 경로로 진행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분기레일 절환장치부(16) 진입 전방 부위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로부터의 입력 저장값이 있고, 이 때의 해당 캐리어유닛(C1∼Cn)에 지정된 공정 경로가 예컨데 ‘A’경로라면, 그 지정값에 따라 순환레일(2)이 열리도록 분기레일 절환장치부(16)를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해당 캐리어유닛(C1∼Cn)이 분기레일(12)을 경과하지 않고 순환레일(2)로 진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분기레일 절환장치부(16) 진입 전방 부위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로부터의 입력 저장값이 있을 때의 해당 캐리어유닛(C1∼Cn)에 지정된 공정 경로가 예컨데 ‘B’경로라면, 그 지정값에 따라 분기레일(12)이 열리도록 분기레일 절환장치부(16)를 시계 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해당 캐리어유닛(C1∼Cn)이 순환레일(2)을 경과하지 않고 분기레일(12)로 진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합류레일 절환장치부(18) 진입 전방 부위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로부터의 입력 저장값이 있고, 이 때의 해당 캐리어유닛(C1∼Cn)에 지정된 공정 경로가 예컨데 ‘A’경로였다면, 합류레일 절환장치부(18)를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해당 캐리어유닛(C1∼Cn)이 순환레일(2)로부터 순환레일(2)로 계속 운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합류레일 절환장치부(18) 진입 전방 부위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로부터의 입력 저장값이 있을 때의 해당 캐리어유닛(C1∼Cn)에 지정된 공정 경로가 예컨데 ‘B’경로라면, 합류레일 절환장치부(18)를 시계 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해당 캐리어유닛(C1∼Cn)이 분기레일(12)로부터 순환레일(2)로 진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해당하는 각각의 캐리어유닛(C1∼Cn)에 대한 다음 공정으로의 위치 이동 조작신호가 있을 경우, 위치의 다수 직선부 마찰이송수단(14a1∼14an)과 곡선부 마찰이송수단(14b1∼14bn)을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국부적인 별도 제어에 따라 각 캐리어유닛(C1∼Cn)들의 이송작업이 이루어지게 한 후 초기단계(S100)로 피드백하여 실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irculating rail having a chain circulation path according to the action of each of the branch / joining rail switching device portions operated by pneumatic pressure, and selectively via a branch rail branched from the circulation rail. The vehicle body is mounted on the carrier unit to be operated so that the assembly and painting process can be performed. The position state of the carrier unit is detected by a plurality of position detecting means and input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plurality of the plurality of the plurality of the plurality are In the automatic transfer system of the vehicle assembly / painting line for controlling the drive of the stopper unit and the switching unit, and a plurality of friction transfer means and the air compressor, a plurality of installed on the straight and curved rails of the circulation rail and the branch rail Linear frictional transfer means and a plurality of curved frictional transfer means are provided for the movement of the carrier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topper unit for one.
In addition, the circulation rail and the branch rail is arranged parallel to a certain height in the ground, and is composed of a pair of ',' as a pair of inner and outer spaces facing each other, consisting of the 'c' shaped steel, the branching and confluence of the circulation rail The outer rail is disconnected, and each end thereof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inner and outer rail ends of the branch rail.
In addition, the linear friction transfer means includes a first mounting end that is bolted to one side of the first rail support bracket integrally formed with the rail to support the rail; A first 'c' shaped steel coupled to the first mounting end such that inner ends thereof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 first pivot member hinged to an inner end of the first 'c' shaped steel; A first shaft member connecting the outer end of the first 'c' shaped steel and the first pivot member so that its fixed position is variable; A first spring member wound around the first shaft member to hold the first pivot member pivoted from the first '-C' shaped steel; First driving means having a first servomotor having a rotating shaft passing through the upper plate portion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And a first friction wheel mounted on the rotation shaft of the first servomotor.
The curved portion friction transfer mean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mounting end bolted to one side of a second rail support bracket integrally formed with the rail to support the rail; A hinge mounting end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econd mounting en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 second pivot member hinged to the hinge mounting end, the second pivot member including a primary pivot member and a secondary pivot member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hinged state; A torsion spring mounted to the hinge mounting end and the primary rotating member to give elasticity to return the primary rotating member to its original position; A second shaft member for coupling the outer end of the second 'C' shaped steel constituting the primary rotating member and the secondary rotating member to have a fixed position; A second spring member wound around the second shaft member so as to harden the secondary rotating member rotated from the second 'c' shaped steel; Second driving means provided with a second servomotor mounted to the secondary rotating member so that the rotating shaft penetrates the upper plate portion of the secondary rotating member; A second friction wheel mounted to a rotation shaft of the second servomotor; A 'U' rod member which extends to one side lower portion of the primary rotation member and is bent in a 'U' shape so that an end height thereof corresponds to an end height of a rotation shaft of the servomotor; A first lever member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end of the 'U' rod member; And a tension roller rotatably mounted to the end of the first lever member.
The branch rail switching unit may extend the outer rail of the circulation rail and the inner rail of the branch rail, form a first hinge portion at the extension coupling portion, and rotate the first switch member to the first hinge portion. The second lever member is extended to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arc part of the first switch member, and a first air cylinder is mounted between the second lever member and the outer rail of the circulation rail.
In addition, the joining rail switching unit extends the outer rail of the circulation rail and the inner rail of the branching rail, forms a second hinge portion in the extension coupling portion, the second switch member can be rotated in the second hinge portion state And a third air lever member is extend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arc portion of the second switch member, and a second air cylinder is mounted between the third lever member and the outer rail of the circulation rail.
The carrier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irs of driving roller groups dispos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a pair of inner and outer pairs of 'c' shaped steels facing each other; At least one movable member having four driving rollers constituting each group mounted on the lower front, rear, left and right; A drum controller mounted at the center of each of the movable members and at positions before and after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roller; A third pivot member hinged to the upper and rear positions of the movable member, a friction bar connected to a neighboring third pivot member, a boss member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member, and a hinge pin of the boss member. And a clipper fixed to the corner portions of the top,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gie frame so as to restrain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vehicle body frame to a seating state.
The plurality of stopper units may further include: a cam bracket having a plurality of cam grooves together with a stopper coupled to the rail; A stopper having a cam penetrating the cam groove of the cam bracket; And a third air cylinder configured to elevate the stopper front end by causing the entire stopper to be pulled or pushed forward or backward.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osition detecting means is provided below the circulation rail and the branch rail, the operation between the operation is moved by the locking member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ovable member of the carrier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carrier, and the detected value It is a limit switch to be input to the control unit.
In addition, the server main body, the server input device, the server output device, the warning display device,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1a is an electrical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transf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irculation rail (2) configured to have a chain circulation path and a branch rail (12) branched and joined therefrom.
The circulation rails 2 and the branch rails 12 are arranged parallel to a certain height on the ground and, as illustrated in FIGS. 2 to 5, a pair of inner and outer pairs of 'c' shaped stee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ace each other. It consists of (22a, 24a) (22b, 24b), and it cuts the outer rail 22a of the circulation rail 2 in a branch part and a joining part, and the edge part is the inner and outer rail 22b of the branch rail 12, and is disconnected. It is a structure connected integrally with the edge part of 24b).
The linear rail portions of the circulation rail 2 and the branch rail 12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near friction transfer means 14a1 to 14an, and the curved rail portions of the circulation rail 2 and the branch rail 12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near rail portions. Curved portion friction transfer means 14b1 to 14bn are provided.
2A and 2B are structural diagram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inear frictional transfer means 14a1 to 14an. In the drawing, the linear friction transfer means 14a1 to 14an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rails 22a and 24a and bolt the mounting end 28a to one side of the rail support bracket 26a supporting the rails 22a and 24a. And the mounting end 28a and the other 'c' shaped steel 30a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the pivoting member 32a is hingedly coupled to an inner end of the 'c' shaped steel 30a. have.
Further, the linear friction transfer means 14a1 to 14an further include a tension device 34a, a driving means 42a, and a friction wheel 46a, respectively. The tension device 34a connects the outer end of the 'c' shaped steel 30a and the rotation member 32a to the shaft member 36a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osition thereof can be varied, and springs to the shaft member 36a. By providing the member 38a, the rotating member 32a is elastical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c' shaped steel 30a.
In addition, the driving means 42a is mounted to the rotating member 32a such that its rotating shaft penetrates the upper plate portion of the rotating member 32a and is mounted to the friction wheel 46a.
3A and 3B are structural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urved portion friction transfer means 14b1 to 14bn. In the figure, the curved friction transfer means 14b1 to 14bn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ails 22a and 24a to bolt the mounting end 28b to one side of the rail support bracket 26b supporting the rails 22a and 24a. The hinge mounting end 29b is coupled to each other at right angles to the upper end of the mounting end 28b, and the other rotating member 44b is hinged to the hinge mounting end 29b.
The pivot member 44b is configured by hinge coupling of the primary pivot member 30b and the secondary pivot member 32b. The primary pivot member 30b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mounting end 29b and is configured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ity of the tension device having the torsion spring 48b. In addition, the secondary rotation member 32b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 shaped steel constituting the primary rotation member 30b.
The curved portion friction conveying means 14b1 to 14bn also include a tension device 34b, a driving means 42b, and a friction wheel 46b similarly to the linear frictional conveying means 14a1 to 14an described above.
That is, the tension device 34b connects the outer end of the 'c' shaped steel 30b and the secondary pivot member 32b using the shaft member 36b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osition thereof may be changed. By providing the spring member 38b on the shaft member 36b, the secondary pivot member 32b is elastical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c' shaped steel 30b.
In addition, the driving means 42b is also mounted to the rotating member 32b so that its rotating shaft penetrates the upper plate portion of the secondary rotating member 32b to be mounted on the friction wheel 46b.
In particular, the curved friction transfer means (14b1-14bn) is composed of a 'U' bar member 50, the lever member 52 and the tension roller 54.
The rod member 50 is bent in a 'U' shape through one side lower portion of the primary rotation member 30b to extend to reach the height of the end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e means 42b, and the lever member 52 ) Is coupled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end of the lever member 52, a tension roller 54 is rotatably mounted. The tension roller 54 is for allowing the carrier units C1 to Cn (FIG. 9)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iction wheel 46b to move the carrier unit without loss of friction.
As shown in FIG. 1B, a branch rail switching unit 16 is disposed at a divided position of the circulation rail 2 and a branch rail 12, and a joining rail is formed at a joining position of the circulation rail 2 and the branch rail 12. The switching device portions 18 are provided respectively.
4A to 4D are structural diagram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ranch rail switching unit 16. The branch rail switching unit 16 extends and engages the outer rail 22a of the circulation rail 2 and the inner rail 22b of the branch rail 12, forms a hinge portion at the extension coupling portion, and the hinge por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witch member 60a is rotatably mounted.
The branch rail switching unit 16 couples the lever member 62a to the arc outer surface of the switch member 60a, and the lever member 62a and the outer rail 22a of the circulation rail 2 are connected. The air cylinder 64a is mounted between the two sides, so that the switch member 60a is rotated according to the rod stretching action of the air cylinder 64a so that the switch member 60a selectively selects the circulation rail 2 or the branch rail 12. Is configured to open.
5A to 5D are structural diagram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nfluence rail switching unit 18. The joining rail switching unit 18 also extends and engages the outer rail 22a of the circulation rail 2 and the inner rail 22b of the branching rail 12, and forms a hinge portion at the extension coupling por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witch member 60b is rotatably mounted.
The joining rail switching unit 18 couples the lever member 62b to the outer side of the arc portion of the switch member 60b, and the lever member 62b and the outer rail 22a of the circulation rail 2. The air cylinder 64b is mounted between the two sides, so that the switch member 60b is rotated by the rod stretching action of the air cylinder 64b so that the switch member 60b selectively selects the circulation rail 2 or the branch rail 12. Is configured to open.
The air cylinders 64a and 64b of the branch rail switching unit 16 and the joining rail switching unit 18 are driven by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an air compressor Ac (see FIG. 1A), and this compression is performed. Air flow path control is per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control unit C (see Fig. 1A) drives and controls the solenoid valve (not shown).
On the circulation rail 2 and the branch rail 12, carrier units C1 to Cn as shown in Figs. 8 and 9 are movably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circulation rail 2 and the branch rail 12 are composed of a pair of inner and outer 'c' shaped steels 22a, 24a, 22b, and 24b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ace each other. 'A plurality of groups of drive rollers Ra1 to Ra4 and Rb1 to Rb4 ar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provided by the shaped steels 22a and 24a and 22b and 24b so as to be able to be driven.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carrier units C1 to Cn are equipped with four driving rollers Ra1 to Ra4 (Rb1 to Rb4) at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wo movable members 70a and 70b, respectively. The drum rollers 72a1, 72a2, 72b1, 72b2 are mounted at the center positions of the movable members 70a, 70b before and after the upper portions of the driving rollers Ra1 to Ra4 (Rb1 to Rb4). Then, the carrier is connected to the rails 2 and 12 made up of a pair of inner and outer 'c' shaped steels 22a, 24a, 22b, and 24b as the front body and the rear body. The units C1 to Cn are constituted.
Further, the pivot members 74a1, 74a2 (74b1, 74b2) are hinge-mounted at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movable members 70a, 70b, and the neighboring pivot members 74a1, 74a2, 74b1, 74b2 are friction bars. (b1 to bn), and the boss members 76a and 76b are fixed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ovable members 70a and 70b of the respective assemblies, and the hinge pins P of the bogie frame F are shown in FIG. 9D. ) Can be combined to rotate. And, as shown in FIG. 9D, clippers Cp1 to Cp4 that can restrain the corresponding portions of the vehicle body frame (not shown) in a seating state are fixedly installed at the corners of the upper,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olley frame F. FIG. .
In addition, engaging members 78 and 80 are provided below the movable members 70a and 70b, and stopper units SU1 to SUn are installed below the movable members 78 and 80 as shown in FIG. 7A. do.
The stopper units SU1 to SUn are provided below the circulation rail 2 and the branch rail 12 so as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carrier units C2 to Cn as necessary.
6 and 7 show the structures of the stopper units SU1 to SUn. The stopper units SU1 to SUn have a stopper 82 that selectively engages with the locking member 80, and the stopper 82 is circulated by the cam bracket 84 as shown in Figs. 7A to 7C. It is mounted on the lower rail of the rail 2 and the branch rail 12. At this time, the stopper 82 is lifted and operated by the air cylinder 86.
The cam bracket 84 is perforated with cam holes 90a and 90b for guiding the cams 88a and 88b of the stopper 82, so that the entire stopper 82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air cylinder 86. The front end of the stopper 82 is to be elevated when pulled or pushed out.
In addition, a plurality of position detecting means ar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lace of the circulation rail 2 and the branch rail 12 so as to detect the position state of the carrier units C1 to Cn. These position detecting means are the limit switches Ls1 to Lsn in Figs. 1 to 3, which are the respective constituent members 30a of the linear portion friction transfer means 14a1 to 14an and the curved portion friction transfer means 14b1 to 14bn ( 30b) is pressed and operated by the corresponding bracket member (br). In addition, these limit switches Ls1 to Lsn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adjacent to the stopper units SU1 to SUn so that the operation unit is moved and operated by the carrier units C1 to Cn engaging member 78.
The limit switches Ls1 to Lsn are operated to detect the positions of the carrier units C1 to Cn, and the detected values are input to the control unit C. As is generally known, the control unit C is driven based on the detection value from the position detecting means (limit switches Ls1 to Lsn) to drive the plurality of units and apparatus units and a plurality of friction transfer means. To control.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 the control unit C includes a server body Sc, a server input device Si, a server output device So, a warning display device Dp, and a plurality of photosensors ps1 to psn.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he automatic transfe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tarts with all registers' L1 'to' Ln ',' Cr1 'to' Crn, arbitrarily named in the first step S100, as shown in FIGS. 10A and 10B. Initializing ',' S1 'to' Sn ', etc., receiving the detected values from all the first to nth limit switches LS1 to LSn, and storing the input values in each of a plurality of randomly named registers. Step 2 (S200) is executed.
In a third step (S30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stored value in each of the plurality of registers 'L1' to 'Ln', 'Cr1' to 'Crn', and 'S1' to 'Sn', and the majority carrier uni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sult. Each position (C1-Cn) is grasped.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alue stored in the randomly named registers 'L1' to 'Ln' is greater than '0', and if so, the next step S400 is executed, otherwise the return to the second step S200 is executed. It is done.
In the fourth step S400, an operation of receiving an indication value output from the server body Sc and storing the value in a corresponding register is performed. For example, a plurality of carrier units C1 to Cn assigned to each unique number are provided. By reading the process path designation valu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arriers and storing them in arbitrarily named registers Cr1 to Crn, each of the plurality of carrier units C1 to Cn is moved to a predetermined process.
Next, a fifth step S500 of receiving the detected values from all the photosensors Ps1 to Psn and storing the values in each of the corresponding registers is executed. That is, in the fifth step (S500), by receiving the detected values from all the photosensors (Ps1 ~ Psn), the value is stored in each of the corresponding registers, which are arbitrarily named, and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the server body Sc, the carrier unit The operation can proceed in consideration of the mounting state and the assembly / painting state of the parts corresponding to each of (C1 to Cn).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ormation received in the fifth step (S500) as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mounting state and the assembly / coating state of the component is calculated as bad (S550), if so, outputs the corresponding message to the speaker or at the same time warning lamp After executing the warning step (S560) for operating the may be returned to the fifth step (S500).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the determination step (S550) that the mounting state and the assembly / coating state of the parts are good, the sixth step (S600) is carried out by the corresponding carrier unit (C1 ~ Cn) branch rail switching unit 16 Or, when it is located in the joining rail apparatus part,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part, the corresponding carrier units (C1 to Cn) can proceed to the corresponding path.
That is, if there is an input storage value from the limit switch provided at the entry point of the branch rail switching unit 16, and the process path specified for the carrier units C1 to Cn at this time is, for example, 'A' path, By driving the branch rail switching unit 16 counterclockwise so that the circulation rail 2 is opened in accordance with the designated value, the carrier rails C1 to Cn do not pass the branch rail 12 and the circulation rail 2 does not pass. ) Is to be entered.
On the contrary, if the process path specified in the carrier units C1 to Cn when there is an input storage value from the limit switch provided at the entry front portion of the branch rail switching unit 16 is, for example, the 'B' path, the designated value is specified. By driving the branch rail switching unit 16 in the 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branch rail 12 is opened, the carrier units C1 to Cn enter the branch rail 12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irculation rail 2. It is to be possible.
In addition, if there is an input storage value from the limit switch provided at the entrance front part of the joining rail switching unit 18, and the process path designated for the carrier units C1 to Cn at this time is the 'A' path, for example, the joining rail By operating the switching device unit 18 counterclockwise, the carrier units C1 to Cn continue to run from the circulation rail 2 to the circulation rail 2.
On the contrary, if the process path specified in the carrier units C1 to Cn when there is an input storage value from the limit switch installed at the entrance front portion of the confluence rail switching unit 18 is, for example, 'B' path, confluence rail switching is performed. By driving the device unit 18 clockwise, the carrier units C1 to Cn enter the circulation rail 2 from the branch rail 12.
In addition, when there is a position shift operation signal to the next step for each of the corresponding carrier units C1 to Cn, a plurality of linear part friction transfer means 14a1 to 14an and curved part friction transfer means 14b1 to 14bn) is selectively driven to transfer the respective carrier units C1 to Cn according to local separate control, and then fed back to the initial step S100.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is merely a preferred embodimen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but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각 구간에서의 상황에 따른 별도의 속도로 구동되어, 상대적으로 공정작업 시간이 길게 소요되는 어느 특정의 공정부분 구간에서 충분한 정체시간이 소요되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제어 응답속도를 신속하게 함과 아울러 원만한 조립/도장 작업의 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체인의 늘어짐 발생 및 이에 따른 마모손상으로 인한 내구성 저해의 문제, 소음발생으로 인한 정숙성 저해의 문제 등을 해소할 수도 있게 하는 효과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궁극적으로, 이송라인 중의 소정 다수개소에 별도 설치되어도 연쇄적인 이송작용이 가능하고 부피 및 중량이 작아서, 배치공간상의 비효율성을 배제시킬 수 있고, 경제적인 구조를 갖추게 됨과 아울러, 경제적인 수리/보수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체인이 벗겨지게 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봉쇄시킬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생산라인 전체를 가동 중단시킨 후 행하여지는 수리/보수 작업 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 작업시간도 짧게 소요됨은 물론, 수리/보수작업에 따르는 인력 및 부품의 소모를 최소화시켜 컨베이어시스템에 요구되어지는 경제성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riven at a separate spe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each section, so that a sufficient stall time is required in any particular process portion section, which takes a relatively long process work time, and thus control It speeds up the response and provides the effect of smooth assembly / painting.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effect of eliminating the problem of sagging of the chain, and thus the impairment of durability due to wear damage, the problem of inhibition of quietness due to noise, and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ultimately, even if it is separately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number of places in the transfer line is capable of a chain transfer action and the volume and weight is small, can eliminate the inefficiency in the layout space, economical structure and economical It is to provide a useful effect to enable the management of repair / maintenanc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block the phenomenon that the chain is peeled off, and thus can facilitate the repair / maintenance work that is performed after the entire production line is shut down, and also takes a short time Of course, it can also provide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consumption of manpower and components in the repair / maintenance work to meet the economics required for the conveyor system.

Claims (11)

지상에서 일정한 높이로 평행하게 배치됨과 더불어 서로 마주하여 이격되는 한쌍의 'ㄷ'자 형강으로 구성되는 순환레일과,A circular rail consisting of a pair of 'c'-shaped steels which are arranged parallel to a certain height on the groun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서로 마주하여 이격되는 한쌍의 'ㄷ'자 형강으로 구성됨과 더불어 분기레일 절환장치부와 합류레일 절환장치부를 통해 상기 순환레일에 결합되는 분기레일,A branch rail coupled to the circulation rail through a branch rail switch unit and a joining rail switch unit as well as a pair of 'c' shaped stee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순환레일 및 분기레일을 통해 운행되는 캐리어유닛,A carrier unit running through the circulation rail and the branch rail; 상기 캐리어유닛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다수의 위치검출수단,A plurality of position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carrier unit, 상기 캐리어유닛의 가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다수의 스토퍼유닛,A plurality of stopper units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carrier unit, 상기 순환레일과 분기레일의 직선 레일에 설치되어 캐리어유닛을 이송하는 다수의 직선부 마찰이송수단,A plurality of linear friction transfer means installed on the linear rails of the circulation rail and the branch rail to transfer the carrier unit; 상기 순환레일과 분기레일의 곡선 레일에 설치되어 캐리어유닛을 이송하는 다수의 곡선부 마찰이송수단 및,A plurality of curved portion friction transfer means installed on the curved rails of the circulation rail and the branch rail to transfer the carrier unit; 상기 위치검출수단의 검출결과를 근거로 자동이송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도장 라인의 자동이송시스템.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transfer system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position detecting mean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직선부 마찰이송수단은The linear friction transfer means is 레일을 지지하도록 레일과 일체 형성되는 제1 레일지지 브라켓의 일측에 볼트 체결되는 제1 장착단과;A first mounting end bolted to one side of a first rail support bracket integrally formed with the rail to support the rail; 상기 제1 장착단에 그 내측 단부가 서로 직교하도록 결합되는 제1‘ㄷ’자 형강;A first 'ㄷ' shaped steel coupled to the first mounting end such that inner ends thereof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상기 제1‘ㄷ’자 형강의 내측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1 회동부재;A first pivot member hinged to an inner end of the first 'ㄷ' shaped steel; 상기 제1‘ㄷ’자 형강의 외측단과 제1 회동부재를 그 고정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제1 축부재;A first shaft member connecting the outer end of the first 'ㄷ' shaped steel and the first pivot member so that its fixed position is variable; 상기 제1’ㄷ’자 형강으로부터 회동되는 제1 회동부재을 탄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축부재에 감겨 구비되는 제1 스프링부재;A first spring member wound around the first shaft member to support the first pivot member pivoted from the first '-' shaped steel; 회전축이 제1 회동부재 상판 부분을 관통하는 제1 서보모터를 구비하는 제1 구동수단 및;First driving means having a first servomotor having a rotating shaft passing through the upper plate portion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상기 제1 서보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제1 프릭션휘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도장 라인의 자동이송시스템.And a first friction wheel mounted on the rotation shaft of the first servo mot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곡선부 마찰이송수단은The curved portion friction transfer means 레일을 지지하도록 레일과 일체 형성되는 제2 레일지지 브라켓의 일측에 볼트 체결되는 제2 장착단과;A second mounting end bolted to one side of a second rail support bracket integrally formed with the rail to support the rail; 상기 제2 장착단 상단부에 이와 서로 직교하도록 결합되는 힌지장착단;A hinge mounting end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econd mounting en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상기 힌지장착단에 힌지 결합되되, 서로 힌지 결합 상태로 연결되는 1차 회동부재와 2차 회동부재로 이루어지는 제2 회동부재;A second pivot member hinged to the hinge mounting end, the second pivot member including a primary pivot member and a secondary pivot member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hinged state; 1차 회동부재를 원위치로 리턴시키는 탄력을 발하도록 상기 힌지장착단과 1차 회동부재에 장착되어지는 토션스프링;A torsion spring mounted to the hinge mounting end and the primary rotating member to give elasticity to return the primary rotating member to its original position; 상기 1차 회동부재를 이루는 제2 ‘ㄷ’자 형강의 외측단과 2차 회동부재를 고정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결합하는 제2 축부재;A second shaft member configured to couple the outer end of the second 'ㄷ' shaped steel constituting the primary rotating member and the secondary rotating member to have a fixed position; 상기 제2 ‘ㄷ’자 형강으로부터 회동되는 2차 회동부재를 탄지하게끔 상기 제2 축부재에 감겨져 구비되는 제2 스프링부재;A second spring member wound around the second shaft member so as to hold the secondary pivot member rotated from the second '-' shaped steel; 회전축이 2차 회동부재의 상판 부분을 관통하도록 2차 회동부재에 장착되는 제2 서보모터로 이루어져 구비되는 제2 구동수단;Second driving means provided with a second servomotor mounted to the secondary rotating member so that the rotating shaft penetrates the upper plate portion of the secondary rotating member; 상기 제2 서보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제2 프릭션휘일;A second friction wheel mounted to a rotation shaft of the second servomotor; 상기 1차 회동부재의 일측 하부로 연장되되, ‘U’자 형태로 절곡되어 그 단부 높이가 서보모터의 회전축 단부 높이에 준하도록 형성 구비되는 ‘U’자 봉부재;An 'U' rod member which extends to one side lower portion of the primary rotation member and is bent in a 'U' shape and has an end height corresponding to an end height of a rotation shaft of the servomotor; 상기 ‘U’자 봉부재 단부로부터 수평하게 연장 결합되어지는 제1 레버부재 및;A first lever member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U' rod member end; 상기 제1 레버부재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지는 텐션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도장 라인의 자동이송시스템.And a tension roller rotatably mounted to the end of the first lever memb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분기레일 절환장치부는The branch rail switching device unit 순환레일의 외측레일과 분기레일의 내측레일을 연장 결합시키고, 이 연장 결합 부위에 제1 힌지부를 조성하며, 상기 제1 힌지부에 제1 스위치부재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시키고, 상기 제1 스위치부재의 호부 외측면에 제2 레버부재를 연장시키고, 상기 제2 레버부재와 상기 순환레일의 외측레일 사이에 제1 에어실린더를 장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도장 라인의 자동이송시스템.Extend the outer rail of the circulation rail and the inner rail of the branch rail, form a first hinge portion at the extension coupling portion, and mount the first switch member in a rotatable state to the first hinge portion; And a second air member extending on the outer side of the arc portion of the member, and a first air cylinder mounted between the second lever member and the outer rail of the circulation rai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합류레일 절환장치부는The joining rail switch unit 순환레일의 외측레일과 분기레일의 내측레일을 연장 결합시키고, 이 연장 결합 부위에 제2 힌지부를 조성하며, 상기 제2 힌지부에 제2 스위치부재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시키고, 상기 제2 스위치부재의 호부 외측면에 제3 레버부재를 연장시키고, 상기 제3 레버부재와 상기 순환레일의 외측레일 사이에 제2 에어실린더를 장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도장 라인의 자동이송시스템.Extends the outer rail of the circulation rail and the inner rail of the branch rail, forms a second hinge portion at the extension coupling portion, mounts a second switch member in a rotatable state to the second hinge portion, and the second switch And a third air cylinder extending between the third lever member and an outer rail of the circulation rail on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arc part of the member, wherein the second air cylinder is mount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캐리어유닛은The carrier unit is 마주하는 내, 외측 한 쌍의 ‘ㄷ’자 형강에 의해 조성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 쌍의 구동롤러군과;A plurality of pairs of drive roller groups dispos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a pair of inner and outer pairs of 'ㄷ' shaped steels facing each other; 각각의 군을 이루는 네 개의 상기 구동롤러들이 그 하측 전후좌우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동부재;At least one movable member having four driving rollers constituting each group mounted on the lower front, rear, left and right; 상기 가동부재 각각의 중앙의 위치 그리고, 구동롤러 상부 전후의 위치에 장착되는 드러스트롤러;A drum controller mounted at the center of each of the movable members and at positions before and after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roller; 상기 가동부재의 상부 전후 위치로 힌지 장착되는 제3 회동부재,A third rotating member hinged to an upper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movable member, 이웃하는 제3 회동부재와 연결되는 프릭션바아,Friction bar connected to the neighboring third rotating member, 가동부재 중앙 상부에 고정 형성되는 보스부재,Boss member is fixed to the upper center of the movable member, 상기 보스부재에 그 힌지핀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대차프레임 및,A bogie frame having a hinge pin rotatably coupled to the boss member; 자동차 바디프레임의 하부 해당 부위를 안착 상태로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대차프레임의 상부 전후좌우의 모서리 부위에 고정 형성되는 클리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도장 라인의 자동이송시스템.And a clipper fixedly formed at corners of the top,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gie frame so as to restrain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vehicle body frame to a seating st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토퍼유닛은The stopper unit is 스토퍼를 레일에 결합함과 더불어 다수의 캠홈을 구비하는 캠브라켓과;A cam bracket for coupling the stopper to the rail and having a plurality of cam grooves; 상기 캠브라켓의 캠홈을 관통하는 캠을 구비하는 스토퍼 및;A stopper having a cam penetrating the cam groove of the cam bracket; 상기 스토퍼 전체가 전후 방향으로 당겨지거나 밀려나게 하여 스토퍼 전방 단부를 승강시키는 제3 에어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도장 라인의 자동이송시스템.And a third air cylinder configured to elevate the stopper front end by causing the entire stopper to be pulled or push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위치검출수단은 상기 순환레일 및 분기레일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의 가동부재의 하부에 설치된 걸림부재에 의해 그 작동간이 움직여 캐리어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값을 제어장치부로 입력시키는 리미트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도장 라인의 자동이송시스템.The position detecting means is provided below the circulation rail and the branch rail, and is moved between the operation by a locking member provided under the movable member of the carrier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carrier and input the detected value to the control unit. An automatic transfer system for an automobile assembly / painting line, which is a limit switch.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장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서버본체, 서버입력장치, 서버출력장치, 경고표시장치, 다수 포토센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도장 라인의 자동이송시스템.A server body, a server input device, a server output device, a warning display device, and a plurality of photosensor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omatic assembly system of the automobile assembly / painting line. 삭제delete
KR1020050033151A 2005-04-21 2005-04-21 automatic conveyor system of line to the assemble an vehicle and controll method thereof KR1007589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151A KR100758923B1 (en) 2005-04-21 2005-04-21 automatic conveyor system of line to the assemble an vehicle and control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151A KR100758923B1 (en) 2005-04-21 2005-04-21 automatic conveyor system of line to the assemble an vehicle and control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670A KR20060110670A (en) 2006-10-25
KR100758923B1 true KR100758923B1 (en) 2007-09-14

Family

ID=37616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151A KR100758923B1 (en) 2005-04-21 2005-04-21 automatic conveyor system of line to the assemble an vehicle and control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892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5147A2 (en) * 2009-08-27 2011-03-03 주식회사 우신시스템 Cart moving system in production line for various car models
KR101510389B1 (en) 2014-05-02 2015-04-10 (주) 아인스오토메이션 Assembly of locking pin for pall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113B1 (en) * 2015-01-14 2015-03-05 (주) 대산엠테크 Pickup device for engine valve transfer with a pickup point accurate
KR102083807B1 (en) * 2018-05-28 2020-03-03 주식회사화신 Assembling device for vehicle parts
CN109081062A (en) * 2018-07-17 2018-12-25 湖北猛程智能装备有限公司 The air-ground frictional conveying system of novel automatic
CN109752617B (en) * 2019-03-01 2024-03-26 山东红宝自动化有限公司 Electrical safety test follow-up device for split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7665A (en) * 1998-12-21 2000-06-27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Bogie confluent device
JP2002200978A (en) * 2000-12-28 2002-07-16 Honda Motor Co Ltd Conveyor device
KR100428816B1 (en) * 1998-07-03 2004-07-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Adaplive unil for Unioading & transfer of whe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816B1 (en) * 1998-07-03 2004-07-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Adaplive unil for Unioading & transfer of wheel
JP2000177665A (en) * 1998-12-21 2000-06-27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Bogie confluent device
JP2002200978A (en) * 2000-12-28 2002-07-16 Honda Motor Co Ltd Conveyor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5147A2 (en) * 2009-08-27 2011-03-03 주식회사 우신시스템 Cart moving system in production line for various car models
WO2011025147A3 (en) * 2009-08-27 2011-04-21 주식회사 우신시스템 Cart moving system in production line for various car models
KR101510389B1 (en) 2014-05-02 2015-04-10 (주) 아인스오토메이션 Assembly of locking pin for pall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670A (en) 2006-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923B1 (en) automatic conveyor system of line to the assemble an vehicle and controll method thereof
US7510109B2 (en) Vehicle framing system for plurality of vehicle body styles
KR100964493B1 (en) Accumulation transfer equipment
US6626282B1 (en) Transfer system
US6957736B2 (en) Conveyor for transporting load carriers
US6814222B2 (en) Narrow belt non-pneumatically actuated accumulation conveyor
US6364093B1 (en) Walking beam conveyor and method
KR20170025192A (en) Circula tower type parking equipment
JPH11189183A (en) Door assembly line for automobile
RU2441747C2 (en) Device for production and/or treatment of panels
EP0864023A1 (en) Double-pallet parking garage
US20030150697A1 (en) Conveying device for conveying articles and use of such a conveying device
US6827200B1 (en) Multi-speed variable spacing conveyor system
JP3440766B2 (en) Transfer equipment using endless drive
CN214062507U (en) Chain type conveying system for intelligent stereo garage
JPH0545487B2 (en)
CN115138577B (en) Intelligent linear narrow-band sorting machine
CN214144936U (en) Chain type conveying system for intelligent plane garage
JPH02145244A (en) Free transfer machine including self-propelled carriage
CN112252789A (en) Chain conveyor for intelligent garage
JPH07238708A (en) Mechanical type parking device
JPH0752144Y2 (en) Guide roller unit for rail traveling crane
JPH11208846A (en) Converter and multistory parking garage using conveyer
CN112360214A (en) Chain type conveying system for intelligent plane garage
JPH08135239A (en) Circular circulating parking apparatus equipped with self-propelled tru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