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8783B1 -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783B1
KR100758783B1 KR1020060001545A KR20060001545A KR100758783B1 KR 100758783 B1 KR100758783 B1 KR 100758783B1 KR 1020060001545 A KR1020060001545 A KR 1020060001545A KR 20060001545 A KR20060001545 A KR 20060001545A KR 100758783 B1 KR100758783 B1 KR 100758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cal
lingual
dental prosthesis
tooth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1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3990A (ko
Inventor
권오달
Original Assignee
권오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달 filed Critical 권오달
Priority to KR1020060001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8783B1/ko
Priority to CNA2006800355394A priority patent/CN101272746A/zh
Priority to US11/996,667 priority patent/US20080193901A1/en
Priority to JP2008523780A priority patent/JP2009514560A/ja
Priority to PCT/KR2006/000543 priority patent/WO2007013722A1/en
Publication of KR20070013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3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783B1/ko
Priority to JP2010206111A priority patent/JP2011015985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협측 설측면의 삭제 없이 치아의 보철 수복을 위한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협측피개부, 설측피개부로만 구성된 일체형과 협측피개부와 설측피개부가 맞물림형태 및 맞닿는 형태로 구성된 분리형 피개부로 나눠어진다. 이를 제조하기위하여 본 모델을 다시 복제하여 복제된 모델상에서 왁싱업을 한채로 스푸루를 달아서 매몰, 소환, 캐스팅을 수행하여 정밀한 보철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철, 왁스, 치아, 치과

Description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 방법 {Dental Prosthesi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치과용 보철물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피개부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피개부위의 맞물림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의 치과용 보철물이 적용될 경우 삭제 부위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치과용 보철물의 장착을 위한 삭제 부위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종래의 치과용 보철물과 본 발명의 치과용 보철물의 장착을 위한 삭제 부위를 비교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설측피개부위의 협측 최대풍융부까지 피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설측피개부위의 협측 풍융부의 직하방까지 피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설측패개부위의 협측 마진까지 피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설,협측피개부위의 설,협측 마진까지 피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설,협측피개부위의 홈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훼손된 치아의 기능을 회복시켜주기 위한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신경 치료시 교합면의 삭제를 한 경우에 인접치아의 접촉면에 맞닿는 부위 까지만 삭제하고 협측과 설측의 삭제 없이 수복이 가능하며, 대합치와 닿지않는 교합면의 수복 및 치아의 파절 경우에도 별다른 삭제 없이 수복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철물로 이를 제조하기 위하여 본 모델을 다시 복제하여 복제된 모델상에서 왁싱업(waxing up)을 한채로 스푸루(sprue)를 달아서 매몰 소환(burn out) 캐스팅(casting)하여 보철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일반적으로 신경치료 시 교합면을 삭제한 경우나 치아파절 및 기능회복을 위하여 치아의 접촉면은물론이고 협,설측까지 걸리는 부분이 없도록 치아삭제를 하여 본 모델상에서 복제 모델이 없이 보철을 수복하였다.
종래의 방법의 경우에는 치질 삭제량이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부적절한 삭제로 인하여 보철수복 후 시멘이 녹아내려 치아우식증이 흔히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금속의 탄성을 이용하여 약간의 걸리는 부분이 있더라도 치아에 장착이 가 능하므로 협,설측의 치질삭제가 없어 상대적으로 치질삭제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본 발명은 치아가 훼손된 상태에서 별다른 치질 손상이 없이 치아를 회복하여 주기 위하여 안출 해낸 것으로 그 기술적 과제는 협설측부위를 삭제 하지않고 어떻게 보철물을 고정하여 유지력을 유지해낼 수 있는 것인가 하는 것과 약해진 치질을 어떻게 보호하여 줄 것인가 하는 문제의 해결에 있다.
아래에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보철물인 피스크라운(piece crown)은 신경치료 시 교합면 삭제를 한 경우, 인접치(8)와 접촉하는 면만 삭제하고 협,설측은 아무런 삭제 없이 수복이 가능하며(도 5), 대합치와 닿지 않는 교합면의 수복과 치아의 파절 경우도 별다른 치아의 삭제 없이 수복시켜주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분리형의 경우(도 2) 협측피개부(1)와 설측피개부(2)로 구성되는 데 협측피개부(1)와 설측피개부(2)를 맞물림형태(도3) 및 맞닿는 형태로 수복하기도 한다. 이때 맞물림 부위 및 협설측피개부(1)가 맞닿는 부위는 일정각(도 3)을 부여 함으로써 저작시 금속의 연성을 이용하여 더 긴밀한 밀착도를 얻어 시멘이 녹아내리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때 맞물림 부위는 사면형태 또는 V자형 요입형태 등으로 가능하였다.
협설측피개부(1)는 아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치아의 협,설측 원형 그대로 제작됨으로써 설측부위 및 협측부위의 걸리는 부분(under cut)으로 인하여 유지력이 증가 되었다.
일체형의 경우는 협,설측에 삭제가 없이 설측피개부(도 7,8,9,10,11)만으로 설측면 및 교합면과 협측면 최대 풍융부까지 피개하거나(도 7) 최대 풍융부위에 홈(4)을 형성하여 금속의 탄성을 증가시켜 최대 풍융부하방까지(도 8) 또는 나아가서 마진까지 피개가 가능하다(도 9).
그리고 협측피개부(도 7,8,9,10,11) 만으로 협측면 및 교합면과 설측면 최대풍융부까지 피개하거나(도 8) 풍융부위에 홈(4)을 형성하여 금속이 탄성을 증가시켜 최대 풍융부하방까지 또는 나아가서 마진(도 9)까지 피개가 가능하다.
협설측피개부는 본 모델에서 복제모델을 취득한 후 복제모델상에서 왁싱업(waxing up)한 것을 떼어내지 않고 스프루(sprue)를 달아서 매몰한 후 소환(burn out)하여 캐스팅(casting)과 팔리싱(polishing) 후 금속의 탄성을 이용하여 본 모델에 시접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협설측면 삭제(도 5)가 없이 훼손된 부위 수복이 가능하였다.
치아의 가장 단단한 부위인 법랑질이 훼손된 부위 이외에는 훼손이 따르지 않고 수복이 가능하다.
치아 삭제시 발생 될 수 있는 연조직 손상이 없고 마취가 불필요하며 환자 진료 시간이 현저히 단축되며 부적절한 치아 삭제로 인한 시멘이 녹아 내리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Claims (6)

  1. 치아의 협측면 원형 그대로 제작된 협측피개부(1)와, 치아의 설측면 원형 그대로 제작된 설측피개부(2)를 맞물림 및 맞닿은 형태(A, B)로 삭제된 치아에 피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보철물.
  2. 설측피개부로 설측면과 인접치(8)의 접촉면 및 교합면과 협측면의 최대 풍융부 부위까지 완전 피개하거나, 협측면 부위에 홈(4)의 형태를 취하여 풍융부 직하방(12)까지 또는 협측 마진(margin)까지 연장하여 피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보철물.
  3. 협측피개부로 협측면과 인접치(8) 접촉면 및 교합면과 설측면의 최대 풍융부 부위까지 완전 피개 하거나, 설측면 부위에 홈의 형태를 취하여 풍융부 직하방까지 또는 설측 마진(margin)까지 연장 피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보철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협설측피개부(1, 2)가 맞물림 부위에 예각(31, 32, 33)을 부여 함으로써 저작시 금속의 연성을 이용하여 더 긴밀한 밀착도를 얻어 시멘이 녹아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보철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및 맞닿는 부위(A, B)는 사면형태(32) 또는 V(31), U자형(33) 요입형태(31, 32, 33)중에서 택일 된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보철물.
  6. 삭제
KR1020060001545A 2005-07-26 2006-01-06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758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545A KR100758783B1 (ko) 2005-07-26 2006-01-06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 방법
CNA2006800355394A CN101272746A (zh) 2005-07-26 2006-02-17 假牙及其制造方法
US11/996,667 US20080193901A1 (en) 2005-07-26 2006-02-17 Dental Prosthesi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8523780A JP2009514560A (ja) 2005-07-26 2006-02-17 歯科用補綴物及びその製造方法
PCT/KR2006/000543 WO2007013722A1 (en) 2005-07-26 2006-02-17 Dental prosthesi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10206111A JP2011015985A (ja) 2005-07-26 2010-09-14 歯科用補綴物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67676 2005-07-26
KR1020050067676 2005-07-26
KR1020060001545A KR100758783B1 (ko) 2005-07-26 2006-01-06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990A KR20070013990A (ko) 2007-01-31
KR100758783B1 true KR100758783B1 (ko) 2007-09-14

Family

ID=38013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545A KR100758783B1 (ko) 2005-07-26 2006-01-06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87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7319A (ko) * 2008-03-07 2008-03-26 권오달 치과용 보철물 및 그 보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4922U (ko) 1980-11-13 1982-05-26
JPS58101621U (ja) 1981-12-28 1983-07-11 松風陶歯製造株式会社 歯科補綴用連結人口臼歯
JPS61265139A (ja) 1985-05-21 1986-11-22 七熊 勇 義歯用弾性人工歯
JPS63111860A (ja) 1986-10-31 1988-05-17 株式会社ジーシーデンタルプロダクツ 人工歯
JP2004148007A (ja) * 2002-10-31 2004-05-27 Shiken:Kk 架工義歯の橋体部に使用される人工歯と架工義歯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4922U (ko) 1980-11-13 1982-05-26
JPS58101621U (ja) 1981-12-28 1983-07-11 松風陶歯製造株式会社 歯科補綴用連結人口臼歯
JPS61265139A (ja) 1985-05-21 1986-11-22 七熊 勇 義歯用弾性人工歯
JPS63111860A (ja) 1986-10-31 1988-05-17 株式会社ジーシーデンタルプロダクツ 人工歯
JP2004148007A (ja) * 2002-10-31 2004-05-27 Shiken:Kk 架工義歯の橋体部に使用される人工歯と架工義歯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990A (ko) 200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5983B1 (ko) 치과용 보철물 제조방법
JP5177756B2 (ja) 歯科用補綴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23782B1 (ko) 치과용 보철물 및 그 보조장치
KR100407796B1 (ko) 핀유지 인레이 브리지로 되는 의치용 보철물
JP2009514560A (ja) 歯科用補綴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7934928B2 (en) Implanter
JP2014516754A (ja) 無切削ブリッジ歯科補綴物
US20110086326A1 (en) Dental prosthetic device and accessory thereof
KR100758781B1 (ko)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16247B1 (ko) 치과용 보철물
KR100758783B1 (ko)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 방법
JP5258366B2 (ja) 部分義歯の装着構造
KR100698931B1 (ko) 치과용 보철물
KR100950627B1 (ko) 즉시 계속 가공의치
JP5457657B2 (ja) 部分義歯
KR200183838Y1 (ko) 부분 틀니의 고정 구조
KR101196821B1 (ko) 치과용 보철물
KR100719215B1 (ko)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60707B1 (ko) 치아 보철물을 위한 연결 고정체/연결 고정체 고정방법 및 연결 고정체의 보조물
JP2011015985A (ja) 歯科用補綴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3626752B1 (ja) 人工歯複合体の製造方法
KR101682422B1 (ko) 탈착식 치아 보호구
KR200242258Y1 (ko) 핀유지 인레이 브리지로 되는 의치용 보철물
KR20230168190A (ko) 부분 틀니 고정구조
KR200395917Y1 (ko) 치과용 보철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