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8579B1 - 축 대칭형 다단샤프트를 장착한 거터타입 롤링 임팩트크러셔 - Google Patents

축 대칭형 다단샤프트를 장착한 거터타입 롤링 임팩트크러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579B1
KR100758579B1 KR1020060101469A KR20060101469A KR100758579B1 KR 100758579 B1 KR100758579 B1 KR 100758579B1 KR 1020060101469 A KR1020060101469 A KR 1020060101469A KR 20060101469 A KR20060101469 A KR 20060101469A KR 100758579 B1 KR100758579 B1 KR 100758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er
gutter
shaft
type rolling
rolling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1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호에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호에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호에코텍
Priority to KR1020060101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85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30Shape or construction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02C4/08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with co-operating corrugated or toothed crushing-rollers

Abstract

본 발명은 축 대칭형 다단샤프트를 장착한 거터타입 롤링임팩트 크러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파쇄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축대칭 원형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축 대칭형 다단샤프트를 장착한 거터타입 롤링 임팩트 크러셔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 내부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각각 축설된 한쌍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 외주면에 중앙 영역이 각각 고정된 수평고정축; 및 상기 수평고정축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고, 적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각각 축설된 한쌍의 크러셔 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외주면에 치면와 치홈이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된 일체형의 크러셔 날과 외측치면와 파쇄치홈이 형성된 분리형의 크러셔 날을 수평고정축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게 됨에 따라 접촉 면적이 넓어 파쇄효율이 높아짐과 동시에 파쇄시 소음이 줄어들게 하며, 피 파쇄물의 튕김 현상을 방지하며, 롤의 편 마모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고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파쇄기, 롤크러셔, 거터롤크러셔, 임팩트크러셔, 축대칭롤크러셔

Description

축 대칭형 다단샤프트를 장착한 거터타입 롤링 임팩트 크러셔{AXIAL SYMMETRY MULTI SHAFT ROLLING IMPACT CRUSH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 대칭형 다단샤프트를 장착한 거터타입 롤링 임팩트 크러셔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 대칭형 다단샤프트를 장착한 커터타입 롤링 임팩트 크러셔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 대칭형 다단샤프트를 장착한 커터타입 롤링 임팩트 크러셔의 동작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쇄기 3 : 공급호프
5 : 고무펜스 20 : 회전축
30 : 수평고정축 40 : 크러셔 날
42 : 치면 43 : 치홈
44 : 파쇄부 46 : 조립부
50 : 버킷 62 : 내측요홈
64 : 외측치면 65 : 파쇄치홈
70,71,72,73,74,75 : 제1,2,3,4,5,6파쇄부 10,90 : 롤 크러셔
80 : 파쇄돌기
본 발명은 축 대칭형 다단샤프트를 장착한 커터타입 롤링 임팩트 크러셔 롤(이하에서는 "거터롤크러셔" 라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주면으로 치면와 치홈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된 크러셔 날을 수평고정축의 외주면에 키로써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게 됨에 따라 접촉면적 및 가압면적이 넓어 파쇄효율이 높아지고, 피 파쇄물의 튕김 현상을 방지하며, 파쇄소음이 줄어들게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 크러셔(Roll Crusher)는 2개의 회전하는 롤 사이에 원료를 공급시켜 이를 적정 크기로 파쇄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러한 롤 크러셔는 건설폐기물인 폐 콘크리트, 폐 아스콘 골재 및 원석을 이용하여 골재화 산업등에 사용되어 피 파쇄물을 잘게 부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롤 크러셔는 통상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이 원통형 상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이 사이를 피 파쇄물을 통과시켜 잘게 부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롤 크러셔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접촉면적이 좁아져 피 파쇄물에 대한 파쇄효율이 낮아지게 되고, 장치 내의 골재체류 및 잔류시간이 길어져 생산성 저하에 따른 원가가 상승하게 되었으며, 파쇄 시 소음이 많이 발생되며, 피 파쇄물의 미끄러짐 및 반발상승작용에 의해 피 파쇄물이 쉽게 파쇄 되지 않게 되, 투입재료와 접촉면과의 미끄러짐 현상 및 그로인해 발생되는 작용응력 집중현상으로 인해 롤 소모품의 교환주기가 짧아 생산대비 원가상승으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되고, 원형 롤 크러셔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어 투입되는 피 파쇄물에 따라 사이즈를 변경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2개의 스틸로 만들어진 원통의 롤을 각각 수평축에 고정되어 있으며, 골재의 크기에 따라 롤 사이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롤은 나란히 설치되어있으나 회전은 각각 반대방향으로 하여 그 사이에 피 파쇄물을 물리게 하는 것으로, 피 파쇄물은 롤 사이를 통과하면서 잘게 파쇄되고, 전단응력과 압축력으로써 피 파쇄물을 파쇄하고 모르타르의 박리현상으로 고품질 골재 생산에 적당하도록 구성한 축 대칭형 다단샤프트를 장착한 커터타입 롤링 임팩트 크러셔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파쇄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축대칭 원형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축 대칭형 다단샤프트를 장착한 거터타입 롤링 임팩트 크러셔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 내부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각각 축설된 한쌍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 외주면에 중앙 영역이 각각 고정된 수평고정축; 및 상기 수평고정축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고, 적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각각 축설된 한쌍의 크러셔 날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터롤크러셔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터롤크러셔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터롤크러셔의 동작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터롤크러셔(10)는 파쇄기(1) 내부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각각 축설된 한쌍의 회전축(20)과; 회전축(20) 외주면에 중앙 영역이 키(22)로써 각각 고정된 한쌍의 수평고정축(30)과; 수평고정축(30) 외주면에 키(32)로써 착탈 가능하게 적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각각 축설된 한쌍의 크러셔 날(40)로 이루어져 폐 콘크리트, 폐아스콘 골재, 폐 골재 및 원석 등의 피 파쇄물을 적정 크기로 파쇄시키게 된다.
상기 수평고정축(30)은 정중앙 영역에 회전축(20)이 끼워지는 수평끼움 공(34)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크러셔 날(40)은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된 다수의 치면(42)과, 치면(42) 사이에 형성된 치홈(43)으로 이루어진 파쇄부(44)와; 파쇄부(44)의 정중앙 영역에 관통 형성되어 수평고정축(30)이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조립부(46)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한 한쌍의 크러셔 날(40)을 구성하는 파쇄부(44)의 치면(42)과 치홈(43)이 적정 간격을 두고 조립되어 피 파쇄물을 적정 크기로 파쇄시키게 되고, 파쇄부(44)의 치홈(43)과 치면(42) 사이에는 피 파쇄물이 위치되어 크러셔 날(40)의 회전시 외부로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위적인 버킷(50)이 형성된다. 이러한 크러셔 날(40) 사이의 간격은 피 파쇄물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러셔 날(40)은 수평고정축(30)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키(60)로써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상기한 크러셔 날(40)은 수평고정축(30)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키(60)로써 고정되는 내측요홈(62)과; 내측요홈(62)의 외측으로 만곡지게 돌출 형성된 외측치면(64)으로 이루어진 제1,2,3,4,5,6파쇄부(70)(71)(72)(73)(74)(75)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2,3,4,5,6파쇄부(70)(71)(72)(73)(74)(75) 고정시 파쇄부의 외측치면(64) 사이에는 자연스럽게 파쇄치홈(65)이 형성되어 상기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파쇄부(44)의 치홈(43)과 동일한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외측치면(64) 사이에 자연스럽게 파쇄치홈(65)이 형성되어 이 사이에 피 파쇄물이 크러셔 날(40)의 회전시 외부로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인위적인 버킷(50)이 형성된다.
한편, 크러셔 날(40)을 구성하는 파쇄부의 개수는 상기한 바와 같은 6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항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롤 크러셔는 도 1 및 도 5에서 도시된 일체형의 크러셔 날과 분리형의 크러셔 날에 공히 적용되는 것이다.
즉, 크러셔 날(40)을 구성하는 파쇄부(44)의 치면(42) 및 치홈(43)의 외주면과 제1,2,3,4,5,6파쇄부(70)(71)(72)(73)(74)(75)의 외측치면(64)과 파쇄치홈(65) 상에 불규칙하게 파쇄돌기(80)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한쌍의 거터롤크러셔(10) 사이를 통과하는 피 파쇄물을 잘게 파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내용은 거터롤크러셔(10)가 복층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이 분쇄기(1) 내부에 한쌍의 거터롤크러셔(10)가 축설된 상태에서 거터롤크러셔(10) 상부 또는 하부에 거터롤크러셔(10)와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다른 거터롤크러셔(90)을 축설하여 이 사이로 피 파쇄물을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잘게 파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거터롤크러셔(10)(90)의 크러셔 날(40)은 일체형 또는 분리형을 사용할 수도 있고, 일체형과 분리형을 함께 사용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파쇄기(1)에는 피 파쇄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호퍼(3)가 구비되고, 이 공급호퍼(3) 하부에는 고무펜스(5)가 구비되어 상기 거터롤크러 셔(10)(90)의 파쇄방향이 아닌 역방향으로 피 파쇄물이 오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거터롤크러셔(10)(90)의 한 방향 회전시 크러셔 날(40)이 피 파쇄물에 의한 마모가 증감됨에 따라 교환주기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도록 크러셔 날(40) 고정시 0도로 조립했을 경우, 정반대로 180도로 회전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서와 같이 폐 콘크리트, 폐 골재 및 원석 등으로 이루어진 피 파쇄물을 파쇄기(1)의 공급호퍼(3)을 통하여 공급하게 된다. 그러면, 파쇄기(1) 내부에 회전축(20)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한쌍의 거터롤크러셔(10) 영역으로 피 파쇄물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파쇄기(1) 내부로 피 파쇄물이 공급되어 거터롤크러셔(10)를 구성하는 크러셔 날(40)의 치면(42)과 치홈(43) 사이에 형성되는 버킷(50)에 위치되면, 거터롤크러셔(10)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한쌍의 거터롤크러셔(10)가 회전축(20)을 중심으로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피 파쇄물이 한쌍의 크러셔 날(40)을 구성하는 파쇄부(44)의 치면(42)과 치홈(43) 사이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전당응력과 압축력으로써 적정 크기로 파쇄하고 모르타르를 박리하면서 고품질의 순환골재를 생산한다.
이때, 파쇄부(44)의 치홈(43)과 치면(42) 사이에 형성된 버킷(50)에 의해 피 파쇄물이 외부로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크러셔 날(40)의 간격은 피 파쇄물의 크기에 따라 한쌍의 거터롤크러셔(10)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크러셔 날(40)을 다수개로 구성하여 수평고정축(30)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키(60)로써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즉, 크러셔 날(40)을 구성하는 제1,2,3,4,5,6파쇄부의 내측요홈(62)을 수평고정축(30) 외주면에 순차적으로 밀착시킨 다음, 이를 키(60)로써 수평고정축(30) 외주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1,2,3,4,5,6파쇄부(70)(71)(72)(73)(74)(75)의 외측치면(64) 사이에는 자연스럽게 파쇄치홈(6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제1,2,3,4,5,6파쇄부(70)(71)(72)(73)(74)(75)의 외측치면(64)과 파쇄치홈(65) 사이를 피 파쇄물이 통과하게 되면서 도 1 내지 도 3의 크러셔 날과 동일하게 파쇄가 이루어진다. 이때, 크러셔 날(40)을 구성하는 파쇄부의 개수는 상기한 바와 같은 6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내용은 도 1 및 도 5에서 도시된 일체형의 크러셔 날과 분리형의 크러셔 날에 적용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즉, 크러셔 날(40)을 구성하는 파쇄부(44)의 치홈(43)과 치면(42)의 외주면과 제1,2,3,4,5,6파쇄부(70)(71)(72)(73)(74)(75)의 외측치면(64)와 파쇄치홈(65) 외주면 상에는 규칙적 또는 불규칙하게 파쇄돌기(80)를 형성하여 피 파쇄물을 잘게 파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내용은 거터롤크러셔(10)가 복층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이 분쇄기(1) 내부에 한쌍의 거터롤크러셔(10)가 축설된 상태에서 거터롤크러셔(10) 상부 또는 하부에 거터롤크러셔(10)와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다른 거터롤크러셔(90)를 축설하여 이 사이로 피 파쇄물을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잘게 파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축 대칭형 다단샤프트를 장착한 거터롤크러셔(10)(90)의 크러셔 날(40)은 일체형 또는 분리형을 사용할 수도 있고, 일체형과 분리형을 함께 사용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한편, 거터롤크러셔(10)(90)의 한 방향 회전시 크러셔 날(40)이 피 파쇄물에 의한 마모가 증가됨에 따라 교환주기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도록 크러셔 날(40) 고정시 0도로 조립했을 경우, 정반대로 180도로 회전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거터롤크러셔(10)(90)의 크러셔 날(40)을 최초 조립시를 기준으로 반대 방향으로 교환하여 각각 조립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외주면으로 치면와 치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일체형의 크러셔 날과; 외측치면과 파쇄치홈이 형성된 분리형의 크러셔 날을 수평고정축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게 됨에 따라 접촉 면적이 넓어 파쇄효율이 높아지고, 피 파쇄물의 튕김 현상을 방지하며, 파쇄소음이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 으나, 본 발명을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범위에서는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10)

  1. 파쇄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축대칭 원형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축 대칭형 다단샤프트를 장착한 거터타입 롤링 임팩트 크러셔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1) 내부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각각 축설된 한쌍의 회전축(20);
    상기 회전축(20) 외주면에 중앙 영역이 각각 고정된 수평고정축(30); 및
    상기 수평고정축(30)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고, 적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각각 축설된 한쌍의 크러셔 날(40);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대칭형 다단샤프트를 장착한 거터타입 롤링 임팩트 크러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러셔 날(40)은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된 다수의 치면(42)과, 상기 치면(42) 사이에 형성된 치홈(43)으로 이루어진 파쇄부(44); 및
    상기 파쇄부(44)의 정중앙 영역에 관통 형성되어 수평고정축(30)이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조립부(46);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대칭형 다단샤프트를 장착한 거터타입 롤링 임팩트 크러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러셔 날(40)의 치면(42)과 치홈(43) 사이에 버킷(50)이 형성되도록 크러셔 날(40)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대칭형 다단샤프트를 장착한 거터타입 롤링 임팩트 크러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러셔 날(40)은
    상기 수평고정축(30)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내측요홈(62); 및
    상기 내측요홈(62)의 외측으로 만곡지게 돌출 형성된 외측치면(64)과; 상기 외측치면(64) 사이에 파쇄치홈(65)이 형성되도록 조립되는 제1,2,3,4,5,6파쇄부(70)(71)(72)(73)(74)(75);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대칭형 다단샤프트를 장착한 거터타입 롤링 임팩트 크러셔.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44)의 치면(42), 치홈(43) 및 상기 외측치면(64)과 상기 파쇄치홈(65) 상에 파쇄돌기(8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대칭형 다단샤프트를 장착한 거터타입 롤링 임팩트 크러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터롤크러셔(10) 상부 또는 하부의 분쇄기(1) 내부에 상기 크러셔 날(40)과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한쌍의 거터롤크러셔(90)를 축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대칭형 다단샤프트를 장착한 거터타입 롤링 임팩트 크러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터롤크러셔(10)(90)의 크러셔 날(40)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대칭형 다단샤프트를 장착한 거터타입 롤링 임팩트 크러셔.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크러셔 날(40)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병행하여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대칭형 다단샤프트를 장착한 거터타입 롤링 임팩트 크러셔.
  9.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1)의 공급호퍼(3) 하부에는 상기 거터롤크러셔(10)(90)의 역방향으로 피 파쇄물이 오버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펜스(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대칭형 다단샤프트를 장착한 거터타입 롤링 임팩트 크러셔.
  10.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터롤크러셔(10)(90)의 크러셔 날(40)은 피 파쇄물에 의한 마모시 최초 조립시를 기준으로 각각 반대로 교환하여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대칭형 다단샤프트를 장착한 거터타입 롤링 임팩트 크러셔.
KR1020060101469A 2006-10-18 2006-10-18 축 대칭형 다단샤프트를 장착한 거터타입 롤링 임팩트크러셔 KR100758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469A KR100758579B1 (ko) 2006-10-18 2006-10-18 축 대칭형 다단샤프트를 장착한 거터타입 롤링 임팩트크러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469A KR100758579B1 (ko) 2006-10-18 2006-10-18 축 대칭형 다단샤프트를 장착한 거터타입 롤링 임팩트크러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8579B1 true KR100758579B1 (ko) 2007-09-13

Family

ID=38737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1469A KR100758579B1 (ko) 2006-10-18 2006-10-18 축 대칭형 다단샤프트를 장착한 거터타입 롤링 임팩트크러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85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0190A (zh) * 2017-12-25 2018-06-15 郑州默尔电子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挤压粉碎型煤矿加工筛选设备
CN108405145A (zh) * 2018-01-18 2018-08-17 合肥净龙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防堵塞的环保垃圾破碎装置
CN108405053A (zh) * 2018-01-18 2018-08-17 合肥净龙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食品业垃圾的预处理破碎装置
KR101912943B1 (ko) * 2018-01-10 2018-10-31 농업회사법인 청주농산 도정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1935A (en) 1974-06-24 1976-01-13 Holman Merle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utting vehicle tires
JPH08155322A (ja) * 1994-12-07 1996-06-18 Nishimura Sangyo Kk 破砕装置
KR980008321A (ko) * 1996-07-30 1998-04-30 김희용 채소류의 부산물 파쇄장치
JPH10309483A (ja) 1997-03-12 1998-11-24 Nakayama Tekkosho:Kk 多軸ロールクラッシャ
JPH10323573A (ja) 1997-05-28 1998-12-08 Maruyama Sangyo:Kk 2軸タイプのロール軸型破砕機
JP2002011371A (ja) 2000-06-30 2002-01-15 Kayaba Ind Co Ltd 破砕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1935A (en) 1974-06-24 1976-01-13 Holman Merle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utting vehicle tires
JPH08155322A (ja) * 1994-12-07 1996-06-18 Nishimura Sangyo Kk 破砕装置
KR980008321A (ko) * 1996-07-30 1998-04-30 김희용 채소류의 부산물 파쇄장치
JPH10309483A (ja) 1997-03-12 1998-11-24 Nakayama Tekkosho:Kk 多軸ロールクラッシャ
JPH10323573A (ja) 1997-05-28 1998-12-08 Maruyama Sangyo:Kk 2軸タイプのロール軸型破砕機
JP2002011371A (ja) 2000-06-30 2002-01-15 Kayaba Ind Co Ltd 破砕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0190A (zh) * 2017-12-25 2018-06-15 郑州默尔电子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挤压粉碎型煤矿加工筛选设备
KR101912943B1 (ko) * 2018-01-10 2018-10-31 농업회사법인 청주농산 도정기
CN108405145A (zh) * 2018-01-18 2018-08-17 合肥净龙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防堵塞的环保垃圾破碎装置
CN108405053A (zh) * 2018-01-18 2018-08-17 合肥净龙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食品业垃圾的预处理破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47401B2 (en) Dual-roller crusher
KR100758579B1 (ko) 축 대칭형 다단샤프트를 장착한 거터타입 롤링 임팩트크러셔
US20140291428A1 (en) Insert arrangement for a roller wear surface
KR100584918B1 (ko) 플라스틱 폐기물용 파쇄기
JP2010540238A (ja) ローラミル、及びそれを用いた原料の粉砕方法。
JP2007307520A (ja) 複合二軸破砕機
KR100883702B1 (ko) 폐비닐 분쇄기
KR101955505B1 (ko) 모래 제조 겸용 골재 파쇄기
KR100686324B1 (ko) 4축 파쇄장치
KR100897708B1 (ko) 회전 분쇄기
JP2006255588A (ja) 粗大物破砕装置
US3151645A (en) Breaker and shredding cylinder for ear corn
CN201558729U (zh) 双层粉碎机
KR20080000030U (ko) 파쇄기
KR200175454Y1 (ko) 파쇄기의 칼날 구조
KR200390479Y1 (ko) 콘크러셔용 분쇄실 구조
JP2012035157A (ja) 粉砕ローラ
KR20050086283A (ko) 파쇄기
KR200351358Y1 (ko) 파쇄력이 향상된 삼축 파쇄기
KR200416160Y1 (ko) 임팩트 크러셔
JP3220525U (ja) 二軸破砕機及び刃部
RU2288036C1 (ru) Валковая дробилка
JP2005211736A (ja) 生ゴミ微細粉砕ディスポーザー
KR100718289B1 (ko) 폐기물 파쇄기의 파쇄드럼
JPH10296107A (ja) 破砕機の固定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