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8279B1 -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 - Google Patents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279B1
KR100758279B1 KR1020060040233A KR20060040233A KR100758279B1 KR 100758279 B1 KR100758279 B1 KR 100758279B1 KR 1020060040233 A KR1020060040233 A KR 1020060040233A KR 20060040233 A KR20060040233 A KR 20060040233A KR 100758279 B1 KR100758279 B1 KR 100758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pipe
cutting
tool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0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한병
Original Assignee
전한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한병 filed Critical 전한병
Priority to KR1020060040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8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B23C3/12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of pipes or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00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3B5/16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bevelling, chamfering, or deburring the ends of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4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adjustable
    • B23C5/247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adjustable the adjusting means be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60Roughing
    • B23C2220/605Roughing and fin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40/00Details of connections of tools or workpieces
    • B23C2240/24Connections using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의 단부를 마감 가공하기 위한 공구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 단부의 내측 및 외측 가장자리를 면취하는 제 1 및 제 2 절삭팁과, 일단부에 상기 제 1 및 제 2 절삭팁이 각각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더는 절삭팁이 돌출 또는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파이프의 단부면을 가공하기 위한 제 3 절삭팁과, 일단부에 상기 제 3 절삭팁이 장착되는 제 3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제 3 슬라이더는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되게 결합되는 바, 범용 파이프 챔퍼링 머신에 장착되어 파이프의 단부면 가공 및 단부의 내측과 외측 가장자리를 동시에 면취할 수 있으며, 다양한 직경과 두께를 갖는 파이프의 가공에도 적용 가능한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를 제공한다.
파이프, 단부 마감, 챔퍼링, 고정부, 보스부, 절삭팁, 슬라이더

Description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Tool for the material-removing machining of pipe end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이프의 마감 처리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가 여러 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각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에서 절삭팁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각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와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 :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 P : 파이프
100 : 절삭팁 110 : 제 1 절삭팁
120 : 제 2 절삭팁 130 : 제 3 절삭팁
200 : 슬라이더 210 : 제 1 슬라이더
220 : 제 2 슬라이더 230 : 제 3 슬라이더
300 : 몸체 310 : 고정부
320 : 보스부
본 발명은 파이프의 단부를 마감 가공하기 위한 공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직경과 두께를 갖는 파이프에 적용 가능한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의 단부, 특히 커터 등에 의해 절단된 단부의 내측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에는 절단 가공 중 발생된 깔쭉깔쭉한 형태의 칩(Chip) 또는 버(Burr)가 남게 마련이다. 절단 가공을 하였다고 해서 반드시 칩 또는 버가 발생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 절단면의 내측 및 외측 가장자리는 매우 날카롭게 되므로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예를 들어, 절단 가공된 파이프를 마감 처리 없이 그대로 사용하게 될 경우, 칩, 버 및 절단면의 날카로운 가장자리에 의해 취급자가 다치게 되거나, 관련 장비를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매우 주의를 요하게 된다. 따라서 절단 과정을 거친 파이프의 단부를 마감 처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파이프의 마감 처리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파이프 마감 처리 과정은, 절단된 파이프의 단부면을 평면으로 가공하는 제 1 단계와, 파이프 단부면의 내측 가장자리를 면취 가공하는 제 2 단계와, 파이프 단부면의 외측 가장자리를 면취 가공하는 제 3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 2 및 제 3 단계, 즉 가장자리를 면취 가공하는 단계는 통상적으로 모따기, 모떼기 및 챔퍼링 가공이라 불리기도 한다.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가공에 의해 제작된 파이프의 단부면에는 절단 가공 중 발생된 칩 또는 버가 남게 되는데, 마감 처리를 위해서는 칩과 버의 제거가 우선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때, 칩과 버의 크기가 크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단계를 통해 제거될 수 있으므로 별도로 제거되지 아니하여도 무방하다.
파이프의 단부면에 남아 있던 칩과 버가 제거되면, 도 1의 (b)에 도시된 것처럼 단부면을 평면으로 매끈하게 가공하고, 그 다음 도 1의 (c)와 (d)와 같이 단부면의 내측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를 면취 가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파이프 단부 마감 처리 과정은 여러 단계로 이루어지므로 작업 속도가 빠르지 아니하며, 그에 따라 생산성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각 단계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그에 적합한 공구 및 각 공구를 구동시키는 장비가 요구되므로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뿐만 아니라 각 단계는 수작업에 의해 진행되기 때문에 가공되는 파이프의 치수가 동일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정의 구동수단에 의해 공구를 회전시켜 파이프의 단부를 마감하는 챔퍼링 머신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파이프 챔퍼링 머신은 자동 가공이 가능하므로 작업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일한 치수의 파이프를 얻을 수 있으므로 효과적이다.
그러나 상기 챔퍼링 머신에는 종래의 공구가 그대로 적용되므로 파이프의 마 감 처리 과정은 여전히 여러 단계로 이루어지고, 각 단계마다 그에 적합한 공구를 사용하기 위하여 공구를 교체하므로 공구 교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바, 생산성을 향상시키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았다. 또한, 종래의 파이프 마감용 공구는 특정 규격의 파이프에만 적용 가능하므로 다양한 직경과 두께를 갖는 다양한 규격의 파이프에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범용 파이프 챔퍼링 머신에 장착되어 파이프의 단부면 가공 및 단부의 내측과 외측 가장자리를 동시에 면취할 수 있는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직경과 두께를 갖는 파이프에도 적용 가능한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는, 파이프 단부의 내측 및 외측 가장자리를 면취하는 제 1 및 제 2 절삭팁과, 일단부에 상기 제 1 및 제 2 절삭팁이 각각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더는 절삭팁이 돌출 또는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파이프의 단부면을 가공하기 위한 제 3 절삭팁과, 일단부에 상기 제 3 절삭팁이 장착되는 제 3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제 3 슬라이더는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되게 결 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가 여러 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각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에서 절삭팁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T)는, 복수의 절삭팁(100)과, 상기 절삭팁(100)이 각각 장착되는 복수의 슬라이더(200)와, 상기 슬라이더(20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 구성요소 중 절삭팁(100)은, 파이프 단부(도 4의 P)의 내측 가장자리를 면취하는 제 1 절삭팁(110)과, 파이프 단부(P)의 외측 가장자리를 면취하는 제 2 절삭팁(120)과, 파이프(P) 단부면을 가공하는 제 3 절삭팁(13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 절삭팁(110, 120, 130)은 통상의 절삭 가공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범용 인서트 팁이다.
인서트 팁에 대해 살펴보면, 인서트 팁은 그 측면이 상면 및 하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네거티브 인서트 팁(Negative insert tip)과, 여유각을 갖도록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포지티브 인서트 팁(Positive insert tip)으로 구분된다. 상기 네거티브 인서트 팁은 직각인 상부 및 하부 모서리를 모두 절삭날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지만 여유각이 없으므로 가공물과의 마찰로 인하여 절삭부하가 증대되는 단점이 있다. 반면, 상기 포지티브 인서트 팁은 상부 및 하부 모서리 중 예각인 하나의 모서리만 절삭날로 사용하므로 네거티브 인서트 팁에 비하여 경제적이지 못하지만, 인서트 팁 자체에 여유각이 존재하므로 가공물과의 마찰이 적어 절삭부하가 작고 칩의 배출이 원활하다. 본 발명의 경우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 및 그가 장착되는 척의 특성 상 장착과정에서 임의로 여유각을 줄 수 없으므로 포지티브 인서트 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서트 팁은 그 평면 형상에 따라 사각형, 마름모, 삼각형 및 원형 등으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 본 실시예에 예시된 인서트 팁은 모서리를 면취하거나 면을 가공하는데 적합한 정사각형의 인서트 팁이다. 하지만, 반드시 정사각형 인서트 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삼각형, 원형 또는 그 외의 다양한 형상을 갖는 인서트 팁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절삭팁(110, 120, 130)의 중심부에는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12, 122, 13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2, 122, 132)에는 각 절삭팁(110, 120, 130)을 상기 슬라이더(210, 220, 230)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나사(142, 144, 146)가 결합된다.
상기 각 구성요소 중 슬라이더(200)는 제 1, 제 2 및 제 3 절삭팁(110, 120, 130)이 각각 장착되는 제 1, 제 2 및 제 3 슬라이더(210, 220, 230)로 구성되고, 상기 각 슬라이더(210, 220, 230)는 다양한 직경과 두께를 갖는 파이프(P)의 단부를 가공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우선, 상기 제 1 슬라이더(21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3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직육면체이되 그 일 단부는 다단으로 형성 된다. 다단으로 형성된 상기 제 1 슬라이더(210)의 일 단부 선단에는 제 1 요입부(212)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제 1 슬라이더(2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장공(214)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214)에는 상기 제 1 슬라이더(210)를 고정시키는 고정나사(242)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1 슬라이더(210)의 타 단부, 즉 상기 제 1 요입부(212)가 형성된 일 단부의 반대편 단부면 및 제 1 요입부(212)의 바닥면에는 제 1 나사홈(216) 및 제 2 나사홈(218)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나사홈(216)에는 제 1 슬라이더(210)의 이동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나사(252)가 결합되고, 상기 제 2 나사홈(218)에는 제 1 절삭팁(110)을 고정하기 위한 결합나사(142)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조절나사(252)의 나사머리에는 그 둘레를 따라 복수의 걸림홈(254)이 형성되는데, 이는 조절나사(252)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요입부(212)는 파이프(P)의 내측 가장자리를 면취하는 제 1 절삭팁(110)이 장착되는 부분으로 제 1 절삭팁(110)이 완전히 삽입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되어지되 파이프(P)와 접촉되는 일 측면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요입부(212)는 그에 장착되는 제 1 절삭팁(110)의 일 측면(파이프와 접촉되는 측면) 상단 모서리(즉, 절삭날)가 파이프(P)의 단부면과 소정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공(214)과 그에 결합되는 고정나사(242)는 제 1 슬라이더(210)를 상기 몸체(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킴과 동시에 특정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조절나사(252)는 그 나사부가 상기 제 1 나사홈(216)에 내부로 삽입되고 나사머리의 단부면이 상기 결합홈에 접촉되게 결합되는 바, 나사머리에 형성된 걸림홈(254)을 이용하여 조 절나사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슬라이더를 돌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슬라이더(220)는 상기 몸체(3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직육면체이되 그 일 단부는 다단으로 형성되고, 다단의 일 단부 선단에는 제 1 요입부(222)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제 2 슬라이더(2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장공(2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슬라이더(220)의 타 단부 단부면에는 제 2 슬라이더(210)의 이동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나사(262)가 결합되는 제 1 나사홈(226)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요입부(222)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 2 절삭팁(120)을 고정하기 위한 결합나사(144)가 결합되는 제 2 나사홈(228)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2 슬라이더(220)의 측면에 형성된 장공(224)에는 고정나사(244)가 결합되어 제 2 슬라이더(220)를 상기 몸체(300)에 고정시킨다. 즉, 상기 제 2 슬라이더(220)는 상기 제 1 슬라이더(210)와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상기 제 1 슬라이더(210)의 일 단부 선단에 장착된 제 1 절삭팁(110)은 파이프(P)의 내측 가장자리를 면취하는 것이고, 상기 제 2 슬라이더(220)의 일 단부 선단에 장착된 제 2 절삭팁(120)은 파이프(P)의 외측 가장자리를 면취하는 것이므로 상기 몸체(300)에 결합되는 위치는 서로 상이하다.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슬라이더(230)는 소정 두께를 갖는 직육면체이되 그 일 단부의 선단에는 제 3 요입부(232)가 형성되고, 타 단부에는 상기 몸체(30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길게 장공(23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3 요입부(232)는 파이프(P)의 단부면을 가공하는 제 3 절삭 팁(130)이 장착되는 부분으로 제 3 절삭팁(110)이 완전히 삽입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되어지되 파이프(P)와 접촉되는 일 단부 선단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3 요입부(232)는 그에 장착되는 제 3 절삭팁(130)의 일 단부 선단면(파이프와 접촉되는 선단면) 중 상부 모서리(즉, 절삭날)가 파이프(P)의 단부면과 평행을 이룰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3 슬라이더(230)의 측면에 형성된 장공(234)에는 고정나사(246)가 결합되어 제 3 슬라이더(230)를 상기 몸체(300)에 고정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3 절삭팁(130)이 제 3 슬라이더(230)의 선단 요입부(232)에 장착되게 구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3 슬라이더(230) 없이 상기 몸체(300)의 선단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요입부(232)가 상기 몸체(300)의 선단에 형성되어야 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30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챔퍼링 머신(Chamfering Machine)의 척(Chuck, 미도시) 등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310)와, 상기 고정부(310)의 전방에 형성되고 그 선단에 슬라이더(200)가 결합되는 보스부(3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부(310)가 상기 보스부(320)에 비하여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바, 상기 몸체(300)는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310)와 보스부(320) 사이에는 소정의 단턱이 형성된다. 상기 단턱은 척에 삽입 고정된 상기 몸체(100)가 파이프(P)와의 접촉에 의해 척의 내부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단턱(130)이 척의 전면에 밀착되게 설치함으로써 실현된다.
상기 보스부(320)의 외주면에는 상기 복수의 슬라이더(210, 220, 23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슬라이더(200)와 동수로 결합홈(342, 352, 362)이 마련되어지되 상기 몸체(300)의 중심축에 대해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복수, 즉 총 세 개의 결합홈(342, 352, 362) 중에서 제 1 슬라이더(210)가 결합되는 제 1 결합홈(342)은 제 1 슬라이더(210)의 상면, 하면 및 일 측면을 감싸도록 그 종단면 형상이 ㄷ자로 형성되고, 개방된 일 측면을 통해 제 1 슬라이더(210)가 부착 및 탈거된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홈(342)의 천장면, 바닥면 및 일 측면은 상기 제 1 슬라이더(210)와 밀착되게 형성되어 제 1 슬라이더(21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결합홈(342)은 개방된 단부로 갈수록 그 폭이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삭가공 시 발생되는 칩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결합홈(342)의 천장면은 중단에서부터 개방된 단부로 갈수록 확장되게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2 결합홈(352)은 제 1 슬라이더(210)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제 2 슬라이더(220)의 상면, 하면 및 일 측면을 감싸도록 그 종단면 형상이 ㄷ자로 형성되어지되 제 2 슬라이더(220)와 밀착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결합홈(352)은 그 천장면이 중단에서부터 개방된 단부로 갈수록 확장되게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결합홈(352)과 상기 제 1 결합홈(342)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그 형성위치는 서로 상이하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결합홈(342)을 이루는 세 개의 면 중에서 일 측면은 상기 제 2 결합홈(352)의 일 측면에 비하여 보스부(320)의 중심에 더 가까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결합 홈(342)은 상기 제 2 결합홈(352)에 비하여 보스부(320)의 중심방향으로 더 깊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결합홈(342)에 결합된 제 1 슬라이더(210)의 선단에 장착되는 제 1 절삭팁(110)은 상기 보스부(320)의 중심에 가까이 위치되므로 파이프(P)의 내측 가장자리를 면취하게 되고, 상기 제 2 결합홈(352)에 결합된 제 2 슬라이더(220)의 선단에 장착되는 제 2 절삭팁(120)은 보스부(320)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위치되므로 파이프(P)의 외측 가장자리를 면취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3 결합홈(362)은 제 3 슬라이더(230)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그 종단면 형상이 ㄴ자로 형성되고, 그 바닥면에는 상기 제 3 슬라이더(230)가 밀착되게 결합된다. 상기 제 3 결합홈(362)에 결합되는 제 3 슬라이더(230)를 필요에 따라 제 1 및 제 2 슬라이더(210, 220)의 이동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 단부면을 가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3 슬라이더(230)에 장착된 제 3 절삭팁(130)을 더 큰 치수의 절삭팁으로 교체할 경우 다양한 두께의 파이프 단부면을 가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상 및 구조를 갖는 본 발명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T)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슬라이더(210, 220, 230)의 이동에 따라 다양한 직경 및 두께의 파이프 단부를 마감할 수 있는데,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좀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T) 중 제 1 및 제 2 절삭팁(110, 120)이 파이프 단부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T) 중 제 3 절삭팁(130)이 파이프 단부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하 는 단면도이다. 이때, 도 5의 제 1 및 제 2 절삭팁(110, 120)은 이해가 용이하도록 동일한 평면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a), (b) 및 (c)에 도시된 파이프(P1, P2, P3)의 직경(D1, D2, D3) 중 (b)에 도시된 파이프(P2)의 직경(D2)이 가장 크고, 파이프(P3)의 직경(D3)이 가장 작다. 본 발명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T)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다양한 직경을 갖는 파이프의 가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5의 (a)에 도시된 파이프(P1) 단부의 내측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에 제 1 및 제 2 절삭팁(110, 120)이 동시에 접촉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슬라이더(210, 220)를 이동시켜 고정한 후, 본 발명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T)가 장착된 척을 이동시켜 회전하는 파이프(P1)에 접촉시키면 파이프(P1) 단부의 내측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를 동시에 면취할 수 있다. 이때, 제 3 절삭팁(130)은 도 6의 (a)에 도시된 것처럼 파이프(P1)의 단부면을 가공할 수 있는 위치에 고정되는 바 단부면도 함께 가공된다.
도 5의 (b)에 도시된 파이프(P2)는 도 5의 (a)에 도시된 파이프(P1)보다 큰 직경(D2)을 갖는 파이프로 이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제 1 절삭팁(110)이 제 2 절삭팁(120)보다 더 돌출되게 제 1 슬라이더(210)를 이동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절삭팁(110)이 제 2 절삭팁(120)보다 더 돌출될 경우, 파이프(P2) 단부의 내측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에 접촉되는 각 절삭팁(110, 120)의 이격거리는 서로 멀 어지게 되므로 큰 직경의 파이프(P2)도 가공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제 1 절삭팁(110)이 돌출될수록 더 큰 직경의 파이프를 면취할 수 있다. 이때에도 제 3 절삭팁(130)은 도 6의 (b)에 도시된 것처럼 파이프(P2)의 단부면을 가공할 수 있는 위치, 도 6의 (a)에서 보다 외측(보스부의 중심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에 고정되는 바 단부면도 함께 가공된다.
반면, 도 5의 (c)에 도시된 파이프(P3)는 도 5의 (a)에 도시된 파이프(P1)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파이프로 이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제 2 절삭팁(120)이 제 1 절삭팁(110)보다 더 돌출되게 제 2 슬라이더(220)를 이동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제 2 절삭팁(120)이 제 1 절삭팁(110)보다 더 돌출될 경우, 상기 도 5의 (b)에서와는 반대로 파이프(P3) 단부의 내측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에 접촉되는 각 절삭팁(110, 120)의 이격거리는 서로 근접하게 되므로 작은 직경의 파이프(P3)도 가공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제 2 절삭팁(120)이 돌출될수록 더 작은 직경의 파이프를 면취할 수 있다. 이때에도 제 3 절삭팁(130)은 도 6의 (c)에 도시된 것처럼 파이프(P3)의 단부면을 가공할 수 있는 위치, 즉 도 6의 (a)에서 보다 내측(보스부의 중심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에 고정되는 바 단부면도 함께 가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의 구성 및 결합구조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는 복수의 절삭팁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파이프의 단부 내측 가장자리, 외측 가장자리 및 파이프의 단부면을 동시에 면취 및 가공할 수 있고, 가공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는 상기 각 슬라이더를 이동시켜 고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직경과 두께를 갖는 파이프의 단부 마감에도 적용 가능하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파이프 단부의 내측 및 외측 가장자리를 면취하는 제 1 및 제 2 절삭팁과, 파이프의 단부면을 가공하는 제 3 절삭팁을 포함하는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에 있어서,
    몸체와;
    일단부에 상기 제 1 및 제 2 절삭팁이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절삭팁이 돌출 또는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슬라이더와;
    일단부에 상기 제 3 절삭팁이 장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제 3 슬라이더;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라이더와 제 2 슬라이더와 제 3 슬라이더는, 그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을 포함하고,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몸체에 결합되는 고정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제 1 슬라이더와 제 2 슬라이더와 제 3 슬라이더가 각각 삽입되는 제 1 결합홈과 제 2 결합홈과 제 3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더와 제 1 결합홈 사이, 제 2 슬라이더와 제 2 결합홈 사이에는 제 1 슬라이더 및 제 2 슬라이더의 이동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나사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절나사의 나사부는 상기 제 1 슬라이더 또는 제 2 슬라이더의 내부로 삽입되고, 나사머리는 상기 제 1 결합홈 또는 제 2 결합홈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
KR1020060040233A 2006-05-03 2006-05-03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 KR100758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233A KR100758279B1 (ko) 2006-05-03 2006-05-03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233A KR100758279B1 (ko) 2006-05-03 2006-05-03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8279B1 true KR100758279B1 (ko) 2007-09-12

Family

ID=38737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0233A KR100758279B1 (ko) 2006-05-03 2006-05-03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82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9428A1 (ko) * 2013-01-08 2014-07-17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피복관 및 전열관 면취용 디버링툴
KR102324245B1 (ko) * 2021-06-28 2021-11-09 강찬식 네 변에 블레이드 경사면이 형성된 인서트를 포함하는 파이프 면취 바이트 공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5909A (ja) * 1996-04-19 1997-11-04 Amada Co Ltd パイプ面取り加工機
JP2004058253A (ja) * 2002-07-31 2004-02-26 Ngk Spark Plug Co Ltd 回転切削工具及びカートリッ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5909A (ja) * 1996-04-19 1997-11-04 Amada Co Ltd パイプ面取り加工機
JP2004058253A (ja) * 2002-07-31 2004-02-26 Ngk Spark Plug Co Ltd 回転切削工具及びカートリッ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9428A1 (ko) * 2013-01-08 2014-07-17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피복관 및 전열관 면취용 디버링툴
KR101447002B1 (ko) * 2013-01-08 2014-10-07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피복관 및 전열관 면취용 디버링툴
KR102324245B1 (ko) * 2021-06-28 2021-11-09 강찬식 네 변에 블레이드 경사면이 형성된 인서트를 포함하는 파이프 면취 바이트 공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8806B1 (en) Two edge deburring tool
JP6247807B2 (ja) 切削工具及びこの切削工具を備えた切削装置
CN103447624B (zh) 一种可调内外倒角刀
KR20120112578A (ko) 칼날 교환식 홈형성 공구 및 단면 홈형성 가공 방법
CN107405701A (zh) 锥形立铣刀及切削头
JP6069791B2 (ja) 切削工具及びこの切削工具を備えた切削装置
KR100758276B1 (ko)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
JP2011020158A (ja) 成形ワークの製造方法、バリ取り装置、金型
KR101534441B1 (ko) 버 제거장치
US7306412B2 (en) Rotary milling cutter and milling method using the same technical field
KR100758279B1 (ko) 파이프 단부 마감용 공구
KR101667010B1 (ko) 복수 면의 가공이 가능한 복합가공 엔드밀
KR101032667B1 (ko) 센터링용 드릴
JP7064674B2 (ja) 切削工具及びこの切削工具を備えた切削装置
KR20160086237A (ko) 백 카운터 보링 가공용 공구
JP2011110667A (ja) バリ取り工具およびバリ取り方法
CN109967762A (zh) 一种制孔专用刀具及其使用方法
KR20200068491A (ko) 크로스 홀 디버링 공구 및 이를 이용한 디버링 방법
US20170203465A1 (en) Router bit
JP2017087331A (ja) ワークの原点出し治具
CN210789376U (zh) 一种快速倒角钻头及钻床组件
CN113977319B (zh) 一种铣床用多功能夹具
KR100500312B1 (ko) 중공축의 내주면에 형성된 버어 제거방법 및 버어 제거장치
KR102110432B1 (ko) 내외경 동시 가공홀더
JP2008161999A (ja) 切削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