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7960B1 - 2방향 중공형 슬래브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2방향 중공형 슬래브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7960B1
KR100757960B1 KR1020060129892A KR20060129892A KR100757960B1 KR 100757960 B1 KR100757960 B1 KR 100757960B1 KR 1020060129892 A KR1020060129892 A KR 1020060129892A KR 20060129892 A KR20060129892 A KR 20060129892A KR 100757960 B1 KR100757960 B1 KR 100757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concrete
reinforcement
lattice
type light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장
이강건
황현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9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7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7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7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2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hollow filling elements
    • E04B5/32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hollow filling elements the filling elements being sphe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3Floor structures of extraordinary design;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Floor structures specially designed for resting on columns only, e.g. mushroo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를 사용함으로 자중 감소를 유도한 중공형 슬래브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열 복수행으로 배치되는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가 래티스근에 끼워진 상태로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입되도록 함으로 2방향 저항특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된 중공형 슬래브와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2방향 중공형 슬래브는 콘크리트 슬래브 내부에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 다수개가 래티스근에 끼워진 상태로 복수열 복수행으로 이격 배치되면서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가 매입된 부분에는 콘크리트가 채워지지 않게 되므로 슬래브에 하중이 가해지면 하중은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의 주변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 결과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2방향 중공형 슬래브는 트러스하중전달 메커니즘과 동일하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2방향 중공형 슬래브는 2방향 저항특성을 가지게 되어 무량판, 장경간 구조물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동일 내력 및 동일 자중을 가지면서 슬래브 단면두께를 증대시킬 수 있어 층간소음 저감에도 유리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할로우 코아 슬래브, 중공형 슬래브, 2방향 슬래브

Description

2방향 중공형 슬래브 및 이의 시공방법{Two-way hollow core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방향 중공형 슬래브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와 래티스근의 결합과정과 완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2방향 중공형 슬래브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방향 중공형 슬래브
110: 하프PC슬래브 111: 하부슬래브철근
120: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 121: 래티스근
150: 슬래브 콘크리트 151: 상부슬래브철근
본 발명은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를 사용함으로 자중 감소를 유도한 중공형 슬래브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열 복수행으로 배치되는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가 래티스근에 끼워진 상태로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입되도록 함으로 2방향 저항특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된 중공형 슬래브와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공형 슬래브(hollow core slab)는 중앙에 중공(hollow core)을 구비한 구조로서 패널 중량을 감소시킴에 따라 자중에 비해 비교적 우수한 단면 성능을 가지며, 이러한 중공형 슬래브는 장경간(long span)과 무량판(flat slab)의 구현은 물론 층간소음 저감에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통상 중공형 슬래브는 중공 형성 등 현장작업이 어려워 공장에서 제작된 PC제품으로 채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공장제작의 중공형 슬래브는 별도의 기계설비가 요구될 뿐 아니라 중공 형성을 위한 제작과정이 상당히 복잡하며, 또한 제작과정상 철제 거푸집 사용이 곤란한 관계로 하부 마감면이 거칠게 마무리되어 외관상 좋지 않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아울러, 그 자체가 완전한 슬래브 구조체가 되기 때문에 일정 이상의 중량감을 가지는 것이 당연하므로 이의 운반 및 양중에 불편함이 있으며, 나아가 기둥 또는 보와의 일체 접합을 위해 중공형 슬래브의 단부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공을 스티로폼 등의 경량 성형재로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즉, 중공이 형성될 위치에 경량 성형재를 배치하여 콘크리 트에 매입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경량 성형재를 이용한 중공형 슬래브는 종래 공장제작의 중공형 슬래브와 비교할 때, 구조적인 성능면에서는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지만 현장작업으로도 간편하게 시공완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경량 성형재를 막대형으로 사용하는데 머물러 1방향 저항 특성을 가지는 슬래브로만 완성되었으며, 아울러 경량 성형재를 고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제안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막대형이 아닌 유니트(볼) 형태의 경량 성형재를 채택함과 동시에 경량 성형재를 래티스근에 결합한 상태로 이용함으로 2방향 저항특성을 발휘할 수 있게 한 중공형 슬래브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열 복수행으로 배치되는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가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입되도록 함으로 2방향 저항특성을 발휘할 수 있게 한 중공형 슬래브를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량판 및 장경간 구조물은 물론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물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2방향 중공형 슬래브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슬래브 내부에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 다수개가 복수열 복수행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매입되되, 상기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 하부슬래브철근과 상부슬래브철근 사이에 배치된 래티스근에 끼워진 상태로 콘크리트에 완전히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방향 중공형 슬래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래티스근에 끼워진 상태의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하부슬래브철근 배근에 앞서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하고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 후에 슬래브 거푸집 해체하는 단계가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방향 중공형 슬래브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슬래브철근이 매입되도록 제작된 하프PC슬래브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하프PC슬래브 위로 래티스근에 끼워진 상태의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방향 중공형 슬래브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슬래브철근이 매입되면서 래티스근에 끼워진 상태의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체 제작된 하프PC슬래브를 설치하는 단 계;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방향 중공형 슬래브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방향 중공형 슬래브(100)를 도시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2방향 중공형 슬래브(100)는 콘크리트 슬래브 내부에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120) 다수개가 래티스근(121)에 끼워진 상태로 복수열 복수행으로 이격 배치되면서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120)가 매입된 부분에는 콘크리트가 채워지지 않게 되므로 슬래브에 하중이 가해지면 하중은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120)의 주변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 결과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2방향 중공형 슬래브(100)는 트러스하중전달 메커니즘과 동일하게 된다.
즉, 슬래브에서 구조적인 내력은 콘크리트에서 발휘하게 될 것인데, 본 발명에 따른 2방향 중공형 슬래브(100)는 콘크리트가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120)의 위와 아래 그리고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120)의 좌우측면에 있게 되며 이는 트러스 구조에서 상현재와 하현재 그리고 웨브재와 동일한 형태인 바 구조적인 내력도 트러스와 동일하게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의 2방향 중공형 슬래브(100)는 2방향 저항특성을 가지게 되어 무량판, 장경간 구조물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동일 내력 및 동일 자중을 가지면서 슬래브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으므로 층간소음 저감에도 유리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120)의 다양한 형태를 보여준다.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120)는 슬래브 구조체 내에 영구적으로 매입되어 그 설치공간에 최종적으로 슬래브 콘크리트(150)가 채워지지 않게 되므로 그 자체가 중공(hollow core)으로서 역할하게 된다. 이러한 역할을 고려하여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120)의 재료를 선택함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스티로폼, 중공형 플라스틱(hollow plastic), 중공형 스틸(hollow steel), 탄소섬유(carbon fiber), 메탈라스(metal lath)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된 것을 채택하면 무방하겠다.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120)는 그 형태 또한 다양한 입체도형으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도 2에서는 육면체형, 구형, 항아리형, 주판알형, 36면체형 등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120)는 하부슬래브철근(111)과 상부슬래브철근(151) 사이에 배치된 래티스근(121)에 끼워지게 되는데, 도 3 및 도 4는 래티스근(121)에 끼워진 상태의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120)의 집합체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에서 래티스근(121)은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120)를 구속하여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120)의 이동성을 제어하면서 고정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슬래브 콘크리트(150)에 매입된 후에는 슬래브 콘크리트(150)에 구속되어 보강재로서 역할하게 된다. 이러한 역할을 고려하면 래티스근(121)은 철선 또는 철근을 가공하여 제작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래티스근(121)은 하부슬래브철근(111)과 상부슬래브철근(151)을 연결하도록 접합하는 방법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도 3 참고).
특히, 도 3에서는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120)의 설치를 간편하게 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는데, 상기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120) 복수개를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한 후 철선을 끼워 파형으로 절곡시킴으로 연속적인 래티스근(121)에 끼워진 상태의 집합체 형태로 마련한 것이다. 이러한 집합체에서 래티스근(121)의 절곡점에 상부슬래브철근(151)과 하부슬래브철근(111)을 접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의 집합체 다수개를 나란하게 나열한 후 상·하부슬래브철근(111, 151)에 각각 교차하는 상·하부슬래브철근(111, 151)을 접합하면 도 4와 같은 집합체가 완성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2방향 중공형 슬래브(100)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5는 일반적인 거푸집 시스템으로 완성한 예이고 도 6은 하프PC슬래브(110)를 이용하여 완성한 예이다. 먼저 거푸집 시스템에서 완성하는 방법을 설명한 후 하프PC슬래브(110)를 이용하여 완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가) 거푸집 시스템으로 완성하는 방법
통상의 슬래브 시공방법과 동일하게 진행되며, 다만 슬래브 콘크리트(150) 타설 전에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120)를 설치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즉, 먼저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한 다음, 슬래브 거푸집 위로 하부슬래브철근(111)을 배근하고, 이어 하부슬래브철근(111) 위로 래티스근(121)에 끼워진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120)를 고정 설치한 후, 슬래브 콘크리트(150)를 타설 양생하는 것이다. 물론, 슬래브 콘크리트(150) 타설 전에 보강근으로서 상부슬래브철근(151)을 배근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래티스근(121)에 끼워진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120)를 도 4와 같은 집합체 형태로 준비하여 설치하면 상·하부슬래브철근(111, 151)의 배근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다만, 래티스근(121)으로 비교적 강도가 약한 철선을 택하다면 도 5에서와 같이 상·하부슬래브철근(111, 151)을 별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이와 같이 거푸집 시스템으로 완성하는 방법은 기초의 매트(mat)슬래브 시공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 경우에는 슬래브 거푸집 설치와 해체공정이 불필요하겠다. 다만, 거푸집 시스템 방법은 슬래브 콘크리트(150)를 일괄적으로 타설하기 때문에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120)가 하부슬래브철근(111)이 콘크리트에 구속되는 것을 방해할 수도 있으므로, 시공시 이 점을 감안하여 계획하도록 할 것이다.
(나) 하프PC슬래브(110)를 이용하여 완성하는 방법
하프PC슬래브(110)를 이용하여 완성하는 방법은 전체적인 시공방법은 전술한 거푸집 시스템으로 적용하는 방법과 동일하나,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하는 대신에 바로 하부슬래브철근(111)이 매입되도록 제작된 하프PC슬래브(110)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렇게 하프PC슬래브를 이용하는 것은 하부슬래브철근(111)이 미리 콘크리트에 완전히 구속되도록 함으로 내력 발휘에 문제가 없도록 한 것이다.
하프PC슬래브(110)는 하부슬래브철근(111)만 매입되도록 제작하거나 하부슬 래브철근(111)이 매입되면서 래티스근(121)에 끼워진 상태의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1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체화 제작할 수 있다. 하부슬래브철근(111)만 매입되도록 제작된 경우에는 양중무게 감소에 따른 이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며,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120)가 일체로 제작된 경우에는 시공위치에서 슬래브 콘크리트(150) 타설작업만 진행하면 되므로 작업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120)가 일체화되는 하프PC슬래브(110)는 래티스근(121)를 하부슬래브철근(111)에 결속시킨 후 하부슬래브철근(111)이 매입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는 방법으로 제작하거나 하부슬래브철근(111)이 매입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 전에 래티스근(121)를 콘크리트에 꽂아 제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복수열 복수행으로 배치되는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가 래티스근에 끼워 진 상태로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입되기 때문에 콘크리트 슬래브는 구조적으로 유리한 2방향 저항특성을 발휘하게 되고, 그 결과 장경간 구조물 또는 무량판 구조물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중공형 슬래브 시공에서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를 래티스근에 끼운 상태로 이용하기 때문에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의 설치가 용이해지고 래티스근의 보강작용으로 구조적인 성능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셋째, 중공형 슬래브이기 때문에 슬래브 자중을 줄이면서 단면크기를 키울 수 있어 층간소음 저감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넷째, 기존의 하프PC슬래브와 같은 방식으로 시공이 가능하므로 특별한 기술적 어려움 없이 간편하게 바로 현장에서 적용가능한 것은 물론, 하부 마감면이 깨끗하여 별도의 마감 처리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각적으로도 건축적인 요구를 만족시키기에 충분하다.

Claims (8)

  1. 콘크리트 슬래브 내부에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120) 다수개가 복수열 복수행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매입되되,
    상기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120)는 하부슬래브철근(111)과 상부슬래브철근(151) 사이에 세워서 배치된 래티스근(121)에 끼워진 상태로 콘크리트에 완전히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방향 중공형 슬래브.
  2. 제1항에서,
    상기 래티스근(121)은 하부슬래브철근과 상부슬래브를 철근을 연결하도록 접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2방향 중공형 슬래브.
  3. 제2항에서,
    상기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120)는 복수개를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한 후 철선을 끼워 파형으로 절곡시킴으로 연속적인 래티스근(121)에 끼워진 상태의 집합체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래티스근(121)의 절곡점에 상부슬래브철근(151)과 하부슬래브철근(111)이 접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2방향 중공형 슬래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120)는 스티로폼, 중공형 플라스틱, 중공형 스틸, 탄소섬유, 메탈라스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2방향 중공형 슬래브.
  5. 래티스근(121)에 끼워진 상태의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120)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슬래브 콘크리트(150)를 타설 양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하부슬래브철근(111) 배근에 앞서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하고 슬래브 콘크리트(150)를 타설 양생 후에 슬래브 거푸집 해체하는 단계;가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방향 중공형 슬래브의 시공방법.
  6. 하부슬래브철근(111)이 매입되도록 제작된 하프PC슬래브(11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하프PC슬래브(110) 위로 래티스근(121)에 끼워진 상태의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120)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슬래브 콘크리트(150)를 타설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방향 중공형 슬래브의 시공방법.
  7. 하부슬래브철근(111)이 매입되면서 래티스근(121)에 끼워진 상태의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1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체 제작된 하프PC슬래브(110)를 설치하는 단계;
    슬래브 콘크리트(150)를 타설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방향 중공형 슬래브의 시공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하프PC슬래브(110)는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120)가 끼워진 래티스근(121)을 하부슬래브철근(111)에 결속시킨 후 하부슬래브철근이 매입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제작되거나,
    하부슬래브철근(111)이 매입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 전에 유니트형 경량 성형재(120)가 끼워진 상태의 래티스근(121)을 콘크리트에 꽂아 제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2방향 중공형 슬래브의 시공방법.
KR1020060129892A 2006-12-19 2006-12-19 2방향 중공형 슬래브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57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892A KR100757960B1 (ko) 2006-12-19 2006-12-19 2방향 중공형 슬래브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892A KR100757960B1 (ko) 2006-12-19 2006-12-19 2방향 중공형 슬래브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7960B1 true KR100757960B1 (ko) 2007-09-11

Family

ID=38737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892A KR100757960B1 (ko) 2006-12-19 2006-12-19 2방향 중공형 슬래브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796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622B1 (ko) 2007-04-25 2008-03-06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매설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저감구조
KR100962297B1 (ko) * 2007-11-15 2010-06-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중공슬래브를 위한 용접철망 결속형 경량 성형재 조립체 및이를 이용한 중공슬래브의 시공구조
KR100962298B1 (ko) * 2007-11-15 2010-06-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중공슬래브를 위한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부상방지시공구조
KR101029252B1 (ko) 2009-01-12 2011-04-21 삼성물산 주식회사 페이퍼크리트를 이용한 경량형 이축 중공슬라브 및 그 시공방법
CN111379378A (zh) * 2020-01-07 2020-07-07 杭州章跃实业有限公司 一种陶瓷饼钢筋笼结构及制作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5526A (ja) * 2001-11-09 2003-05-20 Penta Ocean Constr Co Ltd 埋込材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ならびに中空スラブ
JP2006322137A (ja) * 2005-05-17 2006-11-30 Jsp Corp 中空コンクリートスラブ及びその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5526A (ja) * 2001-11-09 2003-05-20 Penta Ocean Constr Co Ltd 埋込材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ならびに中空スラブ
JP2006322137A (ja) * 2005-05-17 2006-11-30 Jsp Corp 中空コンクリートスラブ及びその形成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622B1 (ko) 2007-04-25 2008-03-06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매설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저감구조
KR100962297B1 (ko) * 2007-11-15 2010-06-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중공슬래브를 위한 용접철망 결속형 경량 성형재 조립체 및이를 이용한 중공슬래브의 시공구조
KR100962298B1 (ko) * 2007-11-15 2010-06-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중공슬래브를 위한 경량 성형재 조립체의 부상방지시공구조
KR101029252B1 (ko) 2009-01-12 2011-04-21 삼성물산 주식회사 페이퍼크리트를 이용한 경량형 이축 중공슬라브 및 그 시공방법
CN111379378A (zh) * 2020-01-07 2020-07-07 杭州章跃实业有限公司 一种陶瓷饼钢筋笼结构及制作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6820B1 (ko) 2방향 중공형 슬래브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78461B1 (ko) 내부격벽을 구비한 중공 프리캐스트 슬래브 및 그 제작방법
CN102839773B (zh) 带抗剪键的混凝土叠合板楼板、预制构造和施工方法
KR100757960B1 (ko) 2방향 중공형 슬래브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94587B1 (ko) 멀티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슬래브구조체
KR101458434B1 (ko) 선제작된 pc패널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96874B1 (ko) 프리캐스트 단부 세그먼트를 단부거푸집으로 이용하는 거더 제작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작된 거더
KR100814732B1 (ko) 건물 외벽용 경량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방법 및그 패널
CN111502091A (zh) 一种使用寿命长的建筑楼面及其制备方法
KR101758596B1 (ko) 단열 하프피씨 슬래브
CN212224353U (zh) 一种使用寿命长的建筑楼面
KR102304567B1 (ko) 측방연결수단을 이용한 파이형 프리캐스트 슬래브 시공방법
KR101405029B1 (ko) 아치형 슬래브와 이의 제작방법
JP3707378B2 (ja) Pc部材を用いた建築構造
KR101350797B1 (ko) 강연선 위치 고정수단을 가진 pc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1방향 장선 슬래브의 연속화 시공방법
KR100634698B1 (ko) 매립거푸집을 이용한 중공식 교각 시공방법
CN204590360U (zh) 一种连续空腔板
CN216428794U (zh) 一种装配式多腔复合混凝土框架柱
KR102415136B1 (ko) 최적화된 양방향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블럭 슬래브
KR102538562B1 (ko) 교대벽체와 기초의 분리타설 연결 시공 방법, 그의 연결 구조 및 라멘교
KR102372199B1 (ko) 균열방지판이 구비된 역리브 pc 슬래브
KR20130035355A (ko) 내진용 전단보강체를 갖는 건축물용 피씨 슬래브
KR101174665B1 (ko) 개량형 철근트러스 데크플레이트에의 고정설치를 위한 경량성형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경량 슬래브 구조체
KR102227639B1 (ko) 철골 합성 프리캐스트 슬래브
KR20110006225U (ko) 단면 손실 방지형 강도 보강용 결합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