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6377B1 - 장신구의 장식방법 및 그를 통해 제작된 장신구 - Google Patents

장신구의 장식방법 및 그를 통해 제작된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6377B1
KR100756377B1 KR1020060044296A KR20060044296A KR100756377B1 KR 100756377 B1 KR100756377 B1 KR 100756377B1 KR 1020060044296 A KR1020060044296 A KR 1020060044296A KR 20060044296 A KR20060044296 A KR 20060044296A KR 100756377 B1 KR100756377 B1 KR 100756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member
emulsion
decoration
ornament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4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한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스 주얼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스 주얼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스 주얼리
Priority to KR1020060044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6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A44C27/005Coating layers for jewellery
    • A44C27/007Non-metallic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00Brooches or clips in their decorative or ornamental aspec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신구의 장식방법 및 그를 이용해 제작된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일반적인 장신구의 몸체에 귀금속으로 이루어진 장식부재를 장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장신구 몸체에 유화물감을 도포시키고 그 위에 박판형태로 이루어진 장식부재를 부착시킨 후 다시 그 위에 코팅제를 도포시키는 과정을 통해 장식부재를 장신구에 장식시킴으로써,
귀금속의 장식부재를 박판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 기존에 비해 재료비가 현저하게 절감되고 기존 장신구 몸체에 장식부재를 부착·고정시키기 위한 설치홈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어 작업이 간소화되며, 동일한 양의 장식부재로도 기존에 비해 훨씬 많은 장식효과를 가질 수 있어 제품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상 장식부재를 더욱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신구의 장식방법 및 그를 이용해 제작된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장신구, 접착, 유화물감, 장식부재, 코팅

Description

장신구의 장식방법 및 그를 통해 제작된 장신구{A METHOD OF DECORATION ON THE ACCESSORY AND ACCESSORY WHICH IT USES METHOD}
도 1 은 종래 장신구의 장식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내지 도 8은 본 발명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 는 전체 공정 흐름을 나타낸 공정도
도 3 은 장신구몸체와 장식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장신구몸체에 유화물감을 도포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유화물감층 상에 장식부재를 부착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 은 장식부재가 부착된 상태에서 코팅제가 도포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
도 7 은 3차 건조공정 후 2차 코팅공정과 4차 건조공정이 더 부가된 것을 나타낸 공정도
도 8 은 망사형 커버부재가 더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다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장신구몸체 20 : 장식부재
30 : 유화물감층 40 : 코팅층
S100 : 장신구몸체 및 장식부재 준비공정
S200 : 유화물감 도포공정 S300 : 1차 건조공정
S400 : 장식부재 부착공정 S500 : 2차 건조공정
S600 : 코팅제 도포 및 3차 건조공정 S700 : 2차코팅제 도포공정
S800 : 4차 건조공정 S900 : 보조 장식공정
본 발명은 종래 장신구에 장식부재를 장식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장식부재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함과 동시에 장식작업을 간소화 할 뿐만 아니라 적은 양의 장식부재만으로도 기존에 비해 훨씬 풍부한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신구 장식방법 및 그를 이용해 제작된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장신구라 함은 인체나 의복을 치장하기 위한 보조물의 총칭으로 기원과 종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인종과 지역에 관계없이 오랫동안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문명이 발달하고 유행의 흐름이 빠른 현대사외에서는 이러한 장신구의 필요성은 더욱 증대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반지나 목걸이, 귀걸이, 브로치와 같이 귀금속으로 이루어진 장신구들이 대중적으로 널리 선호되고 있으며, 이러한 장신구에는 다시 장신구의 장식효과를 높이기 위한 금이나 금합금 등의 장식부재가 부착되어 미관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귀금속재 장식부재를 장신구에 부착시키는 종래 방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장신구몸체(1) 중 각 장식부재(2)가 부착될 위치에 소정깊이의 부착홈(3)을 형성시키고, 그 후 준비된 장식부재(2)를 상기 부착홈(3) 내로 삽입시켜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장신구몸체(1)에 형성된 부착홈(3)에 장식부재(2)를 삽입·고정시키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장식부재(2)가 부착홈(3) 내에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해서는 부착홈(3) 부피 이상의 부피를 유지해야하는데, 이러한 장식부재(2) 중 부착홈(3) 내에 삽입되는 부분(A)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 장식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장식부재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즉 장식부재(2) 중 장식효과를 낼 수 있는 부분은 거의 표면에 한정되는데, 기존 장신구의 장식방법은 이 외에 장식부재(2)가 불필요한 부피를 더 가지고 있어야 함으로의 장식부재의 낭비가 심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더구나 귀금속의 장식부재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소량의 부피차이에 따라 가격의 상승이 더욱 심하므로, 결국 장신구 전체의 불필요한 단가상승이 초래되어 시장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이러한 지나친 단가상승 때문에 장식부재의 사용량을 줄일 경우 장식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둘째, 이처럼 단순히 장신구몸체()와 장식부재(2)간의 결합에 의해서만 장식이 이루어지는 장식방법에서는, 만일 장신구몸체(1)와 장식부재()의 색이 상호 비슷할 경우 장식부재가 눈에 쉽게 띄지 못하므로 장식효과가 저하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장신구몸체(1)의 재질에 따라 사용되는 장식부재(2)의 재질 또한 한정될 수밖에 없어 다양한 장식효과를 나타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첫째, 장식부재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함으로써, 장신구 전체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신구의 장식방법 및 그를 이용해 제작된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적은 양의 장식부재만으로도 기존에 비해 장식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시장성을 상승시킬 수 있는 장신구의 장식방법 및 그를 이용해 제작된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셋째, 장신구 몸체의 색과 장식부재 색 간의 조화에 구애받지 않더라도 장식부재의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신구의 장식방법 및 그를 이용해 제작된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 장신구의 장식방법은,
장신구몸체 및 필름형태의 장식부재를 준비하는 공정과,
장신구몸체에 유화물감과 장식부재를 착색 및 부착하는 공정과,
유화물감과 장식부재 상에 코팅제를 도포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장식방법을 통해 제작된 장신구는,
장신구몸체 상에 유화물감층과 필름형태의 장식부재가 위치되고 그 위에 코팅층이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여러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 장식부재를 장신구에 장식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신구몸체 및 장식부재 준비공정(S100)과 장식공정(S200), 그리고 코팅공정 (S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장신구몸체 및 장식부재 준비공정(S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신구몸체(10)와 상기 장신구몸체(10)를 장식하기 위한 장식부재(20)를 제작 및 준비하는 공정이다.
상기 장신구몸체(10)는 일반적인 반지나 펜던트, 브로치 등의 형태로 이루어 진 것으로 금이나 은과 같은 귀금속재나 일반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한다.
이러한 장신구몸체(10)에는 외관을 장식하기 위한 장식부재(20)가 부착 및 고정되는데,
상기 장식부재(20)는 금이나 은, 또는 합금재 같은 귀금속재로 이루어지되, 금박(金箔)처럼 두께가 거의 형성되지 않은 필름형태로 제작된다.
이러한 장식부재(20)는 장신구몸체(10)의 모양이나 분위기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 가능하지만 각 장식부재(20)를 불규칙한 모양으로 제작한다면, 장신구몸체(10)에 부착되었을 시 마치 귀금속덩이가 박혀있는 듯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신구몸체(10)와 장식부재(20)의 준비가 완료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신구몸체(10)상에 준비된 장식부재(20)와 유화물감을 이용한 장식공정(S200)을 실시한다.
상기 장식공정(S200)은 다시 유화물감 도포공정(S200-1)과 1차건조공정(S200-2), 장식부재 부착공정(S200-3) 및 2차건조공정순으로 실시된다.
상기 유화물감 도포공정(S200-1)은 장식부재(20)를 장신구몸체(10)에 부착시키기 위함과 동시에 보색대비(補色對比)효과를 통해 장식부재(20)가 외관상 더욱 부각될 수 있도록 하여 장식효과를 높이기 위한 공정인데,
예를 들어 장신구몸체(10)를 은이나 백금(Platinum)으로 사용하고 장식부재(20)를 황금으로 사용할 경우, 먼저 장신구몸체(10)에 검은색 유화물감을 미리 도포시킨 후, 그 위에 장식부재(20)를 부착시킨다면, 검은색과 황금색간의 보색대 비에 의해 장식부재(20)가 더욱 부각되어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유화물감 도포공정(S200-1)은 [도 4]의 (나)와 같이 먼저 테레빈유(Turpentine oil)나 린시드유(linseed oil) 같은 용제를 이용해 유화물감을 적절한 농도로 용해시키고, 이렇게 용해된 유화물감을 장신구몸체(10) 중 장식부재(20)가 부착될 면에 적정 두께로 도포시켜 유화물감층(30)이 형성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유화물감은 장식부재(20)가 부착된 상태에서 건조될 경우, 장식부재 표면과 닿아 있는 상태로 응고되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장식부재(20)의 접착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더구나 장식부재(20)가 박판형태 이므로 무게가 거의 나가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접착성분을 부가시킬 필요는 없다. 물론 더욱 견고한 부착을 원할 경우에는 유화물감에 별도의 접착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는 있다.
상기 유화물감 도포공정(S200-1)이 완료되면, 장식부재(20)를 부착시키기 이전에 유화물감층(30)을 적절하게 건조시키기 위한 1차건조공정(S200-2)을 실시한다.
상기 1차건조공정(S200-1)에서는 도포된 유화물감을 완전건조가 아닌 불완전건조를 시키는데, 그 이유는 전혀 응고되지 않은 유화물감층(30) 상에 장식부재(20)를 부착하였을 경우에는 자칫 장식부재가 가라앉아 유화물감이 장식부재(20) 표면으로 번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반대로 완전 응고된 상태에서 장식부 재(20)를 부착하였을 경우, 장식부재(20)의 부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상기 1차건조공정(S200-2)은 약 20~30분간 자연건조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1차건조공정(S200-2)이 완료되면 미리 준비된 장식부재(20)를 유화물감층(30) 상에 부착시키는 장식부재 부착공정(S200-3)을 실시한다.
상기 장식부재 부착공정(S400)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단순히 박판형태의 장식부재(20)를 유화물감층(30) 상의 적절한 위치에 올려놓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도면상에서는 장신구몸체(10)의 상면에만 장식부재(20)가 부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장식부재(20)가 박판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그 무게가 가벼우므로 장신구몸체(10)의 측면에도 부착이 가능하다.
이렇게 유화물감층에 장식부재(20)의 부착이 완료되면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유화물감과 장식부재간의 보색효과에 의해 외관상 장식부재가 더욱 부각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상기 장식부재 부착공정(S400)이 완료되면 유화물감을 완전히 건조시키기 위한 2차 건조공정(S200-4)을 실시한다.
상기 2차 건조공정(S500)은 상기 1차 건조공정(S300)에서 불완전건조 되었던 유화물감층(30)을 완전건조시킴으로써 장식부재(20)가 유화물감층(30)상에서 견고 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공정이다.
이러한 2차 건조공정(S500)은 건조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유화물감층(30)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전기로를 통해 약 120℃의 저온으로 2내지 3시간정도 서서히 실시한다.
이상 2차 건조공정(S500)을 통해 유화물감이 완전건조 된 후에는, 장신구몸체(10)와 장식부재(20) 상에 별도의 코팅제를 도포시키는 코팅공정(S300) 및 코팅제를 건조하기 위한 3차 건조공정(S400)이 실시된다.
상기 코팅공정(S300)은 [도 6]의 (가)에 도시된 것처럼 코팅제를 도포시켜 코팅층(40)을 형성시키고, 이러한 코팅층(40)을 통해 장식부재(20)가 외부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외부충격에 의해 장식부재(20)가 장신구몸체(10)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특유의 광택에 의해 장신구의 장식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한 공정이다.
이때 사용되는 코팅제는 에폭시처럼 투명하여 장식부재(20) 표면에 도포되더라도 장식부재(20)를 항시 외부에서 볼 수 있어야 하고, 표면강도가 우수하여 외부충격으로부터 장식부재(20)를 보호할 수 있어야 하며, 자체적으로 접착력을 보유하고 있어 장신구몸체(10)로부터 쉽게 떨어지지 않음과 동시에, 장식부재(20)와 장신구몸체(10)간의 접착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사용한다.
또한 경화되었을 시 자체적으로 광택을 지니고 있어 장신구 전체의 장식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용한다.
이렇게 코팅제의 도포가 완료되면 코팅층(40)을 약 120℃의 온도로 약 2시간정도 가열하는 3차 건조공정(S400)을 통해 코팅층(40)이 적절하게 경화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코팅공정(S300) 및 3차 건조공정(S400)을 거친 후 필요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코팅층(40)위에 코팅제를 재차 도포시키는 2차 코팅공정(S500)과, 2차 도포된 코팅재를 건조시키기 위한 4차 건조공정(S600)을 더 부가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4차 건조공정(S600)은 약250℃의 고온에서 2시간정도 실시하는데, 이처럼 이미 형성되어 있는 코팅층(40)상에 재차 코팅층(40-1)을 형성시키고 고온에서 상기 코팅층(40-1)을 건조시키는 공정을 실시하면, 코팅층 전체의 자체강도가 더욱 높아져 장식부재(20)의 보호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코팅제의 종류에 따라 상기 2차코팅공정(S500)과 4차건조공정(S600)은 생략할 수 있다.
이렇게 4차건조공정(S600)까지 완료되면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장신구몸체(10) 상에 유화물감층(3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화물감층(30)상에 장식부재(20)가 부착되어 있으며 장식부재(20)와 장신구몸체(10)상에 코팅층(40)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의 장신구(100)가 완성된다.
더불어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이렇게 제작된 장신구(100)외부면에 별도의 망사형 커버부재(50)를 구비시키는 보조장식공정(S900)을 실시할 경우 커버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여러 틈새를 통해 귀금속재 장식부재의 광체와 유화물감의 색체가 조화를 이룬 상태를 볼 수 있어 더욱 향상된 미감을 발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귀금속재의 장식부재를 박판형태로 제작하고 유화물감층을 이용해 상기 장식부재를 장신구몸체 표면에 단순히 접착시키며, 코팅층을 통해 장식부재를 보호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장식부재를 장신구에 장식함으로써,
고정을 위해 장식부재의 부피를 불가피하게 크게 형성시켜야 하는 기존 장식방법에 비해 장식부재의 부피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음으로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주 적은 양의 장식부재를 사용하더라도 기존 이상의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이다.
또한 유화물감을 도포시킴에 따라 외관상 장식부재를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히 장신구몸체와 장식부재간의 결합에 의해서만 장식이 이루어지는 기존 장식방법에 비해 장식부재 및 장신구몸체의 재질선택 폭을 넓힐 수 있어 더욱 다양한 장신구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중 하나이다.
더불어 단순히 유화물감과 코팅재에 의한 접착방식을 통해 장식부재를 부착·고정시킴으로써, 장신구몸체에 부착홈을 정밀하게 형성시켜야 하는 기존방식에 비해 작업이 단순하고 제품의 불량발생률을 낮출 수 있도록 한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중 하나이다.
이상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데,
[도 9]와 같이 하나의 장식부재를 장신구몸체 표면에 넓게 부착하고 그 위에 유화물감을 통해 원하는 문양을 그려넣는 방법으로 장식공정을 실시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장신구를 유화물감에 부착하기 위해 실시되었던 상기 1차건조공정은 생략할 수 있다.
이 외에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장식부재를 유화물감에 의한 그림이 인쇄되어 있는 전사지 형태로 제작하고, 이러한 전사지를 장신구몸체에 단순히 부착시키는 형태로 장식공정을 실시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전사지를 이용한 장식공정을 실시하면 유화물감의 건조공정을 별도로 실시할 필요가 없고 일일이 손으로 그림을 그릴필요가 없어 작업시간과 인건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장식방법 및 그를 이용해 제작된 장신구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고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들이 장신구의 장식방법에 있어서 장식부재를 필름형태로 제작함과 동시에 이러한 장식부재를 유화물감층과 코팅층을 통해 장신구몸체에 부착시키는 구성 및 효과와 관련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장식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제작된 장신구는,
첫째, 유화물감층과 코팅층을 통해 귀금속재 장식부재를 장신구몸체에 단순 부착시켜 장신구를 장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식부재의 부피를 기존에 비해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소량의 귀금속재 장식부재로도 기존에 비해 높은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단순 부착방식을 통해 장식부재를 장신구몸체에 장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장식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불량발생률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장신구몸체 상에 별도의 유화물감을 도포시킴으로써, 보색대비효과를 통해 장식부재가 더욱 부각되어 장식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장신구몸체 및 필름형태의 귀금속재 장식부재를 준비하는 장신구몸체 및 장식부재 준비공정과,
    장신구 몸체에 유화물감을 착색한 후 건조하고, 장신구 몸체에 장식부재를 부착하는 장식공정과,
    상기 유화물감과 장식부재 상에 코팅제를 도포하는 코팅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장식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공정은 장신구몸체에 유화물감을 도포하여 유화물감층을 형성시키는 유화물감 도포공정과,
    도포된 유화물감층을 불완전건조 하는 1차 건조공정과,
    1차건조된 유화물감층 상에 장식부재를 부착하는 장식부재 부착공정과,
    상기 유화물감층을 완전 건조하는 2차건조공정 순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장식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공정은 장신구몸체에 장식부재를 부착하는 장식부재 부착공정과,
    상기 장식부재 상에 유화물감을 도포하는 유화물감 도포공정과,
    상기 유화물감을 건조하는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장식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공정은 유화물감이 인쇄되어 있는 장식부재를 장신구몸체에 부착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장식방법.
  5.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물감 도포공정에 사용되는 유화물감은 접착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장식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공정을 통해 형성된 코팅층의 건조 후, 상기 코팅층상에 다시 코팅제를 도포시키는 2차 코팅제도포공정이 더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장식방법.
  7. 장신구몸체에 귀금속재 장식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몸체 표면에 유화물감층과 필름형태의 장식부재가 상호 중첩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유화물감층과 장식부재 상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물감층은 접착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KR1020060044296A 2006-05-17 2006-05-17 장신구의 장식방법 및 그를 통해 제작된 장신구 KR100756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296A KR100756377B1 (ko) 2006-05-17 2006-05-17 장신구의 장식방법 및 그를 통해 제작된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296A KR100756377B1 (ko) 2006-05-17 2006-05-17 장신구의 장식방법 및 그를 통해 제작된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6377B1 true KR100756377B1 (ko) 2007-09-10

Family

ID=38736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4296A KR100756377B1 (ko) 2006-05-17 2006-05-17 장신구의 장식방법 및 그를 통해 제작된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63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1629A (ko) 2016-04-25 2017-11-02 이수진 결을 갖는 박막 부재를 이용한 장식 구조물의 장식방법 및 그 장식 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652Y1 (ko) * 2006-03-13 2006-07-05 장건 문양 장신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652Y1 (ko) * 2006-03-13 2006-07-05 장건 문양 장신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Y1) 20-0420652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1629A (ko) 2016-04-25 2017-11-02 이수진 결을 갖는 박막 부재를 이용한 장식 구조물의 장식방법 및 그 장식 구조물
KR101866631B1 (ko) * 2016-04-25 2018-06-11 이수진 결을 갖는 박막 부재를 이용한 장식 구조물의 장식방법 및 그 장식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6377B1 (ko) 장신구의 장식방법 및 그를 통해 제작된 장신구
JP7005583B2 (ja) 計時器ダイヤル
JP7108664B2 (ja) 時計部品
JP3090136U (ja) 装身具
KR101985738B1 (ko) 장식부 내측에 외측으로 투시되는 문양이 형성된 장신구 제조 방법
US20140013800A1 (en) Jewelry article with formed illusion plate
TW202014262A (zh) 用於製造裝飾性零件的方法
JP2003326822A (ja) 装身具の印刷方法及びそれにより得られた装身具
EP0058174A1 (en) Decorative articles
KR102147966B1 (ko) 칠보 분위기가 연출되는 스티커 및 그 스티커의 제조방법
KR20050014541A (ko) 칠보장식과 그 제조방법
KR100468275B1 (ko) 홀로그램문양이 전사 된 핫픽스의 제조공정 및 구조
KR20080006738A (ko) 파스텔을 이용한 장신구 장식방법 및 장신구
CN102939205A (zh) 形成有印章装饰的装饰材料及其制作方法
JP3102886U (ja) 装身具
KR20060109674A (ko) 무광 칠보장식과 그 제조방법
KR200403196Y1 (ko) 넥타이핀 및 커프스단추의 장식부
JP3072388U (ja) 装飾品
KR20170142695A (ko) 색변환 필름이 선명하게 형성된 의류용 장식체 및 상기 장식체의 제조방법
JP2005066226A (ja) 装飾材および身辺装飾品並びに身辺装飾品の製造方法
KR200217797Y1 (ko) 인공 진주가 결합된 장신구
KR200261217Y1 (ko) 장신구
JP3044238U (ja) ペンダント
JPH0414233Y2 (ko)
CN2325389Y (zh) 一种金属彩料饰面玻璃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