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6347B1 - 센서를 이용한 전자음악연주장치 - Google Patents
센서를 이용한 전자음악연주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56347B1 KR100756347B1 KR1020060074545A KR20060074545A KR100756347B1 KR 100756347 B1 KR100756347 B1 KR 100756347B1 KR 1020060074545 A KR1020060074545 A KR 1020060074545A KR 20060074545 A KR20060074545 A KR 20060074545A KR 100756347 B1 KR100756347 B1 KR 1007563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 unit
- light emitting
- input unit
- light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7166 Bambusa arundin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7491 Bambusa tul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334 Phyllostachys virid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1330002 Bambus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25 bamb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527 percu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09128 Bambu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5777 Lepido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21 foam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10H1/0025—Automatic or semi-automatic music composition, e.g. producing random music, applying rules from music theory or modifying a musical piece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5/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means of electronic generator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01—Music Composition or musical creation; Tools or processes therefor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21—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or seven segments displays
- G10H2220/026—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or seven segments displays associated with a key or other user input device, e.g. key indicator lights
- G10H2220/031—Blinking or flashing indicator light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21—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or seven segments displays
- G10H2220/026—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or seven segments displays associated with a key or other user input device, e.g. key indicator lights
- G10H2220/061—LED, i.e. using a light-emitting diode as indicator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9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 G10H2220/10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for graphical creation, edition or control of musical data or parameters
- G10H2220/13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for graphical creation, edition or control of musical data or parameters for abstract geometric visualisation of music, e.g. for interactive editing of musical parameters linked to abstract geometric figure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자극을 감지하는 다수개의 센서가 분포되도록 구성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다수개의 센서 각각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발광체를 구비하며, 상기 입력부의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해당하는 발광체가 발광하도록 구성된 발광부; 상기 입력부의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구별된 그래픽 영상을 화면상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입력부의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구별된 음조로 소리를 출력하는 음악연주부; 및 상기 입력부의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부, 디스플레이부, 음악연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센서를 이용한 전자음악연주장치에 대한 것이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어부는 마이크로콘트롤러부; 및 중앙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부는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의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상기 중앙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제어부는 화상정보 및 소리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 및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부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해당 화상정보 및 소리정보를 가져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음악연주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한 전자음악연주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전자음악장치는 연주방법이나 악보를 읽는 법 등의 음악적 지식이 없어도 물리적으로 입력부를 접촉하거나 누름으로써 음악을 누 구나 쉽게 창조하고 연주할 수 있는 전자음악연주장치를 제공한다. 즉, 인간의 물리적 접촉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쉽게 음악을 창조 및 연주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3차원 그래픽 영상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끌고 집중시킬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시각적 요소의 제공은 쉽게 다른 곳으로 관심을 돌리는 어린이의 시선을 끌고 흥미를 일으키는데 주요하므로 어린이 음악교육용 전자음악연주장치로서 적합하다.
감지센서, 전자음악연주장치, 어린이 음악교육, 그래픽, 접촉, 압력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전자 악기를 나타내는 예시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센서를 이용한 전자음악연주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도시된 장치에서의 음악연주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접촉센서를 포함하는 입력부 및 입력부와 일체화되어 구비되는 발광체를 포함하는 발광부의 예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입력부 및 입력부의 외부에 구비되는 발광체를 포함하는 발광부의 개략도, 각각의 예시사진 및 도면이다.
도 6은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내는 3차원 그래픽 영상의 실시예이다.
도 7은 접촉센서 및 압력센서를 모두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장치예의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입력부 200 : 제어부
300 : 발광부 400 : 디스플레이부
500 : 음악연주부 110 : 접촉센서
180 : 압력센서 210 : 마이크로콘트롤러부
220 : 중앙제어부 221 : 연산부
223 : 메모리부
본 발명은 외부 자극을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한 전자음악연주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많은 것이 변해왔고, 기존과 다른 새로운 예술의 형태를 가져왔다. 그리고 점점 더 가상세계가 우리의 삶에 접목되고 있다. 그렇지만 사람들은 오직 새로운 것만을 원하는 것은 아니며, 예전의 익숙한 경험 또한 원한다. 이에 가상세계에서조차 사람들은 그들이 했던 방식대로 물리적으로 사물을 만지고 두드리기를 원한다. 이에 가상세계에서도 물리적인 접촉을 시도하려는 노력이 있어왔다.
한편 오늘날 대부분의 음악적 도구 즉 악기들은 연주하기 어렵고, 배우는데도 수년을 소요시킨다. 특히 악보는 많은 사람이 읽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에 대부분의 아이들은 음악을 쉽게 창조하거나 즐기지 못하고, 음악을 배우는 것을 기피하게 된다. 또한 일부 아이들은 이런 어려움 때문에 음악을 배우기도 전에 겁을 먹기도 한다.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다양한 음악 장난감이 있어왔다. 도 1은 종래의 전자 악기들을 나타낸다. 이외에도 시각적 요소를 이용한 비디오 게임들이 있는데, 이들은 시선을 끌고 집중시킬 수 있는 요소들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 악기들이나 비디오 게임들은 오랫동안 사람들이 겪어 온 물리적 세계에 조금은 접근한 것이나 시각적인 면에서 부족한 점이 있거나, 음악을 창조해내는데 부족한 면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주방법이나 악보를 읽는 법 등의 음악적 지식 없이 물리적으로 물건을 만지고 두드림으로써 음악을 쉽게 창조하고 연주할 수 있는 전자음악연주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선을 끌고 집중시킬 수 있는 요소로서 시각적으로 그래픽 영상을 제공하는 전자음악연주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히 어린이 음악교육용 전자음악연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 자극을 감지하는 다수개의 센서가 분포되도록 구성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다수개의 센서 각각 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발광체를 구비하며, 상기 입력부의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해당하는 발광체가 발광하도록 구성된 발광부; 상기 입력부의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구별된 그래픽 영상을 화면상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입력부의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구별된 음조로 소리를 출력하는 음악연주부; 및 상기 입력부의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부, 디스플레이부, 음악연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센서를 이용한 전자음악연주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어부는 마이크로콘트롤러부; 및 중앙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부는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의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상기 중앙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제어부는 화상정보 및 소리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 및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부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해당 화상정보 및 소리정보를 가져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음악연주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한 전자음악연주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센서를 이용한 전자음악연주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의 (a)에 도시된 장치는 입력부(100), 제어부(200), 발광부(300), 디스플레이부(400), 음악연주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100)는 외부 자극을 감 지하는 다수개의 센서가 분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발광부(300)는 상기 입력부(100)의 다수개의 센서 각각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발광체를 구비하는 부분으로, 상기 입력부(100)의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해당하는 발광체가 발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0)는 상기 입력부(100)의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구별된 그래픽 영상을 화면상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음악연주부(500)는 상기 입력부(100)의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구별된 음조로 소리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부(100)의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발광부(300), 디스플레이부(400), 음악연주부(500)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2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부(200)는 마이크로콘트롤러부(210) 및 중앙제어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부(210)는 상기 발광부(300)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100)의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상기 중앙제어부(22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중앙제어부(220)는 메모리부(223) 및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부(210)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223)로부터 해당 화상정보 및 소리정보를 가져와 상기 디스플레이부(400) 및 상기 음악연주부(500)가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연산부(221)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2에서 도시된 장치에서의 음악연주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입력부(100)에 외부 자극을 가하는 1단계(610), 가해진 외부 자극을 센서가 감지하는 2단계(620),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다수개의 발광체가 구별하면서 발광하는 3단계(630)와 감지된 신호에 따라 구별된 그래픽 영상을 화면 에 출력하는 4(640)단계와, 감지된 신호에 따라 구별된 음조의 소리를 출력하는 5(650)단계로 구분된다.
도 4는 접촉센서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의 (a)는 접촉센서(110)를 포함하는 입력부(100) 및 접촉센서(100)와 일체화되어 구비되는 발광다이오드(310)를 포함하는 발광부(300)의 예시 도면이고, 도 4의 (b)는 (a)의 A부의 예시도면이다.
정전 용량형 터치센서와 같은 접촉센서(110)를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망(120)에 전도체(130)를 통하여 연결하여, 사용자가 상기 금속 망(120)을 접촉하는 경우 상기 접촉센서(110)에 접촉이 감지되게 되고, 상기 접촉센서(110)는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부(210)로 감지한 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때 입력부(100)는 상기 금속 망(120) 내부에 도 4의 (b)와 같이 플라스틱공(140)을 더 구비해 상기 금속 망(120)의 형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4의 발광부(300)는 발광다이오드(310)를 포함하며, 이는 상기 금속 망(120)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310)는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부(210)로부터 신호를 받아 발광하며, 이에 수신센서(320)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발광부(300)는 발광체로서 상기 발광다이오드(310)를 대신하여 발광램프(38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사용자가 금속 망(120)을 접촉하였을 때, 발광다이오드(310)가 발광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부(210)가 상기 접촉센 서(110)에서 감지된 신호을 받아 내부의 ROM에 암호화된 명령 프로그램에 따라 접촉된 금속 망(120) 내부의 발광다이오드(310)가 발광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부(210)는 상기 접촉센서(110)에서 감지된 신호를 상기 중앙제어부(220)로 전송한다.
도 5는 압력센서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제공한다.
도 5의 (a)와 (b)는 압력센서(180)를 포함하는 입력부(100) 및 상기 입력부(100)의 외부에 구비되는 발광램프(380)를 포함하는 발광부(300)의 개략도이고, (c) 및 (d)는 그 예시 사진이다. 그리고, 도 5의 (e)는 (c)의 도면이고, (f)는 (d)의 도면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력부(100)는 사용자가 발로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스티로폼 소재로 만든 누름 버튼(160)을 판(board, 170) 위에 다수 구성하여 놓은 후, 이 누름 버튼(160)에 접촉하여 압력센서(180)를 설치한다. 이에 사용자가 상기 누름 버튼(160)을 발로 누르는 경우, 밑에 위치하는 압력센서(180)가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부(210)로 신호를 보내게 된다.
도 5의 발광부(300)는 등갓(360), 등갓(360) 내부의 수신센서(370) 및 이에 연결된 발광램프(380)로 구성된다. 발광램프(380)는 상기 압력센서(180)와 동일한 수로 구성된다. 상기 발광램프(380)는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부(210)로부터 신호를 받아 발광한다. 이때, 상기 발광부(300)는 상기 발광램프(380)를 대신하여 발광다이오드(31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의 (b) 및 (d)는 사용자가 누름 버튼(160)을 눌렀을 때, 그 누름 버튼(160)과 대응하는 발광램프(380)가 발광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도 및 예시사진이다.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부(210)가 상기 압력센서(180)에서 감지된 신호를 받아 내부의 ROM에 암호화된 명령 프로그램에 따라 압력을 감지한 압력센서(180)에 해당하는 발광램프(380)가 발광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부(210)는 상기 압력센서(180)에서 감지된 신호를 상기 중앙제어부(22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은 상기 도 4 및 도 5의 입력부(100) 및 발광부(300)를 모두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을 다수 개 구비하여 본 발명을 구성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콘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제어장치)는 특정기능을 수행하거나 특정한 곳을 제어하기 위해 ROM에 명령 프로그램이 암호화되어 있는 시스템 제어용 또는 시스템의 크기·부품 수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하나의 칩 안에 메모리, 연산장치, 결과출력을 위한 포트(Port)까지 모든 기능이 집약되어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콘트롤러부(120)는 오픈소스 피지컬 입출력보드와 같은 사용자들이 센서와 컴퓨터에 연결만 하면 사용할 수 있게 디자인된 하이레벨 마이크로 콘트롤러로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들이 모든 구성요소를 다 조립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나 안정적인 속도를 제시하기 위해서는 PIC(Peripheral Interface controller)과 같은 로우레벨 마이크로콘트롤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본 발명의 중앙제어부(220)는 연산부(221)와 메모리부(223)를 포함하며, 메모리부는(223)에는 화상정보 및 소리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연산부(221)는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부(210)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223)로부터 해당 화상정보를 가져와 화면상에 객체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400)가 입체적으로 그래픽을 출력하게 한다.
도 6은 상기 디스플레이부(400)에 출력되는 3차원 그래픽 영상의 예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센서를 이용한 전자음악연주장치를 어린이 음악교육을 위하여 사용할 때, 어린이의 흥미를 유도하기 위한 3차원 그래픽 영상의 예를 나타낸다. (b)는 일반적인 사용을 위한 3차원 그래픽 영상의 예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중앙제어부(220)의 연산부(221)는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부(210)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음악연주부(500)가 구별된 음조로 소리를 출력하게 한다. 상기 중앙제어부(220)의 메모리부(223)에 상기 입력부(100)의 외부 자극을 감지하는 다수개의 센서마다 '도', '레', '미'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음조의 소리를 지정하는 소리정보를 저장하여 외부 자극이 감지되면 해당 정보를 가져와 음악연주부(160)로 출력한다.
이때, 소리정보의 음색을 한국 전통악기인 가야금, 장구와 같은 현악기 또는 타악기의 음색으로 하여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00)마다 다른 음 색, 다름 음조의 소리를 부여하여 사용자가 동시에 2 이상의 입력부(100)에 자극을 가하는 경우 콘서트를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의 예시 개략도로서 접촉센서 및 압력센서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장치예 1의 접촉센서를 포함하는 입력부(100)는 7개의 접촉센서(110)를 가진다. 상기 입력부(100)의 7개의 금속 망(120)은 전도체(130)를 이용하여 접촉센서(110)인 QProx(정전용량형 터치센서)에 각각 연결된다. 이때, 발광부(300)를 구성하는 발광체로서 발광다이오드(310)는 상기 금속 망(120) 내부에 수신센서(320)와 함께 위치된다.
상기 금속 망(120)에 사용자의 접촉이 있는 경우 정전용량형 터치센서가 감지하여 이를 마이크로콘트롤러인 PIC(제1마이크로콘트롤러)에 신호를 보내며, PIC은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면 중앙제어부(220)가 디스플레이부(400) 및 음악연주부(500)를 제어하도록 신호를 보내고, 접촉된 금속 망(120) 내부의 발광다이오드(310)가 발광하도록 명령한다.
그리고, 장치예 1의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입력부(100) 역시 7개의 압력센서(180)를 포함한다. 판(170) 위에 색과 형태가 상이한 7개의 누름 버튼(160)을 배치하고, 상기 누름 버튼(160) 밑에는 각각 압력센서(180)를 접촉시켜 압력을 감지하면 PIC(제2마이크로콘트롤러)으로 정보를 보내게 한다.
상기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입력부(100)의 일측면 상방에 배치되는 발광 부(300)는 발광체로서 상기 압력센서(180)와 동일한 7개의 발광램프(380)를 갖는다. 상기 발광부(300)는 또한 동양풍스러운 등갓(360) 및 그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발광램프(380)와 연결되어 있는 수신센서(370)를 포함한다.
PIC(제2마이크로콘트롤러)은 사용자의 압력이 감지되면 중앙제어부(220)가 디스플레이부(400) 및 음악연주부(500)를 제어하도록 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압력을 감지한 압력센서(180)에 대응하는 발광램프(380)가 발광하도록 명령한다.
제1 및 제2 마이크로콘트롤러장치(PIC)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중앙제어부(220)에 신호를 보내며, 중앙제어부(220)는 마이크로콘트롤러부(210)로부터 받은 신호를 분석하여 메모리부(223)로부터 화상정보 및 소리정보를 가져와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하여 해당 그래픽 영상을 출력하고, 음악연주부(500)의 스피커장치를 통하여 해당 소리를 출력한다.
출력되는 화상정보 및 소리정보는 다음과 같다.
그래픽 영상의 경우 주제를 대나무와 나비로 하여, 7개의 접촉센서에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각각 7개의 서로 다른 대나무의 투명도를 조절하도록 화상정보를 상기 메모리부(223)에 저장하고, 7개의 압력센서(180)에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각각 대나무 위의 7마리의 서로 다른 나비들의 움직임을 조절하도록 화상정보를 상기 메모리부(223)에 저장하여 자극이 감지되는 경우 해당정보를 출력하게 한다.
소리의 경우, 7개의 접촉센서에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각각 한국 전통악기인 북소리로 7개의 계이름을 연주하도록 소리정보를 상기 메모리부(223)에 저장하고, 7개의 압력센서(180)에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각각 한국 전통악기인 아쟁소리로 7개의 계이름을 연주하도록 소리정보를 상기 메모리부(223)에 저장하여 감지시 출력하도록 한다.
도 7의 장치를 어린이 음악교육을 위한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화상정보 및 소리정보를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래픽 영상의 경우, 바닷가를 배경으로 하여 7개의 접촉센서에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각각 7명의 서로 다른 색상의 옷을 입은 소녀들이 노래하는 애니메이션을 내보내도록 조절하는 화상정보를 상기 메모리부(223)에 저장하고, 7개의 압력센서(180)에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각각 7개의 물방울이 나타나도록 움직임을 조절하는 화상정보를 상기 메모리부(223)에 저장하여 자극이 감지되는 경우 해당정보를 출력하게 한다.
소리의 경우, 7개의 접촉센서에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각각 소녀의 목소리로 7개의 계이름을 연주하도록 소리정보를 상기 메모리부(223)에 저장하고, 7개의 압력센서(180)에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각각 작은 종소리로 7개의 계이름을 연주하도록 소리정보를 상기 메모리부(223)에 저장하여 감지시 출력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전자음악장치는 연주방법이나 악보를 읽는 법 등의 음악적 지식이 없어도 물리적으로 입력부를 접촉하거나 누 름으로써 음악을 누구나 쉽게 창조하고 연주할 수 있는 전자음악연주장치를 제공한다. 즉, 인간의 물리적 접촉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쉽게 음악을 창조 및 연주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3차원 그래픽 영상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끌고 집중시킬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시각적 요소의 제공은 쉽게 다른 곳으로 관심을 돌리는 어린이의 시선을 끌고 흥미를 일으키는데 주요하므로 어린이 음악교육용 전자음악연주장치로서 적합하다.
Claims (5)
- 외부 자극을 감지하는 다수개의 센서가 분포되도록 구성되는 입력부(100);상기 입력부(100)의 다수개의 센서 각각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발광체를 구비하며, 상기 입력부(100)의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해당하는 발광체가 발광하도록 구성된 발광부(300);상기 입력부(100)의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구별된 그래픽 영상을 화면상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400);상기 입력부(100)의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구별된 음조로 소리를 출력하는 음악연주부(500); 및상기 입력부(100)의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부(300), 디스플레이부(400), 음악연주부(500)를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는 센서를 이용한 전자음악연주장치.
-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200)는,마이크로콘트롤러부(210); 및중앙제어부(220);를 포함하며,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부(210)는,상기 발광부(300)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100)의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상기 중앙제어부(220)로 전송하고,상기 중앙제어부(220)는,화상정보 및 소리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223); 및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부(210)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223)로부터 해당 화상정보 및 소리정보를 가져와 상기 디스플레이부(400) 및 상기 음악연주부(500)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연산부(2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한 전자음악연주장치.
- 제2항에서,상기 입력부(100)의 센서는,외부 접촉을 감지하며, 금속 망(120)에 전도체(130)를 통하여 연결되는 접촉센서(110);를 포함하고,상기 발광부(300)의 발광체는,상기 금속 망(120)의 내부에 위치하는 발광다이오드(310) 또는 발광램프(380);를 포함하고,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부(210)는,상기 접촉센서(110)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금속 망(120) 내부의 발광체가 발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접촉센서(110)에서 감지된 신호를 상기 중앙제어부(22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한 전자음악연주장치.
- 제2항 또는 제3항에서,상기 입력부(100)의 센서는,외부 압력을 감지하며, 누름 버튼(160)의 하단부에 접촉되어 있는 압력센서(180);를 포함하고,상기 발광부(300)의 발광체는,상기 압력센서(180)와 동일한 수의 발광다이오드(310) 또는 발광램프(380)를 포함하고,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부(210)는,상기 압력센서(180)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대응하는 상기 발광체가 발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압력센서(180)에서 감지된 신호를 상기 중앙제어부(22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한 전자음악연주장치.
- 제2항에서,상기 메모리부(223)에 저장된 화상정보 및 소리정보는 어린이 음악교육용 그래픽정보와 소리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한 전자음악연주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4545A KR100756347B1 (ko) | 2006-08-08 | 2006-08-08 | 센서를 이용한 전자음악연주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4545A KR100756347B1 (ko) | 2006-08-08 | 2006-08-08 | 센서를 이용한 전자음악연주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56347B1 true KR100756347B1 (ko) | 2007-09-10 |
Family
ID=38736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74545A KR100756347B1 (ko) | 2006-08-08 | 2006-08-08 | 센서를 이용한 전자음악연주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56347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078730A1 (ru) * | 2009-12-21 | 2011-06-30 | Shamaev Alexey Nikolaevich | Способ видеопредставления для побуждения к изменению высоты звука вокальной партии |
KR101311766B1 (ko) | 2011-09-29 | 2013-09-26 | (주)맨 텍 | 도전성 섬유 패드를 이용한 구름 타악기 |
KR20200034297A (ko) * | 2018-09-21 | 2020-03-31 | 원영빈 | 전류변화를 이용한 가상 피아노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76489A (ko) * | 2000-01-26 | 2001-08-16 | 정명식 | 센서를 이용한 가상 연주장치 및 그 방법 |
-
2006
- 2006-08-08 KR KR1020060074545A patent/KR10075634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76489A (ko) * | 2000-01-26 | 2001-08-16 | 정명식 | 센서를 이용한 가상 연주장치 및 그 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공개특허공보 2001-0076489호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078730A1 (ru) * | 2009-12-21 | 2011-06-30 | Shamaev Alexey Nikolaevich | Способ видеопредставления для побуждения к изменению высоты звука вокальной партии |
KR101311766B1 (ko) | 2011-09-29 | 2013-09-26 | (주)맨 텍 | 도전성 섬유 패드를 이용한 구름 타악기 |
KR20200034297A (ko) * | 2018-09-21 | 2020-03-31 | 원영빈 | 전류변화를 이용한 가상 피아노 |
KR102172410B1 (ko) * | 2018-09-21 | 2020-10-30 | 원영빈 | 전류변화를 이용한 가상 피아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53513B2 (en) | Toys with capacitive touch features | |
US20110132181A1 (en) | Wearable Trigger Electronic Percussion Music System | |
US20080250914A1 (en) | System, method and software for detecting signals generated by one or more sensors and translating those signals into auditory, visual or kinesthetic expression | |
MX2008013964A (es) | Juguete electronico con caracteristicas que pueden modificarse. | |
KR100756347B1 (ko) | 센서를 이용한 전자음악연주장치 | |
KR101113412B1 (ko) | 소리와 빛과 영상의 동시 구현이 가능한 터치식 연주기구 | |
CN213432959U (zh) | 新型数字乐器章鱼琴 | |
CN206400483U (zh) | 一种具有弹奏位置提示功能的音乐键盘 | |
TWM501119U (zh) | 具音樂識別之手套 | |
Walton | Two kinds of physicality in electronic and traditional music | |
CN106178545B (zh) | 一种音乐泡泡装置 | |
JP5750597B1 (ja) | 手指運動機能回復支援用の楽器および片手演奏用音楽譜面データの生成システム | |
TW201407600A (zh) | 樂器模擬彈奏方法以及電子裝置 | |
KR102699665B1 (ko) | 장단 리듬 전자 악기 | |
JP2003053047A (ja) | おしゃぶり型音具 | |
TWM369522U (en) | Game apparatus with music memorizing | |
WO2009128028A1 (en) | Musical keyboard instrument with training capabilities | |
Ko | The GLOBE: Evaluating Sensors for Interactive Computer Music Performance | |
JP2011039248A (ja) | 携帯型音出力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 |
KR200246586Y1 (ko) | 컴퓨터를 이용한 패더형 디지털 맬로디건반 | |
CN111760303A (zh) | 新型数字乐器章鱼琴 | |
GB2596380A (en) | Digital music instrument | |
KR200299762Y1 (ko) | 광건반 습득장치 | |
TWI465963B (zh) | 可攜式電子裝置 | |
JPH06130889A (ja) | 学習機能付電子楽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