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762Y1 - 광건반 습득장치 - Google Patents

광건반 습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762Y1
KR200299762Y1 KR20-2002-0021019U KR20020021019U KR200299762Y1 KR 200299762 Y1 KR200299762 Y1 KR 200299762Y1 KR 20020021019 U KR20020021019 U KR 20020021019U KR 200299762 Y1 KR200299762 Y1 KR 2002997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optical keyboard
optical
ligh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0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수
Original Assignee
박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수 filed Critical 박민수
Priority to KR20-2002-00210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7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7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7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10H1/0016Means for indicating which keys, frets or strings are to be actuated, e.g. using lights or le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8Practice keyboar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21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seven segments displays
    • G10H2220/026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seven segments displays associated with a key or other user input device, e.g. key indicator lights
    • G10H2220/031Blinking or flashing indicator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피아노의 건반에 접촉하게되면 접촉한 부위의 건반 자체가 빛을 발하며 사용자가 다음에 접촉해야하는 건반 자체가 다른 빛으로 빛을 발하는 광 건반 습득장치를 개시한다.
손 또는 신체의 일부가 접촉할 때 동작하는 센서접촉부(11)와 건반자체가 빛을 발하게 하는 발광소자(6)로 구성된 광건반(10)과;
광건반(10)의 센서접촉부(11)에서 발생하는 미약한 신호와 CPU(2)에 입력할 수 있는 신호의 형태로 변환하여 주는 입력장치(4)와;
CPU(2)의 제어를 받아서 광건반(10)의 발광소자(6)를 발광하는데 필요한 전압과 발광하고자 하는 광건반(10)를 발광하기 위하여 동작하는 출력장치(3)와;
입력장치(4)와 메모리부(1)의 메모리된 내용에 따라서 출력장치(3)를 제어하기 위한 CPU(2)와;
연주 하고자 하는 연주의 정보가 저장되어 CPU(2)에 의하여 동작하는 메모리부(1);로 구성된 빛을 발생하는 장식적 효과와 건반을 통하여 연주곡을 연습할 수 있는 광건반 습득장치를 만드는데 있다.

Description

광건반 습득장치{A light keyboard acquirement device}
본 고안은 사용자가 피아노의 건반에 접촉하게되면 접촉한 부위의 건반 자체가 빛을 발하며 사용자가 다음에 접촉해야하는 건반 자체가 다른 빛으로 빛을 발하는 장식적 효과와 건반을 통하여 연주곡을 연습할 수 있는 광 건반 습득장치이다.
기존의 피아노와 오르간 및 전자키보드을 동작하기 위하여 사람이 손가락으로 치는 부분의 조합으로 건반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건반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악보책을 보고서 연습하거나 건반에 익숙한 선생이나 책을 보고서 연습을 하게 된다.
하지만 초보자 및 새로운 곡을 연주하는 사용자는 악보책를 보면서 피아노를 연습한는데 있어서 피아노에 대한 능숙도에 따라서 연습하는데 시간이 걸리게 된다.
또한 건반은 단순한 연주를 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눌러야하는 기능으로 밖에 사용되고 있지 않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피아노의 건반에 접촉하게되면 접촉한 부위의 건반 자체가 빛을 발하며 사용자가 다음에 접촉해야하는 건반 자체가 다른 빛으로 빛을 발하게 되어서 순차적으로 빛나는 건반을 누르게 되면 연주곡이 완성되게 되는 장치를 만듬으로서 건반이 빛나는 장식적인 건반과 사용자가 악보책를 보지 않고 건반을 보면서도 연주곡을 연주할 수 있는 광건반 습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광건반 습득장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광건반 습득장치 일실시예의 광건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를 절개한 상태도이다.
도 3과 도4와 도5와 도6과 도7은 광건반(10)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메모리부 2. CPU 3. 출력장치
4. 입력장치 5. 건반 6.발광소자
7. PCB 8. 출력신호선 9. 입력신호선
10. 광건반 11. 센서접촉부 12. 내부판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사용자가 피아노의 건반에 접촉하게되면 접촉한 부위의 건반 자체가 빛을 발하며 사용자가 다음에 접촉해야하는 건반 자체가 다른 빛으로 빛을 발함으로서 장식적 효과와 건반을 통하여 연주곡을 연습할 수 있는 광 건반 습득장치를 구동하기 위하여,
손 또는 신체의 일부가 접촉할 때 동작하는 센서접촉부(11)와 전반 자체가 빛을 발하게 하는 발광소자(6)로 구성된 광건반(10)과;
광건반(10)의 센서접촉부(11)에서 발생하는 미약한 신호와 CPU(2)에 입력할 수 있는 신호의 형태로 변환하여 주는 입력장치(4)와;
CPU(2)의 제어를 받아서 광건반(10)의 발광소자(6)를 발광하는데 필요한 전압과 발광하고자 하는 광건반(10)를 발광하기 위하여 동작하는 출력장치(3)와;
입력장치(4)와 메모리부(1)의 메모리된 내용에 따라서 출력장치(3)를 제어하기 위한 CPU(2)와;
연주 하고자 하는 연주의 정보가 저장되어 CPU(2)에 의하여 동작하는 메모리부(1);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광건반 습득장치를 설명할 수 있는 하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광건반 습득장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광건반 습득장치 일실시예의 광건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를 절개한 상태도이다.
도 3과 도4와 도5와 도6과 도7은 광건반(10)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설명하면,
사용자가 피아노의 건반에 접촉하게되면 접촉한 부위의 건반 자체가 빛을 발하며 사용자가 다음에 접촉해야하는 건반 자체가 다른 빛으로 빛을 발하는 광 건반습득장치를 구동하기 위하여
손 또는 신체의 일부가 접촉할 때 동작하는 센서접촉부(11)와 건반 자체가 빛을 발하게 하는 발광소자(6)로 구성된 광건반(10)과;
여기서 센서접촉부(11)은 손 또는 신체에 접촉할 수 있는 건반 표면에 전도성 코팅을 하여 사용자의 손 또는 신체에 존재하고 있는 전기 또는 정전기가 유입될 수 있는 전도성 코팅 자체를 센서접촉부(11)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센서접촉부(11)의 모양은 건반 표면과 같은 모양으로 건반 표면보다 작은 전반모양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6에의 긴 모양과 같은 센서접촉부(11-1)와 타원형의 모양과 같은 센서접촉부(11-2)와 사각형의 모양과 같은 센서접촉부(11-3)와 글씨 모양과 같은 센서접촉부(11-4)와 건반자체로 된 센서접촉부(11-5)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센서접촉부(11)는 입력신호선(9)를 통하여 입력장치(4)와 연결된다.
또한 여기서 전도성 코팅은 LED(14)의 빛을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는 코팅이 바람직하며 장식적인 외부의 효과와 전기의 전도률을 높이거나 낮추기 위하여 반코팅 및 특정 색과 모양을 첨가하여 표면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센서접촉부(11)는 금,은,동,철과 같은 전기적 성질을 갖는 금속재료 및 반도체 성질의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도 7의 LED(6-6)과 또 다른 LED(6-7)와 같이 광건반(10)을 구성하는 발광소자(6)가 건반의 외부에 존재하게 되어 사용자가 건반에 접촉하게되면 접촉한 부위의 건반과 상응하는 LED가 빛을 발하며 사용자가 다음에 접촉해야하는 건반에 상응하는 LED가 빛을 발생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발광소자(6)는 도2와 같이 건반의 내부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4의 측면도1에서와 같이 광건반(10-3)의 후면에 LED(6-4)을 포함하는 PCB(7-1)로 구성된 발광소자(6)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발광소자(6)는 도2에서와 같이 광건반(10)의 내부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자의 재료로는 건반모양과 유사한 모양을 갖는 전기에 의하여 동작하는 모양으로된 발광소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LED(6)를 사용할 수 있으며 건반자체가 CPU(2)와 출력장치(3)의 제어를 받아서 광건반(10)이 빛을 발생할 수 있도록 건반의 주위에서 빛을 비추거나 내부에 존재하는 소자 및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발광소자(6)로 LED를 사용할 경우에는 도4와 도5에서와 같이 SMD가 가능한 CHIP 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름이Φ2와Φ3와Φ5인 LED와 Ellipse Type, Side View Type, Rectangle Type, Dual Color의 LED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발광소자(6)의 발광 색은 적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녹색, 청색, 노랑색, 자주색등 농도에 상관없이 외부에서 빛으로서 인지를 할 수 있는 자연색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색의 의미에 있어서 장애인이나 색의 판별이 어려운 경우에는 그 목적에 맞는 별도의 색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여기서 광건반(10)은 내부의 발광소자(6)의 빛을 외부에 전달이 가능한 투명한 크리스탈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리와 투명 또는 반투명한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광건반(10)은 도2에서와 같이 광건반(10)의 윗표면에 센서접촉부(11)와 내부에는 발광소자(6)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3과 같이 광건반(10) 내부에 발광소자(6-1)을 포함되어 있어서 광건반(10-1)이 빛을 발생함으로서 광건반(10-1)자체가 빛을 발생하게 할 수 있으며 발광소자(6-2)를 광건반(10-1)의 외부에 장착하여 광건반(10-1)를 비춰줌으로서 광건반(10-1)이 빛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광건반(10)의 구성은 도 4에서와 같이 광건반(10-2)이 빛을 발생하도록 도4의 측면도2에서와 같이 내부에 PCB(7-2)와 다수의 발광소자(6-5)로 구성된 광건반(10-4)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4의 측면도1에서와 같이 광건반(10)의 뒷면에 PCB(7-1)과 발광소자(6-4)로 구성된 광건반(10-3)으로 구성되어 발광소자(6-4)가 뒷면에서 광건반(10-3)을 비춰 광건반(10-3)자체가 빛을 발생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광건반(10)의 구성에 있어서 도5에서와 같이 광건반(10)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맨 위쪽에는 광건반(10-5)의 상건반이 존재하며 상건반의 아래에는 내부판1(12)가 존재하고 내부판1(12)의 아래에는 PCB(7-3)과 발광소자(6-6)으로 구성된 내부판2가 존재하고 내부판2의 아래에는 광건반(10-5)의 밑부분를 구성하는 하건반(10-6)으로 구성될수 있으며 이때에 내부판1은 내부판2에서 빛을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발광소자(6-6)와 PCB(7-3)의 구조가 가리거나 빛이 고르게 외부로 빛나게 하기 위한 장식적인 목적으로 반투명으로된 합성수지판과 반투명한 플라스틱으로사용할 수 있으며 광건반(10-5)의 상건반과 광건반(10-6)의 하건반의 조합으로 광건반(10)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광건반(10)의 구성에 있어서 도5에서 보면 광건반(10-5)의 상건반과 상건반의 아래에 내부판1과 내부판2으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광건반(10)을 구성하는 발광소자(6)를 외부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도7을 들어 설명하면 도7의 도면에서의 표시된 광건반(10)의 '솔'을 접촉하게 되면 그에 상응하는 위쪽의 발광소자(6-7)가 빛을 발생하게 되며 도면에서 표시된 다른 광건반(10)인 '시'를 접촉하게 되면 그에 상응하는 위쪽의 발광소자(6-11)가 빛을 발생하게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발광소자(6)는 CPU(2)의 제어에 따라서 다음에 접촉해야하는 광건반(10)에 상응하는 다른 발광소자(6)가 빛을 발생하도록 구성하여 사용 할 수 있다.
한편 광건반(10)의 센서접촉부(11)에서 발생하는 미약한 신호와 CPU(2)에 입력할 수 있는 신호의 형태로 변환하여 주는 입력장치(4)와;
한편 CPU(2)의 제어를 받아서 광건반(10)의 발광소자(6)를 발광하는 데 필요한 전압과 발광하고자 하는 광건반(10)를 발광하기 위하여 동작하는 출력장치(3)와;
한편 입력장치(4)와 메모리부(1)의 메모리된 내용에 따라서 출력장치(3)를 제어하기 위한 CPU(2)와;
여기서 CPU(2)는 입력장치(4)로부터 각각의 광건반(10)의 센서접촉부(11)에서 사용자의 손 또는 신체가 접촉될때의 접촉여부를 입력장치(4)를 통하여 입력받으며 출력장치(3)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손 또는 신체가 접촉한 광건반(10)의 발광소자(6)을 동작시켜 사용자의 손 또는 신체가 접촉과 동시에 광 건반(10)이 빛을 발생하게 한다.
또한 여기서 CPU(2)는 센서접촉부(11)에서 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메모리부(1)의 내용을 읽어서 사용자가 다음에 눌려야할 광건반(10)의 발광소자(6)를 일정시간 이후에 작동시킴으로서 사용자는 다음에 눌려야할 광건반(10)을 인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CPU(2)에 의하여 동작하는 메모리부(1)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동작하는 광건반(10)를 순차적으로 누르게 되면 사용자가 배우려는 메모리부(1)에 내장된 연주곡을 연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여기서 CPU(2)는 연주곡의 속도를 느리게 하여 사용자가 다음에 눌러야할 광건반(10)를 천천히 누르게 할 수 있다.
한편 연주 하고자 하는 연주의 정보가 저장되어 CPU(2)에 의하여 동작하는 메모리부(1);로 구성된 광 건반 습득장치로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메모리부(1)은 연주곡이 다수 메모리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또한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가 피아노의 건반에 접촉하게되면 접촉한 부위의 건반 자체가 빛을 발하며 사용자가 다음에 접촉해야하는 건반 자체가 빛으로 발하게 되어서 순차적으로 빛나는 건반을 누르게 되면 연주곡이 완성되게 되는 장치를 만듬으로서 빛나는 장식적인 건반과 사용자가 악보책를 보지 않고 건반을 보면서도 연주곡을 연주할 수 있는 광건반 습득장치를 제공함으로서 광에 의한 장식적인 건반과 습득장치로 고품질화된 제품으로 경쟁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사용자가 피아노의 건반에 접촉하게되면 접촉한 부위의 건반 자체가 빛을 발하며 사용자가 다음에 접촉해야하는 건반 자체가 다른 빛으로 빛을 발하는 장식적 효과와 건반을 통하여 연주곡을 연습할 수 있는 광 건반 습득장치를 구성하기 위하여,
    손 또는 신체의 일부가 접촉할 때 동작하는 센서접촉부(11)와 건반자체가 빛을 발하게 하는 발광소자(6)로 구성된 광건반(10)과:
    광건반(10)의 센서접촉부(11)에서 발생하는 미약한 신호와 CPU(2)에 입력할 수 있는 신호의 형태로 변환하여 주는 입력장치(4)와;
    CPU(2)의 제어를 받아서 광건반(10)의 발광소자(6)를 발광하는데 필요한 전압과 발광하고자 하는 광건반(10)를 발광하기 위하여 동작하는 출력장치(3)와;
    입력장치(4)와 메모리부(1)의 메모리된 내용에 따라서 출력장치(3)를 제어하기 위한 CPU(2)와;
    연주 하고자 하는 연주의 정보가 저장되어 CPU(2)에 의하여 동작하는 메모리부(1);로 구성된 광건반 습득장치.
  2. 1항에 있어서 광건반 습득장치의 광건반(10)의 윗표면에 센서접촉부(11)와 내부에는 발광소자(6)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광건반 습득장치.
  3. 1항에 있어서 센서접촉부(11)에서 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메모리부(1)의 내용을 읽어서 사용자가 다음에 눌려야할 광건반(10)의 발광소자(6)를 일정시간 이후에 작동시킴으로서 사용자는 다음에 눌려야할 광건반(10)를 인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광건반 습득장치.
  4. 1항에 있어서 광건반(10)을 구성하는 발광소자(6)를 외부에 장착하여 사용하여 광건반(10)에 접촉하게 되면 그에 상응하는 위쪽의 발광소자(6-7)가 빛을 발생하게 되며 다른 광건반(10)을 접촉하게 되면 그에 상응하는 위쪽의 발광소자(6-11)가 빛을 발생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건반 습득장치.
  5. 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 또는 피부가 접촉한 광건반(10)의 발광소자(6)를 동작시켜 사용자의 손 또는 신체가 접촉과 동시에 광건반(10)이 빛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건반 습득장치.
KR20-2002-0021019U 2002-07-10 2002-07-10 광건반 습득장치 KR2002997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019U KR200299762Y1 (ko) 2002-07-10 2002-07-10 광건반 습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019U KR200299762Y1 (ko) 2002-07-10 2002-07-10 광건반 습득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066A Division KR20020073457A (ko) 2002-08-16 2002-08-16 광건반 습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762Y1 true KR200299762Y1 (ko) 2003-01-06

Family

ID=49397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019U KR200299762Y1 (ko) 2002-07-10 2002-07-10 광건반 습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7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3513B2 (en) Toys with capacitive touch features
CN209028503U (zh) 电子设备
US9836992B2 (en) Interactive piano training system
US20110088535A1 (en) digital instrument
US96904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the state of user interface element marked on physical objects
EP3036732A2 (en) Interactive piano training system
WO20151134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the state of user interface element marked on physical objects
KR200299762Y1 (ko) 광건반 습득장치
US20070096456A1 (en) Folders with Entertainment Functionality
KR20020073457A (ko) 광건반 습득장치
KR20060063758A (ko) 게임 기계
CN201940035U (zh) 一种电容式触控感测电子玩具
CN205334950U (zh) 一种可穿戴式midi电子音乐合成器
US20180059803A1 (en) Keyboard
WO2020257608A1 (en) Toys with capacitive touch features
WO2018015743A1 (en) Signall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TWM501119U (zh) 具音樂識別之手套
CN220155171U (zh) 用于电子打击乐演奏的琴键
WO2009128028A1 (en) Musical keyboard instrument with training capabilities
KR100737534B1 (ko) 접촉 센서를 이용한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0824586B1 (ko) 교구용 보드
CN106802757A (zh) 光源控制方法及终端装置
McElligott et al. 'PegLegs in Music'-Processing the Effort Generated by Levels of Expressive Gesturing in Music.
Ko The GLOBE: Evaluating Sensors for Interactive Computer Music Performance
CN116386398A (zh) 一种按压式有声跟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