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6023B1 -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누름장치 - Google Patents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누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6023B1
KR100756023B1 KR1020060084365A KR20060084365A KR100756023B1 KR 100756023 B1 KR100756023 B1 KR 100756023B1 KR 1020060084365 A KR1020060084365 A KR 1020060084365A KR 20060084365 A KR20060084365 A KR 20060084365A KR 100756023 B1 KR100756023 B1 KR 100756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plate
retainer
holder
mold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4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4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60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5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specially adapted for multi-stag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7/00Presse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arrangement of the press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누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이가 설치되는 하형리테이너(54)가 구비되는 하형홀더(50)와, 상기 하형홀더(50)의 상방에 구비되고 상기 하형홀더(50)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하고 펀치가 설치되는 상형리테이너(64)가 구비되는 상형홀더(60)와, 상기 상형홀더(60) 측에 상기 상형리테이너(64)와의 사이에 소정의 틈새를 가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다이에 안착된 모재를 펀치의 타격전에 상기 다이에 눌러주는 누름판(70)과, 상기 누름판(70)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상기 상형홀더(60)의 하면에 상형홀더(60)의 하부로부터 체결되는 체결볼트(82)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누름판(70)이 걸어지는 걸이턱(71)이 형성되는 걸이구(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누름장치에 의하면 상형홀더의 상부가 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누름판을 분리할 수 있어 모재누름장치의 유지보수가 별도의 부품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누름판을 상형홀더에 걸이구로 걸어주므로 누름판 내에 부품을 배치하기 위한 설계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프로그레시브 금형, 모재, 누름

Description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누름장치{Basic material pushing apparatus of progressive mold}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누름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재누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구성을 보인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상형홀더 측을 보인 저면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걸이구의 측면도 및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프로그레시브 금형이 열린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하형홀더 52: 백킹플레이트
54; 하형리테이너 56:봉안내부시
58: 파이롯트안내부시 58': 탄성부재
59: 가이드포스트 60: 상형홀더
62: 백킹플레이트 64: 상형리테이너
66: 내측가이드봉 68: 부싱
69: 볼베어링 70: 누름판
71: 걸이턱 72: 봉안내부시
74: 파이롯트핀 76: 걸이구
78: 걸이단 80: 볼트공
82: 체결볼트
본 발명은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모재를 하형에 설치된 다이 측에 눌러 고정시키는 모재누름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누름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하형홀더(10)상에는 백킹플레이트(12)와 하형리테이너(14)가 고정되어 장착된다. 상기 하형리테이너(14)에는 모재의 가공을 위한 다이(도시되지 않음)가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 하형리테이너(14)를 관통하여서는 봉안내공(16)이 형성되고, 상기 하형리테이너(14)를 벗어난 상기 하형홀더(10) 상에는 가이드포스트(18)가 설치된다. 상기 봉안내공(16)과 가이드포스크(18)는 모두 하형홀더(10)측과 아래에서 설명될 상형홀더(20)측이 서로 정확하게 상대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형홀더(20)의 하면에는 백킹플레이트(22)와 상형리테이너(24)가 설치된다. 상기 상형홀더(20)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승강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22)와 상형리테이너(24)는 상기 상형홀더(20)에 함께 고정되어 장착된다. 상기 상형리테이너(24)에는 상기 하형리테이너(14)의 다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펀치(도시되지 않음)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상형리테이너(24)에는 상기 봉안내공(16)과 대응되는 위치에 내측가이드봉(16)이 설치된다. 상기 내측가이드봉(16)은 아래에서 설명될 누름판(30)을 관통하여 상기 하형리테이너(14)쪽으로 연장된다. 상기 상형홀더(20)에는 부싱(28)이 설치되는데, 상기 부싱(28)은 상기 가이드포스트(18)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포스크(18)가 그 내부로 선택적으로 삽입되게 한다.
누름판(30)은 상기 하형리테이너(14)의 다이 상에 모재를 눌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누름판(30)에는 상기 내측가이드봉(26)의 관통을 위한 봉안내공(32)이 천공된다.
한편, 상기 누름판(30)을 상기 상형리테이너(24)의 하부에 설치하기 위해 상기 상형홀더(20)의 상부로 개구되게 안착공간(20')이 형성되는데, 상기 안착공간(20')에는 승강로드(34)가 탄성부재(36)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된다. 상기 승강로드(34)는 상기 백킹플레이트(22)와 상형리테이너(24)를 관통하여 상기 누름판(30)에 연결된다. 실제로 상기 상형홀더(20)와 누름판(30)의 연결은 상기 승강로드(34)를 관통하는 체결볼트(38)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볼트(38)는 상기 승강로 드(34)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누름판(30)에 체결되고, 상기 승강로드(34) 및 누름판(30)과 함께 승강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누름판(30)은 상기 상형홀더(20)의 하부측에 장착되어 있는데, 이를 상형홀더(2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누름판(30)을 지면에 안착되게 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여야 한다. 하지만, 상기 상형홀더(20)의 하부로는 다수개의 펀치가 돌출되어 있는 등, 상형홀더(20)의 하부를 지면에 놓을 수는 없다. 따라서, 상기 상형홀더(20)측을 공중에 매달은 상태로 누름판(30)을 분리하거나 별도의 지지블럭 사이에 펀치가 위치되도록 하여 상형홀더(20)를 지면에 안착시켜야 하는 등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일단 상기 체결볼트(38)를 푼 후에는 중량물인 상기 상형홀더(20)를 들어내야 상기 누름판(30)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누름판(30)을 상형홀더(20) 측에서 분리하는 작업의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체결볼트(38)는 상기 누름판(30)에 직접 체결되는데, 적어도 4군데 이상에서 체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누름판(30)에 상기 체결볼트(38)의 체결을 위한 구성이 차지하는 면적이 넓어져 상기 누름판(30)에 부품의 설치를 위한 설계가 매우 어렵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누름판을 상형홀더의 하면쪽에서 체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누름판을 상형홀더에 장착하기 위해 누름판의 가장자리에 걸이구로 걸어주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이가 설치되는 하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하형홀더와, 상기 하형홀더의 상방에 구비되고 상기 하형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하고 펀치가 설치되는 상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상형홀더와, 상기 상형홀더 측에 상기 상형리테이너와의 사이에 소정의 틈새를 가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다이에 안착된 모재를 펀치의 타격전에 상기 다이에 눌러주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상기 상형홀더의 하면에 상형홀더의 하부로부터 체결되는 체결볼트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누름판이 걸어지는 걸이턱이 형성되는 걸이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형리테이너를 관통하여 상기 누름판을 밀어주는 누름핀이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기 상형홀더 측에 설치된다.
상기 걸이구의 선단에는 상기 누름판의 걸이턱에 걸어지는 걸이단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을 상기 상형리테이너와의 사이에 소정의 틈새가 구비되도록 걸어서 지지한다.
상기 누름판을 관통하여서는 상기 상형홀더측에 설치된 내측가이드봉이 상기 하형홀더에 설치된 하형리테이너의 봉안내부시에 선택적으로 입출된다.
상기 누름판에는 파이롯트핀이 상기 하형리테이너를 향해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하형리테이너에는 상기 파이롯트핀이 삽입되는 파이롯트안내부시가 구비되어 모재가 다이 상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누름장치에 의하면 상형홀더의 상부가 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누름판을 분리할 수 있어 모재누름장치의 유지보수가 별도의 부품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누름판을 상형홀더에 걸이구로 걸어주므로 누름판 내에 부품을 배치하기 위한 설계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누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모재누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구성을 보인 개략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상형홀더 측을 보인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a 및 도 4b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걸이구의 측면도 및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형홀더(50)상에는 백킹플레이트(52)와 하형리테이너(54)가 장착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52)와 하형리테이너(54)는 상기 하형홀더(50)상에 함께 체결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52)는 실질적으로 하형리테이너(54)의 일부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상기 하형리테이너(54)에는 다이(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상기 다이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가공되는 모재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다이는 다수개가 상기 하형리테이너(54)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형리테이너(54)를 관통하여서는 다수 곳에 봉안내부시(56)가 설치된다. 상기 봉안내부시(56)는 아래에서 설명될 내측가이드봉(66)을 안내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내측가이드봉(66)의 갯수에서 알 수 있듯이, 총 4군데에 봉안내부시(56)가 설치된다.
상기 하형리테이너(54)에는 작업시에 모재가 정확한 위치에 있도록 하기 위해 파이롯트안내부시(58)가 설치된다. 상기 파이롯트안내부시(58)는 탄성부재(58)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파이롯트안내부시(58)는 상기 하형리테이너(54)와 백킹플레이트(52)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한편, 상기 하형리테이너(54)를 벗어난 하형홀더(50) 상에는 가이드포스트(59)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포스트(59)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형홀더(60)와의 상대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포스트(59)는 본 실시예의 도면에 총 4개가 사용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여러가지 설계조건에 따라 달리될 수 있다.
상기 하형홀더(50)측의 상부에 하형홀더(50)와 마주보게 상형홀더(60)가 설치된다. 상기 상형홀더(60)의 하면에는 백킹플레이트(62)와 상형리테이너(64)가 설치된다. 상기 상형홀더(60)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승강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62)와 상형리테이너(64)는 상기 상형홀더(60)에 함께 장착된다. 실제로 상기 백킹플레이트(62)는 상기 상형리테이너(64)의 일부라고 볼 수 있다.
상기 상형리테이너(64)에는 펀치(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상기 펀치는 상기 상형홀더와 일체로 구동되는 것이다. 상기 펀치는 상기 하형리테이너(54)의 다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상형리테이너(64)에는 내측가이드봉(66)이 아래에서 설명될 누름판(70)을 관통하여 상기 하형리테이너(54)의 봉안내부시(56)를 향해 연장되게 설치된다. 상기 내측가이드봉(66)은 상기 상형홀더(60)와 하형홀더(50)측의 상대 위치 및 아래에서 설명될 누름판(70)의 상대 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내측가이드봉(66)은 상기 봉안내부시(56)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한편, 상기 상형홀더(60)에는 상기 가이드포스트(59)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부싱(68)이 설치된다. 상기 부싱(68)은 상기 가이드포스트(59)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하형홀더(50)에 대해 상형홀더(60)가 상대 이동함에 의해 상기 부싱(68)에 삽입되어 하형홀더(50)와 상형홀더(60) 사이의 상대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한다. 상기 부싱(68)의 내면에는 볼베어링(68')이 설치되어 가이드포스트(59)와의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시켜준다.
누름판(70)은 상기 상형홀더(60)측에 설치되는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누름판(70)은 상기 상형리테이너(64)의 하부에 위치되게 상기 상형홀더(60)에 지지된다. 상기 누름판(70)은 상기 다이 상의 모재를 눌러주어, 모재의 가공시에 모재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모재를 다이 상에 눌러주는 부분은 상기 누름판(70)의 특정 부분인데, 이 부분은 누름판(70)과 별개로 제작되어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누름판(70)은 상기 상형리테이너(64)와 거의 같은 형상 과 면적을 가지는 것으로, 대략 사각형 판상이다. 참고로 상기 펀치들은 상기 누름판(70)을 관통한다.
상기 누름판(70)의 서로 대응되는 가장자리에는 걸이턱(71)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71)은 상기 누름판(70)의 측면에 누름판(70)의 하면 가장자리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7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구(76)의 걸이단(78)이 걸어진다.
상기 누름판(70)을 관통하여서는 상기 내측가이드봉(66)이 통과하는 봉안내부시(72)가 설치된다. 상기 봉안내부시(72)는 상기 하형리테이너(54)의 봉안내부시(56)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누름판(70)의 하면으로 돌출되게 파이롯트핀(74)이 설치된다. 상기 파이롯트핀(74)은 상기 파이롯트안내부시(58)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파이롯트안내부(58)의 내외부로 입출된다. 상기 파이롯트핀(74)은 모재가 다이 상의 정확한 위치에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누름판(70)을 상기 상형리테이너(64)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형홀더(60)에 고정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누름판(70)의 가장자리에 걸어지게 걸이구(76)가 사용된다. 상기 걸이구(76)는 상기 상형홀더(60)에 고정되는 것으로, 그 선단에 상기 누름판(70)의 걸이턱(71)에 걸어지는 걸이단(78)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단(78)을 포함하는 구성은 도 4a 및 도 4b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걸이구(76)는 사각기둥형상으로 선단에 돌출되어 상기 누름판(70)의 걸이턱(71)에 걸어지는 걸이단(78)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구(76)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게 볼트 공(80)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공(80)을 관통하여서 상기 상형홀더(60)에 체결되도록 체결볼트(82)가 설치된다. 상기 체결볼트(82)는 상기 걸이구(76)의 볼트공(80)을 관통하여 상기 상형홀더(60)의 하면에 체결된다.
이와 같이 체결볼트(82)에 의해 상형홀더(60)에 체결되는 걸이구(76)는 본 실시예에서 총 4개가 사용되었다. 하지만, 상기 걸이구(76)의 사용갯수는 상기 누름판(70)의 크기와 무게 등의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누름판(70)은 상기 걸이구(76)의 걸이단(78)에 상기 걸이턱(71)이 걸어졌을 때, 상기 상형리테이너(64)와의 사이에 소정의 틈새가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누름판(70)은 상기 걸이구(76)에 걸어지고 상기 상형리테이너(64)쪽으로 틈새만큼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누름판(70)을 상기 상형리테이너(64)에서 멀어지도록 밀어주는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상형홀더(60), 백킹플레이트(62) 및 상형리테이너(64)를 관통하여서는 누름핀(84)이 설치된다. 상기 누름핀(84)은 상기 상형홀더(60)의 안착공간(60')에서 상기 백킹플레이트(62)와 상형리테이너(64)를 관통하여 선단이 상기 누름판(70)에 밀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누름핀(84)은 상기 안착공간(60') 내에서 탄성부재(86)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탄성부재(86)는 상기 누름핀(84)이 상기 상형리테이어(6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누름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는 긴 띠모양의 모재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터미널 등의 최종 제품을 만들기 위한 가공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이와 같은 가공은 다이 상에 모재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펀치가 모재에 힘을 가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모재에 의해 만들어지는 제품의 크기가 매우 작은 경우 펀치가 모재에 힘을 가할 때, 모재가 펀치와 함께 따라 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펀치가 모재에 힘을 가하지 전에 미리 모재를 다이에 눌러주는 것이 누름판(70)이다.
즉, 이전의 공정이 수행된 후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형홀더(50) 측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형홀더(60)측이 상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모재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모재의 이동이 일어나서 모재의 각각의 부분이 각각 다음의 공정이 수행된 다이 상에 안착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도 5의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이때에는 상기 누름판(70)이 그 자중 및 상기 누름핀(84)이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걸이구(76)의 걸이단(78)에 상기 걸이턱(71)이 걸어진 상태가 된다. 즉, 상기 누름판(70)은 상기 상형리테이너(64)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상기 상형홀더(60) 측이 하강하면 상기 하형리테이너(54)의 다이 상에 상기 누름판(70)이 먼저 안착된다. 이와 같이 누름판(70)이 다이에 안착되면 모재가 누름판(70)에 의해 다이 상에 눌러진다.
그리고, 계속하여 상기 상형홀더(60) 측이 하강하면 상기 상형리테이너(64)는 상기 누름판(70)을 누르게 된다. 이때, 상기 상형리테이너(64)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판(70)을 관통한 펀치는 상기 하형리테이너(54)의 다이에 안착된 모재를 타격하게 된다. 물론, 상기 펀치는 상기 누름판(70)을 관통하고 있어 누름판(70)과는 간섭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모재를 타격함에 의해 원하는 성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재를 펀치가 타격하는 순간에는, 상기 상형리테이너(64)가 상기 누름판(70)에 안착되거나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된다. 물론 이때도 상기 누름판(70)은 상기 누름핀(84)에 의해 밀리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다.
한편, 펀치가 모재를 타격한 후에 상형홀더(60)가 다시 상승하게 되더라도, 즉시 상기 누름판(70)이 하형리테이너(54)의 다이에서 분리되지는 않는다. 이는 상기 누름판(70)이 상기 누름핀(84)에 의해 눌러져 있고, 상기 누름판(70)이 자중을 가지기 때문이다. 일단, 상기 상형홀더(60)가 어느 정도 상승하면 상기 걸이구(76)의 걸이단(78)이 상기 누름판(70)의 걸이턱(71)에 걸어지면서 누름핀(70)이 상기 상형홀더(60)와 함께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 모재가 펀치와 함께 따라 올라오지 않고 다이 상에 안착되어 있게 된다. 물론, 상기 펀치가 상기 모재에서 빠져나온 후에 상기 누름판(70)이 다시 상승하게 되어 이후에 있을 모재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누름판(70)은 상기 누름핀(84)에 의해 눌러지지 않고 그 자 중에 의해 상기 다이상에 모재를 눌러주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누름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모재를 다이 상에 눌러주는 누름판이 상형홀더의 하면에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걸이구에 걸어진다. 따라서, 상기 누름판을 상형홀더의 하면쪽에서 체결할 수 있어 누름판을 상형홀더에 장착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즉, 상형홀더의 상부가 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누름판을 분리할 수 있어 모재누름장치의 유지보수가 별도의 부품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누름판을 상형홀더에 걸이구로 걸어주므로 누름판 내에 부품을 배치하기 위한 설계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누름판을 상형홀더에 장착하기 위해 누름판의 가장자리를 걸이구로 걸어주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누름판의 가장자리를 걸이구로 걸어줌에 의해 누름판의 고정을 위한 구성이 누름판의 가장자리 주변을 둘러 설치되므로 상기 누름판 내에 누름판의 고정을 위한 구성이 설치되지 않아도 되어 누름판 내에 부품을 배치하기 위한 설계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다이가 설치되는 하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하형홀더와,
    상기 하형홀더의 상방에 구비되고 상기 하형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하고 펀치가 설치되는 상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상형홀더와,
    상기 상형홀더 측에 상기 상형리테이너와의 사이에 소정의 틈새를 가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다이에 안착된 모재를 펀치의 타격전에 상기 다이에 눌러주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상기 상형홀더의 하면에 상형홀더의 하부로부터 체결되는 체결볼트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누름판이 걸어지는 걸이턱이 형성되는 걸이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누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리테이너를 관통하여 상기 누름판을 밀어주는 누름핀이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기 상형홀더 측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누름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의 선단에는 상기 누름판의 걸 이턱에 걸어지는 걸이단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을 상기 상형리테이너와의 사이에 소정의 틈새가 구비되도록 걸어서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누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을 관통하여서는 상기 상형홀더측에 설치된 내측가이드봉이 상기 하형홀더에 설치된 하형리테이너의 봉안내부시에 선택적으로 입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누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에는 파이롯트핀이 상기 하형리테이너를 향해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하형리테이너에는 상기 파이롯트핀이 삽입되는 파이롯트안내부시가 구비되어 모재가 다이 상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누름장치.
KR1020060084365A 2006-09-01 2006-09-01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누름장치 KR100756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365A KR100756023B1 (ko) 2006-09-01 2006-09-01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누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365A KR100756023B1 (ko) 2006-09-01 2006-09-01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누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6023B1 true KR100756023B1 (ko) 2007-09-07

Family

ID=38736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365A KR100756023B1 (ko) 2006-09-01 2006-09-01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누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6023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642B1 (ko) 2006-12-15 2007-10-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프로그레시브금형의 소재변형방지장치
KR100830702B1 (ko) 2007-03-30 2008-05-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돗트부 성형장치
KR200445638Y1 (ko) 2007-11-23 2009-08-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가이드장치
KR200448120Y1 (ko) 2008-04-22 2010-03-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프로그레시브 금형
KR100982935B1 (ko) * 2008-07-03 2010-09-17 브래디코리아유한회사 스피커 매쉬의 미세홀 펀칭방법
KR100982936B1 (ko) * 2008-07-03 2010-09-17 브래디코리아유한회사 스피커 매쉬의 미세홀 펀칭장치
KR101058897B1 (ko) 2009-01-02 2011-08-23 이재흥 와셔브라켓이 결합된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체결볼트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체결볼트
CN110355280A (zh) * 2019-08-16 2019-10-22 深圳数码模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汽车油路钣金件胀形模具
CN114029398A (zh) * 2021-11-29 2022-02-11 嘉兴市远超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管材全自动加工设备
CN114226548A (zh) * 2021-11-29 2022-03-25 嘉兴市远超自动化设备有限公司 管材全自动加工工艺及加工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699B1 (ko) * 2004-12-14 2006-05-29 유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연속금형의 디프드로잉 성형 홀더 지지구조
KR20060080575A (ko) * 2006-06-20 2006-07-10 손강식 파이프 벤딩방법 및 벤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699B1 (ko) * 2004-12-14 2006-05-29 유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연속금형의 디프드로잉 성형 홀더 지지구조
KR20060080575A (ko) * 2006-06-20 2006-07-10 손강식 파이프 벤딩방법 및 벤딩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특허 제2006-0080575호
한국등록특허 제10-0583699호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642B1 (ko) 2006-12-15 2007-10-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프로그레시브금형의 소재변형방지장치
KR100830702B1 (ko) 2007-03-30 2008-05-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돗트부 성형장치
KR200445638Y1 (ko) 2007-11-23 2009-08-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가이드장치
KR200448120Y1 (ko) 2008-04-22 2010-03-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프로그레시브 금형
KR100982935B1 (ko) * 2008-07-03 2010-09-17 브래디코리아유한회사 스피커 매쉬의 미세홀 펀칭방법
KR100982936B1 (ko) * 2008-07-03 2010-09-17 브래디코리아유한회사 스피커 매쉬의 미세홀 펀칭장치
KR101058897B1 (ko) 2009-01-02 2011-08-23 이재흥 와셔브라켓이 결합된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체결볼트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체결볼트
CN110355280A (zh) * 2019-08-16 2019-10-22 深圳数码模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汽车油路钣金件胀形模具
CN110355280B (zh) * 2019-08-16 2023-09-19 深圳数码模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汽车油路钣金件胀形模具
CN114029398A (zh) * 2021-11-29 2022-02-11 嘉兴市远超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管材全自动加工设备
CN114226548A (zh) * 2021-11-29 2022-03-25 嘉兴市远超自动化设备有限公司 管材全自动加工工艺及加工设备
CN114029398B (zh) * 2021-11-29 2024-04-16 嘉兴市远超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管材全自动加工设备
CN114226548B (zh) * 2021-11-29 2024-05-14 嘉兴市远超自动化设备有限公司 管材全自动加工工艺及加工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6023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누름장치
KR100766072B1 (ko) 프로그레시브금형의 소재안내장치
KR200448120Y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KR870001561B1 (ko) 펀치 프레스
KR20090006611U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CN109676017B (zh) 一种高精度型材打孔模具及打孔方法
CN210816983U (zh) 级进模的吊冲装置
CN112108558A (zh) 一种冲压模具
KR100756022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가동스트리퍼 및 그 가공방법
KR100846847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누름장치
KR101014608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스트리퍼 조립체
CN210148289U (zh) 一种服饰商标冲孔机
KR200448724Y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KR20090091402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안내장치
KR100838778B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터미널스트립 안내장치
KR20110098373A (ko) 이중 버링 장치
CN220444852U (zh) 一种调节式冲压装置
CN110548796A (zh) 一种机电加工用冲压装置
CN210115379U (zh) 一种级进模具的快拆结构
CN215150976U (zh) 成型机锁模装置
CN211848523U (zh) 一种服装面料的压花装置
CN220216451U (zh) 一种主板支架用连续冲压模
CN210211208U (zh) 一种用于餐具成型机上的上模冲压导向机构
CN217371035U (zh) 一种便于安装固定的型材焊接模具
CN210253844U (zh) 一种拉伸模卸料板的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