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995B1 - 압출기의 다이홀더 척킹장치 - Google Patents

압출기의 다이홀더 척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995B1
KR100755995B1 KR1020060039916A KR20060039916A KR100755995B1 KR 100755995 B1 KR100755995 B1 KR 100755995B1 KR 1020060039916 A KR1020060039916 A KR 1020060039916A KR 20060039916 A KR20060039916 A KR 20060039916A KR 100755995 B1 KR100755995 B1 KR 100755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holder
chucking
clamp
wedge
extru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승회
Original Assignee
구승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승회 filed Critical 구승회
Priority to KR1020060039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9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4Particle-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5Filamentary, e.g. str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69Filters or screens for the moulding material
    • B29C48/693Substantially flat filters mounted at the end of an extruder screw perpendicular to the feed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695Flow dividers, e.g. breake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B29B9/065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under-water, e.g. underwater pelletiz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0Making granules by moulding the material, i.e. treating it in the molten st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홀더의 클램프 및 언클램프를 유압으로 동작시킬 있도록 하여 부품의 교체 작업성을 향상하고, 조립 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압출기의 다이홀더 척킹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송스크류에 의해 혼련물을 다이홀더내에 장착된 쁘레카 플레이트를 통해 압출시키는 압출기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다이홀더의 하방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에 웨지부가 형성되어 회전 개폐가능하고, 폐쇄시 상기 다이홀더를 감싸는 한쌍의 클램프 척을 설치하고, 상기 다이홀더의 상방에 상기 클램프 척이 폐쇄 상태일때 하강하여 웨지부를 척킹하는 척킹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척킹실린더의 작동로드의 단부에는 상기 웨지부가 끼움되는 웨지홈을 갖는 웨지블록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출기, 혼련, 척킹실린더, 쁘레카 플레이트, 다이홀더

Description

압출기의 다이홀더 척킹장치{Die holder chucking device of extruder}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 압출기의 다이홀더 척킹장치의 조립단면도.
도 2는 도 1의 일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기의 다이홀더 척킹장치의 조립단면도.
도 4는 도 3의 일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쁘레카플레이트
14: 다이홀더
18A,18B: 클램프 척
18-1: 웨지부
30: 척킹실린더
34a: 웨지홈
50: 유압펌프
52: 방향제어밸브
54A,54B: 체크밸브
본 발명은 압출기 척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이홀더의 클램프 및 언클램프를 유압으로 동작시킬 있도록 하여 부품의 교체 작업성을 향상하고, 조립 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압출기의 다이홀더 척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출기란 혼련기에 배합된 혼련물(수지 또는 고무류)을 작은 알갱이(pallets)로 제조하는 기계이다. 압출기에는 혼련재료를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가 포함되어 있고, 이송스크류는 회전하면서 원주면에 형성된 선회날을 이용하여 혼련물을 배출구로 압출 이송시킨다. 이때 압출물은 이송스크류에 밀려서 쁘레카플레이트, 다이홀더, 다이의 순을 거치게 된다.
도 1은 종래 압출기의 이송스크류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좌측면도이다. 종래는 도 1,2에서와 같이 압출물이 이송스크류(10)에 압출되어 쁘레카 플레이트(12)를 거치면서 이물질 등이 걸러지고, 다이홀더(14)와 다이(16)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도시안된 커터에 의해 커팅되어 작은 수지 알갱이가 생산된다.
한편, 이물질을 걸러내는 메쉬망을 갖는 쁘레카플레이트(12)의 경우 메쉬망이 막힐 경우 교체를 하게 된다. 교체를 하기 위해 압출기의 이송스크류(10)를 정지시킨 후 척(18)을 벌려 다이홀더(14)를 분리시킨 후 쁘레카플레이트(12)의 메쉬 망을 교체한다. 이때 도 2와 같이 척(18)에 연결되어 있는 클램프 스크류(20)에 나사결합된 체결너트(7)를 공구(예로, 스패너)로 풀어준다.
이같이 메쉬망을 분리 교체한 후에는 역순으로 조립되어 척(18)이 클램프 스크류(20)와 너트(7)의 결합으로 척킹된다.
이와 같이 종래 압출기의 경우 쁘레카플레이트(12)의 메쉬망을 교체하려면 일일히 체결너트(7)를 일일히 수작업으로 풀고 조여야 하므로, 교체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적인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다이홀더의 클램프 및 언클램프를 유압으로 동작시킬 있도록 하여 부품의 교체 작업성을 향상하고, 조립 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압출기의 다이홀더 척킹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이송스크류에 의해 혼련물을 다이홀더내에 장착된 쁘레카 플레이트를 통해 압출시키는 압출기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다이홀더의 하방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에 웨지부가 형성되어 회전 개폐가능하고, 폐쇄시 상기 다이홀더를 감싸는 한쌍의 클램프 척을 설치하고,
상기 다이홀더의 상방에 상기 클램프 척이 폐쇄 상태일때 하강하여 웨지부를 척킹하는 척킹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척킹실린더의 작동로드의 단부에는 상기 웨지부가 끼움되는 웨지홈을 갖는 웨지블록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척킹실린더를 동작시키기 위한 유압회로에는 압유를 발생시키는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에서 토출된 압유의 방향을 결정하는 방향제어밸브와; 상기 방향제어밸브와 상기 척킹실린더를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된 체크밸브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기의 다이측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측면로서 척킹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압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8)내의 이송스크류(10)에 의해 혼련물을 다이홀더(14)내에 장착된 쁘레카 플레이트(12)를 통해 다이(16)로 압출시키는 압출기에 적용된다.
본 발명은 일단이 상기 다이홀더(14)의 하방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에 웨지부(18-1)가 형성되어 회전 개폐가능하고, 폐쇄시 상기 다이홀더를 감싸는 한쌍의 클램프 척(18A,18B)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한쌍의 클램프 척(18A,18B)은 일단이 압출기 본체(100)에 각기 힌지핀(14a)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에 경사면을 갖는 웨지부(18-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기 힌지핀(14a)을 중심으로 하여 한쌍의 클램프 척(18A,18B)이 회동하면서 상기 다이홀더(14)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다이홀더(14)의 상방에는 척킹실린더(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척킹실린더(30)는 브래킷(40)을 통해 압축기 본체(100)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척킹실린더(30)는 상기 클램프 척(18A,18B)이 폐쇄 상태일때 하강하여 웨지부(18-1)를 척킹하게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척킹실린더(30)의 작동로드(32)의 단부에는 상기 웨지부(18-1)가 끼움되는 웨지홈(34a)을 갖는 웨지블록(34)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웨지홈(34a)은 상기 웨지부(18-1)와 테이퍼 결합되는 부분으로 일정한 경사각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척킹실린더(30)를 동작시키기 위한 유압회로를 갖는다. 유압회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유를 발생시키는 유압펌프(50)와, 상기 유압펌프(50)에서 토출된 압유의 방향을 결정하는 방향제어밸브(52)와, 상기 방향제어밸브(52)와 상기 척킹실린더(30)를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된 체크밸브(54A,54B)가 포함된다.
미설명부호 '56'은 '감압밸브'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유압회로를 참고로 설명한다.
먼저, 도 4와 같이 웨지블록(34)이 하강 위치에 있을 경우 한쌍의 클램프 척(18A,18B)은 폐쇄 상태에 있는다.
이같은 상태에서 쁘레카 플레이트(12)를 분리해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작이 이루어진다.
도 5의 방향제어밸브(52)에 전기신호(A1)를 인가하면, 방향제어밸브(52)는 좌측으로 절환되고, 유압펌프(50)에서 발생된 압유는 체크밸브(54A)를 통해 척킹실린더(30)의 하부챔버에 유입된다. 따라서 작동로드(32)는 웨지블록(34)과 함께 상승동작한다. 이에 의해 클램프 척(18A,18B)의 웨지부(18-1)가 웨지블록(34)의 웨지홈(34a)에서 이탈된다.
이후 클램프 손잡이(19)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면 클램프 척(18A,18B)은 힌지핀(14a)을 중심으로 바깥측으로 벌어지고, 다이홀더(14)가 클램프 척(18A,18B)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된다. 다이홀더(14)가 분리되면 쁘레카 플레이트(12)의 탈거가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쁘레카 플레이트(12)의 메쉬망 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같이 하여 메쉬망의 교환이 이루어지면, 쁘레카 플레이트(12), 다이홀더(12)를 조립하고 클램프 척(18A,18B)을 닫은 다음, 이번에는 방향제어밸브(52)에 조작신호(A2)를 인가한다. 따라서 방향제어밸브(52)는 우측으로 절환된다.
따라서 유압펌프(50)의 압유는 체크밸브(54B)를 통해 척킹실린더(30)의 상부 챔버에 공급되고, 작동로드(32)와 함께 웨지블록(34)이 하강하여 클램프 척(18A,18B)의 웨지부(18-1)를 웨지홈(34a)을 이용하여 클램프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척킹실린더(30)에 공급되는 압유의 방향을 제어하는 전기적 신호조작만으로 클램프 척(18A,18B)의 클램프와 언클램프를 수행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너트를 풀고 조여야 하는 수작업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클램프 작업이 간단하고, 쁘레카 플레이트(12)의 메쉬망의 교체시간도 현저히 단축할 수 있고, 부가적으로 일정한 클램프이 확보되어 클램프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출기의 다이홀더 척킹장치에 따르면, 전기적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유압이 제어되어 클램프 척을 척킹실린더로서 해제 또는 록킹시킴으로서 쁘레카 플레이트의 메쉬망을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고, 작업자의 힘이 아닌 유압으로 교체 작업성이 편리해지는 이점을 가져온다.

Claims (2)

  1. 실린더(8)내의 이송스크류(10)에 의해 혼련물을 다이홀더(14)내에 장착된 쁘레카 플레이트(12)를 통해 압출시키는 압출기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다이홀더(14)의 하방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에 웨지부(18-1)가 형성되어 회전 개폐가능하고, 폐쇄시 상기 다이홀더를 감싸는 한쌍의 클램프 척(18A,18B)을 설치하고,
    상기 다이홀더(14)의 상방에 상기 클램프 척(18A,18B)이 폐쇄 상태일때 하강하여 웨지부(18-1)를 척킹하는 척킹실린더(30)가 설치되고, 상기 척킹실린더(30)의 작동로드의 단부에는 상기 웨지부(18-1)가 끼움되는 웨지홈(34a)을 갖는 웨지블록(3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의 다이홀더 척킹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척킹실린더(30)로 압유를 공급시키는 유압펌프(50)와;
    상기 유압펌프(50)에서 토출된 압유의 방향을 결정하는 방향제어밸브(52)와;
    상기 방향제어밸브(52)와 상기 척킹실린더(30)를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된 체크밸브(54A,54B)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의 다이홀더 척킹장치.
KR1020060039916A 2006-05-03 2006-05-03 압출기의 다이홀더 척킹장치 KR100755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916A KR100755995B1 (ko) 2006-05-03 2006-05-03 압출기의 다이홀더 척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916A KR100755995B1 (ko) 2006-05-03 2006-05-03 압출기의 다이홀더 척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5995B1 true KR100755995B1 (ko) 2007-09-06

Family

ID=38736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916A KR100755995B1 (ko) 2006-05-03 2006-05-03 압출기의 다이홀더 척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59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694Y1 (ko) 2009-06-30 2009-11-23 서동원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압출장치
KR20220165480A (ko) * 2021-06-08 2022-12-15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콘크리트 구조물 출력용 압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6548A (ko) 1973-08-06 1975-04-05
JPS61192823U (ko) 1985-05-25 1986-12-01
JP2000052405A (ja) 1998-08-04 2000-02-22 Japan Steel Works Ltd:The 押出機用クランプ装置
JP2006069018A (ja) 2004-09-01 2006-03-16 Sumitomo Rubber Ind Ltd 押出し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6548A (ko) 1973-08-06 1975-04-05
JPS61192823U (ko) 1985-05-25 1986-12-01
JP2000052405A (ja) 1998-08-04 2000-02-22 Japan Steel Works Ltd:The 押出機用クランプ装置
JP2006069018A (ja) 2004-09-01 2006-03-16 Sumitomo Rubber Ind Ltd 押出し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694Y1 (ko) 2009-06-30 2009-11-23 서동원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압출장치
KR20220165480A (ko) * 2021-06-08 2022-12-15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콘크리트 구조물 출력용 압출장치
KR102541911B1 (ko) 2021-06-08 2023-06-12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콘크리트 구조물 출력용 압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995B1 (ko) 압출기의 다이홀더 척킹장치
US3902835A (en) Extrusion apparatus with two part openable head
JP2017535454A (ja) 多重押出し成形ヘッド
JP4817818B2 (ja) 樹脂封止装置及びチェイスユニットの取り出し方法
US20050189025A1 (en) Diverter valve for an extruder, in particular a twin-screw extruder
US8281695B2 (en) Chip vacuum system
TWI537117B (zh) 具有一連接粒化裝置之多件式機殼之粒化裝置
KR20130040879A (ko) 로터리 니딩 머신의 툴 유닛
JP5694371B2 (ja) 押出機と共に使用する高圧リリーフ組立体および組立体ロック装置
KR101986992B1 (ko) 치공구용 클램핑 장치
US8833425B2 (en) Machine for regeneration of pneumatic tyres
KR100201236B1 (ko) 금형고정 파지장치
CN203125585U (zh) 剥皮装置以及包覆管剥皮机
KR20100061883A (ko) 스핀들의 에어 블로 장치
JP2006289976A (ja) 輪転印刷機械の印刷機構胴へ上張りを圧着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0240009902A1 (en) Filter device
US11994226B2 (en) Method of opening fluid control valve and fluid control valve used for the same
CN210679497U (zh) 安装镶块的模具
JP3570454B2 (ja) 脱型用エアー弁およびその取り外し方法
CN216503438U (zh) 六棱阀板复合加工装置
CN210587528U (zh) 一种可调节角度加工潜浇口的治具
EP1778015B1 (en) Adjustable expander die for use in drying elastomers
JP7218676B2 (ja) 振動溶着装置及び上型本体の取付方法
CN114536653A (zh) 夹紧系统
JP4785737B2 (ja) 合成エラストマーの乾燥に使用する可変ダ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