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694Y1 -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압출장치 - Google Patents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압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694Y1
KR200446694Y1 KR20090008418U KR20090008418U KR200446694Y1 KR 200446694 Y1 KR200446694 Y1 KR 200446694Y1 KR 20090008418 U KR20090008418 U KR 20090008418U KR 20090008418 U KR20090008418 U KR 20090008418U KR 200446694 Y1 KR200446694 Y1 KR 200446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dies
extrusion
insertion portion
ea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084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원
Original Assignee
서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동원 filed Critical 서동원
Priority to KR200900084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6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6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56Exchangeable extruder parts
    • B29C48/2566Di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압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송부 단부에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압출본체와, 상기 압출본체 일측에 배열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 가능한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압출본체의 결합부에 상응하는 대응결합부와, 상기 대응결합부 내측에 배열된 삽입부와,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구동기어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스프라켓을 포함하는 다이스와, 그리고 상기 다이스 일측에 배열된 선회축과 연결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와 탈부착 가능한 대응삽입부를 포함하는 거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구동기어부와 거치부재에 의하여 다이스 분리 및 결합이 보다 간편하고 용이해져 제품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사이즈의 다이스 교체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고, 또 신속한 작업을 위해 일정한 온도가 유지된 상태에서도 분리작업을 안전하게 보장할 수 있으며, 아울러 다이스의 청소나 수리를 위한 유지 및 관리 작업을 보다 쉽고 수월하게 할 수 있는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압출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압출본체, 다이스, 스프라켓, 구동기어부, 거치부재, 푸시부재, 길이조절부, 조임부재, 센싱부

Description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압출장치{EXTRUDER}
본 고안은 압출본체에 구비된 이송부에 연결된 다이스가 구동기어부에 의하여 전후진하는 경우 다이스의 삽입부가 거치부재의 대응삽입부에 삽입 및 결합이 가능하여 다이스 분리 및 결합이 보다 간편하고 용이해져 제품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사이즈의 다이스 교체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고, 또 신속한 작업을 위해 일정한 온도가 유지된 상태에서도 분리작업을 안전하게 보장할 수 있으며, 아울러 다이스의 청소나 수리를 위한 유지 및 관리 작업을 보다 쉽고 수월하게 할 수 있는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압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압출장치, 특히 스티로폼이나 합성수지재 제품 등의 재생을 위한 압출장치는 남은 발포 스티로폼이나 합성수지재 제품을 분쇄한 후 압출장치에 투입하고, 가열하여 용융 수지를 다이스의 배출공을 통하여 압출시켜 재생원료를 생산하게 된다.
이 경우 종래의 압출장치의 경우에는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을 작업자의 수 작업에 의하거나 또는 특정 공구를 사용하여 다이스를 압출장치에서 분리시켜 다이스의 교체와, 청소 및 수리 작업 등을 하게 된다.
그러나 압출장치는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상태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압출장치가 완전히 냉각된 상태에서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때 압출장치와 다이스의 결합부에 이물질이나 용융수지가 침투하여 고착되는 경우에는 수작업을 통한 다이스의 분리 작업이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또한 다이스 전방에는 용융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나 기타 불순물 등을 걸러내기 위해 망체가 구비되는데, 이 경우 망체 자체만으로는 용융수지의 압출압을 견디기 어려워 망체의 지지력을 보완하기 위한 망판이나 이에 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된다.
이 경우 망판이나 지지부재가 다이스에 삽입된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망판이나 지지부재는 용융수지의 압출압에 의하여 가압됨으로써 다이스에 꽉 끼워진 형태로 존재하거나 또는 용융수지가 침투하여 고착되는 경우 망판이나 지지부재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아 다이스의 교체나 유지 관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을 갖는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압출본체에 구비된 이송부에 연결된 다이스가 구동기어부에 의하여 전후진하는 경우 다이스의 삽입부가 거치부재의 대응삽입부에 삽입 및 결합이 가능하여 다이스 분리 및 결합이 보다 간편하고 용이해져 제품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사이즈의 다이스 교체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고,
또 신속한 작업을 위해 일정한 온도가 유지된 상태에서도 분리작업을 안전하게 보장할 수 있으며, 아울러 다이스의 청소나 수리를 위한 유지 및 관리 작업을 보다 쉽고 수월하게 할 수 있는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압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다이스 전방에는 망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구비되는데, 이 경우 지지부재는 압출압이나 압출 수지에 의하여 다이스에 끼워져 분리 및 배출이 용이하지 않은 점을 감안하여
다이스의 분리 및 배출과 동시에 지지부재를 밀어내기 위한 푸시부재가 구비되어 지지부재의 분리 및 배출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다이스 내부 및 지지부재의 청소가 보다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유지 및 관리 작업을 보다 완전하게 하여 제품의 신뢰를 높일 수 있는 다이스의 분리 및 배출이 용이한 압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압출장치의 작업온도는 200 ~ 300℃에 달하며, 이 경우 이송 스크류나 이송관의 연신율은 대략 2 내지 5 미리 정도 신축하게 되며, 이에 다이스의 삽입부와 거치부재의 대응삽입부의 결합 중심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대응삽입부가 분리 또는 삽입 가능하도록 조절구가 구비되고, 또 조절구에 의하여 대응삽입부의 삽입량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고온 상태의 환경에서 발생하는 열 변형에 대응하도록 하여 장치의 작동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다이스의 분리 및 배출이 용이한 압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다이스 전방에는 센싱부가 구비되어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이 완결된 것을 감지하여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특히 이송부 내부로 삽입되어 다이스가 결합되는 경우 그 내부의 결합정도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부재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장치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다이스의 분리 및 배출이 용이한 압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압출장치는 압송부와, 상기 압송부 단부에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압출본체; 상기 압출본체 일측에 배열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 가능한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 기 압출본체의 결합부에 상응하도록 형성된 대응결합부와, 상기 대응결합부 내측에 배열된 삽입부와,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구동기어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스프라켓을 포함하는 다이스; 및 상기 다이스 일측에 배열된 선회축과 연결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와 탈부착 가능한 대응삽입부를 포함하는 거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다이스 전방에는 망체를 위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이스에는 상기 삽입부와 연통된 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에 삽입되어, 상기 압송부로부터 상기 다이스가 분리되는 경우 상기 대응삽입부에 의하여 지지부재를 밀어 배출시키는 푸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몸체의 전면에 연결되고, 상기 대응삽입부가 삽입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대응삽입부의 삽입량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조절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다이스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 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센싱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압출장치는 압출본체에 구비된 압송관에 연결된 다이스가 구동기어부에 의하여 전후진하는 경우 다이스의 삽입부가 거치부재의 대응삽입부에 삽입 및 결합이 가능하여 다이스 분리 및 결합이 보다 간편하고 용이해져 제품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사이즈의 다이스 교체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고,
또 신속한 작업을 위해 일정한 온도가 유지된 상태에서도 분리작업을 안전하게 보장할 수 있으며, 아울러 다이스의 청소나 수리를 위한 유지 및 관리 작업을 보다 쉽고 수월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다이스 전방에는 망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구비되는데, 이 경우 지지부재는 압출압이나 압출 수지에 의하여 다이스에 끼워져 분리 및 배출이 용이하지 않은 점을 감안하여
다이스의 분리 및 배출과 동시에 지지부재를 밀어내기 위한 푸시부재가 구비되어 지지부재의 분리 및 배출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다이스 내부 및 지지부재의 청소가 보다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유지 및 관리 작업을 보다 완전하게 하여 제품의 신뢰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압출장치의 작업온도는 200 ~ 300℃에 달하며, 이 경우 이송 스크류나 이송관의 연신율은 대략 2 내지 5 미리 정도 신축하게 되며, 이에 다이스의 삽입부와 거치부재의 대응삽입부의 결합 중심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대응삽입부가 분리 또는 삽입 가능하도록 조절구가 구비되고, 또 조절구에 의하여 대응삽입부의 삽입량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고온 상태의 환경에서 발생하는 열 변형에 대응하도록 하여 장치의 작동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다이스 전방에는 센싱부가 구비되어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이 완결된 것을 감지하여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특히 이송부 내부로 삽입되어 다이스가 결합되는 경우 그 내부의 결합정도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부재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장치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압출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압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출장치에서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출장치에서 푸시부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출장치에서 조절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우선 본 고안에 따른 명세서상에서 사용하는 방향기준을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특정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압출장치를 통하여 압송 및 이송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압출본체(10)의 구동수단(11)이 배열된 쪽을 ‘전방’이라 하고, 본 고안의 거치부재(40)가 배열된 쪽을 ‘후방’이라 특정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압출장치는
압송부(13)와, 상기 압송부(13)와 단부에 형성된 결합부(14)가 포함하는 압출본체(10); 상기 압출본체(10) 일측에 배열되는 구동모터(21)와, 상기 구동모터(21)에 의하여 회전 가능한 구동기어(23)를 포함하는 구동부(21); 상기 압출본체(10)의 결합부(14)에 상응하도록 형성된 대응결합부(33)와, 상기 대응결합부(33) 내측에 배열된 삽입부(35)와,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23)와 치합되고, 상기 구동기어(23)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스프라켓(37)을 포함하는 다이스(30); 및 상기 다이스(30) 일측에 배열된 선회축(43)과 연결된 몸체(41)와, 상기 몸체(41)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35)와 탈부착 가능한 대응삽입부(45)를 포함하는 거치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압출장치에서, 상기 압출본체(10)는
구동수단(11)과, 상기 구동수단(11) 전방에는 호퍼(17)의 투입을 위한 투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호퍼(17) 전방에는 압송부(13)가 구비되며, 상기 압송부(13) 내부에는 구동수단(11)과 연결된 압송스크류가 내장되고, 상기 압송부(13) 외측에는 가열수단(15)이 구비되어 있어 분쇄된 스티로폼이나 합성수지재 제품 등이 상기 가열수단(15)에 용융된 수지가 압송되어 다이스(30)에 구비된 다수의 배출공(31c)에 통하여 가압 배출된다.
또한 상기 압송부(13)는 원통 형상의 관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후단부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14)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14)에는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다이스(30)의 대응결합부(33)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물론 상기 다이스(30)의 대응결합부(33)에 외주면에도 상기 결합부(14)의 나사산에 상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압출장치에서,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압출본체(10) 일측에 배열된 구동모터(21)과, 상기 구동모터(21)에 의하여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구동기어(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다이스(30) 일측에는 프레임(F)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F) 상부에는 고정브라켓(FB)이 연결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다이스(30)에 인접한 고정브 라켓(FB)에는 상기 구동기어(23)가 고정되어 상기 다이스(30)의 스프라켓(37)과 치합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FB) 일측에는 상기 구동부(20)의 구동모터(21)가 고정되고,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축(21a)과 상기 구동기어(23) 전단에 연결되는 회전축(23a)에는 기어 또늘 스프라켓이 각각 구비되어 체인(25)에 의하여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력이 상기 구동기어(21)로 전달된다.
즉 상기 구동기어(23)가 구동모터(2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면, 상기 구동기어(23)에 치합되어 있는 다이스(30)의 스프라켓(37) 또한 연동하게 되고, 이 경우 상기 압송부(13)의 결합부(14)로부터 상기 다이스(30)의 대응결합부(33)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압송부(13)에서 다이스(30)가 분리 또는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상기 구동기어(23)의 길이는 최소한 상기 압송부(13)의 결합부(14)에 대하여 상기 다이스(30)의 대응결합부(33)가 회전하여 다이스(30)가 완전하게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 거리만큼 확보되어야 하며,
이는 상기 다이스(30)가 분리 및 결합되는 경우 상기 다이스(30)의 스프라켓(37)이 상기 구동기어(23)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여야 하고, 또한 이를 위한 분리 또는 결합을 위한 최소한의 이동 거리가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구동기어를 구동시키기 위해 구동모터 대신에 수동으로 구동기어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핸드레버와 중심축이 고정브라켓에 고정된 스프라켓을 도입하여 구동기어의 회전축에 연결된 기어(또는 스프라켓)와 스프라켓을 체인과 연결하여 구동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수작업에 의한 구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압출장치에서, 상기 다이스(30)는
상기 압출본체(10)의 결합부(14)에 상응하도록 형성된 대응결합부(33)와, 상기 대응결합부(33) 내측에 형성되는 삽입부(35)와,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23)과 치합되어, 상기 구동기어(23)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스프라켓(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다이스(30)는 전면에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갈수록 단면이 증가하는 형태의 테이퍼부(31a)가 형성된 다이스본체(31)가 구비되고, 그리고 상기 다이스본체(31) 가장자리에는 링 형태의 대응결합부(33)가 일체로 이어져 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또 상기 테이퍼부(31a)가 끝나는 지점에는 방사상으로 융융 수지를 압출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공(31c) 상기 다이스(30)의 삽입부(35) 외측에 방상향으로 형성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다이스(30)에서 상기 대응결합부(33)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압송부(13)의 결합부(14)와 분리 및 결합 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삽입부(35)는 상기 다이스본체(31)의 중앙부에 일정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거치부재(40)의 대응삽입부(45)와 상호 삽입 및 분리 배출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거치부재(40)의 대응삽입부(45) 외주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은 상기 압송부(13)의 결합부(14) 및 상기 다이스(30)의 대응결합부(33)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다이스(30)의 삽입부(35) 및 거치부재(40)의 대응삽입부(45)에 대응하도로 형성된 나사산은 상호 동일한 피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상기 결합부(14), 대응결합부(33), 삽입부(35) 및 대응삽입부(45)는 다이스(30)를 압송부(13)로부터 분리 및 결합시키기 위해 다이스(30)가 1 회전하는 경우 다이스(30)의 삽입부(35)가 거치부재(40)의 대응삽입부(45)를 타고 그 회전만큼의 피치로 이동을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만약 다이스(30)가 상기 압송부(13)로부터 1 회전하여 이동한 피치와, 다이스(30)의 삽입부(35)가 거치부재(40)의 대응삽입부(45)를 타고 이동하는 피치 가 다른 경우에는 거치부재(40)가 당겨지거나 또는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다이스(30)의 삽입부(35)와 거치부재(40)의 대응삽입부(45)가 상호 결합선에서 벗어나 다이스(30)의 분리 및 결합이 어렵게 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더 나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이스(30) 전방에는 압송 및 이송되는 용융 수지를 위한 망체(1)가 구비되는데, 상기 망체(1)는 용융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나 불순물 등을 걸러내기 위한 구성이며,
이 경우 상기 망체(1)는 철망 형태로 압송 및 이송되는 용융 수지압에 의한 지지력을 보장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상기 망체(1)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3)가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3)는 원반 형태로 다수의 통공(5)이 형성되어 융융 수지를 배출시키며, 그리고 상기 대응결합부(33) 내주면 전방부에는 단턱부(33a)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3)가 안착된다.
그러나 상기 지지부재(3)의 경우에는 용융 수지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상기 단턱부(33a)에 꽉 끼워진 형태로 존재하거나 또는 상기 지지부재(3)와 단턱부(33a) 사이에 수지가 투입하여 냉각이 되면 상기 지지부재(3)를 단턱부(33a)에서 배출시키는 것이 어려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3)의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거치부재(40) 의 대응삽입부(45)가 상기 다이스(30)의 삽입부(35)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대응삽입부(45)에 의하여 지지부재(3)가 분리 및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다이스본체(31)에는 상기 삽입부(35)와 연통 가능한 끼움부(32)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32)에는 푸시부재(39)가 끼워진다.
즉 상기 거치부재(40)의 대응삽입부(45)가 상기 다이스(30)의 삽입부(35)에 삽입되면 상기 끼움부(32)를 통하여 상기 대응삽입부(45)가 상기 푸시부재(39)의 후면부에 맞닿아 푸시부재(39)를 밀어내고, 이어서 상기 푸시부재(39) 전방에 배열된 지지부재(3)를 푸시부재(39)가 밀어냄으로써 상기 단턱부(33a)에 장착된 지지부재(3)의 분리 및 배출을 용이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또 상기 다이스(30)를 압송부(13)로부터의 분리와 동시에 상기 지지부재(3)의 분리 및 배출이 가능해지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구성을 통하여 2이상의 기능성을 발휘하도록 하여 장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푸시부재(39)는 화살표 형태로 그 전단부는 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확장되는 확장부(39a)가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39a) 후면에는 상기 끼움부(32)에 삽입되는 돌기 형태의 대응끼움부(39c)가 이어져 있으며, 또 상기 확장부(39a) 후면에는 상기 대응끼움부(39c) 주변으로 평면부(39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스본체(31)의 테이퍼부(31a) 전단부에는 절개된 형태로 이 루어진 대응평면부(31b)가 형성되어 상기 푸시부재(39)의 평면부(39b)와 면접촉함으로써 상기 압송부(13)에 다이스(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용융 수지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푸시부재(39) 전단부가 가압되면서 상기 평면부(39b)와 대응평면부(31b)가 상호 밀착되어 기밀이 유지됨으로써 상기 끼움부(32)와 대응끼움부(39c) 사이로 용융 수지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푸시부재(39)의 대응끼움부(39c) 외경은 상기 다이스(30)의 끼움부(32) 내경보다 작도록 형성하되, 그 진출입이 자연스럽게 유지될 수 있도록 헐겁게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푸시부재(39)의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압출장치에서, 상기 거치부재(40)는
상기 다이스(30) 일측에 배열된 선회축(43)과 연결된 몸체(41)와, 상기 몸체(41)와 연결되고, 상기 삽입부(35)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호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대응삽입부(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몸체(41)는 상기 프레임(F)에 연결된 선회축(43)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몸체(41)는 선회 가능하고, 상기 몸체(41) 후방에는 봉 형태의 대응삽입부(45)가 용접 또는 볼트 체결방식에 의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조절구(46)에 의하여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대응삽입부(45)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다이스(30)가 압송부(13)에서 분리되거나 또는 결합되는 경우 상기 다이스(30)의 삽입부(35)가 상기 거치부재(40)의 대응삽입부(45)에 삽입되거나 또는 분리됨으로써 상기 다이스(30)의 분리 및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거치부재(40)의 대응삽입부(45)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출장치의 작업온도는 200 ~ 300℃에 달하며, 이 경우 이송 스크류나 압송부(13)의 연신율은 대략 2 내지 5 미리 정도 신축하게 되며, 이에 다이스(30)의 삽입부(35)와 거치부재(40)의 대응삽입부(45)의 결합 중심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여 다이스(30)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위해 상기 대응삽입부(45)가 삽입 또는 분리 가능하게 상기 몸체 전방에 결합되는 조절구(46)이 더 구비되고, 상기 조절구(46)에 의하여 상기 대응삽입부(45)의 삽입량, 즉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온 상태의 환경에서 발생하는 열 변형에 대응하여 상기 대응삽입부(45)의 돌출 길이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작동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되다.
즉 상기 조절구(46)는 상기 대응삽입부를 수용하기 위한 삽입홈(47)이 구비되고, 상기 조절구(46)에는 상기 삽입홈(47)과 연통된 관통공(47a)이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관통공(47a)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관통공(47a)에 삽입되어 상기 대응삽입부(45)를 가압 고정시키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임부재(48)가 구비된다.
더 나아가 상기 조절구(46)의 삽입홈(47) 내벽면에는 장방형 형상의 키홈(47b)이 형성되고, 상기 대응삽입부(45)에는 상기 키홈(47b)에 상응하는 대응키홈(45a)가 형성되어 상기 키홈(47b)와 대응키홈(45a)에 키(49)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조절구(46)에 삽입되는 대응삽입부(45)의 위치를 특정하여
상기 다이스(30)의 삽입부(35)와 상기 거치부재(40)의 대응삽입부(45)가 상호 분리 및 결합 시 일정한 위치에서 결합되고, 또 분리 후 일정한 위치에 놓이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작동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임부재(46)가 상기 대응삽입부(45)를 가압 고정시키는 방식은 상기 키(49)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대응삽입부(45)를 고정시키고 있으며, 이 외에도 상기 대응삽입부(45) 외주면을 직접 가압하는 방식으로 상기 대응삽입부(45)를 가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압출장치에서, 상기 센싱부(50)는
상기 다이스(30) 전방에 구비된 고정브라켓(FB)에 결합되어 상기 다이스(30)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다이스(30)의 분리 및 결합 시 상기 구동부(21)를 제어 가능하게 한다.
우선 상기 구동부(21)에는 상기 구동모터(23)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C)가 연결되고, 상기 조작부(C)에는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동모터(23)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조작버튼(CB)이 두 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C)는 상기 센싱부(50)에 연결되어 상기 센싱부(50)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 즉 상기 다이스(30)가 압송부(13)로부터 완전히 분리 및 결합된 경우 이 신호를 조작부(C)에 전송하여 구동모터(23)의 동작을 멈추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센싱부(50)는 상기 고정브라켓(FB)에 연결되는 제어부(51)와, 상기 제어부(51)와 연결되고 탄성 지지되는 감지봉(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감지봉(53)은 상기 다이스(30)의 전면에 맞닿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다이스(30)가 압송부(13)로부터 분리 및 결합되는 경우 상기 감지봉(53)은 상기 다이스(30)의 이동거리 내에서 동작하게 된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이스(30)가 압송부(13)와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센싱부(50)는 그 기능성에 빛을 발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다이스(30)가 압송부(13)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다이스(30)의 분리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면 융융 수지가 흘러나오거나 또는 상기 다이스(30)가 압송부(13)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것이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다이스(30)가 압송부(13)에 결합되는 경우는 상기 다이스(30)가 압송부(13) 내측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됨으로 상기 다이스(30)가 상기 압송부(13)에 완전히 결합된 경우를 확인하는 것이 어려움으로
상기 센싱부(50)의 감지봉(53)을 상기 다이스(30)가 압송부(13)에 완전히 결합되는 지점까지 구비되어 상기 다이스(30)의 결합 시 다이스(30)의 전면이 상기 감지봉(53)에 맞닿으면서 상기 구동부(20)의 구동을 멈추게 함으로써 장치에 무기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스(30)가 압송부(13)와 분리 및 결합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리고 그 작동 상태는 도 2의 (A)는 다이스(30)와 압송부(13)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거치부재(40)의 몸체(41)가 전방으로 선회하여 다이스(30)의 삽입부(35) 후방에 거치부재(40)의 대응삽입부(45)가 위치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도 2의 (B) 및 (C)는 상기 구동부(20)의 구동모터(21)에 의하여 상기 구동기어(23)가 상기 압송부(13)에서 다이스(30)를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다이스(30)의 스프라켓(37)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압송부(13)의 결합부(14)에 상기 다이스(30)의 대응결합부(33)가 풀리면서 스프라켓(37)이 구동기어(23)의 축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경우 상기 다이스(30)의 삽입부(35)가 상기 거치부재(40)의 대응삽입부(45)에 삽입되면서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 2의 (D)는 (B) 및 (C) 동작을 거쳐 상기 다이스(30)가 상기 거치부재(40)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거치부재(40)를 전방으로 선회시켜 상기 다이스(30)를 거치부재(40)에서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다이스(30)를 압송부(13)에 결합시키는 순서는 상기 도 2에 나타나는 분리 순서에 역순에 의하여 상기 다이스(30)와 압송부(13)를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압출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압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출장치에서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출장치에서 푸시부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출장치에서 조절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F : 프레임 FB : 고정브라켓
C : 조작부 CB : 조작버튼
1 : 망체 3 : 지지부재
5 : 통공
10 : 압출본체 11 : 구동수단
12 : 압송부 14 : 결합부
15 : 가열수단 17 : 호퍼
20 : 구동부 21 : 구동모터
21a : 구동축 23 : 구동기어
23a : 회전축 25 : 체인
30 : 다이스 31 : 다이스본체
31a : 테이퍼부 31b : 대응평면부
31c : 배출공 32 : 끼움부
33 : 대응결합부 33a : 단턱부
35 : 삽입부 37 : 스프라켓
39 : 푸시부재 39a : 확장부
39b : 평면부 39c : 대응끼움부
40 : 거치부재 41 : 몸체
43 : 선회축 45 : 대응삽입부
45a : 대응키홈 46 : 조절구
47 : 삽입홈 47a : 관통공
47b : 키홈 48 : 조임부재
49 : 키
50 : 센싱부 51 : 제어부
53 : 감지봉

Claims (4)

  1. 압송부와, 상기 압송부 단부에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압출본체;
    상기 압출본체 일측에 배열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 가능한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압출본체의 결합부에 상응하도록 형성된 대응결합부와,
    상기 대응결합부 내측에 배열된 삽입부와,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구동기어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스프라켓을 포함하는 다이스; 및
    상기 다이스 일측에 배열된 선회축과 연결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와 탈부착 가능한 대응삽입부를 포함하는 거치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다이스 전방에는 망체를 위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이스에는 상기 삽입부와 연통된 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에 삽입되어, 상기 압송부로부터 상기 다이스가 분리되는 경우 상기 대응삽입부에 의하여 지지부재를 밀어 배출시키는 푸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압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면에 연결되고, 상기 대응삽입부가 삽입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대응삽입부의 삽입량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조절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압출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스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 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센싱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압출장치.
KR20090008418U 2009-06-30 2009-06-30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압출장치 KR200446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8418U KR200446694Y1 (ko) 2009-06-30 2009-06-30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압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8418U KR200446694Y1 (ko) 2009-06-30 2009-06-30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압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694Y1 true KR200446694Y1 (ko) 2009-11-23

Family

ID=46033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8418U KR200446694Y1 (ko) 2009-06-30 2009-06-30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압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694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9274A (ja) 2004-02-04 2005-08-18 Bridgestone Corp 押出機の口金交換方法および装置
KR100755995B1 (ko) 2006-05-03 2007-09-06 구승회 압출기의 다이홀더 척킹장치
KR100795355B1 (ko) 2006-06-15 2008-01-16 박동준 용융 압출기용 스크린 장치
KR100904882B1 (ko) * 2008-10-02 2009-06-29 서동원 스티로폼 재생 압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9274A (ja) 2004-02-04 2005-08-18 Bridgestone Corp 押出機の口金交換方法および装置
KR100755995B1 (ko) 2006-05-03 2007-09-06 구승회 압출기의 다이홀더 척킹장치
KR100795355B1 (ko) 2006-06-15 2008-01-16 박동준 용융 압출기용 스크린 장치
KR100904882B1 (ko) * 2008-10-02 2009-06-29 서동원 스티로폼 재생 압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9918B2 (ja) 切断ハブピン駆動機構、及び、流動ペレタイザのための簡易分離ハブ
KR200446694Y1 (ko) 다이스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압출장치
KR101430897B1 (ko) 연속작업이 가능한 스크린 체인져
KR100904882B1 (ko) 스티로폼 재생 압출장치
KR100926995B1 (ko) 가연성 쓰레기의 고형화 연료 제조장치
KR100847446B1 (ko) 합성수지 성형기의 자동 스크린 교체장치
JP5964433B2 (ja) 押出機ハウジングの保持装置
KR20030089074A (ko) 폐수지 재생용 압출 성형장치
KR100411954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폐 합성수지 압출 장치 및 방법
US20160114515A1 (en) Kneading and granulating apparatus
US6164811A (en) Extruder assembly with improved screw removal capability
KR101505935B1 (ko) 압출용 스크루를 자동으로 분해 및 결합하는 이동식 자동 압출기
KR100877595B1 (ko) 바렐 분리 가능한 압출장치
CN214027121U (zh) 改性塑料挤出机膜头过滤装置
KR101859532B1 (ko) 코러게이트관 성형장치
CN100528533C (zh) 用于材料制备机械的筛分装置
KR200406515Y1 (ko) 자동 스크린 체인저
JP5619741B2 (ja) 押出装置
KR101421003B1 (ko) 개별제어가 가능한 압출용 다이스 라인
KR100892782B1 (ko) 폐비닐의 재생용융장치
KR100542675B1 (ko) 합성수지 하수관용 고무패킹 소켓 성형장치
KR100857910B1 (ko) 압출성형기
JP2010125469A (ja) 圧縮押出成形装置
JP7470882B1 (ja) ダイスセットおよび押出機
KR101325822B1 (ko) 사출장치의 사출 스크루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