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447B1 - 유자차 전처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유자차 전처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447B1
KR100755447B1 KR1020060099231A KR20060099231A KR100755447B1 KR 100755447 B1 KR100755447 B1 KR 100755447B1 KR 1020060099231 A KR1020060099231 A KR 1020060099231A KR 20060099231 A KR20060099231 A KR 20060099231A KR 100755447 B1 KR100755447 B1 KR 100755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tron tea
raw material
transfer
citron
tea 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9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의석
김태영
김광엽
윤기영
Original Assignee
(주)미드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드미 filed Critical (주)미드미
Priority to KR1020060099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26Screws
    • B65G33/30Screws with a discontinuous helical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자차 전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자차 전처리 공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노동 강도를 최소한으로 하여 작업자들이 손쉽게 일할 수 있도록 하고 원료를 최대한 신속히 이송하여 유자차 전처리 공정 시간을 줄이고 작업 능률을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적당하도록 한 유자차 전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자차 전처리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2차 선별 및 슬라이싱을 포함한 전처리를 받을 유자차 원료를 투입받은 후, 수평 방향 또는 가운데로 이송시키되, 상기 유자차 원료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하부에 이송스크류가 구비되는 호퍼(hopper)와, 상기 이송스크류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유자차 원료를 이송관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펌프와, 상기 이송펌프에 의하여 이송된 유자차 원료를 선별하되, 상기 선별된 유자차 원료를 하측으로 공급하기 위해 일측 하단에 콘 형태의 슈트(chute)가 마련되는 선별대와, 상기 슈트(chute) 하측에 마련되되, 공급되는 유자차 원료를 슬라이싱하는 슬라이서와, 상기 슬라이서 하측에 마련되어 상시 슬라이싱된 유자차 원료를 임시저장하는 임시저장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자차, 전처리

Description

유자차 전처리 장치 및 그 방법{appratus and method for pre­processing citron te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자차 전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호퍼와 이송펌프를 결합한 실물 사진과 개략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선별대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선별대의 슈트와 슬라이서가 결합된 실물 사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임시저장탱크의 실물 사진과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호퍼 15 : 이송스크류
20 : 이송펌프 30 : 선별대
31 : 작업대 33 : 지지대
35 : 슈트(chute) 40 : 슬라이서
50 : 임시저장탱크
본 발명은 유자차 전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자차 전처리 공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노동 강도를 최소한으로 하여 작업자들이 손쉽게 일할 수 있도록 하고 원료를 최대한 신속히 이송하여 유자차 전처리 공정 시간을 줄이고 작업 능률을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적당하도록 한 유자차 전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유자차 전 처리 공정은 원료 선별 후 슬라이스 그리고 배합한 다음 가온하여 병 또는 파우치 필름에 포장하여 유자차로 만들거나 액상타입으로 유자를 제조하였다. 이 공정에서 원료가 무겁고 외부에 노출되는 시간이 많아 제품의 질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온도와 노출시간에 따라 맛과 향이 달라질 뿐 아니라 제조상품의 생리활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노동 강도를 최소한으로 하여 작업자들이 손쉽게 일할 수 있도록 하고 원료를 최대한 신속히 운송하여 완제품을 제조하는 시간을 줄이고 작업능률을 높여 생산성을 증가시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존의 공정으로는 다수의 작업자가 무거운 원료를 들고 선별대에 올리고, 선별된 원료를 인력에 의해 재수거하여 또다시 슬라이스 작업을 하고, 슬라이스를 한 유자원료를 박스에 다시 담아 생산탱크로 옮기는 공정이었다. 이로 인해 작업자 들이 무거운 원료를 들고 수회 이동하여 힘이 든다.
또한 무거운 원료를 들어서 선별대나 탱크에 투입하는 경우 원료 자체가 무거워 미끄러져 놓치는 경우가 있다. 전 처리하는 과정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이 많으므로 이물이나 원료가 변질되어 위생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선별대 등의 기구는 작업대와 가까이 있어 원료가 튀거나 등화구 외부에 붙은 원료가 떨어져 오염시킬 수 있는 소지가 있다.
한편, 근래에 3D업종이나 과도한 힘을 요구하는 직종에서 이직률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특히 젊은이들이 힘든 일을 기피하게 되어 고용 인력의 선택권이 감소하고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들의 작업 환경을 향상시키고 노동 강도와 해로운 요소를 조금이나마 줄여 고용자들이 손쉽게 일하여 이직률을 줄이고 생산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인력이 차지하는 부분을 기계화로 대체하여 인건비를 줄일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유자차 전처리 공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노동 강도를 최소한으로 하여 작업자들이 손쉽게 일할 수 있도록 하고 원료를 최대한 신속히 이송하여 유자차 전처리 공정 시간을 줄이고 작업 능률을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자차 전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유자차 전처리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유자차 전처리 장치에 있어서, 2차 선별 및 슬라이싱을 포함한 전처리를 받을 유자차 원료를 투입받은 후, 수평 방향 또는 가운데로 이송시키되, 상기 유자차 원료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하부에 이송스크류가 구비되는 호퍼(hopper)와, 상기 이송스크류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유자차 원료를 이송관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펌프와, 상기 이송펌프에 의하여 이송된 유자차 원료를 선별하되, 상기 선별된 유자차 원료를 하측으로 공급하기 위해 일측 하단에 콘 형태의 슈트(chute)가 마련되는 선별대와, 상기 슈트(chute) 하측에 마련되되, 공급되는 유자차 원료를 슬라이싱하는 슬라이서와, 상기 슬라이서 하측에 마련되어 상시 슬라이싱된 유자차 원료를 임시저장하는 임시저장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퍼의 측면에는 유자 컨테이너박스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호퍼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콘 형태 또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방광(方光)체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임시저장탱크는 3중 보온/보냉 자켓으로 구성되고, 내부가 경사진 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퍼의 하부에 이송스크류를 설치하고 이송스크류의 한쪽 또는 가운데부분의 하부에 상기 이송펌프를 부착하여 점성이 있는 유자원료를 이송시키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또 다른 본 발명인 유자차 전처리 방법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유자차 전처리 방법에 있어서, 호퍼에 유자차 원료를 투입하고 이송스크류를 가동하여 수평방향 또는 가운데로 상기 유자차 원료를 이송시키는 단계, 상기 이송된 유자차 원료를 선별대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이송펌프를 가동시켜 이송관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단계, 상기 선별대에서 상기 유자차 원료를 선별하고, 선별된 유자차 원료를 슈트를 통해 슬라이서로 자유낙하시키는 단계, 상기 자유낙하된 선별된 유자차 원료를 슬라이서에서 슬라이싱을 한 후, 임시저장탱크에서 임시 저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관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관을 클램프에 의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본 발명인 유자차 전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유자차를 전처리하는 공정에 대한 것이나, 유자차 이외의 차를 제조함에 필요한 전처리 공정에도 적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자차 전처리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자차 전처리 장치는 호퍼(10), 이송펌프(20), 선별대(30), 슬라이서(40) 및 임시저장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호퍼(hopper)(10)는 선별 및 2차 슬라이스 등 전처리를 할 유자차 원료 를 투입받은 후, 교반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하부에 형성된 이송스크류(도 2a 내지 도 2d에서 도면부호 15로 표기됨)에 의하여 유자차 원료를 수평방향 또는 가운데로 이송시킨다.
상기 호퍼(10)는 유자 컨테이너 박스에 존재하는 유자차 원료를 투입받는다. 따라서, 상기 호퍼(10)의 측면에는 상기 유자 컨테이너 박스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자 컨테이너 박스에 존재하는 원료를 상기 호퍼(10)에 투입할 때에, 상기 호퍼(10) 측면에 설치된 유자 컨테이너 박스의 거치대를 이용하면, 적은 힘으로 호퍼(10) 내부에 원료를 투입할 수 있다.
상기 호퍼(10)에는 뚜껑이 구비되어, 상기 원료 투입 후 상기 뚜껑을 닫아 위생적으로 원료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호퍼(10)의 재질은 스테인리스로 하여 녹이 슬지 않도록 한다. 상기 호퍼(10)의 용량은 160L로 컨테이너 박스 3~4개 정도의 양을 담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호퍼(10)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콘(cone) 형태 또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방광체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호퍼(1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30° 정도 기울어진 콘(cone) 형태 또는 방광체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콘 형태로 상기 호퍼(10)를 제작함으로서, 유자차 원료가 자연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호퍼(10) 하측에는 이송스크류(15)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아래쪽으로 이동되는 원료는 상기 이송스크류(15)를 통 해 수평방향 또는 가운데로 이송된다.
즉,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퍼(10) 하부에 이송스크류(15)를 구비시켜, 상기 유자차 원료를 다음 루트까지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당절임 유자의 경우 냉동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보통 원료의 점성이 높거나 반고체 상태를 보이고 있다. 여기서, 도 2a는 상기 호퍼(10)와 후술할 이송펌프(20)가 결합한 실물 사진이고, 도 2b는 정면도이고, 도 2c는 측면도이며, 도 2d는 평면도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방식으로는 원료를 이송시킬 수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스크류 방식을 도입하여 저속으로 원료의 질감을 최대한 살리면서 다음 루트인 이송펌프(20)까지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호퍼와 이송스크류 및 이송펌프의 위치적 관계는, 상기 호퍼의 하부에 이송스크류를 설치하고 이송스크류의 한쪽 또는 가운데부분의 하부에 상기 이송펌프를 부착하여 점성이 있는 유자원료를 이송시킨다.
상기와 같이, 이송스크류(15)에 의하여 상기 유자차 원료가 이송펌프(20)의 흡입구까지 공급되면, 상기 이송펌프(20)의 펌핑 힘으로 상기 원료를 선별대(30)까지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이송펌프(20)는 상기 이송스크류(15)에 의하여 이송된 유자차 원료를 이송관(25)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이송관(25)의 출구는 상기 선별대(30)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송된 원료는 상기 선별대(30) 상에 올려놓여진다.
상기 선별대(30) 상에 올려 놓여지는 유자차 원료는 작업자에 의하여 선별된 다. 즉, 손상이 있거나 이물질이 묻어있는 원료들은 작업자에 의하여 제거된다. 상기 선별대(3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들을 굴려서 이송시킬 수 있는 작업대(31)와, 상기 작업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33) 및 선별된 유자차 원료를 하측으로 공급하기 위해 선별대(30) 일측 하단에 구비되는 콘 형태의 슈트(chute)(35)로 구성된다.
바닥에는 이물질이 많고, 작업자들의 이동으로 발생할 수 있는 오염에 대비하여 상기 선별대(30)는 상기 이송펌프(20)가 위치하는 1층보다 더 높은 2층에 구비시킨다. 그리고, 이송펌프(20)를 통해 원료를 직접 이송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선별대(30)의 지지대(33)는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하였으며 측면에는 하부에서 올라오는 이송관(25)과 결합하는 클램프를 적용하여 펌프 압력의 진동으로 흔들리는 이송관(25)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선별대(30)에 설치되는 전등을 없애고 천정 위에 전등을 설치하여, 선별대(30) 위의 전등으로 인한 작업의 불편한 점을 일부 해결하였다. 또한 선별대 하부에 콘 형태의 슈트를 설치해 다음 공정을 처리하는 슬라이서(40)로 자동 공급되는 연속공정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서(40)의 투입구를 상기 선별대(30) 일측 하단에 구비되는 슈트(35)의 출구에 위치하여 선별된 원료를 직접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정리하면, 상기 선별대(30)는 전등이 달려있지 않고 하부로 선별된 원료를 낙하시켜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슈트(35)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30° 정도 기울어진 콘(cone) 형태 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슈트(35)의 출구와 투입구가 연결된 상기 슬라이서(40)는 공급되는 유자차 원료를 소정 크기로 슬라이싱을 수행한다. 상기 슬라이서(40)에 의하여 슬라이싱된 유자차 원료는 상기 슬라이서(40) 하측에 마련되는 임시저장탱크(50)에 임시저장된다.
도 5a는 상기 임시저장탱크(50)의 실물 사진이고, 도 5b는 정면도를 보여준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임시저장탱크(50)는 내부가 경사져 있고, 출구가 아래쪽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임시저장탱크(50)는 3중 보온/보냉 자켓으로 구성되고, 내부가 경사진 콘(cone)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3중 자켓으로 임시저장탱크(50)를 형성함으로서, 보온 및 보냉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콘 형식의 형태로 60°의 경사를 주어 점성이 높은 물질도 하부에 잘 내려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임시저장탱크(50)의 용량(200L)은 2~3시간 정도의 작업량을 임시저장 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고, 냉각콘덴서를 구비하여 냉장저장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료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인 유자차 전처리 장치를 이용한 유자차 전처리 방법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호퍼에 유자차 원료를 투입하고 이송스크류를 가동하여 수평방향으로 상기 유자차 원료를 이송시킨다(S10, S20). 상기 유자차 원료는 콘 형태의 호퍼에서 교반되어 하측으로 이동되고, 이동되어진 유자차 원료는 상기 이송스크류를 통 해 수평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이송된 유자차 원료는 이송펌프의 흡입구에서 흡입되어 상기 이송펌프의 펌핑력에 의하여 이송관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이송된다(S30). 즉, 상기 원료를 선별대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이송펌프를 가동시켜 이송관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이송펌프의 펌핑력으로 상기 원료를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킬 때, 상기 이송관은 흔들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관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선별대에 설치되는 클램프를 이용하여 상기 이송관을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펌프에 의하여 상기 선별대로 이송된 유자차 원료는 상기 선별대에서 작업자에 의하여 선별되고, 선별된 유자차 원료는 슈트를 통해 슬라이서로 자유낙하된다(S40).
그런 후, 상기 자유낙하된 선별된 유자차 원료는 슬라이서에서 슬라이싱이 된 후, 임시저장탱크에서 임시 저장된다(S50).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가지는 본 발명인 유자차 전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전처리 공정의 변화로 작업자들의 작업 강도가 줄어들고, 반복이송 등 인력에 의한 중복된 작업을 하지 않아서 생기는 잉여 노동력의 축척으로 다른 공정에 노동력을 이용할 수 있고, 기계화로 인해 생산량이 증대되어 적은 인원으로 동일한 생산을 해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저온저장성의 확보로 생산전에 미리 준비된 원료를 사용할 수 있다.

Claims (7)

  1. 유자차 전처리 장치에 있어서,
    2차 선별 및 슬라이싱을 포함한 전처리를 받을 유자차 원료를 투입받은 후, 수평 방향 또는 가운데로 이송시키되, 상기 유자차 원료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하부에 이송스크류가 구비되는 호퍼(hopper)와;
    상기 이송스크류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유자차 원료를 이송관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펌프와;
    상기 이송펌프에 의하여 이송된 유자차 원료를 선별하되, 상기 선별된 유자차 원료를 하측으로 공급하기 위해 일측 하단에 콘 형태의 슈트(chute)가 마련되는 선별대와;
    상기 슈트(chute) 하측에 마련되되, 공급되는 유자차 원료를 슬라이싱하는 슬라이서와;
    상기 슬라이서 하측에 마련되어 상시 슬라이싱된 유자차 원료를 임시저장하는 임시저장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차 전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측면에는 유자 컨테이너박스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차 전처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콘 형태 또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방광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차 전처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시저장탱크는 3중 보온/보냉 자켓으로 구성되고, 내부가 경사진 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차 전처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하부에 이송스크류를 설치하고 이송스크류의 한쪽 또는 가운데부분의 하부에 상기 이송펌프를 부착하여 점성이 있는 유자원료를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차 전처리 장치.
  6. 유자차 전처리 방법에 있어서,
    호퍼에 유자차 원료를 투입하고 이송스크류를 가동하여 수평방향 또는 가운데로 상기 유자차 원료를 이송시키는 단계;
    상기 이송된 유자차 원료를 선별대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이송펌프를 가동시켜 이송관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단계;
    상기 선별대에서 상기 유자차 원료를 선별하고, 선별된 유자차 원료를 슈트를 통해 슬라이서로 자유낙하시키는 단계;
    상기 자유낙하된 선별된 유자차 원료를 슬라이서에서 슬라이싱을 한 후, 임시저장탱크에서 임시 저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차 전처리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관을 클램프에 의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차 전처리 방법.
KR1020060099231A 2006-10-12 2006-10-12 유자차 전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755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231A KR100755447B1 (ko) 2006-10-12 2006-10-12 유자차 전처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231A KR100755447B1 (ko) 2006-10-12 2006-10-12 유자차 전처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5447B1 true KR100755447B1 (ko) 2007-09-04

Family

ID=38736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9231A KR100755447B1 (ko) 2006-10-12 2006-10-12 유자차 전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54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4226U (ko) * 1994-02-04 1995-09-13 이정율 밀감의 과립 축출 분리장치
KR970009634A (ko) * 1995-08-07 1997-03-27 카롤로스 네토 멘데스 감귤류 쥬스 추출기의 여과장치 및 과일쥬스 추출용의 관통 여과관
KR200428185Y1 (ko) * 2006-07-19 2006-10-11 정재노 유자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4226U (ko) * 1994-02-04 1995-09-13 이정율 밀감의 과립 축출 분리장치
KR970009634A (ko) * 1995-08-07 1997-03-27 카롤로스 네토 멘데스 감귤류 쥬스 추출기의 여과장치 및 과일쥬스 추출용의 관통 여과관
KR200428185Y1 (ko) * 2006-07-19 2006-10-11 정재노 유자 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26175B (zh) 用于制造和分配半液态和/或半固态食品的机器
CN102582856A (zh) 不规则物料定量罐装机及定量罐装方法
KR20190113596A (ko) 가공 라인에서 질서 정연한 순서로 가금류 앞쪽 절반의 공급을 배치하기 위한 시스템
KR200455560Y1 (ko) 화장료 조성물 충진장치
EP1785352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ooling food articles
CN104703481A (zh) 用于制作和分配软冰淇淋的自动机器
KR100755447B1 (ko) 유자차 전처리 장치 및 그 방법
US2216762A (en) Liquid chilling device
JP4013294B2 (ja) 油脂の乾式分別法
EP2644515B1 (en) Container emptying apparatus
JP2018193160A (ja) 食品移載装置、食品把持装置及び食品移載方法
EP0547183B1 (en) An apparatus for making frozen edible products
KR20180113352A (ko) 화장품 충진장치
JP2008517246A (ja) 生鮮品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CN110639423A (zh) 养生综合营养餐的各组分称量配重装置
US6695563B1 (en) Apparatus for inversion of racked glasses
US20080274236A1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oducing Ice Confection
JP3410714B2 (ja) 冷菓製造装置における箸無し冷菓のトレイ詰め機構
WO2006002885A3 (de) Verfahren und anlage zum portionieren von mahlzeiten auf serviertabletts sowie arbeitsstation hierfür
CN207747916U (zh) 一种生产火锅底料的运输装置
NO310587B1 (no) Fremgangsmåte ved frysing av matvareprodukter som föres gjennom et frysekammer samt anordning for utförelse avfremgangsmåten
TWM570102U (zh) Automatic beverage making device and feeding device thereof
TW202005586A (zh) 自動飲料製作裝置及其給料裝置
JP2009278869A (ja) シャリ玉成形装置
KR20160072399A (ko) 소형 자동 계란 분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