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381B1 - 직진 성능을 향상시킨 타이어 - Google Patents

직진 성능을 향상시킨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381B1
KR100755381B1 KR1020060063361A KR20060063361A KR100755381B1 KR 100755381 B1 KR100755381 B1 KR 100755381B1 KR 1020060063361 A KR1020060063361 A KR 1020060063361A KR 20060063361 A KR20060063361 A KR 20060063361A KR 100755381 B1 KR100755381 B1 KR 100755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d
tire
performance
blocks
physical proper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3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연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3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3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1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isolated elements, e.g.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2Patterns comprising isolated re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4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continuous circumferential ribs, e.g. zig-z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008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characterised by the tread rubber
    • B60C2011/0016Physical properties or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진 성능을 향상시킨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드 블록에 트레드와는 다른 물성을 가진 보강고무를 다수 개 삽입함으로써, 트레드 블록의 유동을 줄여 타이어의 직진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타이어는, 다수의 그루브(51)에 의하여 다수의 트레드 블록(53)이 형성된 트레드(50)를 구비한다. 상기 트레드 블록에 상기 트레드와는 다른 물성을 가진 보강고무(59)가 상기 트레드의 원주방향으로 다수 개 삽입된다. 상기 보강고무(59)는 상기 트레드(50)보다 큰 경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물성이 다른 보강고무(59)들로 트레드 블록(53)들이 보강되어, 트레드 블록(53)들의 유동이 최소화됨으로써, 타이어의 직진 성능과 조종성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타이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트레드 블록(53)들의 유동이 최소화되면, 소음 성능도 개선될 수 있다.
타이어, 직진, 성능, 트레드, 그루브, 패턴, 블록, 조종성, 보강, 고무, 물성, 경도

Description

직진 성능을 향상시킨 타이어 {TIRE WITH IMPROVED STRAIGHT DRIVE PERFORMANCE}
도 1은 일반적인 타이어의 예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타이어의 트레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진 성능을 향상시킨 타이어의 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트레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그루브, 53 : 트레드 블록,
59 : 보강고무.
본 발명은 직진 성능을 향상시킨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레드 블록에 트레드와는 다른 물성을 가진 보강고무를 다수 개 삽입함으로써, 트레드 블록의 유동을 줄여 타이어의 직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는 그 목적으로 하는 승차감, 소음, 조종성 등의 성능을 초기에 최대한 발휘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타이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의 내주를 구성하는 인너라이너(1)와, 상기 인너라이너(1)의 외주에 적층되는 카카스(2)와, 상기 카카스(2)의 외주에 적어도 1층 이상 적층되는 벨트(3)와, 상기 벨트(3)의 외주에 적층되어 실질적으로 지면에 접촉하는 트레드(4)와, 타이어의 양쪽 측면을 구성하는 양쪽 사이드월(5, 5)과, 그리고 휠에 결합되어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을 유지하는 양쪽 비드(6, 6)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타이어 기술은 한국 공개특허 제2005-51103호, 한국 공개특허 제2005-35438호 등에 잘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타이어에 있어서, 그 기본성능인 드라이 트랙션 성능, 웨트 트랙션 성능, 소음 성능 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트레드(4)는 그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종그루브(4a)와, 그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횡그루브(4b)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그루브들(4a, 4b)들에 의하여 다수의 트레드 블록(4c)이 형성된다. 이 그루브들(4a, 4b)과 트레드 블록(4c)들에 의한 트레드(4)의 외관 형상을 통상 트레드 패턴이라 칭하고 있다.
타이어의 조종성 및 직진 성능은 트레드 블록(4c)의 강성과 유동의 고저에 영향을 받게 되는데, 종래 타이어에 있어서는 상기 트레드(4)가 단일의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타이어 주행시 마찰열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는 트레드 블록(4c)의 표면 쪽의 팽창률이 내측보다 상대적으로 커서, 트레드 블록(4c)의 반경 방향을 따라 변형량이 달라진다. 이 때문에, 트레드 블록(4c)의 유동현상이 심하게 나타나 타이어의 조종성 및 직진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트레드(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더 트레드(4d), 캡 트레드(4e) 및 상기 언더 트레드(4d) 및 상기 캡 트레드(4e) 양쪽 가장자리의 양쪽 윙 스트립(4f, 4f)로 구분될 수 있고, 이러한 트레드(4)의 구성요소를, 조종성, 젖은 노면과 마른 노면에서의 주행성 등을 고려하여 각각 다른 물성을 가진 고무를 적용하여 형성하는 기술도 제안되고 있으나, 타이어의 조종성 및 직진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트레드 블록에 트레드와는 다른 물성을 가진 보강고무를 다수 개 삽입함으로써, 트레드 블록의 유동을 줄여 타이어의 직진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직진 성능을 향상시킨 타이어는, 다수의 그루브에 의하여 다수의 트레드 블록이 형성된 트레드를 가지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블록에 상기 트레드와는 다른 물성을 가진 보강고무가 상기 트레드의 원주방향으로 다수 개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강고무는 상기 트레드보다 큰 경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 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직진 성능을 향상시킨 타이어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는, 타이어의 내주를 구성하는 인너라이너(10)와, 상기 인너라이너(10)의 외주에 적층되는 카카스(20)와, 상기 카카스(20)의 외주에 적어도 1층 이상 적층(승용차용 타이어(PCR 타이어)의 경우 통상 2층이 적층됨)되는 벨트(30)와, 상기 벨트(30)의 외주에 적층되어 실질적으로 지면에 접촉하는 트레드(50)와, 타이어의 양쪽 측면을 구성하는 양쪽 사이드월(60, 60)과, 그리고 휠에 결합되어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을 유지하는 양쪽 비드(70, 70)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있어서, 참조부호 40은 상기 벨트(30)의 에지를 보강하는 에지 캡 플라이(Edge Capply)를 나타내고, 71은 에이펙스(Apex)를 나타내며, 72는 플리퍼(Flipper)를 나타내고, 73은 체퍼(Chafer)를 나타낸다.
상기 트레드(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드(50) 내측을 구성하는 언더 트레드(55), 트레드(50)의 외측을 구성하는 캡 트레드(56), 그리고 상기 언더 트레드(55) 및 상기 캡 트레드(56)의 양쪽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양쪽 윙 스트립(57, 57)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들은 각각 다른 물성을 가진 고무로 형성되거나 동일한 물성을 가진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드(50)에는 다수의 그루브(51)가 형성되어 있고, 이 그루브(51)들에 의하여 다수의 트레드 블록(53)들이 형성된다. 상기 트레드 블록(53)은 트레드(50)의 중앙부 영역을 구성하는 센터 트레드 블록(53c)들과, 트레드(50)의 양쪽 측부, 즉 트레드 숄더(Tread Shoulder)를 구성하는 트레드 숄더 블록(53s)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트레드 블록(53)에 상기 트레드(50)와는 다른 물성을 가진 보강고무(59)가 상기 트레드(50)의 원주방향으로 다수 개 삽입된다. 이 보강고무(59)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드 블록(53)중 캡 트레드(56) 영역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고무(59)는 트레드(50)보다 큰 경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진 성능을 고려하여, 직진 성능에 큰 영향을 주는 센터 트레드 블록(53c)들에는 다수 개의 보강고무(59)가 트레드(5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삽입되고, 트레드 숄더 블록(53s)에는 하나의 보강고무(59)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타이어에 따르면, 물성이 다른 보강고무(59)들로 트레드 블록(53)들이 보강되어, 트레드 블록(53)들의 유동이 최소화됨으로써, 타이어의 직진 성능과 조종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직진 성능을 향상시킨 타이어에 의하면, 물성이 다른 보강고무(59)들로 트레드 블록(53)들이 보강되어, 트레드 블록(53)들의 유동이 최소화됨으로써, 타이어의 직진 성능과 조종성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타이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트레드 블록(53)들의 유동이 최소화되면, 소음 성능도 개선될 수 있다.

Claims (2)

  1. 다수의 그루브(51)에 의하여 다수의 트레드 블록(53)이 형성된 트레드(50)를 가지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블록에 상기 트레드와는 다른 물성을 가진 보강고무(59)가 상기 트레드의 원주방향으로 다수 개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진 성능을 향상시킨 타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고무(59)는 상기 트레드(50)보다 큰 경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진 성능을 향상시킨 타이어.
KR1020060063361A 2006-07-06 2006-07-06 직진 성능을 향상시킨 타이어 KR100755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361A KR100755381B1 (ko) 2006-07-06 2006-07-06 직진 성능을 향상시킨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361A KR100755381B1 (ko) 2006-07-06 2006-07-06 직진 성능을 향상시킨 타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5381B1 true KR100755381B1 (ko) 2007-09-04

Family

ID=38736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361A KR100755381B1 (ko) 2006-07-06 2006-07-06 직진 성능을 향상시킨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53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817A (ja) * 1993-07-23 1995-02-03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トレッド
JPH11310019A (ja) 1998-04-30 1999-11-09 Bridgestone Corp 乗用車用空気入りタイヤ
JP2000177337A (ja) * 1998-12-14 2000-06-27 Bridgestone Corp 自動二輪車用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817A (ja) * 1993-07-23 1995-02-03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トレッド
JPH11310019A (ja) 1998-04-30 1999-11-09 Bridgestone Corp 乗用車用空気入りタイヤ
JP2000177337A (ja) * 1998-12-14 2000-06-27 Bridgestone Corp 自動二輪車用空気入りタイ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569B1 (ko) 공기입 타이어
US10800211B2 (en) Pneumatic tire
US8616253B2 (en) Tyre for vehicle wheels
RU2527590C2 (ru) Шина, коронная зона которой имеет придающий жесткость усилитель
CN107624088B (zh) 包括具有多个切口的花纹块的轮胎胎面
US9061550B2 (en) Pneumatic tire
JP2010513117A (ja) 改良トレッドパターンを有する車両ホイール用タイヤ
JPH11321237A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WO2008050545A1 (fr) Pneumatique
KR20110116977A (ko) 공기 타이어
JP2005162145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0869025B1 (ko) 가변형 사이프를 가지는 공기입 타이어
EP3532315B1 (en) Motorcycle tyre
US20200298627A1 (en) Pneumatic tire
JP2003104009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0755381B1 (ko) 직진 성능을 향상시킨 타이어
JP4674809B2 (ja) 空気入りタイヤ
CN110461624B (zh) 胎面具有含底切侧面的凹槽和增强元件的轮胎
JP2007261546A (ja) 空気入りタイヤ
JP7224221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775106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097076B1 (ko) 공기입 타이어
CN103517813B (zh) 车辆充气轮胎
JP5099966B2 (ja) 車両用タイヤ
JP4893355B2 (ja) 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