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266B1 - 스크린프린터 - Google Patents

스크린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266B1
KR100755266B1 KR1020050130465A KR20050130465A KR100755266B1 KR 100755266 B1 KR100755266 B1 KR 100755266B1 KR 1020050130465 A KR1020050130465 A KR 1020050130465A KR 20050130465 A KR20050130465 A KR 20050130465A KR 100755266 B1 KR100755266 B1 KR 100755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ignment
axis
alignment adjusting
adjusting means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0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8628A (ko
Inventor
정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이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이에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이에스이
Priority to KR1020050130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266B1/ko
Publication of KR20070068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8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26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부재 상에서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입설되며 진공수단과 연계되어 캐리어보트 상에 로딩된 인쇄회로기판을 진공흡착하는 진공흡착블록과, 상기 진공흡착블록의 측면으로 끝단이 밀착되도록 배치하되 x축선상으로 2개를 배치하고 y축선상으로 1개를 배치한 마이크로미터방식의 제1 내지 제3 얼라인조정수단과, 상기 각 얼라인 조정수단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진공흡착블록에 연계하되 상기 제3 얼라인조정수단의 위치배열에 대응하도록 탄성벡터의 힘을 발휘되게 한 탄성수단으로 이루어진 얼라인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하되; 얼라인모듈을 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게 하고 지지플레이트에 실린더를 연결하여 얼라인모듈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통상 구비되는 작업플레이트인 z축 플레이트 상에 체결/분리하여 탈/부착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통상 구비되는 x축과 y축 및 θ축 플레이트의 작업플레이트와 연동하여 인쇄회로기판을 마스크와 얼라인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 평면상에서 x, y, θ방향에 대한 위치제어를 한번에 수행함으로써 스크린프린팅을 위한 얼라인의 정확성 및 정밀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함은 물론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스크린프린터{SCREEN PRINTER}
도 1은 종래 얼라인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외형을 보인 일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얼라인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얼라인유닛의 얼라인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보인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얼라인모듈의 동작원리 및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념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사이드 컨베이어 20: 마스크
30: 스퀴즈 40: 얼라인유닛
41: 지지플레이트 42: x축 플레이트
43: y축 플레이트 44: θ축 플레이트
45: z축 플레이트 50: 진공흡착수단
60: 실린더 100: 얼라인모듈
110: 진공흡착블록 120a,120b,120c: 얼라인조정수단
130: 구동수단 140: 탄성수단
CB: 캐리어보트 P: 인쇄회로기판
본 발명은 반도체 조립공정에서 표면실장(SMT) 공정에 사용되는 스크린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한 평면상에서 x축, y축, θ축 이동을 한번에 위치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얼라인의 정확성 및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스크린프린팅작업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한 스크린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산업의 발전과 함께 인쇄회로기판은 주로 표면실장(Surface Mount Technology; SMT) 공정에 의존해 생산되고 있으며, 본 발명과 관련한 스크린프린터는 상술한 SMT공정을 위한 인쇄회로기판의 솔더링 전처리 작업을 진행하는데 사용되는 자동화장비로서, 집적회로소자나 저항, 콘덴서 등 각종 부품을 솔더링할 수 있도록 회로패턴의 박리된 솔더면에 크림솔더 타입의 납을 도포하는 장치이다.
종래 스크린프린터의 일반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인쇄회로기판을 투입하여 작업위치로 이송하는 투입측 사이드 컨베이어와, 마스크 위에 올린 크림솔더 타입의 납을 밀어주는 스퀴즈와, 스크린프린팅 작업을 완료한 후 마스크의 하부면을 세 정하는 크리너부와, 장비의 내부에 구비되며 인쇄회로기판의 얼라인을 위한 얼라인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얼라인유닛은 크림솔더의 납을 인쇄회로기판의 솔더면 상에 도포/배열하기 전에 인쇄회로기판을 마스크와 얼라인시키는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주요 유닛으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PCB)의 x축, y축, θ축 방향 위치제어를 통한 얼라인 수행을 위하여 종(縱)배열을 형성한 x, y, θ축 플레이트(2,3,4)와 상기 θ축 플레이트(4) 상에 위치하며 인쇄회로기판(PCB)을 상승시켜 마스크에 밀착시키기 위한 z축 플레이트(미 도시됨)의 작업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스크린프린터는 투입측 사이드 컨베이어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을 투입하고 얼라인유닛(1)의 x, y, θ축 플레이트(2,3,4)를 각기 조정하여 인쇄회로기판(PCB) 상의 솔더면들과 이에 대응되게 마스크에 천공된 납투입구들을 얼라인시키고, 이어서 z축 플레이트를 통해 작업플레이트를 상승시켜 마스크와 인쇄회로기판(PCB)을 밀착되게 한 후, 스퀴즈를 전후방 이동시켜 마스크 위에 올려진 납액이 마스크 상의 납투입구를 통과되게 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 상의 솔더면에 납액을 도포 또는 납볼을 배열되게 하고 이후 납액이 도포 또는 납볼이 배열된 인쇄회로기판을 중앙컨베이어로부터 배출측 사이드 컨베이어로 이송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스크린프린터는 종배열을 갖는 x축, y축, θ축 플레이트를 각기 위치 제어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의 얼라인을 시도하므로 그 정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즉 동일 평면상에서 x축과 y축 및 θ축 방향 이동을 한번에 위치 제어할 수 없는 구조적인 단점에 따라 얼라인의 정밀성이 떨어져 정확한 위치에 납액 도포 또는 납볼 배열을 형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 및 그에 따른 생산성 저하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동일 평면상에서 x축, y축, θ축 이동을 한번에 위치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얼라인모듈을 장비 상에 구비되게 함으로써 얼라인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아주 미세한 위치이동까지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정밀한 얼라인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스크린프린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얼라인의 정확성 및 정밀성 향상을 통해 인쇄회로기판 상에 납액 도포 또는 납볼 배열을 정확한 위치에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고 스크린프린팅작업의 효율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제품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한 스크린프린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을 마스크와 얼라인시키고 인쇄회로기판에 납액을 도포 또는 납볼을 배열되게 하는 스크린프린터에 있어서, 동일 평면상에서 인쇄회로기판의 x, y, θ 방향에 대한 위치제어의 동시 수행이 가능하도록 한 얼라인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얼라인모듈은 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게 하되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실린더를 연결하여 상기 얼라인모듈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얼라인모듈은 통상 구비되는 작업플레이트인 z축 플레이트 상에 체결/분리하여 탈/부착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통상 구비되는 x축과 y축 및 θ축 플레이트의 작업플레이트와 연동하여 인쇄회로기판을 마스크와 얼라인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얼라인모듈은 베이스부재 상에서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입설되며 진공수단과 연계되어 캐리어보트 상에 로딩된 인쇄회로기판을 진공흡착하는 진공흡착블록과, 상기 진공흡착블록의 측면으로 끝단이 밀착되도록 배치하되 x축선상으로 2개를 배치하고 y축선상으로 1개를 배치한 마이크로미터방식의 제1 내지 제3 얼라인조정수단과, 상기 각 얼라인 조정수단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진공흡착블록에 연계하되 상기 제3 얼라인조정수단의 위치배열에 대응하도록 탄성벡터의 힘을 발휘되게 한 탄성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외형을 보인 일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얼라인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얼라인유닛의 얼라인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보인 도면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얼라인모듈의 동작원리 및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념 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는 인쇄회로기판(P)이 로딩(loading)된 캐리어보트(CB)를 작업위치로 이송하는 투입측 사이드 컨베이어(10)와, 마스크(20) 위에 올린 크림솔더 타입의 납을 밀어주어 인쇄회로기판(P) 상에 납액을 도포 또는 납볼을 배열되게 하는 스퀴즈(30)와, 상기 스퀴즈(30)를 통한 스크린프린팅 작업을 완료한 후 마스크(20)의 하부면을 세정하기 위한 크리너부(미 도시됨)와, 상기 스퀴즈(20)의 하측으로 배치되며 스크린프린팅 작업 전에 인쇄회로기판(P)과 마스크(20)를 얼라인시키기 위한 얼라인유닛(4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P)과 마스크(20)의 위치를 인식하는 카메라유닛(미 도시됨)과, 스크린프린팅 작업에 관련된 상기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 도시됨)와, 상기 인쇄회로기판(P)의 얼라인을 위하여 얼라인유닛(40)측 고정 및 고정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진공흡착수단(50)과, 상기 얼라인유닛(40)을 상승시켜 얼라인유닛(40) 상에 고정된 인쇄회로기판(P)을 상기 마스크(20)측에 밀착되게 하는 높이조절수단(미 도시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얼라인유닛(40)은 캐리어보트(CB)의 수용홀 상으로 로딩된 인쇄회로기판(P)을 흡착 고정함과 더불어 동일 평면상에서 인쇄회로기판(P)의 x, y, θ 방향에 대한 위치제어를 수행하게 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P)과 마스크(20)를 얼라인시키되 그 정확성 및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서, 동일 평면상에서 인쇄회로기판(P)의 x, y, θ 방향에 대한 위치제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얼라인모듈(100)을 구비하되 이를 지지플레이트(41)에 고정/지지되게 하고 통상 얼 라인유닛(40)에 구비되는 작업플레이트인 z축 플레이트(45) 상에 체결/분리하여 탈/부착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게 하며, x축과 y축 및 θ축 플레이트(42,43,44)의 작업플레이트와도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얼라인모듈(100)은 베이스부재(101) 상에서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입설되며 캐리어보트(CB) 상에 로딩된 인쇄회로기판(P)의 진공흡착 및 얼라인(align) 조정을 위한 진공흡착블록(110)과, 상기 진공흡착블록(110)의 측면으로 끝단이 밀착되도록 배치하되 x축선상으로 2개를 배치하고 y축선상으로 1개를 배치한 마이크로미터방식의 제1 내지 제3 얼라인조정수단(120a,120b,120c)과, 상기 각 얼라인조정수단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수단(130)과, 상기 진공흡착블록(110)에 연계하되 상기 제3 얼라인조정수단(120c)의 위치배열에 대응하도록 탄성벡터의 힘을 발휘되게 한 탄성수단(14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 얼라인조정수단(120a,120b,120c)은 모두 동일한 구성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이들을 통합하는 통합부호로 120번을 병기 사용하기로 하며, 상기 구동수단(13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받게 되는 회전부(121)와, 상기 회전부(121)의 회전에 따른 직선이동을 수행하며 상기 진공흡착블록(110)의 측면을 밀어 위치 제어함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을 얼라인시키는 얼라인 조정구(122)와, 상기 얼라인 조정구(122)와 나사결합을 이루며 상기 얼라인 조정구(122)의 피치 이동을 지원하는 지지부(12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3 얼라인조정수단(120c)은 상기 진공흡착블록(110)의 중앙에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여 진공흡착블록(110)의 θ축 방향 이동에 따른 위치 제어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수단(130)은 상기 얼라인조정수단(120)의 회전부(121)와 벨트 또는 체인(134) 결합을 이루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31)와, 상기 모터(131)의 구동을 정밀 제어하기 위한 모터드라이버(132) 및 엔코더(133)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수단(140)은 상기 진공흡착블록(110)을 밀거나 당김에 의해서 상기 제3 얼라인조정수단(120c)에 대응하도록 탄성벡터의 작용력을 발휘되게 한 것으로 진공흡착블록(110)의 x축 방향과 y축 방향 및 θ축 방향 이동에 따른 위치제어의 용이성 및 정밀성을 제공하며, 인장식 또는 압축식의 스프링(spring)부재 또는 쇽업쇼버(shock absorber)부재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데,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탄성부재의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수단(140)을 인장식으로 구성하는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7a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얼라인조정수단(120c)을 진공흡착블록(110)의 중앙에서 편심된 위치에 배치하고 이 제3 얼라인조정수단(120c)의 편심 위치에 대응하는 탄성벡터가 작용하도록 탄성수단(140)을 상기 진공흡착블록(110)측에 사선(斜線)방향으로 배치하여 연계되게 한다. 이때, 상기 탄성수단(140)은 진공흡착블록(110)의 하측으로 배치되는 구성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140)을 압축식으로 구성하는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7b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얼라인조정수단(120c)을 진공흡착블록(110)의 중앙에서 편심된 위치에 배치하고 이 제3 얼라인조정수단(120c)의 편심 위치에 대응하는 탄성벡터가 작용하도록 탄성수단(140)을 상기 편심된 제3 얼라인조정수단 (120c)의 대향 위치에 배치되게 함과 더불어 제1 및 제2 얼라인조정수단(120a)(120b)의 대향 위치에도 배치하되 중심에 배치되게 한다. 이때, 상기 탄성수단(140)은 진공흡착블록(110)의 측면으로 배치되는 구성을 갖게 된다.
상기 진공흡착수단(50)은 진공라인(51)과 상기 진공라인(51) 상에 설치되며 진공 흡착 및 해제를 조정하는 전자밸브(52)로 구성되며, 상기 진공라인(51)은 상기 진공흡착블록(110)의 중공(111)에 연계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작업플레이트의 z축 플레이트(45)에 연결된 이동스크류 (미 도시됨) 및 상기 이동스크류를 구동하는 모터(미 도시됨)의 구성을 통해 z축 플레이트(45)를 이동시킴으로써 얼라인모듈(100)을 상승/하강시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또는 얼라인모듈(100) 고정용 지지플레이트(41)에 유압 또는 공압의 실린더(60)를 연계하여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지지플레이트(41)를 상승/하강시킴으로써 이에 고정된 얼라인모듈(100)을 상승/하강시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유닛은 마스크(20)의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상부카메라와 인쇄회로기판(P)의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하부카메라로 구성되며, 마스크(20)와 인쇄회로기판(P) 상에 표시된 인식마크를 감지함으로써 이들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는 각 구성요소의 구동을 제어함에 의해 스크린프린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더불어 상기 카메라유닛으로부터 마스크(20)와 인쇄회로기판(P)의 위치인식정보를 받아 그에 따른 동작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동작관계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투입측 사이드 컨베이어(10)에 의해 인쇄회로기판(P)이 로딩된 캐리어보트(CB)가 작업위치로 이송되면, 진공수단(50)의 전자밸브(52)가 개방되고 얼라인유닛(40)측 진공흡착블록(110)이 인쇄회로기판(P)을 진공 흡착하여 고정되게 한다.
진공흡착블록(110) 상에 인쇄회로기판(P)이 고정되면 카메라유닛(미 도시됨)이 이동하고 상/하 카메라가 인쇄회로기판(P)과 마스크(20)에 표시된 인식마크를 감지함에 의해 이들의 각 위치정보를 인식하여 제어부(미 도시됨)로 현재 위치정보신호를 보내게 된다.
제어부는 카메라가 인식하여 송출한 위치정보신호를 토대로 얼라인유닛(40)의 동작을 제어하여 인쇄회로기판(P) 상의 솔더면들과 이에 대응되게 마스크(20)에 천공된 납투입구들을 얼라인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즉, 카메라의 위치정보신호에 따라 얼라인모듈(100)의 구동수단(130)을 제어하여 제1 내지 제3 얼라인조정수단(120a,120b,120c)의 구동을 제어하게 되고, 마이크로미터방식의 구조로 형성한 제1 내지 제3 얼라인조정수단의 피치이동 조정으로 진공흡착블록(110)을 밀어 x, y ,θ 방향에 대한 위치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P)과 마스크(20)를 얼라인시키게 되며, 피치이동에 따른 미세 조정으로 정밀하면서도 정확한 위치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부연하면, 얼라인모듈(100)을 통한 x방향의 위치제어는, 구동수단(130)을 통해 제1 및 제2 얼라인조정수단(120a,120b)을 동시 구동되게 하면 회전운동의 직선 운동 변환으로 얼라인 조정구(122)가 직선 이동하면서 진공흡착블록(110)을 x축 방향으로 밀어 위치 이동되게 함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얼라인모듈(100)을 통한 y방향의 위치제어는, 구동수단(130)을 통해 제3 얼라인조정수단(120c)을 구동되게 하면 얼라인 조정구(122)가 직선 이동하면서 진공흡착블록(110)을 y축 방향으로 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3 얼라인조정수단(120c)측 편심위치에 대응하도록 설치된 탄성수단(140)이 그에 대응하는 탄성벡터의 힘을 발휘함에 의해 진공흡착블록의 회전됨을 방지되게 하면서 y축 방향의 직선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얼라인모듈(100)을 통한 θ방향의 위치제어는, 구동수단(130)을 통해 제1 및 제3 얼라인조정수단(120a,120c)을 동시 구동되게 하면 이들이 진공흡착블록(110)의 Y축 변방과 X축 변방을 동시에 밀어내게 되어 진공흡착블록(110)의 회전에 따른 θ축 방향 위치이동을 제어하게 되며, 이때에는 제3 얼라인조정수단(120c)측 편심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탄성수단(140)이 그 편심에 대응하는 탄성벡터의 힘을 동시에 발휘함에 의해 진공흡착블록(110)의 회전각을 잡아주어 θ축 방향에 대한 정밀한 위치제어가 이루어지게 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는 동일 평면상에서 x, y, θ 방향에 대한 위치제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얼라인모듈(100)의 단독 동작을 설명한 것이며, 제어부의 제어명령을 통해서 얼라인모듈(100)의 동작과 더불어 통상 구비되는 기존의 x축, y축 및 θ축 플레이트(42,43,44)를 연동되게 함으로써 위치이동을 제어하여 인쇄회로기판(P)과 마스크(20)의 얼라인작업을 수행되게 할 수도 있다.
얼라인유닛(40)에 의해 진공흡착블록(110) 상에 고정시킨 인쇄회로기판(P)과 마스크(20)의 얼라인이 이루어지면, 작업플레이트인 z축 플레이트(45) 또는 실린더(60)를 구동되게 하여 얼라인유닛(40)측 얼라인모듈(100)을 상승되게 함으로써 얼라인이 이루어진 인쇄회로기판(P)을 마스크(20)측에 밀착되게 한다.
이어서, 스퀴즈(30)를 전후방 이동시켜 마스크(20) 위에 올려진 납액이 마스크 상의 납투입구를 통과되게 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P) 상의 솔더면에 납액을 도포 또는 납볼을 정확하게 배열되게 하고 이후 진공수단(50)측 진공해제와 함께 납액이 도포 또는 납볼이 배열된 인쇄회로기판을 중앙컨베이어로부터 배출측 사이드 컨베이어로 이송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에 의하면, 동일 평면상에서 x축, y축, θ축 이동을 한번에 위치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얼라인모듈을 장비 상에 구비하되 얼라인모듈의 단독 동작 또는 기존의 작업플레이트와 연동하여 동작되게 함으로써 얼라인의 정확성 향상은 물론 아주 미세한 위치이동까지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아주 정밀한 얼라인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스크린프린팅작업의 효율성을 갖게 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얼라인의 정확성 및 정밀성 향상으로 인쇄회로기판 상에 납액 도포 또는 납볼 배열을 정확한 위치에 형성시킬 수 있어 불량발생의 최소화는 물론 전반적으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는 유용함을 제공한다.

Claims (9)

  1. 인쇄회로기판을 마스크와 얼라인시키고 인쇄회로기판에 납액을 도포 또는 납볼을 배열시키며, 동일 평면상에서 인쇄회로기판의 x, y, θ 방향에 대한 위치제어의 동시 수행이 가능하도록 한 얼라인모듈을 포함하는 스크린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모듈은 베이스부재 상에서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입설되며 진공수단과 연계되어 캐리어보트 상에 로딩된 인쇄회로기판을 진공흡착하는 진공흡착블록과,
    상기 진공흡착블록의 측면으로 끝단이 밀착되도록 배치하되 x축선상으로 2개를 배치하고 y축선상으로 1개를 배치한 마이크로미터방식의 제1 내지 제3 얼라인조정수단과,
    상기 각 얼라인 조정수단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진공흡착블록에 연계하되 상기 제3 얼라인조정수단의 위치배열에 대응하도록 탄성벡터의 힘을 발휘되게 한 탄성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프린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얼라인조정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받게 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른 직선이동을 수행하며 상기 진공흡착블록의 측면을 밀어 위치 제어함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을 얼라인시키는 얼라인 조정구와,
    상기 얼라인 조정구와 나사결합을 이루며 상기 얼라인 조정구의 피치 이동을 지원하는 지지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프린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인장식 또는 압축식의 스프링부재나 쇽업쇼버부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프린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얼라인조정수단은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하고 제3 얼라인조정수단은 진공흡착블록의 중앙에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게 하며, 상기 제3 얼라인조정수단의 편심 위치에 대응하는 탄성벡터가 작용하도록 상기 탄성수단을 진공흡착블록측에 사선(斜線)방향으로 배치하여 연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프린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얼라인조정수단은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하고 제3 얼라인조정수단은 진공흡착블록의 중앙에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게 하며, 상기 탄성수단을 상기 편심된 제3 얼라인조정수단의 대향 위치에 배치함과 더불어 상기 제1 및 제2 얼라인조정수단의 대향 위치에도 배치하되 중심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제3얼라인조정수단의 편심 위치에 대응하는 탄성벡터가 작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프린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50130465A 2005-12-27 2005-12-27 스크린프린터 KR100755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465A KR100755266B1 (ko) 2005-12-27 2005-12-27 스크린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465A KR100755266B1 (ko) 2005-12-27 2005-12-27 스크린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628A KR20070068628A (ko) 2007-07-02
KR100755266B1 true KR100755266B1 (ko) 2007-09-04

Family

ID=38504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0465A KR100755266B1 (ko) 2005-12-27 2005-12-27 스크린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52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1125A (ja) 1996-07-29 1998-02-20 Toshiba Corp はんだペースト印刷用マスク及びはんだペースト印刷装置
JP2001062995A (ja) 1999-08-30 2001-03-13 Minami Kk スクリーン印刷機
KR20030088761A (ko) * 2002-05-15 2003-11-20 세크론 주식회사 스크린 프린터에서의 작업 테이블의 위치 조절장치
KR20050110767A (ko) * 2004-05-19 2005-11-24 송철호 반도체 패키지용 다중 정렬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1125A (ja) 1996-07-29 1998-02-20 Toshiba Corp はんだペースト印刷用マスク及びはんだペースト印刷装置
JP2001062995A (ja) 1999-08-30 2001-03-13 Minami Kk スクリーン印刷機
KR20030088761A (ko) * 2002-05-15 2003-11-20 세크론 주식회사 스크린 프린터에서의 작업 테이블의 위치 조절장치
KR20050110767A (ko) * 2004-05-19 2005-11-24 송철호 반도체 패키지용 다중 정렬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628A (ko) 2007-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9362B1 (ko) 스크린 인쇄장치 및 그의 인쇄방법
KR100921231B1 (ko) 전자부품 탑재장치 및 전자부품 탑재방법
JP5392303B2 (ja) 電子部品実装システムおよび電子部品実装システムにおける実装基板の製造方法
US20010032556A1 (en) Screen printing method and screen printing apparatus
EP1757176A1 (en) Screen printing apparatus and screen printing method
KR20050113576A (ko) 플럭스 저장장치 및 플럭스 전사방법
US6870745B2 (en) Printed-board supporting device, electric-component mounting system,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printed-circuit board
KR20110126581A (ko) 스크린 인쇄기 및 스크린 인쇄기의 클리닝 방법
JP5392304B2 (ja) 電子部品実装システムにおける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WO2010109678A1 (ja) 位置補正機能を有するハンドラ
KR100755266B1 (ko) 스크린프린터
JP4873093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KR101656818B1 (ko) 스크린프린터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KR100559729B1 (ko) 배치 장치 및 방법
KR20030030587A (ko) Led 다이 본더
JP4774605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2002234131A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5018749B2 (ja) 部品実装装置および部品実装方法
KR100988269B1 (ko) 인쇄회로기판 로딩 마운팅장치
KR101560336B1 (ko) 인쇄회로기판의 정렬 장치
KR200399870Y1 (ko) 스크린프린터의 얼라인장치
KR100812310B1 (ko) 위치제어용 얼라인 장치
KR20060110669A (ko) 웨이퍼의 플럭스 도포용 마스크와 이를 구비한 플럭스 도포장치의 제어방법
KR100653307B1 (ko) 스크린프린터의 세타축 조절장치
KR102601870B1 (ko) 하나의 레일로 이종의 인쇄패턴의 프린팅이 가능한 fpcb실장용 스크린 프린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