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040B1 - 장갑을 이용한 점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장갑을 이용한 점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040B1
KR100755040B1 KR1020050117869A KR20050117869A KR100755040B1 KR 100755040 B1 KR100755040 B1 KR 100755040B1 KR 1020050117869 A KR1020050117869 A KR 1020050117869A KR 20050117869 A KR20050117869 A KR 20050117869A KR 100755040 B1 KR100755040 B1 KR 100755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contact
input device
finger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9239A (ko
Inventor
이성일
홍상혁
김성용
김병근
김상억
신성일
서인환
Original Assignee
이성일
서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일, 서인환 filed Critical 이성일
Priority to KR1020050117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040B1/ko
Publication of KR20070059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9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04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장갑을 이용한 점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시각 장애인에 의해 양손의 엄지 손가락에 구비된 접점과 검지, 중지 및 약지 손가락에 구비된 접점중 하나 이상의 접점이 접촉되면, 장갑형 키입력 기기의 컨트롤러에서 해당 접점에 대한 점자 신호를 생성하여 단말기로 출력하고, 점자 신호를 입력받은 단말기에서는 점역 테이블을 참조하여 음소 및 음절 변환을 통해 단어를 완성한 후 해당 단어를 TTS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음성 데이터를 출력함과 동시에 진동발생 제어신호를 장갑형 키입력 기기로 출력하며, 장갑형 키입력 기기의 컨트롤러에서 해당 진동발생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시각 장애인에게 점자 입력이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알린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들이 각종 단말기에 점자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으며, 휴대하기 편리하여 이동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점자, 장갑, TTS(Text To Speech), 코딩(chording)

Description

장갑을 이용한 점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performing braille input using glove-type keyboard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장갑형 키입력 기기의 접점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갑을 이용한 점자 입력장치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장갑형 키입력 기기의 컨트롤러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갑을 이용한 점자 입력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점자표기 기본원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장갑형 키입력기기
110 : 컨트롤러
200 : 단말기
본 발명은 점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각 장애인들이 장갑형 키입력 기기를 사용하여 컴퓨터 또는 PDA 등의 단말기에 점자를 바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장갑을 이용한 점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장애인들에 대한 사회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장애인들이 일반인과 같이 어울려 생활할 수 있도록 많은 제품에 대한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시각 장애인들의 경우에는 지면에 볼록 튀어나오게 점을 찍어 손가락 끝의 촉각으로 문자를 읽을 수 있도록 하는 점자를 사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습득하게 되며, 시각 장애인들이 이용하기 위한 문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점자 입력을 위한 전용의 점자 입력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점자 입력기는 점자를 구성하는 6개의 점으로 글자를 입력하여 시각 장애인이 자유자재로 문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로서, 6개의 점으로 글자를 입력하기 위한 각종 입력 버튼과,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시각 장애인이 입력한 점자를 프린트하는 점자출력장치 등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점자 입력기는, 입력 버튼, 컨트롤러, 점자출력장치 등이 모두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피가 매우 크고, 시각 장애인들 이 휴대하고 다니기 힘들었으며, 높은 가격으로 인하여 모든 시각 장애인들이 손쉽게 구입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각 장애인들의 경우 컴퓨터, PDA 등의 각종 단말기의 사용이 어려워 점자입력을 위한 전용의 키입력 기기를 사용하지 않고서는 각종 단말기를 사용하기 어려웠으며, 이에 따라 정보의 이용 및 습득이 용이하지 않아 일반인들과의 정보격차가 점점 벌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시각 장애인들이 장갑형 키입력 기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각 손가락 끝마디 접점과 엄지 손가락의 접점 조작을 통해 컴퓨터 또는 PDA 등의 단말기에 점자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장갑을 이용한 점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갑을 이용한 점자 입력장치는, 양손의 엄지 손가락 끝마디에 그라운드를 위한 접점이 구비되고, 양손의 검지, 중지 및 약지 손가락의 끝마디에 접점이 구비되며, 시각 장애인의 조작에 따라 양손의 엄지 손가락에 구비된 접점과 검지, 중지 및 약지 손가락에 구비된 접점중 하나 이상의 접점이 접촉되면 해당 접점에 대한 점자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갑형 키입력 기기와; 장갑형 키입력 기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되고, 장갑형 키입력 기기로부 터 점자 신호가 입력되면 점역 테이블을 참조하여 음소 및 음절 변환을 통해 단어를 완성하고, 단어가 완성되면 TTS 변환을 수행하여 스피커를 통해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며, 장갑형 키입력 기기로 진동발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술한 장갑형 키입력 기기는,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장갑형 키입력 기기의 각 부분으로 공급하고, 시각 장애인의 접점 조작에 따라 발생된 점자 신호를 단말기로 출력하며, 단말기로부터 단어 완성에 따른 진동발생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와;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에 의해 구동되고, 시각 장애인의 조작에 따라 양손의 엄지 손가락에 구비된 접점과 검지, 중지 및 약지 손가락에 구비된 접점중 하나 이상의 접점이 접촉되면 해당 접점에 상응하는 점자 신호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단말기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단어 완성을 알리기 위한 진동발생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진동발생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양손의 엄지, 검지, 중지 및 약지 손가락 접점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시각 장애인에 의한 양손의 엄지 손가락 접점과 검지, 중지 및 약지 손가락 접점의 접촉에 따른 스위칭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출력하는 접점 연결부와;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진동제어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진동제어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전류 증폭부와; 전류 증폭부에서 증폭된 진동제어신호에 따라 진동의 세기 및 시간을 조절하여 상기 점자 신호 입력이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갑을 이용한 점자 입력방법은, 시각 장애인의 조작 에 따라 장갑형 키입력 기기가 단말기에 유/무선으로 접속되면, 장갑형 키입력 기기의 컨트롤러와 단말기의 TTS 엔진이 초기화되는 단계와; 장갑형 키입력 기기의 컨트롤러에서 점자 입력을 수행하는 시각 장애인의 조작에 따라 양손의 엄지 손가락에 구비된 접점과 검지, 중지 및 약지 손가락에 구비된 접점중 하나 이상의 접점이 접촉되어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시각 장애인의 조작에 따라 양손의 엄지 손가락에 구비된 접점과 검지, 중지 및 약지 손가락에 구비된 접점중 하나 이상의 접점이 접촉되어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면, 장갑형 키입력 기기의 컨트롤러에서 해당 접점에 대한 점자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해당 점자 신호를 단말기로 출력하는 단계와; 장갑형 키입력 기기의 컨트롤러로부터 시각 장애인의 조작에 따른 점자 신호를 입력받은 단말기에서 점역 테이블을 참조하여 음소 및 음절 변환을 통해 단어를 완성하는 단계와; 단말기에서 완성된 단어를 TTS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고, 완성된 단어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와; 단말기에서 단어 완성을 알리는 진동발생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장갑형 키입력 기기로 출력하고, 장갑형 키입력 기기의 컨트롤러에서 해당 진동발생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갑을 이용한 점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장갑형 키입력 기기의 접점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점자 입력에 사용되는 장갑형 키입력 기기(100)는 양손의 엄지 손가락 끝 마디에 그라운드를 위한 접점(L1)(R1)이 구비되며, 양손의 검지, 중지 및 약지 손가락 끝마디에 접점(L2∼L4)(R2∼R4)이 구비된다.
장갑형 키입력 기기(100)는 자연스러운 손가락 운동을 위한 유연성과 신축성을 갖추고 있고, 엄지, 검지, 중지 및 약지 손가락 끝마디에 구리 테이프를 접착시키고, 그 위에 전도성 실리콘 잉크를 적당한 크기로 접착시킨다. 이 전도성 실리콘 잉크는 구리 테이프와 구리 테이프에 연결되는 전선을 고정함과 동시에 접점의 면적을 넓히고, 엄지 손가락 접점과 검지, 중지 및 약지 손가락 접점이 접촉되면 전기를 흐르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장갑형 키입력 기기(100)는, 시각 장애인에 의해 그라운드가 되는 엄지 손가락에 구비된 접점(L1)(R1)과 검지, 중지 및 약지 손가락에 구비된 6개의 접점(L2∼L4)(R2∼R4)중 하나 이상이 접촉되었을 때, 해당 접점에 대한 점자 신호가 발생되어 장갑형 키입력 기기(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컴퓨터, PDA 등의 단말기(200)로 점자 신호가 전달된다. 즉, 엄지 손가락의 접점(L1)(R1)은 스위치 역할을 하므로 엄지 손가락의 접점(L1)(R1)과 각 손가락의 접점(L2∼L4)(R2∼R4)이 연결되면 스위치 온이 되고, 이에 따라 논리값(예를 들어, 스위치 온 : 0, 스위치 오프 : 1)이 부여되어 해당 점자 신호가 단말기(200)로 전달된다. 예를 들어, 시각 장애인이 점자 1-3-5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왼손 엄지 손가락 접점(L1)과 왼손 검지 손가락 접점(L2) 및 왼손 약지 손가락 접점(L4), 오른손 엄지 손가락 접점(R1)과 오른손 중지 손가락 접점(R3)을 동시에 접촉하면 된다. 이와 같이 동시에 복수의 키를 선택하는 방식을 코딩 방식이라 한다.
또한, 장갑형 키입력 기기(100)는, 시각 장애인의 점자 입력에 따라 소정의 단어가 완성되면 단말기(200)에서 출력되는 진동발생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시각 장애인이 점자 입력을 정상적으로 처리하였음을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갑을 이용한 점자 입력장치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장갑형 키입력 기기(100)와 단말기(200)가 유선으로 연결(무선 단말기의 경우 무선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단말기(200)에 점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시각 장애인이 장갑형 키입력 기기(100)를 착용하고 점자 입력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장갑형 키입력 기기(100)는 시각 장애인의 조작에 따라 엄지 손가락에 구비된 접점(L1)(R1)과 각 손가락에 구비된 접점(L2∼L4)(R2∼R4)중 하나 이상의 접점이 접촉되면 해당 접점에 대한 점자 신호를 발생시켜 유선으로 연결된 단말기(200)로 출력하며, 단말기(200)로부터 점자 입력이 완성되었음을 알리는 진동발생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진동을 발생시켜 시각 장애인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단말기(200)는 개인용 컴퓨터, 노트 PC, PDA 등의 기기로서, USB, 직렬포트 등을 통해 장갑형 키입력 기기(100)와 유선으로 연결(무선 단말기의 경우 무선으로 접속)되며, 장갑형 키입력 기기(100)로부터 점자 신호가 입력되면 기저장되어 있는 점역 테이블을 참조하여 음소 및 음절 변환을 통해 단어를 완성하고, 단어가 완성되면 TTS(Text To Speech) 변환을 수행하여 스피커를 통해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며, 장갑형 키입력 기기(100)로 점자 입력이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알리는 진동 발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단말기(200)에 저장되어 있는 점역 데이터는 정부에서 고시한 한국점자규정집의 점자 표기 기본 원칙에 따라 프로그래밍되어 있으며, 한 칸을 구성하는 점 여섯개(세로측 3, 가로측 2)를 조합하여 만든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갑형 키입력 기기의 컨트롤러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부(111)는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컨트롤러의 각 부분으로 공급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12)의 제어에 따라 시각 장애인의 접점 조작에 의해 발생된 점자 신호를 단말기(200)로 출력하며, 단말기(200)로부터 단어 완성에 따른 진동발생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마이크로 프로세서(112)로 출력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12)는 인터페이스부(111)를 통해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구동되고, 시각 장애인의 조작에 따라 양손의 엄지 손가락에 구비된 접점(L1)(R1)과 검지, 중지 및 약지 손가락에 구비된 접점(L2∼L4)(R2∼R4)중 하나 이상의 접점이 접촉되면 해당 접점에 상응하는 점자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점자 신호를 인터페이스부(111)를 통해 단말기(200)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인터페이스부(111)를 통해 단말기(200)로부터 단어 완성을 알리기 위한 진동발생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장갑형 키입력 기기(100)를 착용한 시각 장애인이 진동을 느껴 점자 입력 상황을 빠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제어신호를 전류 증폭부(116)로 출력하여 진동발생을 제어한다.
발진부(113)는 수정 결정의 압전현상을 이용한 수정진동자를 발진주파수의 제어소자로 사용하여, 안정도가 높은 발진주파수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12)로 공급한다.
접점 연결부(114)는 6개의 입력핀과 2개의 그라운드로 된 8핀 커넥터로서, 양손의 엄지 손가락에 구비된 접점(L1)(R1)과 검지, 중지 및 약지 손가락에 구비된 접점(L2∼L4)(R2∼R4)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시각 장애인의 엄지 손가락 접점과 검지, 중지 및 약지 손가락 접점의 접촉에 따른 2 바이트의 스위칭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12)로 출력한다.
풀업(Pull-Up) 저항(115)은 마이크로 프로세서(112)와 접점 연결부(114) 사이에 연결되며, 접점 연결부(114)로부터 입력되는 엄지 손가락 접점과 검지, 중지 및 약지 손가락 접점의 접촉에 따른 스위칭 신호를 논리적으로 하이레벨 상태로 유지시켜 마이크로 프로세서(112)로 출력한다.
전류 증폭부(116)는 일반적인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마이크로 프로세서(112)로부터 진동제어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진동제어신호를 증폭시켜 진동부(117)로 출력한다.
진동부(117)는 전류 증폭부(116)에서 증폭된 진동제어신호에 따라 진동의 세기 및 시간을 조절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때, 상술한 장갑형 키입력 기기(100)의 컨트롤러(110)는, 유/무선으로 연결된 단말기(200)의 자체 전압을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전원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지만, 장기간의 사용을 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외부 배터리 전원을 공급할 수 있 도록 전원 공급부(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컨트롤러(110)의 전원을 리셋시키는 리셋 스위치, 컨트롤러(110)의 구동을 위한 파워 스위치, 일반적인 LED로 구성되어 파워 스위치 및 리셋 스위치의 작동에 따른 컨트롤러(110)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장갑을 이용한 점자 입력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갑을 이용한 점자 입력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점자표기 기본원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시각 장애인이 장갑형 키입력 기기(100)를 단말기(200)에 유/무선 접속을 수행하면(S100), 장갑형 키입력 기기(100)의 컨트롤러(110)에 설치된 구동프로그램에서 컨트롤러(110)의 상태를 초기화함과 동시에 단말기(200)에 설치된 구동프로그램에서 TTS 엔진을 초기화한다(S200).
초기화 이후 컨트롤러(110)에서 점자 입력을 수행하는 시각 장애인의 조작에 따라 양손의 엄지 손가락에 구비된 접점(L1)(R1)과 검지, 중지 및 약지 손가락에 구비된 접점(L2∼L4)(R2∼R4)중 하나 이상의 접점이 접촉되어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300).
판단 결과 시각 장애인의 조작에 따라 양손의 엄지 손가락에 구비된 접점 (L1)(R1)과 검지, 중지 및 약지 손가락에 구비된 접점(L2∼L4)(R2∼R4)중 하나 이상의 접점이 접촉되어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면, 장갑형 키입력 기기(100)의 컨트롤러(110)에서는 해당 접점에 대한 점자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해당 점자 신호를 유/무선 접속된 단말기(200)로 출력한다(S400).
장갑형 키입력 기기(100)의 컨트롤러(110)로부터 시각 장애인의 조작에 따른 점자 신호를 입력받은 단말기(200)에서는 기저장되어 있는 점역 테이블을 참조하여 음소 및 음절 변환을 수행하고(S500), 음소 및 음절 변환의 수행결과 소정의 단어가 완성되는지를 판단한다(S600).
이때, 점역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점자규정집의 점자 표기 기본 원칙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한다.
즉, 기본 자음의 경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첫소리로 쓰일 때와 받침으로 쓰일 때를 나누어 적으며, 기본 모음 및 그 이외의 모음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으며, 'ㅇ'이 첫소리 자리에 올 경우, 'ㄲ, ㄸ, ㅃ, ㅆ, ㅉ'의 경우, 'ㅘ'나 'ㅜ' 다음에 '애'가 올 경우, 자모만을 적을 경우, 약자 등의 기타 사항에 대해서는 규정집에 따른 규칙을 사용한다.
상술한 단계(S600)의 판단 결과 시각 장애인의 접점 조작에 따라 소정의 단어가 완성되면, 단말기(200)에서는 완성된 단어를 TTS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고, 완성된 단어를 화면상에 표시한다(S700).
그리고, 단말기(200)에서는 이와 동시에 장갑형 키입력 기기(100)를 착용하고 있는 시각 장애인에게 단어가 완성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진동발생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장갑형 키입력 기기(100)의 컨트롤러(110)로 출력한다(S800).
그러면 장갑형 키입력 기기(100)의 컨트롤러(110)에서는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된 진동발생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의 세기 및 시간을 조절하여 진동을 발생시켜 시각 장애인이 원하는 단어의 점자 입력이 수행되었음을 즉시 확인하도록 하며(S900), 시각 장애인에 의한 점자 입력이 종료될 때까지 전술한 단계(S300)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S1000).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장갑을 이용한 점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시각 장애인들이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장갑형 키입력 기기를 착용하고 손가락의 움직임 만으로 컴퓨터 또는 PDA 등의 단말기에 점자를 직접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점자 입력이 매우 용이하며, 휴대하기 편리하여 이동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점자 입력을 위한 장갑형 키입력 기기를 컴퓨터, PDA 등의 각종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도록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전용의 점자 입력기를 사용하지 않고 장갑형 키입력 기기 하나만을 소지하고 다니면서 언제 어디서나 정보통신을 지원하는 각종 단말기에 연결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일반인들과의 정보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양손의 엄지 손가락 끝마디에 그라운드를 위한 접점이 구비되고, 양손의 검지, 중지 및 약지 손가락의 끝마디에 접점이 구비되며, 시각 장애인의 조작에 따라 양손의 엄지 손가락에 구비된 접점과 검지, 중지 및 약지 손가락에 구비된 접점중 하나 이상의 접점이 접촉되면 해당 접점에 대한 점자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갑형 키입력 기기; 및
    상기 장갑형 키입력 기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장갑형 키입력 기기로부터 점자 신호가 입력되면 점역 테이블을 참조하여 음소 및 음절 변환을 통해 단어를 완성하고, 단어가 완성되면 TTS 변환을 수행하여 스피커를 통해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장갑형 키입력 기기로 진동발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장갑형 키입력 기기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장갑형 키입력 기기의 각 부분으로 공급하고, 시각 장애인의 접점 조작에 따라 발생된 점자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출력하며, 상기 단말기로부터 단어 완성에 따른 진동발생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에 의해 구동되고, 시각 장애인의 조작에 따라 양손의 엄지 손가락에 구비된 접점과 검지, 중지 및 약지 손가락에 구비된 접점중 하나 이상의 접점이 접촉되면 해당 접점에 상응하는 점자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단어 완성을 알리기 위한 진동발생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진동발생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양손의 엄지, 검지, 중지 및 약지 손가락 접점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시각 장애인에 의한 상기 양손의 엄지 손가락 접점과 검지, 중지 및 약지 손가락 접점의 접촉에 따른 스위칭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출력하는 접점 연결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진동제어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진동제어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전류 증폭부; 및
    상기 전류 증폭부에서 증폭된 진동제어신호에 따라 진동의 세기 및 시간을 조절하여 상기 점자 신호 입력이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을 이용한 점자 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장기간 사용을 대비하여 배터리 전원을 상기 장갑형 키입력 기기의 각 부분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을 이용한 점자 입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접점 연결부 사이에, 상기 접점 연결부로부터 입력되는 양손의 엄지 손가락 접점과 검지, 중지 및 약지 손가락 접점의 접촉에 따른 스위칭 신호를 논리적으로 하이레벨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풀업 저항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을 이용한 점자 입력장치.
  4. 삭제
KR1020050117869A 2005-12-06 2005-12-06 장갑을 이용한 점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755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869A KR100755040B1 (ko) 2005-12-06 2005-12-06 장갑을 이용한 점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869A KR100755040B1 (ko) 2005-12-06 2005-12-06 장갑을 이용한 점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239A KR20070059239A (ko) 2007-06-12
KR100755040B1 true KR100755040B1 (ko) 2007-09-06

Family

ID=38355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869A KR100755040B1 (ko) 2005-12-06 2005-12-06 장갑을 이용한 점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50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384B1 (ko) * 2008-08-11 2011-06-3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
US10121388B2 (en) 2014-04-29 2018-11-06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to convey chorded inpu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648A (ko) 2001-11-14 2003-05-22 신권 착용하는 장잡형 문자입력장치
KR20040092941A (ko) 2003-04-30 2004-11-04 조인호 진동체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648A (ko) 2001-11-14 2003-05-22 신권 착용하는 장잡형 문자입력장치
KR20040092941A (ko) 2003-04-30 2004-11-04 조인호 진동체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239A (ko) 2007-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9725B2 (ja) 入力キー及び入力装置
KR101650099B1 (ko) 시각장애인용 착용형 햅틱 패턴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94360A (ko) 투 클릭 모르스부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JP2003271301A (ja) 携帯端末装置
US7339124B2 (en) Input key and input apparatus
KR100755040B1 (ko) 장갑을 이용한 점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US20200228638A1 (en) Systems to enhance data entry in mobile and fixed environment
KR100579814B1 (ko) 이동 단말기용 문자 입력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WO2017069659A2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by braille
KR100381870B1 (ko) 휴대용 점자 출력장치 및 방법
GB2311888A (en) Tactile communication system
EP3705983A1 (en) Device and method for bi-directional man-machine communication
JP3708674B2 (ja) 指装着型点字情報入出力装置
RU87813U1 (ru) Система в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в персональный компьютер
KR101368770B1 (ko) 학습용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80097171A (ko) 접이식 키보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청각장애인용 소통장치
KR200356058Y1 (ko) 데이터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장갑
Barathkumar et al. Braille Based Mobile Communication for Deaf and Blind People
JP2866931B2 (ja) 点字学習装置
KR200301208Y1 (ko) 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JP4728992B2 (ja) 携帯情報端末および表示方法
JP4072856B2 (ja) キー入力装置
KR20080082207A (ko) 촉각 센서를 이용한 손가락 접촉식 문자 입력 장치
Kavitha et al. Communication Device for Converting Text to Braille language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EP2407857A2 (en) The method of data inputting into digital devices, stationary and mobile and the keyboard for data inputting into digital devices, stationary and 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