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4496B1 -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모드 변경에 따라 능동 조향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제어하는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모드 변경에 따라 능동 조향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제어하는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4496B1
KR100754496B1 KR1020060091403A KR20060091403A KR100754496B1 KR 100754496 B1 KR100754496 B1 KR 100754496B1 KR 1020060091403 A KR1020060091403 A KR 1020060091403A KR 20060091403 A KR20060091403 A KR 20060091403A KR 100754496 B1 KR100754496 B1 KR 100754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gear ratio
input
mode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1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태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60091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4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6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 B60G17/0164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mainly during accelerating or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B62D5/0463Controlling the motor calculating assisting torque from the motor based on driver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07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adjustable by the driver, e.g. sport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모드 변경에 따라 능동 조향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Continuous Damping Control)를 적용한 차량에서 능동 조향 장치(Active Front Steering)의 입출력 기어비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모드가 변경되면 모드 변경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능동 조향 장치로 전송하는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 상기 모드 변경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입출력 기어비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하는 제어 맵을 상기 모드 변경 신호에 따라 일반 입출력 기어비 제어 맵 또는 스포츠 모드용 입출력 기어비 제어 맵으로 변경하여 상기 입출력 기어비를 제어하는 능동 조향 장치의 ECU; 상기 능동 조향 장치의 ECU의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능동 조향 장치 모터; 및 상기 능동 조향 장치 모터의 구동을 통해 상기 입출력 기어비를 가변하는 가변기어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모드 변경에 따라 능동 조향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모드가 스포츠 모드로 변경되면, 차량 속도에 대해 능동 조향 장치의 입출력 기어비가 종래보다 작아지고, EPS 시스템의 제어 전류가 감소하기 때문에, 고속일 때의 최대 입력턴 수가 종래보다 작아지고, 운전자가 핸들을 조타할 때 제공하는 보조 조타력이 감소하여 차량의 중고속 주행중 핸들링 특성을 스포츠카의 핸들링 특성과 유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 능동 조향 장치, 파워 스티어링 장치, 입출력 기어비, 제어 전류

Description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모드 변경에 따라 능동 조향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Control Apparatus of Active Front Steering and Control Apparatus of Power Steering for Controlling according to Change Mode of Continuous Damping Control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 능동 조향 장치 및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속에 대한 입출력 기어비의 증감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속에 대한 제어 전류의 증감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 120: 능동 조향 장치의 ECU
122: 능동 조향 장치 구동 회로부 124: 능동 조향 장치 모터
126: 가변기어기구 130: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ECU
132: 파워 스티어링 구동 회로부 134: 조향 액추에이터
본 발명은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모드 변경에 따라 능동 조향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에서 모드 변경 신호를 수신한 능동 조향 장치의 ECU는 모드 변경 신호에 따라 일반 입출력 기어비 제어 맵 또는 스포츠 모드용 입출력 기어비 제어 맵을 이용하여 입출력 기어비를 제어하고,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에서 모드 변경 신호를 수신한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ECU는 일반 제어 전류 제어 맵 또는 스포츠 모드용 제어 전류 제어 맵을 이용하여 제어 전류의 세기를 제어하는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모드 변경에 따라 능동 조향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출시되는 차량은 운전자의 안전 및 운전자에게 운전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차량의 상태에 따라 핸들 조타 및 바퀴의 상하 진동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연속 댐핑 제어 시스템(Continuous Damping Control; 이하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라 함), EPS(Electric Power Steering), ECPS(Electronic Control Power Steering), EHPS(Electro-Hydraulic Power steering) 등을 포함하는 파워 스티어링 장치 및 능동 전륜 시스템 (Active Front Steering; 이하 "능동 조향 장치"라 함) 등을 장착하고 있다.
차량의 현가장치 내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는 차량에 장착된 4륜 댐퍼(Damper)의 감쇠력을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주행 안정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 키는 장치이다. 각 차륜의 상단 차체에 상/하 가속도 센서가 부착되어 차륜 각각의 거동을 측정, 독립적인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차속 센서와 조향각 센서의 신호를 기준으로 운전자의 급조향 거동을 판단하여 4륜의 댐퍼 감쇠력을 제어해주는 앤티 롤(anti-roll) 로직에 의해서 4륜 댐퍼의 감쇠력을 제어함으로써 불규칙 노면의 주행시 타이어 접지면에서의 수직 하중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선회, 제동, 구동시의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차량의 주행중에 발생되는 노면의 불규칙한 압력을 효과적으로 차단(Isolation)함으로써 승객에게 안락한 승차감(Ride comfort)과 운전 편의성을 제공해 준다.
이러한,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모드는 일반적으로 노멀 모드, 스포츠 모드 및 AUTO 모드로 구분된다. 이중에서 AUTO 모드는 차량의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4륜 댐퍼의 감쇠력을 제어하는 모드이고, 스포츠 모드는 4륜 댐퍼의 감쇠력을 노멀 모드보다 작게(즉, 댐퍼의 특성을 하드하게 변환)하는 모드로서 스포티한 주행에 적합한 모드이다.
한편, 능동 조향 장치는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운전자의 조타 입력(입력각)에 대한 전륜의 조타(출력각) 각도를 가변(가변기어기구의 입출력 기어비를 가변)시켜 주어서 차량의 거동을 보다 안정화시키는 장치로서, 능동 조향 장치의 ECU에서 조향각, 차속, 횡가속도, 요 레이트(Yaw Rate) 등의 차량 상태정보를 각 센서들로부터 입력받아 가변기어기구 및 능동 조향 장치 모터를 포함한 능동 조향 메커니즘을 작동시켜 최적의 전륜 조타각 제어를 수행한다.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 핸들의 조타력을 가감하는 조향 시스템으로서, 운전자가 핸들을 조타하면 핸들에 연동된 기어가 회전하고, 이 기어와 연동된 토크 센서가 핸들의 조향 토크를 검출한 신호인 토크 센서 출력전압을 출력하여 ECU에 보내고, ECU는 토크 센서 출력전압에 대응하는 조향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향과 적정 힘을 반영하여 조향에 필요한 제어 전류를 조향 액추에이터에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파워 스티어링 구동 회로부는 파워 스티어링의 ECU에서 출력한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 전류를 출력하고, 조향 액추에이터는 제어 전류에 의해 구동되어 운전자가 적절한 핸들 조타를 하도록 보조하는 힘인 보조 조타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 능동 조향 장치 및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각각의 시스템에서 수행하는 제어를 고려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각 시스템을 제어하기 때문에,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모드를 변경해도 핸들의 조향 및 조타력은 변경되지 않고, 일반 차량과 동일하여 운전자에게 스포츠카와 같은 스포티한 주행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능동 조향 장치의 입출력 기어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맵이 하나이고, 파워 스티어링 장치도 조향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제어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맵이 하나이기 때문에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모드 변경에 따른 제어 맵의 변경을 실행하지 못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에서 모드 변경 신호를 수신한 능동 조향 장치의 ECU는 모드 변경 신호에 따라 일반 입출력 기어비 제어 맵 또는 스포츠 모드용 입출력 기어비 제어 맵을 이용하여 입출 력 기어비를 제어하고,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에서 모드 변경 신호를 수신한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ECU는 일반 제어 전류 제어 맵 또는 스포츠 모드용 제어 전류 제어 맵을 이용하여 제어 전류의 세기를 제어하는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모드 변경에 따라 능동 조향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Continuous Damping Control)를 적용한 차량에서 능동 조향 장치(Active Front Steering)의 입출력 기어비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모드가 변경되면 모드 변경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능동 조향 장치로 전송하는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 상기 모드 변경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입출력 기어비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하는 제어 맵을 상기 모드 변경 신호에 따라 일반 입출력 기어비 제어 맵 또는 스포츠 모드용 입출력 기어비 제어 맵으로 변경하여 상기 입출력 기어비를 제어하는 능동 조향 장치의 ECU; 상기 능동 조향 장치의 ECU의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능동 조향 장치 모터; 및 상기 능동 조향 장치 모터의 구동을 통해 상기 입출력 기어비를 가변하는 가변기어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모드 변경에 따라 능동 조향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Continuous Damping Control)를 적용한 차량에서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조향 액추에이터를 구 동하기 위한 제어 전류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모드가 변경되면 모드 변경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 상기 제어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하는 제어 맵을 상기 모드 변경 신호에 따라 일반 제어 전류 제어 맵 또는 스포츠 모드용 제어 전류 제어 맵으로 변경하여 상기 제어 전류를 제어하는 ECU; 및 상기 제어 전류에 의해 구동하는 조향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모드 변경에 따라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 능동 조향 장치 및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110)는 각 차륜의 상단 차체에 부착된 상/하 가속도 센서를 통해 차륜 각각의 거동을 측정, 독립적인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 차속 센서와 조향각 센서의 신호를 기준으로 운전자의 급조향 거동을 판단하여 4륜의 댐퍼 감쇠력을 제어해주는 앤티 롤(Anti-roll) 로직에 의해서 4륜 댐퍼의 감쇠력을 제어한다.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모드는 일반적으로 노멀 모드, 스포츠 모드 및 AUTO 모드로 구분되며, 본 발명에서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110)에 포함된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ECU는 노멀 모드 또는 AUTO 모드에서 스포츠 모드, 스포츠 모드에서 노멀 모드 또는 AUTO 모드로 변경할 때, 모드 변경 신호를 생성하여 능동 조향 장치의 ECU(120) 및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ECU(130)로 전송한다. 여기서, 모드 변경 신호의 전송은 자동차 내의 각종 계측제어 장비들 간에 디지털 직렬 통신을 제공하기 위하여 1988년 보쉬(Bosch)와 인텔(Intel)에서 개발된 차량용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1993년도에 ISO에서 국제표준 규격으로 제정된 CAN(Controller Area Network) 프로토콜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능동 조향 장치의 ECU(120)는 조향각, 차속, 횡가속도, 요 레이트(Yaw Rate) 등의 차량 상태정보를 차량에 장착된 각종 센서로부터 입력받아 가변기어기구(126) 및 능동 조향 장치 모터(124)를 포함한 능동 조향 메커니즘을 작동시켜 최적의 전륜 조타각 제어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능동 조향 장치의 ECU(120)는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ECU로부터 모드 변경 신호를 수신하고, 입출력 기어비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하는 제어 맵을 모드 변경 신호에 따라 일반 입출력 기어비 제어 맵 또는 스포츠 모드용 입출력 기어비 제어 맵을 이용하여 입출력 기어비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입출력 기어비는 가변기어기구의 입출력 기어비를 의미한다. 여기서 입출력 기어비의 수식은 "입출력 기어비 = 입력각(또는 입력턴 수) ÷ 출력각(또는 출력턴 수)" 이다.
여기서, 일반 입출력 기어비 제어 맵은 종래의 능동 조향 장치에서 입출력 기어비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된 입출력 기어비 제어 맵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110)의 모드가 노멀 모드 또는 AUTO 모드일 때, 능동 조향 장치의 ECU(120)가 입출력 기어비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한다. 능동 조향 장치의 ECU(120)가 일반 입출력 기어비 제어 맵을 이용하여 입출력 기어비를 제어하면 도 2a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일반 입출력 기어비 증감 그래프와 같이 입출력 기어비의 최소값이 1 이하, 즉 차량 속도가 저속일 때는 핸들의 입력각보다 큰 전륜의 출력각을 얻을 수 있고, 차량 속도가 중고속으로 증가하면 입출력 기어비가 1 이상이 되어 핸들의 입력각보다 적은 전륜의 출력각을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해, 9시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는 차량을 10시 방향으로 진행방향을 변경하는 경우, 차량 속도가 저속일 때는 핸들을 적게 돌려도 되고, 고속일 때는 저속일 때보다 핸들을 더 많이 돌려야 된다.
또한, 스포츠 모드용 입출력 기어비 제어 맵은 도 2a와 같이 일반 입출력 기어비 제어 맵과 동일한 입출력 기어비 최소값을 포함하고, 차량의 속도에 대한 입출력 기어비의 증가 기울기가 일반 입출력 기어비 제어용 맵보다 작으며, 입출력 기어비 최대값이 일반 입출력 기어비 제어 맵의 입출력 기어비 최대값 보다는 작지만 최소 1 이상인 입출력 기어비 증감 그래프를 가지는 입출력 기어비 제어 맵으로서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110)가 스포츠 모드일 때, 능동 조향 장치의 ECU(120)가 입출력 기어비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한다. 앞에서는 스포츠 모드용 입 출력 기어비 제어맵에서 입출력 기어비 최소값이 일반 입출력 기어비 제어맵의 입출력 기업비 최소값과 동일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스포츠 모드용 입출력 기어비 제어맵에서 입출력 기어비 최소값을 일반 입출력 기어비 제어맵의 입출력 기어비 최소값보다 크거나 작은 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능동 조향 장치의 ECU(120)가 스포츠 모드용 입출력 기어비 제어 맵을 이용하여 입출력 기어비를 제어하면, 핸들 입력각에 대한 조향 출력각이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110)의 노멀 모드 또는 AUTO 모드일 때보다 커지게 된다. 즉, 핸들의 민감도가 노멀 모드 또는 AUTO 모드 보다 증가하게 됨으로써 스포츠카의 핸들링 특성과 유사하게 된다.
능동 조향 장치 구동 회로부(122)는 능동 조향 장치의 ECU(110)에서 입출력 기어비를 제어하기 위해 전송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능동 조향 장치 모터(124)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능동 조향 장치 모터(124)는 능동 조향 장치 구동 회로부(122)에서 제공한 전류를 통해 구동하고, 이를 통해 가변기어기구(126)의 입출력 기어비를 가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변기어기구(126)는 링기어(Ring Gear), 썬기어(Sun Gear), 위성기어(Planetary Gear) 등을 포함하는 유성기어로 이루어지고, 썬기어가 능동 조향 장치 모터(124)의 구동을 통해 가변적으로 동작되어 입출력 기어비를 가변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능동 조향 장치의 ECU(110)가 능동 조향 장치 구동 회로부(122) 로부터 능동 조향 장치 모터(124)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가변적으로 변화시키면 위성기어 및 링기어의 상대적 회전수가 변화되고 따라서 그에 각각 연결된 입력축 및 출력축의 기어비를 변화시킬 수 있다.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ECU(130)는 토크 센서(미도시) 등을 포함한 각종 센서에서 검출되는 각종 입력신호에 따라 핸들의 조타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ECU(130)는 파워 스티어링 구동 회로부(132)에서 출력하는 제어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하는 제어 맵을 상기 모드 변경 신호에 따라 일반 제어 전류 제어 맵 또는 스포츠 모드용 제어 전류 제어 맵을 이용하여 제어 전류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 전류는 조향 액추에이터(134)를 제어(구동)하기 위한 전류를 의미하고, 제어 전류를 제어한다는 것은 제어 전류의 을 세기를 제어한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일반 제어 전류 제어 맵은 종래의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서 조향 액추에이터(134)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된 제어 전류 제어 맵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110)의 모드가 노멀 모드 또는 AUTO 모드일 때,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ECU(130)가 제어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한다.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ECU(130)가 일반 제어 전류 제어 맵을 이용하여 제어 전류를 제어하면 도 2b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일반 제어 전류 증감 그래프와 같이 차량 속도가 0 → 저속 → 중고속으로 증가할 때, 제어 전류를 일반 제어 전류 최대값에서 일반 제어 전류 최소값까지 선형적으로 감소하도록 제어한다.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는 조향 액추 에이터(134)에서 최대의 보조 조타력을 출력하도록 하고, 차량 속도가 증가하면 보조 조타력을 서서히 감소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스포츠 모드용 제어 전류 제어 맵은 도 2b와 같이 일반 제어 전류 제어 맵과 동일한 제어 전류 최대값을 포함하고, 차량의 속도에 대한 제어 전류의 감소 기울기의 절대치가 일반 제어 전류 제어 맵보다 크며, 제어 전류 최소값이 일반 제어 전류 제어 맵의 제어 전류 최소값 보다는 작은 제어 전류 증감 그래프를 가지는 제어 전류 제어 맵으로서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110)가 스포츠 모드일 때,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ECU(130)가 제어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한다. 앞에서는 스포츠 모드용 제어 전류 제어맵에서 제어 전류 최대값이 일반 제어 전류 제어맵의 제어 전류 최대값과 동일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스포츠 모드용 제어 전류 제어맵에서의 제어 전류 최대값을 일반 제어 전류 제어맵의 제어 전류 최대값보다 크거나 작은 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ECU(130)가 스포츠 모드용 제어 전류 제어 맵을 이용하여 제어 전류를 제어하면, 운전자가 핸들을 조타시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서 제공하는 보조 조타력을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110)의 노멀 모드 또는 AUTO 모드일 때보다 작게 공급하여 운전자가 핸들을 조타할 때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110)의 모드가 노멀 모드 또는 AUTO 모드일 때보다 더 많은 힘을 쓰도록 된다. 즉, 스포츠 모드일 때에는 노멀 모드 또는 AUTO 모드일 때보다 핸들이 더 무거워 지도록 한다. 여기서, 핸들이 더 무거워 진다는 것은 운전자가 핸들을 회전하는데 평상시보다 더 많은 힘을 쓴다는 의미이다.
파워 스티어링 구동 회로부(132)는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ECU(130)의 제어에 따른 제어 전류를 출력하여 조향 액추에이터(134)에 제공한다.
조향 액추에이터(134)는 파워 스티어링 구동 회로부(132)에서 제공한 제어 전류로 구동하여 운전자가 핸들을 조타할 때 보조 조타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조향 액추에이터(134)는 전자제어 파워 조향 시스템에서 유압식 파워 조향 시스템의 유압을 조정하는 전자 제어 밸브 또는 순수한 모터의 구동에 의해 어시스트량을 조절하는 전동식 파워 조향(EPS: Electric Power Steering, 이하 'EPS'라 칭함) 시스템에서의 EPS 모터 등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110)의 모드가 변경되면 능동 조향 장치 및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각 장치의 제어를 종래와 달리하여 한 대의 차량으로 또 다른 차량 특성을 제공하는 특징, 즉,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110)의 모드가 스포츠 모드이면, 능동 조향 장치는 핸들을 노멀 모드 또는 AUTO 모드 때보다 더 민감해지도록 제어하고,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노멀 모드 또는 AUTO 모드 때보다 핸들이 더 무거워지도록 제어하여, 일반 차량보다 핸들이 민감하면서, 핸들이 무거운 스포츠카의 핸들링 특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110)의 모드가 변경되면 능동 조향 장치 및 파워 스티어링 장치 중 하나 또는 두 개의 장치의 장치에서 각 장치의 제어를 종래와 달리할 수 있지만, 스포츠카의 핸들링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능동 조향 장치 및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동시에 각 장치의 제어를 종래와 달리하는(즉, 능동 조향 장치 및 파워 스티어링 장치이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와 협조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모드가 스포츠 모드로 변경되면, 차량 속도에 대해 능동 조향 장치의 입출력 기어비가 종래보다 작아지고,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제어 전류가 감소하기 때문에, 고속일 때의 최대 입력턴 수가 종래보다 작아지고, 운전자가 핸들을 조타할 때 제공하는 보조 조타력이 감소하여 차량의 중고속 주행중 핸들링 특성을 스포츠카의 핸들링 특성과 유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Continuous Damping Control)를 적용한 차량에서 능동 조향 장치(Active Front Steering)의 입출력 기어비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모드가 변경되면 모드 변경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능동 조향 장치로 전송하는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
    상기 모드 변경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입출력 기어비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하는 제어 맵을 상기 모드 변경 신호에 따라 일반 입출력 기어비 제어 맵 또는 스포츠 모드용 입출력 기어비 제어 맵으로 변경하여 상기 입출력 기어비를 제어하는 능동 조향 장치의 ECU;
    상기 능동 조향 장치의 ECU의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능동 조향 장치 모터; 및
    상기 능동 조향 장치 모터의 구동을 통해 상기 입출력 기어비를 가변하는 가변기어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모드 변경에 따라 능동 조향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츠 모드용 입출력 기어비 제어 맵은 차량의 속도에 대한 상기 입출력 기어비의 증가 기울기가 상기 일반 입출력 기어비 제어 맵보다 작으며, 입출력 기어비 최대값이 상기 일반 입출력 기어비 제어 맵의 입출력 기어비 최대값 보다는 작지만 최소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모드 변경에 따라 능동 조향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츠 모드용 입출력 기어비 제어 맵은 상기 일반 입출력 기어비 제어 맵과 동일한 입출력 기어비 최소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모드 변경에 따라 능동 조향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ECU는 상기 모드 변경 신호를 CAN(Controller Area Network) 프로토콜로 상기 능동 조향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모드 변경에 따라 능동 조향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5.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Continuous Damping Control)를 적용한 차량의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서 조향 액추에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전류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모드가 변경되면 모드 변경 신호를 생성하여 파워 스티어링 장치로 전송하는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
    상기 제어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하는 제어 맵을 상기 모드 변경 신호에 따라 일반 제어 전류 제어 맵 또는 스포츠 모드용 제어 전류 제어 맵으로 변경하여 상기 제어 전류를 제어하는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ECU; 및
    상기 제어 전류에 의해 구동하는 조향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모드 변경에 따라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츠 모드용 제어 전류 제어 맵은 차량의 속도에 대한 상기 제어 전류의 감소 기울기의 절대치가 상기 일반 제어 전류 제어 맵보다 크며, 제어 전류 최소값이 일반 제어 전류 제어 맵의 제어 전류 최소값 보다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모드 변경에 따라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츠 모드용 제어 전류 제어 맵은 상기 일반 제어 전류 제어 맵과 동일한 제어 전류 최대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 의 모드 변경에 따라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KR1020060091403A 2006-09-20 2006-09-20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모드 변경에 따라 능동 조향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제어하는 제어 장치 KR100754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1403A KR100754496B1 (ko) 2006-09-20 2006-09-20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모드 변경에 따라 능동 조향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제어하는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1403A KR100754496B1 (ko) 2006-09-20 2006-09-20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모드 변경에 따라 능동 조향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제어하는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4496B1 true KR100754496B1 (ko) 2007-09-03

Family

ID=38736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1403A KR100754496B1 (ko) 2006-09-20 2006-09-20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모드 변경에 따라 능동 조향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제어하는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44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85880A (zh) * 2009-12-04 2011-06-08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转向系统及其控制方法
CN102765422A (zh) * 2011-05-05 2012-11-07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用于调节车道居中转向控制的平滑度的系统和方法
WO2018149590A1 (en) * 2017-02-16 2018-08-23 Jaguar Land Rover Limited Steer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7007A (ja) * 1986-11-28 1988-06-09 Nissan Motor Co Ltd サスペンシヨンとステアリングの総合制御装置
JPH01162258A (ja) * 1987-12-18 1989-06-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磁気記録装置
JPH06341279A (ja) * 1993-05-31 1994-12-13 Asahi Chem Ind Co Ltd シャッター装置及びシャッター装置が取付けられた壁パネ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7007A (ja) * 1986-11-28 1988-06-09 Nissan Motor Co Ltd サスペンシヨンとステアリングの総合制御装置
JPH01162258A (ja) * 1987-12-18 1989-06-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磁気記録装置
JPH06341279A (ja) * 1993-05-31 1994-12-13 Asahi Chem Ind Co Ltd シャッター装置及びシャッター装置が取付けられた壁パネル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특허공보 소63-137007
일본공개특허공보 소63-41279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162258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85880A (zh) * 2009-12-04 2011-06-08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转向系统及其控制方法
CN102765422A (zh) * 2011-05-05 2012-11-07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用于调节车道居中转向控制的平滑度的系统和方法
WO2018149590A1 (en) * 2017-02-16 2018-08-23 Jaguar Land Rover Limited Steer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61149B (zh) 用于操作转向系统的方法及转向系统
US6062336A (en) Adaptive variable effort power steering system
US8788147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toothed rack force for a steering device in a vehicle
CN101070068B (zh) 车辆转向控制装置
JP4179391B1 (ja) 車両の旋回挙動制御装置
JP4464970B2 (ja) 目標操舵角を制限した車輌用操舵制御装置
JP2004210024A (ja) 車両用操舵装置
JP2015525708A (ja) 三輪自動車のための操舵および制御システム
KR101646385B1 (ko) 전자제어 능동 후륜 조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4289243B2 (ja) 車両用左右輪間駆動力制御装置
KR20090005949A (ko) 차량의 선회 거동 제어 장치
KR20180118962A (ko) 차량의 조향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754496B1 (ko) 연속 가변 제어 현가 장치의 모드 변경에 따라 능동 조향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제어하는 제어 장치
KR100814758B1 (ko) 연속 댐핑 제어 시스템의 모드 변경에 따라 가변 기어비맵을 변경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4349092B2 (ja) 車両の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US20070062741A1 (en) Hydraulic-drive work vehicle
JP2008544926A (ja) 車両のローリング防止方法およびシステムならびに対応する車両
WO2022113426A1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車両およびサスペンション制御方法
CN112721560B (zh) 一种通过电阻调节的高频响底盘防侧翻控制系统以及防侧翻控制方法
KR101280080B1 (ko) 차량의 상태에 따라 가변 기어비를 적용하는 방법 및 능동 조향 장치
CN214396314U (zh) 一种通过电阻调节的高频响底盘防侧翻控制系统
JP2010188928A (ja) 車両挙動制御装置
JP2004505215A (ja) 車両の動的乗車制御方法
KR20080093260A (ko) 능동제어 현가 장치를 이용한 섀시 통합제어 방법
JPS5973362A (ja) 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