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794B1 -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794B1
KR100753794B1 KR1020060070843A KR20060070843A KR100753794B1 KR 100753794 B1 KR100753794 B1 KR 100753794B1 KR 1020060070843 A KR1020060070843 A KR 1020060070843A KR 20060070843 A KR20060070843 A KR 20060070843A KR 100753794 B1 KR100753794 B1 KR 100753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disc
clamper
optical disk
optical
spindl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병영
유헌승
백상윤
Original Assignee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0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7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4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clamp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작동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광디스크가 안착되며 스핀들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턴테이블; 상기 광디스크를 가압하여 상기 턴테이블에 클램핑시키는 클램퍼; 상기 광디스크가 오장착된 경우 상기 클램퍼의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광디스크의 손상을 방지하는 구속 수단; 을 포함한다.
개시된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작동 방법은 구속 수단을 구비한 광디스크 드라이브에 광디스크가 로딩되는 단계; 스핀들 모터에 구동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스핀들 모터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구동 신호가 입력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도록 상기 스핀들 모터가 회전되지 않으면, 상기 광디스크의 오장착에 따라 상기 구속 수단이 동작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광디스크를 언로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작동 방법{Optical disk driv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광디스크 드라이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속 수단의 일 실시예로서, 한 장의 광디스크가 클램핑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서, 한 장의 광디스크가 클램핑된 경우에 제1 위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2의 실시예에서, 두 장의 광디스크가 클램핑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도 2의 실시예에서, 두 장의 광디스크가 클램핑된 경우에 제2 위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속 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두 장의 광디스크가 클램핑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서, 두 장의 광디스크가 클램핑된 경우에 제2 위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구속 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I-I'절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제1 위치에 있는 구속 수단을 도 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도 8의 I-I'절단선을 도시한 것으로 제2 위치에 있는 구속 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메인 프레임(main frame) 120...서브 프레임(sub frame)
130...스핀들모터(spindle motor) 131...회전축
140...턴테이블(turn table) 141...러버 패드(rubber pad)
142...자석 150...광픽업
160...트레이(tray) 170...외장 케이스
171...외장 케이스 중공부 172...지지부
173...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 174...커버 플레이트 내주부
180...클램퍼(clamfer) 182...요크(yoke)
184...클램퍼 내주부 185...클램퍼 외주부
300a,300b,300c...마찰패드 470...제1 요철부
480...제2 요철부
본 발명은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광디스크가 오장착되어 회전함으로써 발생하는 광디스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 저장 매체들 중에서 광디스크는 관련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정보 저장 용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 가격도 비교적 저렴하여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광디스크는 정보저장용량에 따라 컴팩트 디스크(CD;compact disk),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digital versatile disk)로 구분된다. 기록, 소거 및 재생이 가능한 디스크로는 650MB CD-R, CD-RW, 4.7GB DVD-R, DVD+R, DVD-RW, DVD+RW 등이 있다. 더 나아가 기록용량이 20GB 이상인 HD-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도 개발되고 있다.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회전하는 광디스크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광디스크 드라이브에는 턴테이블에 안착된 디스크를 클램핑하는 클램핑 장치가 마련된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클램핑 장치는, 스핀들모터의 회전축에 압입된 턴테이블과, 턴테이블 상면에 위치하며 광디스크를 클램핑하는 클램퍼를 구비한다. 턴테이블에 안착된 광디스크를 턴테이블 방향으로 단단히 클램핑시키기 위하여 턴테이블 및 클램퍼에 자석 및 요크가 각각 마련된다. 자석 및 요크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클램핑시 턴테이블 및 클램퍼의 이격량이 엄격한 공차로 관리된다. 이로써, 광디스크에 스핀들모터의 회전력이 슬립(slip)없이 전달되고, 포커싱(focusing) 방향의 광디스크 유동이 방지된다. 광디스크가 스핀들모터에 의하여 고배속으로 회전될 때, 광디스크가 제대로 클램핑되지 않으면 광디스크의 편 심(eccentricity)이나 편중심(mass eccentricity)으로 인한 진동이 증가되므로 안정적인 기록과 재생이 어렵다. 편심 및 편중심은 광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광픽업의 트랙킹 에러(tracking error)를 더욱 증가시킨다. 턴테이블의 상면에 마련되며 광디스크의 내주부가 삽입되는 허브는 광디스크의 편심량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엄격하게 공차가 관리된다.
한편, 일반적인 광디스크 드라이브에는 광디스크의 오장착 방지 구조가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하나의 광디스크가 트레이에 탑재된 상태에서 또 다른 광디스크가 중복적으로 탑재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광디스크가 2장 이상 로딩된 상태에서 턴테이블이 회전하게 되면, 트레이나 커버 케이스 등 주변 구조물에 광디스크가 터치됨으로써 광디스크의 데이터 기록면에 스크래치(scratch)를 유발하거나, 심한 경우 광디스크가 여러 조각으로 파열될 위험이 존재한다.
뿐만 아니라 비정상적으로 두꺼운 광디스크가 로딩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 광디스크의 오장착 또는 비정상적 장착이라 함은 광디스크가 2장 이상 장착되거나 비정상적으로 두꺼운 광디스크가 장착되는 경우를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한다.
종래의 이중 탑재 방지 장치로서 광디스크의 이상 장착 유무를 감지하는 디스크 감지 센서를 구비한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방지 장치는 별도의 센서를 설치해야 하므로, 추가 비용이 소요되고, 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가 마련되어야 하며, 센서의 민감도에 따라 이중 장착이 감지되지 않을 소지가 있다.
따라서, 별도의 센서를 장착하지 않아도 기구적으로 광디스크의 이상 장착 유무를 감지하는 것은 물론, 보다 적극적으로 광디스크의 회전을 억제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최근에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기본 성능에 관하여는 제조업체마다 그 수준의 차이가 근소하므로, 제품 경쟁력 강화나 소비자의 감성 품질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도 이러한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과 필요성을 감안한 것으로, 광디스크가 오장착된 것을 감지하고 광디스크가 오장착된 경우 광디스크의 회전을 기구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광디스크가 오장착된 경우 상기 광디스크를 턴테이블에 클램핑시키는 클램퍼의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광디스크의 손상을 방지하는 구속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클램퍼는, 상기 광디스크가 정상적으로 클램핑된 경우 상기 구속 수단으로부터 도피되는 제1 위치에 있고, 상기 광디스크가 오장착된 경우 상기 구속 수단에 의하여 회전이 구속되는 제2 위치로 그 클램핑 위치가 상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구속 수단은, 상기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외장을 이루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클램퍼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위치로 상승된 클 램퍼에 의하여 탄성 압착되는 마찰 패드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마찰패드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클램퍼를 감싸도록 접촉되면서 마찰력을 작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마찰 패드는, 원판 형상으로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부착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클램퍼 내주부로 눌려진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마찰패드는, 원판 링 형상으로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부착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클램퍼 외주부로 눌려진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구속 수단은, 상기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외장을 이루는 커버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1 요철부와, 상기 클램퍼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광디스크가 정상적으로 클램핑되면 상기 제1 요철부로부터 도피되고 상기 광디스크가 오장착되면 상기 제1 요철부와 맞물리는 제2 요철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요철부 및 제2 요철부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 및 클램퍼와 일체로 마련되거나, 또는 탄성을 갖는 별도의 재질로 마련된 다음 상기 커버 플레이트 및 클램퍼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속 수단은, 상기 광디스크가 오장착된 경우 상기 클램퍼, 광디스크, 턴테이블 및 스핀들모터 모두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오픈/클로즈되며 상기 광디스크를 로딩/언로딩시키는 트레이;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디스크의 로딩시 상기 트레이가 클로즈되며 상기 스핀들모터에 구동 신호가 입력된 다음,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스핀들모터가 회전되지 않으면 상기 트레 이가 오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에 국한되지 않으며, 동일한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디스크 드라이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메인 프레임(110)과, 메인 프레임(110)을 감싸며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외장을 형성하는 외장 케이스(170) 및 커버 플레이트(173)와, 광디스크 드라이브 내부로 광디스크(D)를 로딩(loading)시키는 트레이(160)를 구비한다.
트레이(160)에 의해 로딩된 광디스크(D)는 스핀들모터(130)의 회전축(131)에 압입된 턴테이블(140)에 안착된다. 스핀들모터(130)는 메인 프레임(11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서브 프레임(120)에 설치되며, 서브 프레임(120)에는 광디스크(D)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광픽업(150)이 설치된다.
이러한 광디스크 드라이브에는 턴테이블(140)의 회전시에 광디스크(D)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디스크(D)를 턴테이블(140)에 클램핑시키는 광디스크 클램핑 장치가 마련된다. 광디스크 클램핑 장치는 자석(142)이 마련되는 턴테이블(140)과, 요크(182)가 마련되는 클램퍼(180)를 포함한다.
클램퍼(180)는 광디스크(D)를 턴테이블(140)의 상면에 밀착고정시킨다. 외장 케이스(170)에는 외장 케이스 중공부(171)가 관통 형성되고, 외장 케이스 중공부(171)의 가장자리를 따라 외장 케이스(170)의 하측으로 돌출된 지지부(172)가 마 련된다. 클램퍼(180)는 외장 케이스 중공부(171)에 삽입된다. 광디스크(D)의 언로딩시 클램퍼(180)의 자중은 지지부(172)로 지지되며, 광디스크(D)의 로딩시 클램퍼(180)는 지지부(172)로부터 도피된다. 외장 케이스 중공부(171)의 상면은 커버 플레이트(173)로 덮힌다. 도시된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외장을 이루는 커버 플레이트(173)는 외장 케이스(170)와 별도의 부품으로 마련된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로서, 커버 플레이트 및 외장 케이스가 한 개의 부품으로 일체로 마련되는 실시예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광디스크(D)는 트레이(160)에 놓여진 상태로 광디스크 드라이브 내부로 삽입되어 턴테이블(140)의 상면에 안착된다. 턴테이블(140) 및 스핀들모터(130)가 서브 프레임(120)의 움직임에 의하여 함께 상승되고, 자석(142) 및 요크(182)의 자력에 의해 클램퍼(180)가 광디스크(D)를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여 턴테이블(140)에 클램핑시킨다. 이로써, 광디스크(D)의 로딩 및 클램핑이 완료된다.
턴테이블(140)의 상면 외주부에는 광디스크(D)의 회전시에 슬립을 방지하도록 러버 패드(141)가 부착된다. 광디스크(D)가 턴테이블(140)과 클램퍼(180) 사이에 클램핑되어 광디스크(D)의 로딩이 완료되면 광디스크(D)는 스핀들모터(130)에 의하여 회전된다. 이때, 클램퍼(180)는 그 상면이 커버 플레이트(173)로부터 도피되고, 그 측면 및 하면이 지지부(172)로부터 도피되는 위치에 있으므로,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다.
광디스크(D)의 언클램핑(unclamping)시에는 서브 프레임(120)이 하강되고, 이에 따라 스핀들모터(130) 및 턴테이블(140)이 하강된다. 이때, 클램퍼(180)의 측 면은 지지부(172)에 접촉 간섭되면서 그 하강이 중단된다. 턴테이블(140)의 하강이 계속되면 자석(142) 및 요크(182)가 분리되면서 광디스크(D)가 언클램핑된다. 언클램핑에 필요한 힘은 서브 프레임(120) 등의 하강에 필요한 힘 및 자석(142)과 요크(182)의 인력을 극복하는데 필요한 힘의 합보다 크다. 언클램핑된 광디스크(D)는 트레이(160)에 놓여지고 트레이(160)와 함께 언로딩 방향으로 오픈되며 언로딩이 완료된다.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클램퍼(180)의 클램핑/언클램핑을 위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구속 수단은 광디스크(D1,D2)가 오장착된 경우 이를 감지하고, 클램퍼(180)의 회전을 억제함으로써 광디스크(D1,D2)가 오장착된 채로 회전할 때 염려되는 광디스크(D1,D2)의 파손을 방지한다. 그러나, 구속 수단은 광디스크가 정상 두께로 정상 매수가 장착된 경우(이를 정상적으로 장착된 경우라고 부른다.) 광디스크의 로딩/언로딩 상태를 불문하고 클램퍼(180) 및 광디스크의 회전을 구속하지 않는다.
구속 수단의 일 실시예로서, 커버 플레이트(173) 및 클램퍼(180) 사이에 마련되는 마찰 패드(300a,300b,300c)가 있다. 도 1에 마찰 패드(300a,300b,300c)의 다양한 형상이 도시되었다.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커버 플레이트(173) 및 클램퍼(180) 사이에 마련된다. 마찰 패드(300a,300b,300c)는 클램퍼 내주부(184)에 의하여 탄성 압착될 수 있도록 클램퍼 내주부(184) 및 커버 플레이트 내주부(174)에 위치하거나, 클램퍼 외주부(185)에 의하여 탄성 압착될 수 있도록 클램퍼 외주부(185) 및 커버 플레이트 외주부에 위치할 수 있다. 마찰 패드는 원판 형 상(300a,300b), 원판 링(ring) 형상(300c)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마찰 패드(300a,300b,300c)는 클램퍼(180) 또는 커버 플레이트(17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된다. 일 실시예로서, 마찰 패드(300a,300b,300c)는 커버 플레이트(173)에 부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마찰 패드는 클램퍼(180)의 상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속 수단의 일 실시예로서, 한 장의 광디스크(D1)가 클램핑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서, 한 장의 광디스크(D1)가 클램핑된 경우에 제1 위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실시예에서, 두 장의 광디스크(D1,D2)가 클램핑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실시예에서, 두 장의 광디스크(D1,D2)가 클램핑된 경우에 제2 위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커버 플레이트 내주부(174)에 부착되며 원판 형상을 갖는 마찰 패드(300a)가 도시되었다.
클램퍼(180)는 광디스크가 1장 클램핑된 경우, 구속 수단으로부터 도피되는 제1 위치로 상승되고, 광디스크가 오장착된 경우, 구속 수단에 의하여 회전이 구속되는 제2 위치로 상승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클램퍼(180)의 위치가 제1 위치이고, 도 5에 도시된 클램퍼(180)의 위치가 제2 위치이다.
마찰 패드(300a)는 광디스크가 1장 클램핑된 경우 탄성 압착되지 않으므로 클램퍼(180) 및 광디스크의 회전을 구속하지 않는다. 마찰 패드(300a)는 광디스크가 오장착된 경우 제2 위치로 상승되는 클램퍼(180)에 의하여 탄성 압착되면서 마찰력에 의하여 클램퍼(180) 및 광디스크의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광디스크의 손상을 방지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한 장의 광디스크(D1)가 트레이(160)에 탑재된 다음 트레이(160)가 클로즈(close)되면서 턴테이블(140)의 상면에 1장의 광디스크(D1)가 안착된 상태가 도시된다. 서브 프레임(120)이 상승되기 전이므로, 광디스크(D1)는 아직 클램핑되기 전이다. 클램퍼(180)는 광디스크(D1)로부터 이격된 상태이며 그 자중은 지지부(172)에 의하여 지지된다. 클램퍼 내주부(184)와 마찰 패드(300a)는 GU1 만큼 충분히 이격된 상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브 프레임(120)이 상승되며 1장의 광디스크(D1)가 클램핑된 상태가 도시된다. 마찰 패드(300a)와 클램퍼 내주부(184)는 GL1 만큼 이격된 상태이므로, 클램퍼(180) 및 광디스크(D1)의 회전이 구속되지 않는다. 광디스크(D1)를 언로딩할 경우 도 3의 상태로부터 다시 도 2의 상태로 되고 서브 프레임(120)이 하강하면서 광디스크(D1)가 언클램핑되며 트레이(160)가 오픈(open)된다.
도 4를 참조하면, 2 장의 광디스크(D1,D2)가 트레이(160)에 탑재된 다음 트레이(160)가 클로즈(close)되면서 턴테이블(140)의 상면에 2 장의 광디스크(D1,D2)가 안착된 상태가 도시된다. 서브 프레임(120)이 상승되기 전이므로, 광디스크(D1,D2)는 아직 클램핑되기 전이다. 클램퍼 내주부(184)와 마찰 패드(300a)는 광디스크의 장착 매수와 상관없이 GU1 만큼 충분히 이격된 상태이다.
도 5을 참조하면 서브 프레임(120)이 상승되며 2 장의 광디스크(D1,D2)가 클램핑된 상태가 도시된다. 마찰 패드(300a)는 클램퍼 내주부(184)에 눌려져 탄성 압축된 상태이므로, 클램퍼(180) 및 광디스크(D1,D2)의 회전이 구속된다.
일 실시예로서, 마찰 패드(300a)는 제2 위치에서 클램퍼(180)의 상면 및 측면에 모두 마찰력을 작용할 수 있도록, 클램퍼 내주부(184)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넓이를 갖는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 패드(300a)는 참조부호 Δt 만큼 탄성 압축됨으로써 클램퍼 내주부(184)의 상면에 해당하는 참조부호 A 및 클램퍼 내주부(184)의 측면에 해당하는 참조부호 B에 이르는 영역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충분한 마찰력을 작용하여 클램퍼(180)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광디스크(D1,D2)가 오장착된 경우 스핀들모터(130)에 구동 전원이 입력되더라도 마찰 패드(300a)의 탄성 압착에 의하여 클램퍼(180), 광디스크(D1,D2), 턴테이블(140) 및 스핀들모터(130)의 회전이 함께 구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마찰 패드(300a)를 시작으로 스핀들모터(130) 방향으로 가면서, 마찰 패드(300a)와 클램퍼 내주부(184)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 클램퍼(180) 및 이중 장착된 광디스크(D2)의 접촉면에 작용하는 마찰력, 2장의 광디스크(D1,D2) 사이의 접촉면에 작용하는 마찰력, 광디스크(D1)의 배면과 턴테이블(14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순서대로 그 크기가 증가되는 경우에, 스핀들모터(130)에 구동 전원이 인가되더라도 마찰 패드(300a)에 의하여 클램퍼(180), 광디스크(D1,D2), 턴테이블(140) 및 스핀들모터(130)의 회전을 모두 억제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상기 실시예의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광디스크 드라이브에서, 광디스크(D1,D2)의 로딩시 트레이(160)가 클로즈되며 스핀들모터(130)에 구동 신호가 입력된 다음, 소정 시간 동안 스핀들모 터(130)가 회전되지 않으면 광디스크(D1,D2)가 2장 이상 로딩되었음을 감지하고 트레이(160)가 오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디스크(D1,D2)의 언로딩시 도 5의 상태로부터 다시 도 4의 상태로 되고 서브 프레임(120)이 하강하면서 광디스크(D1,D2)가 언클램핑되며 트레이(160)가 오픈(open)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트레이(160)가 마련되지 않고 슬롯을 통하여 광디스크를 로딩/언로딩시키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실시가 가능하다. 이러한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실시예에서, 광디스크의 로딩시 최초로 광디스크가 투입되는 곳과 광디스크의 언로딩시 광디스크가 최후로 배출되는 곳이 슬롯인 점을 제외하면 구속 수단의 구성은 도 2 이하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즉, 본 발명의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다른 실시예로서, 광디스크를 로딩/언로딩시키는 슬롯이 구비되며, 상기 슬롯을 통하여 광디스크를 로딩시 스핀들모터에 구동 신호가 입력된 다음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스핀들모터가 회전되지 않으면 상기 슬롯을 통하여 광디스크를 언로딩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구속 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두 장의 광디스크(D1,D2)가 클램핑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서, 두 장의 광디스크(D1,D2)가 클램핑된 경우에 제2 위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커버 플레이트 외주부에 부착되며 원판 링 형상을 갖는 마찰 패드(300c)가 도시되었다. 이러한 타입의 마찰 패드(300c)는 제2 위치에서 클램퍼 외주부(185)에 의하여 눌려진다.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마찰 패드(300c)는 클램퍼 외주부(185)를 덮을 수 있 을 정도의 직경을 갖는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 패드(300c)는 참조부호 Δt 만큼 탄성 압축됨으로써 클램퍼 외주부(185)의 상면에 해당하는 참조부호 A 및 클램퍼 외주부(185)의 측면에 해당하는 참조부호 B에 이르는 영역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구속 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I-I'절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제1 위치에 있는 구속 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I-I'절단선을 도시한 것으로 제2 위치에 있는 구속 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요철부(470)와 제2 요철부(480)를 구비하는 구속 수단이 도시된다.
제1 요철부(470)는 커버 플레이트(173)에 형성되며, 제2 요철부(480)는 클램퍼(180)의 상면에 형성된다. 제1 요철부(470)와 제2 요철부(480)는 광디스크가 1장 클램핑된 경우의 클램퍼(180)의 위치에 해당하는 제1 위치에서 GL1 만큼 이격됨으로써 광디스크 및 클램퍼(180)의 자유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다.
한편, 제1 요철부(470)와 제2 요철부(480)는 광디스크가 2 장 클램핑된 경우의 클램퍼(180)의 위치에 해당하는 제2 위치에서 GL2 만큼 중첩됨으로써 광디스크 및 클램퍼(180)의 회전을 구속하여 광디스크의 파손을 방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요철부(470) 및 제2 요철부(480)는 커버 플레이트(173) 및 클램퍼(180)와 각각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그 밖에도 제1 요철부(470) 및 제2 요철부(480)는 탄성을 갖는 별도의 재질(예를 들면, 러버)로 제작된 후에 커버 플레이트(173) 및 클램퍼(180)에 각각 부착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마찰 패드(300a,300b,300c)의 마찰력에 의존하여 클램퍼(180) 및 광디스크(D1,D2)의 회전을 구속하는 실시예는 물론,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요철부(470)와 제2 요철부(480)가 치합되는 힘에 의하여 클램퍼(180)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그 밖에도 구속 수단으로서 다양한 변용 예가 가능할 것이다.
오장착의 예로서 2장의 광디스크(D1,D2)를 장착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오장착된 경우라 함은 규격을 초과한 두께를 갖는 광디스크가 장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규격을 초과한 비정상적으로 두꺼운 광디스크가 장착되는 경우에도 구속 수단의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기 작동 방법은 구속 수단을 구비한 광디스크 드라이브에 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속 수단은 광디스크가 오장착된 경우 광디스크의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광디스크의 손상을 방지한다.
먼저, 상기 광디스크 드라이브에 광디스크가 로딩된다(900 단계). 상기 로딩된 광디스크를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에 구동 신호가 입력된다(910단계). 상기 구동 신호가 입력된 다음 상기 스핀들 모터의 회전 여부를 감지한다(920 단계). 상기 구동 신호가 입력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도록 상기 스핀들 모터가 회전되지 않으면, 상기 광디스크의 오장착에 따라 상기 구속 수단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스핀들 모터가 회전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930단계). 상기 구속 수단의 동작에 따라 상기 스핀들 모터의 회전이 구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광디스크를 언로딩시킨다(940단계). 상기 광디스크가 언로딩되면 작업을 종료한다(960단계).
상기 920단계에서 상기 구동 신호가 입력된 다음 상기 스핀들 모터가 회전되면 상기 광디스크가 정상적으로 로딩됨으로써 상기 구속 수단이 동작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정상적인 동작을 개시하여 광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재생한다(950단계). 상기 광디스크에 기록/재생이 완료되면 작업을 종료한다(960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작동 방법은 광디스크가 오장착되는 경우 기구적으로 이를 감지하고 광디스크의 회전을 억제함으로써 광디스크의 파손 및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소비자의 감성 품질을 개선하여 제품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삭제
  2. 스핀들모터의 회전축에 압입된 턴테이블에 광디스크가 오장착된 경우 상기 광디스크를 상기 턴테이블에 클램핑시키는 클램퍼의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광디스크의 손상을 방지하는 구속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퍼는,
    상기 광디스크가 정상적으로 클램핑된 경우 상기 구속 수단으로부터 도피되는 제1 위치에 있고, 상기 광디스크가 오장착된 경우 상기 구속 수단에 의하여 회전이 구속되는 제2 위치로 그 클램핑 위치가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수단은,
    상기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외장을 이루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클램퍼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위치로 상승된 클램퍼에 의하여 탄성 압착되는 마찰 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패드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클램퍼를 감싸도록 접촉되면서 마찰력을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패드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클램퍼 내주부로 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패드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클램퍼 외주부로 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수단은,
    상기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외장을 이루는 커버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1 요철부와,
    상기 클램퍼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광디스크가 정상적으로 클램핑되면 상기 제1 요철부로부터 도피되고 상기 광디스크가 오장착되면 상기 제1 요철부와 맞물리는 제2 요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철부 및 제2 요철부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 및 클램퍼와 일체로 마련되거나, 또는 탄성을 갖는 별도의 재질로 마련된 다음 상기 커버 플레이트 및 클램퍼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수단은,
    상기 광디스크가 오장착된 경우 상기 클램퍼, 광디스크, 턴테이블 및 스핀들모터 모두의 회전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10. 제 2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픈/클로즈되며 상기 광디스크를 로딩/언로딩시키는 트레이;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디스크의 로딩시 상기 트레이가 클로즈되며 상기 스핀들모터에 구동 신호가 입력된 다음,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스핀들모터가 회전되지 않으면 상기 트레이가 오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11. 제 2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를 로딩/언로딩시키는 슬롯;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슬롯을 통하여 상기 광디스크를 로딩시 상기 스핀들모터에 구동 신호가 입력된 다음,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스핀들모터가 회전되지 않으면 상기 슬롯을 통하여 상기 광디스크를 언로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12. 광디스크가 오장착된 경우 그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광디스크의 손상을 방지하는 구속 수단을 구비한 광디스크 드라이브에 상기 광디스크가 로딩되는 단계;
    스핀들 모터에 구동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스핀들 모터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구동 신호가 입력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도록 상기 스핀들 모터가 회전되지 않으면, 상기 광디스크의 오장착에 따라 상기 구속 수단에 의하여 상기 스핀들 모터의 회전이 구속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광디스크를 언로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작동 방법.
KR1020060070843A 2006-07-27 2006-07-27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작동 방법 KR100753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843A KR100753794B1 (ko) 2006-07-27 2006-07-27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작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843A KR100753794B1 (ko) 2006-07-27 2006-07-27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작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3794B1 true KR100753794B1 (ko) 2007-08-31

Family

ID=38615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843A KR100753794B1 (ko) 2006-07-27 2006-07-27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7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6657A (en) 1992-07-30 1995-05-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al for bearings in small angle oscillation applications
KR19990020914A (ko) * 1997-08-30 1999-03-25 윤종용 디스크 클램핑 장치
KR20040008794A (ko) * 2002-07-19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프
KR20050096388A (ko) * 2004-03-30 200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클램핑 장치와 이를 구비한 광디스크 드라이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6657A (en) 1992-07-30 1995-05-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al for bearings in small angle oscillation applications
KR19990020914A (ko) * 1997-08-30 1999-03-25 윤종용 디스크 클램핑 장치
KR20040008794A (ko) * 2002-07-19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프
KR20050096388A (ko) * 2004-03-30 200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클램핑 장치와 이를 구비한 광디스크 드라이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8973B1 (ko) 광학 디스크 구동장치
KR100753794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작동 방법
JP2006228327A (ja) センタリング機能を備えたディスククランプ機構
KR20070081459A (ko) 광디스크 장치
US20090165029A1 (en) Portable disc player
JP2006338740A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及び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KR100532449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JP4084842B2 (ja) ディスクチャッキング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モータ
JP4697872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7149279A (ja) トレイを備えたディスク装置
KR20110011168A (ko) 광디스크 구동 장치
WO2006054539A1 (ja) 情報記録再生装置
EP2101327B1 (en) Disk device tray
JP2005339764A (ja) ディスク駆動装置及び情報記録再生装置
KR101387118B1 (ko) 디스크드라이브의 소음방지장치
KR20050087648A (ko) 디스크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크 트레이
KR20050096388A (ko) 디스크 클램핑 장치와 이를 구비한 광디스크 드라이브
JP2655389B2 (ja) 情報記録ディスクの芯出クランプ装置
KR100312326B1 (ko) 디스크카트리지
JP2012014814A (ja) ディスク判別装置
JP4945369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5259555B2 (ja) クリーニングディスク
KR100948146B1 (ko) 디스크 드라이브
JP4361559B2 (ja) ディスク装置
JPH11219557A (ja) 光ディスク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