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2826B1 - 렌즈 홀더, 렌즈 홀더의 제조 방법 및 렌즈 홀더 제조용금형 - Google Patents
렌즈 홀더, 렌즈 홀더의 제조 방법 및 렌즈 홀더 제조용금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52826B1 KR100752826B1 KR1020000016377A KR20000016377A KR100752826B1 KR 100752826 B1 KR100752826 B1 KR 100752826B1 KR 1020000016377 A KR1020000016377 A KR 1020000016377A KR 20000016377 A KR20000016377 A KR 20000016377A KR 100752826 B1 KR100752826 B1 KR 1007528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reference plane
- lens holder
- mold
- optical axi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22—Apparatus or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optical heads, e.g. assemb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2007/13727—Compound lenses, i.e. two or more lenses co-operating to perform a function, e.g. compound objective lens including a solid immersion lens, positive and negative lenses either bonded together or with adjustable spac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al Head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대물 렌즈를 조정 없이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상기 렌즈 사이의 위치 결정을 고정밀도로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렌즈 홀더(4)에 있어서, 제1 광축 방향 기준면(4a1)과 제2 부착부(4b)의 제2 광축 방향 기준면(4b1)은 모두 물체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렌즈(2)와 제2 렌즈(3)의 광축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을 결정하는 기준면이 된다. 또한, 제1 광축 방향 기준면(4a1)과 제2 광축 방향 기준면(4b1)은 렌즈(2, 3)의 기울기를 규제하는 기준면으로서도 기능한다.
대물 렌즈, 렌즈 홀더, 부착부, 반경 방향 기준면, 광축 방향 기준면, 금형, 부착부 성형부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인 렌즈 홀더에 의해 2군 렌즈가 보유 지지되어 이루어지는 2군 대물 렌즈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2는 상술한 렌즈 홀더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금형 및 제2 금형을 갖는 렌즈 홀더의 제조용 금형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3은 상술한 렌즈 홀더의 성형을 위한 성형 재료가 충전된 상술한 렌즈 홀더의 제조용 금형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4는 상술한 제1 금형에 대해 제2 금형이 어긋난 상태가 된 렌즈 홀더의 제조용 금형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5는 제1 금형에 대해 제2 금형이 어긋난 상태가 된 채로 형성된 렌즈 홀더를 갖고 구성되는 2군 대물 렌즈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인 렌즈 홀더에 의해 2군 렌즈가 보유 지지되어 이루어지는 2군 대물 렌즈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7은 제2 실시 형태인 렌즈 홀더에 대해 제2 렌즈의 광축 방향 위치 및 기울기를 규제하는 홀더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8은 상술한 홀더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9는 제2 실시 형태의 렌즈 홀더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1 금형 및 제2 금형을 갖는 렌즈 홀더의 제조용 금형 및 이 렌즈 홀더의 제조용 금형에 성형 재료가 충전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10은 상술한 2군 렌즈의 구면 수차, 비점 수차, 및 왜곡 수차를 도시한 특성도.
도11은 상술한 2군 렌즈의 횡 수차를 도시한 특성도.
도12는 광학 헤드를 도시한 구성도.
도13은 기록 재생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14는 종래의 렌즈 홀더에 의해 2군 렌즈가 보유 지지되어 이루어지는 2군 대물 렌즈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15는 종래의 렌즈 홀더에 의해 2군 렌즈가 보유 지지되어 이루어지는 2군 대물 렌즈의 구성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16은 종래의 렌즈 홀더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1 금형 및 제2 금형을 갖는 렌즈 홀더의 제조용 금형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17은 종래의 렌즈 홀더 제조용 금형의 제1 금형을 도시한 평면도.
도18은 종래의 렌즈 홀더의 성형을 위한 성형 재료가 충전된 상술한 렌즈 홀더의 제조용 금형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19는 제1 금형에 대해 제2 금형이 어긋난 상태가 된 종래의 렌즈 홀더의 제조용 금형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20은 종래의 제1 금형에 대해 제2 금형이 어긋난 상태가 된 채로 형성된 렌즈 홀더를 갖고 구성되는 2군 대물 렌즈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2군 대물 렌즈
2 : 제1 렌즈
3 : 제2 렌즈
4 : 렌즈 홀더
4a : 제1 부착부
4a1 : 제1 광축 방향 기준면
4a2 : 반경 방향 기준면
4b : 제2 부착부
4b1 : 제2 광축 방향 기준면
4b2 : 반경 방향 기준면
14 : 렌즈 홀더
14a : 제1 부착부
14a1 : 제1 광축 방향 기준면
14a2 : 반경 방향 기준면
14b : 제2 부착부
51 : 제1 금형
52 : 제2 금형
51i : 제1 부착부 성형부
51j : 제2 부착부 성형부
61 : 제1 금형
62 : 제2 금형
61i : 제1 부착부 성형부
61f2 : 제2 부착부 성형부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광 디스크 등과 같은 정보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및 재생을 행할 때에 사용되는 광학 헤드에 탑재되는 대물 렌즈 등의 대물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 그와 같은 렌즈 홀더를 제조하는 렌즈 홀더의 제조 방법, 및 그와 같은 렌즈 홀더의 제조에 있어서 사용되는 렌즈 홀더 제조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재생 전용 광 디스크, 상 변화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광 카드 등과 같은 정보 기록 매체는 영상 정보, 음성 정보 또는 컴퓨터용 프로그램 등의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정보 기록 매체에 대한 고기록 밀도화 및 대용량화의 요구는 최근 점점 더 강해지고 있다.
정보 기록 매체의 기록 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광학 헤드에 탑재되는 대물 렌즈의 개구수(NA)를 크게 하거나, 광원의 파장을 짧게 하거나 해서 대물 렌즈에 의해 집광되는 광스폿 직경을 소직경화하는 것이 유효하다. 예를 들어 이미 실용화되어 주로 음악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디지탈 광 디스크인 소위「CD」(상표)용 광 헤드에 있어서는 대물 렌즈의 개구수(NA)가 0.45, 광원의 파장이 780㎚로 되어 있으며, 이에 대하여 소위「DVD」(상표)용 광 헤드에 있어서는 대물 렌즈의 개구수(NA)가 0.6, 광원의 파장이 650㎚로 되어 있어,「DVD」는「CD」보다도 고기록 밀도화되어 영상 정보 등의 기록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CD」나「DVD」에 대해 정보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위해 사용되는 대물 렌즈는 유리나 플라스틱 몰드에 의해 성형되는 단일알(單玉) 비구면 렌즈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단일알 비구면 렌즈는 렌즈 홀더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광학 헤드에 탑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단일알 비구면 렌즈는 렌즈 홀더의 기준면에 접착되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단일알 비구면 렌즈가 부착된 렌즈 홀더가 광학 헤드에 규정된 정밀도로 탑재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정보 기록 매체는 한층 더 고기록 밀도 및 대용량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그를 위해 개구수(NA)를 더욱 크게, 광원의 파장을 예를 들어 650㎚ 보다도 더욱 짧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개구수(NA)가 0.75보다 큰 단일알 비구면 렌즈를 만드는 것은 금형 의 가공시 및 렌즈 성형시의 편심 제어가 곤란해진다는 이유에 의해 불가능하다. 즉, 개구수(NA)가 0.75 이상의 단일알 비구면 렌즈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가공에 있어서는 렌즈면의 기울기각이 광축에 대해 40°미만이 되므로, 절삭날(다이아몬드 바이트 등)의 선단부 크기로부터 가공이 곤란해지고 있다. 또한, 렌즈면의 곡률이 커지면, 새그(렌즈의 정점으로부터 최외주까지의 광축 방향에 따른 깊이)가 커져 금형의 절삭 가공이 곤란해진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0.75 이상의 개구수를 갖는 대물 렌즈를 단일 렌즈로서 구성하는 것은 곤란해지고 있다.
최근, 개구수(NA)가 0.75 이상인 대물 렌즈를 실현하는 수법으로서 2군(群) 구성의 렌즈를 이용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것은 대물 렌즈를 복수장의 렌즈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렌즈의 굴절력을 작게 하는 것으로서, 이로써 비구면의 곡율 반경이 커지며 개구수 0.75 이상의 대물 렌즈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개구수(NA)가 큰 2군 구성의 대물 렌즈(이하, 2군 대물 렌즈라 함)에 있어서는 복수장의 렌즈를 하나로 조립할 때의 렌즈 상호의 위치 정밀도로서 매우 높은 정밀도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렌즈 사이의 편심, 이격 간격에 대해서는 미크론 정도의 정밀도, 또한 렌즈의 틸트(기울기)에 대해서는 분 정도의 정밀도가 필요해진다. 예를 들어 3차원적인 위치 조정을 함으로써 이와 같은 정밀도를 충족시켜 렌즈를 조립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3차원적으로 위치 조정하는 것은 고가의 지그와 고도의 위치 조정 방법을 필요로 하여 양산 공정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와 같은 것으로부터, 간단히 렌즈를 위치 결정하면서 각 렌즈를 하나로 조립할 수 있는 하나의 수단으로서, 렌즈의 부착을 위한 기준면을 갖는 기준부가 정밀도 좋게 형성된 렌즈 홀더에 각 렌즈를 조립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렌즈 홀더에 형성되는 기준부는 렌즈의 편심, 틸트 및 렌즈의 간격(이하, 렌즈의 편심, 틸트 및 렌즈의 간격을 3 요소라 함)에 대해 각 렌즈를 위치 결정하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결정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3 요소에 대해 기준부를 고정밀도로 형성함으로써 개개의 렌즈에 대한 위치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대물 렌즈의 조립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즉, 렌즈 홀더의 형상 설계를 충분히 최적화하는 것만으로 대물 렌즈를 고정밀도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종래의 렌즈 홀더의 형상에 대해 렌즈 홀더의 제조 방법을 포함해 설명한다. 도14 및 도15에는 2군 렌즈를 구성하는 제1 렌즈(202) 및 제2 렌즈(203)가 후술하는 종래의 렌즈 홀더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렌즈 홀더(204)에 조립된 대물 렌즈(이하, 2군 대물 렌즈라 함)(201)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제1 렌즈(202)는 도시하지 않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광이 입사되는 렌즈이다. 제1 렌즈(202)는 제2 렌즈(203)에 대향되는 면(이하, 출사면이라 함) (202a)이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쪽 면인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이 입사되는 면(이하, 입사면이라 함)(202b)이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렌즈(203)는 2군 렌즈에 있어서 상 변화형 광 디스크나 광 자기 디스크 등의 디지털 광 디스크(이하, 단순히 디스크라 함)에 대향되는 렌즈이다. 이 제2 렌즈(203)는 도시하지 않은 디스크에 대향되는 면(이하, 대향면라 함)(203a)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쪽 면인 제1 렌즈(202)에 대향되는 면(이하, 입사면이라 함)(203b)이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후 2군 대물 렌즈(201)에 대해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이 입사되는 측을 물체측이라 하고, 디스크가 배치되는 방향 즉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에 의해 2군 대물 렌즈(201)가 영상점이 형성되는 측을 영상측이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렌즈(202, 203) 모두 물체측이 비구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렌즈 홀더(204)는 대략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렌즈 홀더(204)에는 물체측의 내주측에 제1 렌즈(202)의 부착부(204a)가 형성되고, 또한 영상측의 내주측에 제2 렌즈(203)의 부착부(204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렌즈(202)의 부착부(이하, 제1 부착부라 함)(204a)는 물체측 개구부의 내주부에 단차형으로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물체측에 면하여 형성되어 있는 제1 광축 방향 기준면(204a1)과 광축을 축선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반경 방향 기준면(204a2)이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2 렌즈(203)의 부착부(이하, 제2 부착부라 함)(204b)는 영상측 개구부의 내주부에 단차형으로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영상측에 면하여 형성되어 있는 제2 광축 방향 기준면(204b1)과 광축을 축선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반경 방향 기준면(204b2)이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렌즈 홀더(204)는 예를 들어 수지 몰드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이 되는 종래의 렌즈 홀더(204)에 있어서, 제1 부착부(204a)의 제1 광축 방향 기준면(204a1)과 제2 부착부(204b)의 제2 광축 방향 기준면(204b1)은 제1 렌즈(202)와 제2 렌즈(203)의 광축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을 결정하는 기준면이 된다. 또한, 제1 광축 방향 기준면(204a1)과 제2 광축 방향 기준면(204b1)은 렌즈(202, 203)의 기울기를 규제하는 기준면으로서도 기능한다. 여기에서, 제1 광축 방향 기준면(204a1)과 제2 광축 방향 기준면(204b1)과의 방향 관계는 광축 방향에 있어서 180°다른 위치 관계로 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제1 부착부(204a)의 반경 방향 기준면(204a2)과 제2 부착부(204b)의 반경 방향 기준면(204b2)은 제1 렌즈(202)와 제2 렌즈(203)의 렌즈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준면이 된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렌즈 홀더(204)에 대해 제1 렌즈(202)는 외주부(202c)가 제1 부착부(204a)에 부착되고, 제2 렌즈(203)는 외주부(203c)가 제2 부착부(204b)에 부착되어 있다.
이 렌즈 홀더(204)는 몰드 성형에 의해 제조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형(이하, 제1 금형이라 함)(301)과 암형(302)(제2 금형이라 함)을 갖는 렌즈 홀더 제조용 금형을 사용하여 제조되어 있다. 이들 금형(301, 302)이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합된 상태에 있어서,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금형(301)과 상기 제2 금형(302) 사이의 공극부에 렌즈 홀더(204)를 성형 하기 위한 성형 재료(204a)가 충전되어 렌즈 홀더(204)가 성형된다.
이 렌즈 홀더 제조용 금형에 있어서, 제1 금형(301)에 제1 부착부(204a)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부(이하, 제1 부착부 성형부라 함)(301a)가 설치되고, 제2 금형(302)에 제2 부착부(204b)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부(이하, 제2 부착부 성형부라 함)(302a)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금형(301)은 도16 및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부(301b)와 이 기부(301b) 상에 설치된 돌기부(301c)로 이루어져 전체로서 대략 볼록 형상으로 되어 있다.
기부(301b)는 대략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기부(301b)에는 제2 금형(302)이 위치되는 방향[2군 대물 렌즈(201)의 영상측에 대응되는 방향, 이하 영상측 방향이라 함]의 주요면(301b1) 상의 대략 중심에 위치하여 돌기부(301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부(301b)의 주요면(301b1)의 외주부 근방은 제2 금형(302)의 후술하는 접촉면(302b21)에 접촉되는 접촉면(301b2)이 되고 있다.
돌기부(301c)는 도18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측 방향을 향하는 직경이 차례대로 작아지는 단차부(301d, 301e, 301f)로 이루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돌기부(301c)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301c)의 선단부가 되는 단차부(301f)의 주요면(301f1)이 제2 금형(302)의 후술하는 주요면(302c1)에 접촉되는 면이 된다. 이 제1 금형(301)에 있어서, 상술한 제1 부착부 성형부(301a)는 단차부(301d) 의 외주 부분의 영상측 방향을 향하고 있는 면(301a1)과 상기 단차부(301d)의 외주면(301a2)으로 구성된다.
제2 금형(302)은 대략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닥부(302b1) 및 이 바닥부(302b1)의 외주부로서, 제1 금형(301)이 위치되는 방향[2군 대물 렌즈(201)의 물체측에 대응되는 방향, 이하 물체측 방향이라 함]의 주요면(302b1)의 외주부에 세워 설치된 측벽부(302b2)로 이루어지며, 전체로서 대략 오목 형상으로 된 기부(302b)와, 주요면(302b11) 상의 대략 중심에 돌출 설치되어 있는 돌기부(302c)로 구성되어 있다.
제2 금형(302)에 있어서 측벽부(302b2)는 제1 금형(301)의 돌기부(301c)의 외주에 위치되는 부분이 되어 단부면이 제1 금형(301)의 접촉면(301b2)과 접촉되는 접촉면(302b21)이 된다.
돌기부(302c)의 주요면(302c1)은 제1 금형(301)의 접촉면(301f1)과 접촉되는 접촉면이 된다.
종래,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금형(301, 302)을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합한 상태에 있어서,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 재료(204a)를 충전하여 렌즈 홀더(204)가 몰드 성형에 의해 제조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금형(301, 302)을 조합한 상태에서, 성형 재료(204a)를 충전하여 렌즈 홀더(204)를 제조함으로써, 렌즈 홀더(204)에는 렌즈(202, 203)의 위치 결정용 기준면이 형성되므로, 비용과 시간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렌즈(202, 203)를 일체로 된 2군 렌즈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복수의 렌즈를 조립할 때에는 정밀도로서 상술한 3 요소, 즉 제1 렌즈(202)와 제2 렌즈(203) 사이의 편심·틸트·간격에 대해 정밀도가 요구되고, 즉 렌즈 홀더(204)의 형상에 그와 같은 정밀도가 요구된다.
그런데, 종래의 렌즈 홀더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렌즈(202)를 위치 결정하는 제1 부착부(204a)가 제1 금형(301)에 의해 형성되고, 제2 렌즈(203)를 위치 결정하는 제2 부착부(204b)가 제2 금형(302)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금형(301)에 대해 제2 금형(301)이 적절하게 위치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성형 재료(204a)가 충전되어 버리면, 상술한 3 요소에 어긋남이 발생해 버린다.
예를 들어 제1 금형(301)에 대해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위치로부터 어긋나 제2 금형(302)이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성형 재료(204a)가 충전되면, 이로써 성형된 렌즈 홀더(204)에 조립한 제1 렌즈(202)와 제2 렌즈(203) 사이에 편심·틸트·간격에 대해 어긋남이 그대로 발생해 버린다.
즉, 제1 금형(301)에 대해 제2 금형(302)이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긋난 상태가 되어 버리면, 제1 금형(301)의 중심축(O1)에 대해 제2 금형(302)의 중심축(O2)이 어긋나 버림에 따른 편심의 편차량(X)과, 제1 금형(301)의 중심축(O1)에 대해 제2 금형(302)의 중심축(02)이 기울어져 버림에 따른 틸트의 편차량(θ)과, 제1 금형(301)에 대해 제2 금형(302)이 이격되어 버림에 따른 간격의 편차량(Z)이 발생하여, 이것이 제1 부착부(204a)를 성형하는 제1 금형(301) 상의 제1 부착부 성형부(301a)와 제2 부착부(204b)를 성형하는 제2 금형(302) 상의 제2 부착부 성형부(302a)와의 위치 관계에 대한 편차량이 된다. 그리고, 제1 금형(301)에 대해 제2 금형(302)이 3 요소에 대해 이와 같은 편차량을 갖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성형된 렌즈 홀더(204)에,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렌즈(202)와 제2 렌즈(203)를 조립해 버리면, 제1 렌즈(202)와 제2 렌즈(203) 사이에 금형(301, 302)의 형상으로 인한 오차(금형 제조 오차)에, 금형(301, 302) 조합의 편차량으로서 편심의 편차량(X), 틸트의 편차량(θ), 간격의 편차량(Z)이 가해져 버린다.
예를 들어 금형 제조 오차는 편심 및 간격에 대해서는 약 3㎛, 틸트에 대해서는 약 0.02°가 예상된다. 따라서, 제1 금형(301)과 제2 금형이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금형 제조 오차량에 그 제1 금형(301)과 제2 금형(302)의 편차량이 가해진 양 만큼, 제1 렌즈(202)와 제2 렌즈(203) 사이에 어긋남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몰드 성형할 때의 금형 사이의 편심·간격이 약 10㎛, 틸트가 약 0.067° 예상되므로, 이 때의 어긋남은 합으로 주어져 편심·간격이 약 13㎛, 틸트가 약 0.087°가 된다.
이상으로부터, 제1 렌즈(202)가 부착되는 제1 부착부(204a)와 제2 렌즈(203) 가 부착되는 제2 부착부(204b)를 별개 부재의 금형에 의해 형성하는 렌즈 홀더의 제조 방법에서는, 제1 금형(301)과 제3 금형(302)을 조합한 때에 어긋남이 발생해 버리면 그것이 그대로 제1 렌즈(202)와 제2 렌즈(203)의 렌즈를 부착하는 기준면의 어긋남이 되어 버린다. 이로써, 제1 렌즈(202)와 제2 렌즈(203)를 구성한 때의 상기 제1 렌즈(202)와 상기 제2 렌즈(203)의 위치 관계가 원하는 위치 관계로 되지 않게 되어 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복수의 렌즈를 조정 없이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렌즈 사이의 위치 결정을 고정밀도로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렌즈 홀더, 렌즈 홀더의 제조 방법, 및 렌즈 홀더의 제조용 금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렌즈 홀더에 있어서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수의 렌즈가 각각 대응하여 부착되는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 위치 및 기울기를 규제하는 기준면이 광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 방향을 향해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렌즈 홀더는 동일 방향으로부터의 가공에 의해 기준면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렌즈 홀더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형 또는 암형 중 어느 한쪽에 복수의 렌즈가 각각 대응하여 부착되는 렌즈 홀더의 복수의 기준부를 형성하는 기준부 성형부가 설치되어 있는 금형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렌즈 홀더의 제조 방법은 수형 또는 암형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있는 기준부 성형부에 의해 렌즈 홀더의 기준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렌즈 홀더 제조용 금형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형 또는 암형 중 어느 한쪽에 복수의 렌즈가 각각 대응하여 부착되는 렌즈 홀더의 복수의 기준부를 형성하는 기준부 성형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렌즈 홀더의 제조용 금형에 의해 수형 또는 암형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있는 기준부 성형부에서 렌즈 홀더의 기준부를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는 정보 기록 매체에 대해 정보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할 때에 사용되는 2군 렌즈가 부착되는 렌즈 홀더에 적용한 것이다. 여기에서, 정보 기록 매체는 재생 전용의 광 디스크, 상 변화형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광 카드 등이다. 이하, 정보 기록 매체를 단순히 디스크라 한다.
렌즈 홀더(4)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군 렌즈를 구성하는 제1 렌즈(2) 및 제2 렌즈(3)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렌즈 홀더(4)에 조립된 렌즈(2, 3)는 광축 상에 배열되어 대물 렌즈를 구성하고, 이 렌즈(2, 3)에 의해 구성되는 광학계는 물체점이 아주 상당히 먼쪽에 위치하게 되는 소위 무한계가 된다. 또한, 이 2군 렌즈는 개구수(NA)가 0.75 이상으로 되어 있다. 또, 이하에서는 렌즈 홀더(4)와 이 렌즈 홀더(4)에 조립된 렌즈(2, 3)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2군 대물 렌즈(1)라 한다.
제1 렌즈(2)는 도시하지 않은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레이저 광이 입사되는 렌즈이다. 제1 렌즈(2)는 적어도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이 입사되는 면(입사면)(2 b)이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렌즈(2)의 외부 직경은 d1(> d2)으로 되어 있다.
제2 렌즈(3)는 2군 렌즈에 있어서 디스크에 대향되는 렌즈이다. 이 제2 렌즈(3)는 적어도 제1 렌즈(2)에 대향되는 면(입사면)(3b)이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2 렌즈(3)의 외부 직경은 d2로 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렌즈(2)에 있어서의 제2 렌즈(3)에 대향되는 면(출사면)(2a)은 비구면 형상이 되고, 제2 렌즈(3)에 있어서의 도시하지 않은 디스크에 대향되는 면(대향면)(3a)은 평면 형상이 된다.
예를 들어 제1 렌즈(2) 및 제2 렌즈(3)는, 상술한 종래의 제1 렌즈(202) 및 제2 렌즈(203)와 동일한 렌즈라도 좋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렌즈 홀더(4)는 종래의 렌즈 형상을 가공하는 일 없이 일체로 하여 2군 렌즈를 구성할 수 있다.
렌즈 홀더(4)는 대략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렌즈 홀더(4)에는 물체측의 내주측에 제1 렌즈(2)의 부착부(4a)와, 영상측의 내주측에 제2 렌즈(3)의 부착부(4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렌즈 홀더(4)에는 렌즈(2, 3)가 각각 대응하여 부착되는 해당 렌즈(2, 3)의 광축 방향 위치 및 기울기를 규제하는 광축 방향 기준면(4a1, 4b1)이 광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 방향을 향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렌즈 홀더(4)는 열 경화 수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 렌즈(2)의 부착부(제1 부착부)(4a)는 물체측의 개구부의 내주부에 단차형으로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물체측에 면하여 형성되어 있는 제1 광축 방향 기준면(4a1)과 광축을 축선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반경 방향 기준면(4a2)이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경 방향 기준면(4a2)에 대해서는 제1 렌즈(2)의 외부 직경(d1)보다도 작은 직경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렌즈(3)의 부착부(제2 부착부)(4b)는 영상측 개구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제2 렌즈(3)의 반경 방향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4d)의 물체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물체측에 면하여 형성되어 있는 제2 광축 방향 기준면(4b1)과 광축을 축선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반경 방향 기준면(4b2)이 일체로서 형성되어 단차부를 이루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 반경 방향 기준면(4b2)에 대해서는 제2 렌즈(3)의 외부 직경(d2)보다도 작은 직경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렌즈 홀더(4)에 있어서, 제1 부착부(4a)의 제1 광축 방향 기준면(4a1)과 제2 부착부(4b)의 제2 광축 방향 기준면(4b1)은 모두 물체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렌즈(2)와 제2 렌즈(3)의 광축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을 결정하는 기준면이 된다. 또한, 제1 광축 방향 기준면(4a1)과 제2 광축 방향 기준면(4b1)은 렌즈(2, 3)의 기울기를 규제하는 기준면으로서도 기능한다. 여기에서, 제1 광축 방향 기준면(4a1)과 제2 광축 방향 기준면(4b1)의 광축 방 향에 있어서의 방향 관계에 대해서는 종래의 렌즈 홀더(204)에서는 180°다른 관계로 되어 있으나, 그와는 반대의 위치 관계가 되어 동일 방향을 향한 관계로 되어 있다. 한편, 제1 부착부(4a)의 반경 방향 기준면(4a2)과 제2 부착부(4b)의 반경 방향 기준면(4b2)은 제1 렌즈(2)와 제2 렌즈(3)의 렌즈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준면이 된다.
또한, 제1 부착부(4a)는 제2 부착부(4b)보다도 큰 직경이 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즉 제1 부착부(4a)와 제2 부착부(4b)가 물체측의 외측을 향하도록 렌즈 홀더(4)의 내주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렌즈 홀더(4)에 대해 제1 렌즈(2)는 외주부(2c)가 제1 부착부(4a)에 부착되고, 제2 렌즈(3)는 외주부(3c)가 제2 부착부(4b)에 부착된다.
렌즈 홀더(4)로의 제1 렌즈(2) 및 제2 렌즈(3)의 부착은, 구체적으로는 제1 렌즈(2)의 부착부가 되는 제1 부착부(4a)의 반경 방향 기준면(4a2)의 직경이 제1 렌즈(2)의 외부 직경(d1)보다도 작은 직경이 되고, 또한 제2 렌즈(3)의 부착부(4b)의 반경 방향 기준면(4b2)의 직경이 제2 렌즈(3)의 외부 직경보다도 작은 직경이 되어 있는 것, 및 수지 재료에 의해 해당 렌즈 홀더(4)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압입에 따른 것이 된다.
다음에, 상술한 렌즈 홀더(4)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렌즈 홀더(4) 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형(제1 금형)(51)과 암형(제2 금형)(52)을 갖는 렌즈 홀더 제조용 금형을 사용하여 제조되어 있다. 이들 금형(51, 52)이 조합된 상태에 있어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금형(51)과 상기 제2 금형(52) 사이의 공극부에 렌즈 홀더(4)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 재료(열 경화 수지재)(4a)가 충전되어 렌즈 홀더(4)가 몰드 성형된다.
이 렌즈 홀더(4)의 제조시에 사용하는 렌즈 홀더 제조용 금형은 제1 금형(51)에 대해 모든 렌즈의 부착부를 형성하는 성형부를 설치하고 있다. 즉, 제1 금형(51) 상에 제1 부착부(4a)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부(제1 부착부 성형부) (51i)와 제2 부착부(4b)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부(제2 부착부 성형부)(51j)를 설치하고 있다.
제1 금형(51)은 기부(51b)와 이 기부(51b) 상에 설치된 돌기부(51c)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대략 볼록 형상으로 되어 있다.
기부(51b)는 대략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부(51b)는 제2 금형(52)이 위치되는 방향[2군 대물 렌즈(1)의 영상측에 대응되는 방향, 이하 영상측 방향이라 함]의 주요면(51b1) 상의 대략 중심에 위치하여 돌기부(51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부(51b)의 주요면(51b1)의 외주부 근방은 제2 금형(52)의 후술하는 접촉면(52c1)과 접촉되는 접촉면(51b2)이 되고 있다.
돌기부(51c)는 영상측 방향을 향하여 직경이 차례로 작아지는 단차부(51d, 51e, 51f, 51g)로 이루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돌기부(51c)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51c)의 선단부가 되는 단차부(51g)의 주요면(51g1)이 제2 금형(52)의 후술하는 주요면(52b1)에 접촉되는 면이 된다.
이 제1 금형(51)에 있어서, 상술한 제1 부착부 성형부(51i)는 단차부(51d)의 외주 부분의 영상측 방향을 향하고 있는 면(51d1)과 상기 단차부(51d)의 외주면(51d2)으로 구성되고, 또한 상술한 제2 부착부 성형부(51j)는 단차부(51f)의 외주 부분의 영상측 방향을 향하고 있는 면(51f1)과 상기 단차부(51f)의 외주면(51f2)으로 구성된다.
제2 금형(52)은 대략 평판 형상로 이루어지는 바닥부(52b)와, 이 바닥부(52b)의 외주부로서, 제1 금형(51)이 위치되는 방향[2군 대물 렌즈(1)의 물체측에 대응되는 방향, 이하 물체측 방향이라 함]의 주요면(52b1)의 외주부에 세워 설치된 측벽부(52c)로 이루어져, 전체로서 대략 오목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바닥부(52b)의 주요면(52b1)의 중심부 근방은 제1 금형(51)의 접촉면(51g1)과 접촉되는 접촉면이 된다.
측벽부(52c)는 제2 금형(52)에 있어서, 제1 금형(51)의 돌기부(51c)의 외주에 위치되는 부분이 되어 단부면(52c1)이 제1 금형(51)의 접촉면(51b2)과의 접촉면이 된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금형(51, 52)을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 합한 상태에 있어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 재료(4a)를 충전하여 렌즈 홀더(4)가 몰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이 때 제1 렌즈(2)의 부착부가 되는 제1 부착부(4a)는 제1 금형(51) 상에 형성된 제1 부착부 성형부(51i)에 의해 형성되고, 제2 렌즈(3)의 부착부가 되는 제2 부착부(4b)는 제1 금형(51) 상에 형성된 제2 부착부 성형부(51j)에 의해 형성된다. 즉, 제1 금형(51)과 제2 금형(52)에 의해 렌즈 홀더(4)가 성형되지만, 제1 부착부(4a) 및 제2 부착부(4b)에 대해서는 모두 한쪽 금형인 제1 금형(51)에 의해 형성된다. 환언하면, 제2 금형(52)은 렌즈 홀더(4)의 외측면 형상을 성형하는 금형으로서만 기능한다.
여기서, 렌즈 홀더(4)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제1 금형(51)과 제2 금형(52) 사이에 편심·틸트·간격에 대해 어긋남이 발생한 상태에서 성형 재료(4a)가 충전되고, 렌즈 홀더(4)가 성형된 경우에 대해 생각해 본다. 예를 들어 제1 금형(51)에 대해 제2 금형(52)이 도4와 같이 어긋난 상태로 된 경우에 대해 생각해 본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금형(51)에 대해 제2 금형(52)이 어긋난 상태가 되면, 제1 금형(51)의 중심축(O1)에 대해 제2 금형(52)의 중심축(02)이 어긋나 버림에 따른 편심의 편차량(X)과, 제1 금형(51)의 중심축(01)에 대해 제2 금형(52)의 중심축(02)이 기울어져 버림에 따른 틸트의 편차량(θ)과, 제1 금형(51)에 대해 제2 금형(52)이 이격되어 버림에 따른 간격의 편차량(Z)이 발생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1 금형(51)에 대해 제2 금형(52)이 어긋난 위치 관계가 되어 편심·틸트·간격(3 요소)에 대한 편차량(X, θ, Z)이 발생한 경우라도 제1 부착부 성형부(51i)와 제2 부착부 성형부(51j)가 제1 금형(51) 상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부착부 성형부(51i)와 상기 제2 부착부 성형부(51j)에는 그 어긋남에 의한 영향은 없다. 따라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홀더(4)에는 제1 금형(51)과 제2 금형(52)의 위치 어긋남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제1 부착부(4a) 및 제2 부착부(4b)가 형성된다.
이상, 제1 실시 형태의 렌즈 홀더(4), 렌즈 홀더(4)의 제조 방법, 및 렌즈 홀더(4)의 제조에 사용하는 렌즈 홀더 제조용 금형에 대해 설명했다.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의 렌즈 홀더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렌즈 홀더(4)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렌즈(3)의 광 디스크에 대향되는 대향면(3a)의 외주부에 돌출부(4d)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제2 실시 형태의 렌즈 홀더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렌즈(3)의 대향면(3a) 상에 구성부의 일부도 배치되는 일 없이 상기 제2 렌즈(3)를 보유 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렌즈 홀더(14)는 대략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렌즈 홀더(14)의 내주면에 제1 및 제2 렌즈(2, 3)의 부착부(14a, 14b)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부착부(14a)에 대해서는 상술한 렌즈 홀더(4)와 대략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제1 부착부(14a)는 물체측의 개구부 내주부에 단차형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렌즈(2)의 물체측에 면하여 형성되어 있는 제1 광축 방향 기준 면(14a1)과 광축을 축선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반경 방향 기준면(4a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 부착부(14b)는 영상측 개구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광축을 축선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반경 방향 기준면(4b)을 갖고 있다. 여기에서, 제2 부착부(14b)는 제2 렌즈(3)의 광축 방향 위치 및 기울기를 규제하는 기능을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렌즈 홀더(14)에 대해서는 제2 렌즈(3)를 광축 방향 위치 및 기울기에 대해 규제하는 수단이 필요해진다.
제2 렌즈(3)의 광축 방향 위치 및 기울기를 규제하는 수단에 대해, 도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렌즈(3)의 광축 방향 위치 및 기울기에 대한 위치 결정은 렌즈 홀더(14) 내에 대략 평판 링 형상의 홀더(70)를 부착하여 행한다. 즉, 상술한 렌즈 홀더(4)의 돌출부(4d)와 같이 제2 렌즈(3)의 광축 방향 위치 및 기울기를 규제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홀더(70)를 구비하고, 이 홀더(70)를 제2 렌즈(3)에 대해 물체측에 배치하여 홀더(70)의 영상측 기준면(70a)에 의해 제2 렌즈(3)의 광축 방향 위치 및 기울기를 규제한다. 즉, 광축 방향 기준면의 방향을 광축 방향에 있어서 180°변환하여 제2 렌즈(3)의 광축 방향 위치 및 기울기를 규제한다.
구체적으로는, 렌즈 홀더(14)로의 홀더(70)의 부착은 제1 렌즈(2) 및 제2 렌즈(3)가 렌즈 홀더(14)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홀더(70)를 렌즈 홀더(14)의 제1 렌즈(2)가 부착되는 개구부로부터 내부에 삽입하고, 렌즈 홀더(14)의 내주면의 소정 위치에 부착한다. 예를 들어 렌즈 홀더(14)의 내주면에 물체측 방향을 향해 부착면(14c)이 형성되어 있으며, 홀더(70)를 이 부착면(14c)에 부착하여 행한다.
이와 같이 렌즈 홀더(14)에 홀더(70)를 부착함으로써, 렌즈 홀더(14)에 있어서 홀더(70)의 기준면(70a)이 렌즈의 반경 방향으로서 광축 측으로 돌출되어 영상측을 향하는 기준면으로서 구성된다.
그 후, 제1 렌즈(2)를 렌즈 홀더(14)에 부착하고, 제2 렌즈(3)를 홀더(70)의 기준면(70a)에 부착한다. 여기에서, 제2 렌즈(3)를 렌즈 홀더(14)에 부착할 때, 기준면(70a)에 제2 렌즈(3)의 입사면(3b)의 외주부를 맞대고 있다. 기준면(70a)이 렌즈 홀더(14)의 제1 광축 방향 기준면(14a1)과 마찬가지인 위치 결정 기능을 가지므로, 제2 렌즈(3)는 이로써 광축 방향 위치 및 기울기에 대해 규제되어 위치 결정되게 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는 제1 부착부(14a)의 제1 광축 방향 기준면(14a1)과 동일 방향을 향해 렌즈 홀더(14)에 형성되어 있는 부착면(14c)이 상술한 렌즈 홀더(4)의 제2 광축 방향 기준면(4b1)과 마찬가지인 기능을 갖고, 제2 렌즈(3)의 광축 방향 위치 및 기울기를 규제하는 제2 광축 방향 기준면으로서 기능하고 있게 된다.
여기에서, 예를 들어 홀더(70)의 형상에 대해서는 적어도 3 군데에 있어서 지지하는 돌기부의 각 정점부를 포함하는 가상 평면이 기준면(70a)이 되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70)의 기준면(70a)을 내주면(70b)에 3점 보스 형상을 이루는 돌기부(70a1, 70a2, 70a3)로서 구성한다. 이로써, 제2 렌즈(3)는 돌기부(70a1, 70a2, 70a3)를 포함하는 가상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기준면에 의해 광축 방향 위치 및 기울기가 규제되어 위치 결정된다.
또한, 홀더(70)는 최종적으로 렌즈 홀더(14)로부터 제2 렌즈(3)의 장착 후에 제거 가능하게 해도 좋고, 렌즈 홀더(14)에 부착한 상태라도 좋다. 제2 렌즈(3)를 부착한 후, 렌즈 홀더(14)로부터 제거 가능한 홀더(70)로 하는 경우, 제2 렌즈(3)를 렌즈 홀더(14)에 위치 결정한 후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렌즈 홀더(14)에 제2 렌즈(3)를 고정하고, 그 후 홀더(70)를 제거한다.
이와 같이 홀더(70)를 제2 렌즈(3)를 렌즈 홀더(14)에 장착한 후에 제거 가능하게 함으로써, 2군 대물 렌즈(1) 전체의 중량 경량화가 도모되어 2군 대물 렌즈(1)를 구동하는 작동기의 고성능화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제2 렌즈(3)를 지지하는 기준면을 3점 보스 형상으로 하는 것은 상술한 렌즈 홀더(4)에도 적용할 수 있고, 이 경우 렌즈 홀더(4)에 있어서 돌출부(4d)를 상술한 바와 같은 3점 보스 형상으로 한다.
도9에는 상술한 도6에 도시한 렌즈 홀더(14)의 제조에 사용하는 수형이 되는 제1 금형(61)과 암형이 되는 제2 금형(62)을 갖는 렌즈 홀더 제조용 금형을 도시하고 있다. 이 제1 금형(61)은 상술한 제1 금형(51)과 전체적으로 대략 같은 형상이 되고, 또한 제2 금형(62)은 상술한 제2 금형(52)과 전체적으로 대략 같은 형상이 되고 있다.
제1 금형(61)은 기부(61b)와 이 기부(61b) 상에 설치된 돌기부(61c)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대략 볼록 형상이 되고 있다.
기부(61b)는 대략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부(61b)는 영상측 방향의 주요면(61b1) 상의 대략 중심에 위치하여 돌기부(61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부(61b)의 주요면(61b1)의 외주부 근방은 제2 금형(62)의 후술하는 접촉면(62c1)과 접촉되는 접촉면(61b2)이 되고 있다.
돌기부(61c)는 영상측 방향을 향하여 직경이 차례로 작아지는 단차부(61d, 61e, 61f)로 이루어지는 형상이 되고 있다. 그리고, 돌기부(61c)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61c)의 선단부가 되는 단차부(61f)의 주요면(61f1)이 제2 금형(62)의 후술하는 주요면(62b1)에 접촉되는 면이 된다.
이 제1 금형(61)에 있어서, 제1 렌즈(2)가 부착되는 제1 부착부 성형부(61i)가 단차부(61d)의 외주 부분의 영상측 방향을 향하고 있는 면(61d1)과 상기 단차부(61d)의 외주면(61d2)으로 구성되고, 또한 제2 렌즈(3)가 부착되는 제2 부착부 성형부(61j)가 단차부(61f)의 외주면(61f2)으로 구성된다.
제2 금형(62)은 대략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닥부(62b)와, 이 바닥부(62b)의 외주부로써, 물체측 방향의 주요면(62b1)의 외주부에 세워 설치된 측벽부(62c)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대략 오목 형상이 되고 있다.
바닥부(62b)의 주요면(62b1)의 중심부 근방은 제1 금형(61)의 접촉면(61f1)에 접촉되는 접촉면이 된다.
측벽부(62c)는 제2 금형(62)에 있어서, 제1 금형(61)의 돌기부(61c)의 외주에 위치되는 부분으로 되고, 단부면(62c1)이 제1 금형(61)의 접촉면(61b2)과의 접촉면이 된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금형(61, 62)을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합한 상태에 있어서, 성형 재료(4a)를 충전하여 렌즈 홀더(14)가 몰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이상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렌즈 홀더(4) 및 렌즈 홀더(14)에 제1 렌즈(2)와 제2 렌즈(3)로 이루어지는 2군 렌즈가 부착된 2군 대물 렌즈(1)가 구성된다. 그리고, 렌즈 홀더(4) 및 렌즈 홀더(1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금형과 제2 금형을 갖는 렌즈 홀더 제조용 금형을 사용하여 제조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렌즈 홀더(4) 및 렌즈 홀더(14)에는 제1 부착부 및 제2 부착부가 광축 방향에 있어서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렌즈 홀더(4) 및 렌즈 홀더(14)는 동일 금형 상에 형성된 성형부(제1 부착부 성형부 및 제2 부착부 성형부)에 의해 제1 렌즈(2)의 부착부가 되는 제1 부착부와, 제2 렌즈(3)의 부착부가 되는 제2 부착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동일 금형상에 렌즈 부착부를 형성하는 성형부를 설치함으로써 2개의 금형을 조합한 때에 상기 2개의 금형 사이에 편심·틸트·간격에 대해 어긋남이 발생하고 있었던 경우라도, 그 금형의 편차량을 포함하지 않는 제1 부착부와 제2 부착부를 렌즈 홀더(4) 및 렌즈 홀더(14)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 홀더(4) 및 렌즈 홀더(14) 각각의 렌즈 부착부의 정밀도는 금형의 가공 정밀도의 오차에만 의존하게 되어, 렌즈 위치를 조정 없이 2군 대물 렌즈(1)를 조립하고, 또 제1 렌즈(2)와 제2 렌즈(3) 사이의 편심·틸트·간격의 오차가 억제된다. 이로써, 2군 대물 렌즈(1)는 금형 조립시의 어긋남에 의해 발생하는 광학적 수차를 없앨 수 있다.
따라서, 동일 금형 상에 렌즈 부착부의 형성을 위한 성형면이 전부 설치되어 있으므로, 3 요소에의 영향은 금형 제조 오차만이 된다. 예를 들어 편심·틸트·간격은 하나의 금형 제조 오차만으로, 편심 및 간격 오차는 약 3㎛, 틸트 오차는 0.02°가 되고, 이 경우 파면(波面) 수차(WFE)는 편심에 대해 0.005rmsλ, 간격 오차에 대해 0.012rmsλ, 틸트에 대해 0.008rmsλ가 되어 광학적인 이상 결상(理想 結像)을 한계치인 머레셜 크라이테리온의 값(WFE) 0.7rmsλ보다 충분히 작은 값이 된다. 한편, 종래에서는 금형(301, 302)의 제조 오차에 그 조합의 어긋남을 가한 양, 예를 들어 편심·간격이 약 13㎛, 틸트가 약 0.087°이 되어 종래의 렌즈 홀더(204)에 동일한 렌즈(2, 3)를 사용한 경우라도, 파면 수차(WFE)는 편심 0.023rmsλ, 간격 오차 0.051rmsλ, 틸트 0.035rmsλ가 되어 본 발명에 관한 렌즈 홀더(14)에 조립한 경우에 비해 커진다.
또한, 렌즈 홀더(4) 및 렌즈 홀더(14)에 렌즈(2, 3)를 부착 위치를 조정하지 않고 고정밀도로 부착할 수 있으므로, 렌즈 홀더(4) 및 렌즈 홀더(14)의 형상 설계를 충분히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렌즈 홀더(4) 및 렌즈 홀더(14)에 렌즈(2, 3) 를 부착 위치를 조정하지 않고 고정밀도로 부착할 수 있으므로, 양산화가 가능해져 생산 비용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렌즈 홀더(4) 및 렌즈 홀더(14)에 광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 방향을 향하도록 제1 부착부와 제2 부착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렌즈(2, 3)의 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렌즈(2, 3)를 부착할 때에 렌즈 홀더(4) 및 렌즈 홀더(14)를 보유 지지하는 부재에 대해 상기 렌즈 홀더(4) 및 렌즈 홀더(14)를 바꿔 부착하는 일 없이 렌즈(2, 3)를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렌즈 홀더(4) 및 렌즈 홀더(14)는 제1 부착부 및 제2 부착부의 반경 방향 기준면의 직경을 렌즈(2, 3)의 외부 직경보다도 작은 직경이 되도록 형성하여 렌즈(2, 3)를 압입하여 부착하도록 함으로써, 렌즈 홀더(4) 및 렌즈 홀더(14)로의 렌즈(2, 3)의 부착이 용이해지고, 또한 상기 렌즈(2, 3)의 반경 방향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 홀더와 그 렌즈 홀더에 부착되는 렌즈 사이에 렌즈의 반경 방향으로 간극이 있으면, 최대 그 양의 절반만큼 렌즈는 편심해 버리게 되지만, 렌즈 홀더(4)[렌즈 홀더(14)]에 렌즈(2, 3)를 압입함으로써 렌즈(2, 3)에는 그와 같은 편심량을 발생하는 일도 없다.
또한, 렌즈 홀더(4)[렌즈 홀더(14)]를 열 경화 수지를 성형 재료로서 이용함으로써 성형시의 정밀도가 확보하기 쉬워진다. 이로써, 렌즈(2, 3)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준면을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의 외부 직경이 3㎜ 정도인 경우에 있어서, 형성 재료로서 열 가소성 수지재를 이용한 때에는 10㎛ 정도의 편심이 발생해 버리지만, 열 경화성 수지재를 이용하면 그 편심량을 3㎛ 정도 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렌즈 홀더(14)는 2군 대물 렌즈(1)의 최종면[제2 렌즈(3)의 대향면(3a)]보다도 디스크(400) 측에 한 부분도 돌출하는 부분이 없으므로, 2군 대물 렌즈(1)의 작동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2군 대물 렌즈(1)의 종단부면과 디스크(400)의 간격이 매우 좁은 광학계에 있어서, 2군 대물 렌즈(1)의 작동 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렌즈 홀더(4)의 돌출부(4d)의 광축 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0.5㎜ 이상이 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0.5㎜ 이하에서는 수지에 의해 형성한 돌출부(4d)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렌즈 홀더(4)의 경우에는 2군 대물 렌즈(1)의 작동 거리는 적어도 0.5㎜ 이상이 된다. 이와 같은 것으로부터, 돌출부(4d)를 설치하고 있지 않은 형상이 되어도 제2 렌즈(3)의 위치 결정 및 그 보유 지지를 가능하게 하는 렌즈 홀더(14)는 작동 거리 0.5㎜ 이하의 2군 대물 렌즈(1)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수(NA)가 높은 대물 렌즈에서는 특히 다군 렌즈 구성의 대물 렌즈 만큼 작동 거리가 짧아지므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2군 렌즈와 같이 개구수(NA)가 0.75 이상이 된 경우에 유효하다.
또한, 높은 NA를 가능하게 하는 2군 대물 렌즈의 조립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으므로, 렌즈의 성능이 양호해져 정보 기록 매체의 고기록 밀도화 및 대용량화를 꾀할 수 있다.
그리고, 렌즈 홀더(14)에 대해 제2 렌즈(3)의 광축 방향 위치 및 기울기를 규제하는 홀더(70)의 기준면을 상술한 바와 같이 3점 보스 형상을 이루는 돌기부(70a1, 70a2, 70a3)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제2 렌즈(3)와 홀더(70)가 접촉하는 면적을 적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제2 렌즈(3)를 렌즈 홀더(14)에 조립하는 시점에서 홀더(70) 내에 분진 등이 침입한 경우라도, 제2 렌즈(3)와 홀더(70) 사이에 그 분진이 끼는 일이 없으므로, 렌즈 홀더(14)에 제2 렌즈(3)를 적절하게 위치 결정하여 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렌즈(3)의 외주 전체를 지지하도록 홀더(70)를 형성한 경우에는 침입한 분진 등에 의해 홀더(70)와 제2 렌즈(3) 사이에 상기 분진 등이 끼여 제2 렌즈(3)에 틸트에 관해 어긋남이 발생해 버리는 경우가 있지만, 제2 렌즈(3)를 적어도 3점에서 지지함으로써 분진 등이 침입해 버린 경우라도 그 영향을 없애고, 또한 제2 렌즈(3)를 틸트에 관해 어긋남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2군 렌즈에 의해 2군 대물 렌즈(1)를 구성하고 있는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렌즈 홀더(4) 및 렌즈 홀더(14)를 광축 상에 배열되는 3군 이상의 렌즈를 일체로 하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하고, 이 경우 렌즈의 각각에 대향되는 기준면을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 위치 및 기울기를 규제하는 기준면으로 하여 광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 방향을 향해 설치한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렌즈 홀더(4) 및 렌즈 홀더(14)를 몰드 성형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절삭에 의해 렌즈 홀더(4) 및 렌즈 홀더(14)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 우, 예를 들어 렌즈 홀더를 형성하기 위한 절삭 모재에 대해 절삭용 바이트를 일방향으로부터 진입시켜 렌즈 홀더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절삭 모재를 바꿔 부착하는 일 없이 렌즈(2, 3)의 부착부를 형성할 수 있고, 이로써 렌즈(2, 3)의 부착부의 형상을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제1 렌즈(2) 및 제2 렌즈(3)로 이루어지는 2군 렌즈의 구체예, 2군 대물 렌즈(1)가 탑재되는 기록 재생 장치의 구체예에 대해 설명한다.
표1에는 제1 렌즈(2) 및 제2 렌즈(3)의 형상 등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이 표1에 있어서, 물체점을 OBJ라 하고, 개구 조리개를 STO라 하고, 렌즈면 순서로 S1, S2, S3,…로 하여, 디스크의 기록면을 결상면(IMG)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10 및 도11에는 2군 렌즈에 의한 광학계의 광학 특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10의 (a)에는 구면 수차를 도시하고, 도10의 (b)에는 비구면 수차를 도시하고, 도10의 (c)에는 왜곡 수차를 도시하고, 도11의 (a)에는 화상각 0.5°에서의 횡 수차를 도시하고, 도11의 (b)에는 축상에서의 횡 수차를 도시하고 있다.
다음에, 2군 대물 렌즈(1)를 구비한 광학 헤드의 일예를 도12에 도시한다. 광학 헤드(101)는 정보 기록 매체에 대해 정보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기록 재생 장치에 탑재되는 것으로, 정보 기록 매체에 레이저 광을 출사하여 상기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의 복귀 광을 검출하는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또, 이하에서는 상술한 디스크(400)의 예로서, 상 변화형 광 디스크를 예로 들어 상 변화형 광 디스크에 대해 정보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정보 기록 매체에 대해서는 재생 전용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혹은 광 카드라도 좋다. 상 변화형 광 디스크(400)는 대략 평판 원반 형상으로 되어 기판(401) 상에 기록층(402)과 보호층(403)을 차례로 적층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광학 헤드(101)는 도시하지 않은 광원, 편광 빔 분할기(102), 1/4 파장판(103) 및 2군 대물 렌즈(대물 렌즈)(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광원과 편광 빔 분할기(102)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회절 격자 및 콜리메이터 렌즈가 배치되어 있다.
광원은 예를 들어 파장(λ)이 635㎚의 직접 편광 레이저 광을 출사하는 반도체 레이저로 이루어진다. 또한, 광원은 상 변화형 광 디스크(400)로부터 정보 신호를 재생할 때는 일정한 출력 레이저 광을 출사하여 상 변화형 광 디스크(400)에 정보 신호를 기록할 때는 기록하는 정보 신호에 따라서, 출사하는 레이저 광의 강도를 변조한다. 또,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 광의 파장(λ)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단파장인 것을 이용한 쪽이 더욱 고기록 밀도화 및 대용량화 를 꾀하는 데 적합하다.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광은 도시하지 않은 회절 격자에 의해 회절되어 0차 광 및 +/-1차 광으로 분할되고 이들 0차 광 및 +/-1차 광은 도시하지 않은 콜리메이터 렌즈에 의해 평행 광이 된다.
콜리메이터 렌즈에 의해 평행 광으로 된 입사 레이저 광은 편광 빔 분할기(102)를 투과하여 1/4 파장판(103)에 입사된다. 레이저 광은 1/4 파장판(103)에 있어서 투과할 때에 원형 편광 상태로 되어 대물 렌즈(1)에 입사된다.
대물 렌즈(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렌즈(2)와 제2 렌즈(3)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예에서는 렌즈 홀더(14)에 의해 구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1/4 파장판(103)을 투과하게 되어 원형 편광 광속으로 된 레이저 광은 이 대물 렌즈(1)의 제1 렌즈(2) 및 제2 렌즈(3)를 투과함으로써 상 변화형 광 디스크(400)의 기록면(402) 상에 집광된다.
상 변화형 광 디스크의 기록면(402) 상에 집광된 입사광은 상기 기록면(402)에서 반사되어 복귀광이 된다. 이 복귀광은 대물 렌즈(1)를 투과한 후, 1/4 파장판(103)에 입사한다. 그리고, 이 복귀광은 1/4 파장판(103)을 투과함으로써, 진행쪽 편광 방향에 대해 90°회전된 직접 편광이 되어 편광 비임 분할기(102)에 의해 반사된다.
편광 비임 분할기(102)에 있어서 반사된 복귀광은 포커싱 렌즈(104) 및 멀티 렌즈(105)를 지나서 광 검출기(106)에 의해 검출된다. 여기에서, 멀티 렌즈(105) 는 입사 광속에 대해 소위 비점 수차법에 의한 비점 수차에 의해 포커싱 서보 신호의 검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비점 수차를 부여하는 것이다.
또한, 광 검출기(106)는 예를 들어 6개의 포토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포토 다이오드에 입사한 복귀광의 광 강도에 따른 전기 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기록 재생 장치는 이 광 검출기(106)로부터 출력된 전자 신호에 대해 소정의 연산 처리를 실시하여, 이른바 비점 수차법에 의해 포커스 서보 신호, 이른바 3 비임법에 의해 트랙킹 서보 신호 등을 생성하여 그들 신호에 의거하여 2축 작동기(107)를 구동한다.
그리고, 광 검출기(106)는 각 포토 다이오드에 입사한 복귀광의 광 강도에 따른 전기 신호에 대해 소정의 연산 처리를 실시하여 상 변화형 광 디스크(400)로부터의 재생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대물 렌즈(1)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광학 헤드(101)에 의해 상 변화형 광 디스크(400)에 대한 정보 신호의 기록 및 판독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은 광학 헤드(101)를 구비하는 기록 재생 장치의 일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록 재생 장치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 변화형 광 디스크(400)를 회전 구동시키는 스핀들 모터(121)와, 상술한 광학 헤드(101)와, 광학 헤드(101)의 이동을 위한 이송 모터(122)와, 소정의 변조 처리 및 복조 처리를 행하는 변복조 회로(124)와, 광학 헤드(101)의 서보 제어 등을 행하는 서보 제어 회로(125)와, 시스템 전체의 제어를 하는 시스템 제어기(126)를 구비하고 있다.
스핀들 모터(121)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 테이블에 장착된 상 변화형 광 디스 크(400)를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 구동하기 위한 것이며, 서보 제어 회로(125)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구동된다.
광학 헤드(101)는 변복조 회로(124)에 접속되어 있다. 광학 헤드(101)는 정보 신호의 기록을 행할 때에는 외부 회로(127)로부터 출력되어 변복조 회로(124)에 의해 소정의 변조 처리된 신호에 의거하여 상 변화형 광 디스크(400)에 대해 광 강도 변조를 실시한 레이저 광을 조사한다.
또한, 정보 신호의 재생을 행할 때에는 광학 헤드(101)는 상 변화형 광 디스크(400)에 대해 일정 출력의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그 복귀광으로부터 재생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재생 신호를 변복조 회로(124)에 공급한다.
그리고, 이 광학 헤드(101)는 서보 제어 회로(125)에도 접속되어 있다. 광학 헤드(101)는 상 변화형 광 디스크(400)로부터의 복귀광으로부터, 포커스 서보 신호를 생성하여 이들의 서보 신호를 서보 제어 회로(125)에 공급한다. 서보 제어 회로(125)는 서보 신호에 의거하여 2축 작동기(107)에 의한 포커스 및 트래킹 제어를 행한다.
또한, 변복조 회로(124)는 시스템 제어기(126)에 접속되어 있다. 변복조 회로(124)는 시스템 제어기(126)에 의한 제어 하에서, 기록 및 재생 신호에 대해 소정의 변조 처리를 실시한다.
이송 모터(123)는 광학 헤드(101)를 상 변화형 광 디스크(400)의 직경 방향의 소정의 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것이며, 서보 제어 회로(125)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구동된다.
서보 제어 회로(125)는 시스템 제어기(126)에 의한 제어 하에서, 스핀들 모터(122), 이송 모터(123)를 제어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기록 재생 장치(121)에 의해 상 변화형 광 디스크(400)에 관한 정보의 기록 및/또는 재생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기록 재생 장치(1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제1 렌즈(2)와 제2 렌즈(3)의 위치 어긋남을 발생하지 않는 대물 렌즈(2군 대물 렌즈)(1)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상술한 3 요소의 오차에 의한 열화를 포함하는 일없이 정보 신호를 상 변화형 광 디스크(400)에 대해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렌즈 홀더는 복수의 렌즈가 각각 대응하여 부착되는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 위치 및 기울기를 규제하는 기준면이 광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 방향을 향해 복수 설치되어 있으므로, 동일 방향으로부터의 가공에 의해 기준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 렌즈 홀더에 의해 복수의 렌즈를 조정 없이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상기 렌즈 사이의 위치 결정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렌즈 홀더의 제조 방법은 수형 또는 암형 중 어느 한쪽에 복수의 렌즈가 각각 대응하여 부착되는 렌즈 홀더의 복수의 기준부를 형성하는 기준부 성형부가 설치되어 있는 금형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수형 또는 암형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있는 기준부 성형부에 의해 렌즈 홀더의 기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렌즈 홀더의 제조 방법은 복수 렌즈를 조정 없이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상기 렌즈 사이의 위치 결정을 고정밀도로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렌즈 홀더의 제조용 금형은 수형 또는 암형 중 어느 한쪽에 복수의 렌즈가 각각 대응하여 부착되는 렌즈 홀더의 복수의 기준부를 형성하는 기준부 성형부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수형 또는 암형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있는 기준부 성형부에서 렌즈 홀더의 기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렌즈 홀더의 제조용 금형은 복수의 렌즈를 조정 없이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상기 렌즈 사이의 위치 결정을 고정밀도로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22)
- 광축 상에 배열되는 제1 렌즈 및 제2 렌즈로 이루어지는 대물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로서,상기 제1 렌즈의 광축 방향에서의 위치 및 렌즈의 기울기를 규제하는 제1 기준면과,상기 제2 렌즈의 광축 방향에서의 위치 및 렌즈의 기울기를 규제하는 제2 기준면과,상기 제1 기준면에 인접하여 상기 제1 렌즈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제1 렌즈를 위치 결정하는 제1 반경 방향 기준면과,상기 제2 기준면에 인접하여 상기 제2 렌즈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제2 렌즈를 위치 결정하는 제2 반경 방향 기준면을 포함하고,상기 제1 기준면과 상기 제2 기준면은 상기 광축 방향에 있어서 한 방향을 향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의 상기 광축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을 결정하는 기준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홀더.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는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렌즈가 상기 반경 방향 기준면에 대해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홀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면 및 제2 기준면은 상기 렌즈를 적어도 3 군데에 있어서 지지하는 돌기부의 각 정점부를 포함하는 가상 평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홀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는 몰드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홀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는 열 경화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홀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는 개구수가 대략 0.75 이상인 대물 렌즈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홀더.
- 제1항에 있어서, 정보 기록 매체와 렌즈 사이의 작동 거리가 대략 0.5㎜ 이하의 대물 렌즈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홀더.
- 제1항에 있어서, 레이저 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정보 기록 매체 상에서 반사된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레이저 광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 수단을 구비하는 광학 헤드의 대물 렌즈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홀더.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헤드는 상기 광학 헤드를 동작시켜 정보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렌즈 홀더.
- 광축 상에 배열되는 제1 렌즈 및 제2 렌즈로 이루어지는 대물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를 적어도 수형과 암형을 갖는 금형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 수단에 의해 제조하는 렌즈 홀더의 제조 방법으로서,상기 수형 또는 상기 암형 중 어느 한쪽에 상기 제1 렌즈 및 제2 렌즈가 각각 대응하여 부착되는 상기 렌즈 홀더의 상기 제1 렌즈의 광축 방향에서의 위치 및 렌즈의 기울기를 규제하는 제1 기준면과, 상기 제2 렌즈의 광축 방향에서의 위치 및 렌즈의 기울기를 규제하는 제2 기준면과, 상기 제1 기준면에 인접하여 상기 제1 렌즈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제1 렌즈를 위치 결정하는 제1 반경 방향 기준면과, 상기 제2 기준면에 인접하여 상기 제2 렌즈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제2 렌즈를 위치 결정하는 제2 반경 방향 기준면을 형성하는 기준부 성형부가 설치되어 있는 금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홀더의 제조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는 열 경화 수지 재료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홀더의 제조 방법.
- 삭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면 및 제2 기준면을 해당 대물 렌즈의 광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 방향으로 향한 것으로 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홀더의 제조 방법.
- 삭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면 또는 제2 기준면은 상기 렌즈를 적어도 3군데에 있어서 지지하고, 각각의 정점부를 포함하는 가상 평면이 상기 제1 또는 제2 기준면이 되는 돌기부를 갖는 것이고,상기 기준부 성형부에 의해 상기 돌기부를 갖는 상기 제1 또는 제2 기준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홀더의 제조 방법.
- 광축 상에 배열되는 제1 렌즈 및 제2 렌즈로 이루어지는 대물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의 제조에 사용하는 적어도 수형과 암형을 갖는 렌즈 홀더 제조용 금형으로서,상기 수형 또는 상기 암형 중 어느 한쪽에 상기 제1 렌즈 및 제2 렌즈가 각각 대응하여 부착되는 상기 렌즈 홀더의 상기 제1 렌즈의 광축 방향에서의 위치 및 렌즈의 기울기를 규제하는 제1 기준면과, 상기 제2 렌즈의 광축 방향에서의 위치 및 렌즈의 기울기를 규제하는 제2 기준면과, 상기 제1 기준면에 인접하여 상기 제1 렌즈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제1 렌즈를 위치 결정하는 제1 반경 방향 기준면과, 상기 제2 기준면에 인접하여 상기 제2 렌즈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제2 렌즈를 위치 결정하는 제2 반경 방향 기준면을 형성하는 기준부 성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홀더 제조용 금형.
- 삭제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부 성형부의 상기 제1 기준면 및 제2 기준면을 형성하는 부분은 일 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홀더 제조용 금형.
- 삭제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면 또는 제2 기준면은 상기 렌즈를 적어도 3군데에 있어서 지지하고, 각각의 정점부를 포함하는 가상 평면이 상기 제1 또는 제2 기준면이 되는 돌기부를 갖는 것이고,상기 기준부 성형부는 상기 돌기부를 갖는 상기 제1 또는 제2 기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홀더 제조용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9-094153 | 1999-03-31 | ||
JP9415399 | 1999-03-3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71509A KR20000071509A (ko) | 2000-11-25 |
KR100752826B1 true KR100752826B1 (ko) | 2007-08-29 |
Family
ID=14102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16377A KR100752826B1 (ko) | 1999-03-31 | 2000-03-30 | 렌즈 홀더, 렌즈 홀더의 제조 방법 및 렌즈 홀더 제조용금형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6594204B1 (ko) |
KR (1) | KR100752826B1 (ko) |
CN (1) | CN100354682C (ko) |
DE (1) | DE10015953A1 (ko) |
HK (1) | HK1033360A1 (ko) |
ID (1) | ID25424A (ko) |
MY (1) | MY126028A (ko) |
SG (1) | SG9787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594204B1 (en) * | 1999-03-31 | 2003-07-15 | Sony Corporation | Lens holder, method for manufacturing lens holder, metal die for producing lens holder and objective lens device |
JP4083955B2 (ja) * | 2000-06-12 | 2008-04-30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対物レンズ、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学式記録再生装置 |
JP2002092926A (ja) * | 2000-09-14 | 2002-03-29 | Sony Corp | 光ヘッドおよび光ピックアップ |
JP4698874B2 (ja) * | 2001-04-24 | 2011-06-08 | ローム株式会社 | イメージセンサモジュール、およびイメージセンサ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
JP2003021770A (ja) * | 2001-07-09 | 2003-01-24 | Sony Corp | 対物レンズ、対物レンズの製造方法、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
DE10136387A1 (de) * | 2001-07-26 | 2003-02-13 | Zeiss Carl | Objektiv, insbesondere Objektiv für die Halbleiter-Lithographie |
JP2003066300A (ja) * | 2001-08-29 | 2003-03-05 | Sony Corp | 対物レンズ製造装置及び対物レンズ製造方法 |
US7576928B2 (en) * | 2003-10-31 | 2009-08-18 | Hamamatsu Photonics K.K. | Solid immersion lens holder |
US7265917B2 (en) | 2003-12-23 | 2007-09-04 | Carl Zeiss Smt Ag | Replacement apparatus for an optical element |
JP4507588B2 (ja) * | 2003-12-24 | 2010-07-21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レンズユニットと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
JP2006085837A (ja) * | 2004-09-16 | 2006-03-30 | Konica Minolta Opto Inc | 対物レンズ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 |
CN100462763C (zh) * | 2004-11-08 | 2009-02-18 |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 透镜单元 |
JP2006154764A (ja) * | 2004-11-08 | 2006-06-1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レンズユニット |
WO2007096992A1 (ja) * | 2006-02-24 | 2007-08-30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
JP4823755B2 (ja) * | 2006-04-27 | 2011-11-24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レンズシステム組立方法および間隔設定冶具 |
KR20080002159A (ko) * | 2006-06-30 | 2008-01-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광학부품 지지장치, 이를 포함하는 광주사장치 및화상형성장치 |
EP1953746A3 (en) * | 2007-02-01 | 2009-11-04 | Ricoh Company, Ltd. | Lens actuator, optical pickup device, and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
DE102008000967B4 (de) | 2008-04-03 | 2015-04-09 | Carl Zeiss Smt Gmbh | Projektionsbelichtungsanlage für die EUV-Mikrolithographie |
US8152340B1 (en) * | 2008-08-22 | 2012-04-10 | Nguyen Ronald C | Compact loupe light |
JP6944283B2 (ja) * | 2017-06-27 | 2021-10-06 |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レンズユニットの製造方法 |
CN111277732A (zh) * | 2018-12-04 | 2020-06-12 | 三赢科技(深圳)有限公司 | 车载摄像头及交通工具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51902A (en) * | 1980-04-25 | 1981-11-25 |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 Plastic lens |
JPS58175624A (ja) * | 1982-04-09 | 1983-10-14 | Hitachi Ltd | レンズ保持部材およびその成形用金型機構 |
US5249082A (en) * | 1991-05-08 | 1993-09-28 | Eastman Kodak Company | Exact constraint arrangement for and methods of mounting an element such as a lens |
JPH1069648A (ja) * | 1996-08-28 | 1998-03-10 | Sony Corp |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この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の調整方法 |
US6594204B1 (en) * | 1999-03-31 | 2003-07-15 | Sony Corporation | Lens holder, method for manufacturing lens holder, metal die for producing lens holder and objective lens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3475114D1 (en) | 1983-10-19 | 1988-12-15 | Perkin Elmer Corp | Optical assemblies |
JPH04356748A (ja) | 1991-06-03 | 1992-12-10 | Sony Corp | 光磁気記録装置 |
US5270869A (en) | 1992-12-23 | 1993-12-14 | Eastman Kodak Company | Passively athermalized optical assembly incorporating laminate fiber compensation ring |
JP3567515B2 (ja) * | 1995-02-15 | 2004-09-22 | ソニー株式会社 |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
JPH08315404A (ja) * | 1995-05-18 | 1996-11-29 | Sony Corp |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
US6115347A (en) * | 1996-02-12 | 2000-09-05 | Sony Corporation | Optical pick-up device,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objective lens |
US5729393A (en) * | 1996-04-03 | 1998-03-17 | Digital Papyrus Corporation | Optical flying head with solid immersion lens having raised central surface facing medium |
JP3787925B2 (ja) * | 1996-11-14 | 2006-06-21 | ソニー株式会社 | 対物レンズ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
JPH10320773A (ja) * | 1997-05-19 | 1998-12-04 | Sony Corp | 光ディスクの製造方法、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
WO1999018576A2 (en) * | 1997-10-06 | 1999-04-15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An apparatus for reading and/or writing information from/on a recording medium |
US6151174A (en) * | 1997-10-06 | 2000-11-21 | U.S. Philips Corporation | Device for optically scanning a record carrier |
CN1262767A (zh) * | 1998-03-26 | 2000-08-09 |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 具有第一和第二透镜单元的光扫描单元 |
JP2000099987A (ja) * | 1998-09-24 | 2000-04-07 | Sanyo Electric Co Ltd | 光磁気ヘッド装置 |
KR20010033374A (ko) * | 1998-10-21 | 2001-04-25 | 이데이 노부유끼 | 광학 헤드 및 광학 기록 매체의 구동 장치 |
-
2000
- 2000-03-20 US US09/532,177 patent/US659420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03-24 SG SG200001738A patent/SG97873A1/en unknown
- 2000-03-29 MY MYPI20001253A patent/MY126028A/en unknown
- 2000-03-30 KR KR1020000016377A patent/KR10075282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03-30 ID IDP20000255D patent/ID25424A/id unknown
- 2000-03-30 DE DE10015953A patent/DE10015953A1/de not_active Withdrawn
- 2000-03-31 CN CNB001053485A patent/CN100354682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
- 2001-04-17 HK HK01102699A patent/HK1033360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51902A (en) * | 1980-04-25 | 1981-11-25 |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 Plastic lens |
JPS58175624A (ja) * | 1982-04-09 | 1983-10-14 | Hitachi Ltd | レンズ保持部材およびその成形用金型機構 |
US5249082A (en) * | 1991-05-08 | 1993-09-28 | Eastman Kodak Company | Exact constraint arrangement for and methods of mounting an element such as a lens |
JPH1069648A (ja) * | 1996-08-28 | 1998-03-10 | Sony Corp |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この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の調整方法 |
US6594204B1 (en) * | 1999-03-31 | 2003-07-15 | Sony Corporation | Lens holder, method for manufacturing lens holder, metal die for producing lens holder and objective lens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HK1033360A1 (en) | 2001-08-24 |
MY126028A (en) | 2006-09-29 |
US6594204B1 (en) | 2003-07-15 |
KR20000071509A (ko) | 2000-11-25 |
DE10015953A1 (de) | 2000-10-26 |
SG97873A1 (en) | 2003-08-20 |
CN100354682C (zh) | 2007-12-12 |
CN1271864A (zh) | 2000-11-01 |
ID25424A (id) | 2000-10-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52826B1 (ko) | 렌즈 홀더, 렌즈 홀더의 제조 방법 및 렌즈 홀더 제조용금형 | |
US7099090B2 (en) | Optical pickup lens comprising a lens and a lens holder which have marks to easily mount the lens on the lens holder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lens, and optical pickup unit comprising the optical pickup lens | |
KR100681965B1 (ko) | 광 픽업 장치, 대물 렌즈, 광 정보 기록 매체 재생 장치및/또는 기록 장치 | |
KR20010033409A (ko) | 광학 헤드 및 기록 재생 장치 | |
US5602383A (en) | Optical apparatus for optically reading and recording information | |
KR20040086751A (ko) | 광픽업 장치 및 광픽업 장치용 대물 렌즈 | |
KR100438701B1 (ko) | 호환형 광픽업 및 그 광축을 맞추기 위한 조정방법 | |
WO2007023914A1 (ja) | 対物レンズユニット、光ピックアップおよび光情報装置 | |
US20050025027A1 (en) | Integrated optical picku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optical information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optical pickup | |
US7403464B2 (en) | Lens and combination lens | |
JP2000347088A (ja) | レンズホルダ、レンズホルダの製造方法、レンズホルダ製造用金型及び対物レンズ装置 | |
JP2006085837A (ja) | 対物レンズ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 | |
US6992838B2 (en) | Objective lens with the diffractive surface for DVD/CD compatible optical pickup | |
JP4525051B2 (ja) | レンズユニットの製造方法、レンズユニット、光ヘッド、及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 | |
JP4083955B2 (ja) | 対物レンズ、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学式記録再生装置 | |
CN102136281A (zh) | 光拾取装置及其制造方法 | |
JP3962914B2 (ja) | プラスチック製光学素子の製造方法、成形型、及び光学素子 | |
KR100697167B1 (ko) | 대물 렌즈 장치 | |
EP1953746A2 (en) | Lens actuator, optical pickup device, and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 |
EP1351227B1 (en) | Optical pickup and optical disc drive | |
JP4552713B2 (ja) | 回折光学素子、光通信モジュール及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 | |
JP2004295998A (ja) | 対物レンズ、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情報記録再生装置 | |
EP0892396B1 (en) | Hologram laser unit and two-focus type optical pickup | |
JP2011040165A (ja) | 対物レンズユニット、及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 | |
JP2004205774A (ja) | 光学ユニッ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