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2396B1 - 전력선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전자 기기의 원격 제어 전화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선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전자 기기의 원격 제어 전화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2396B1
KR100752396B1 KR1020060005493A KR20060005493A KR100752396B1 KR 100752396 B1 KR100752396 B1 KR 100752396B1 KR 1020060005493 A KR1020060005493 A KR 1020060005493A KR 20060005493 A KR20060005493 A KR 20060005493A KR 100752396 B1 KR100752396 B1 KR 100752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external device
communication
call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6295A (ko
Inventor
박해성
허손구
Original Assignee
(주) 더원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더원글로벌 filed Critical (주) 더원글로벌
Priority to KR1020060005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2396B1/ko
Publication of KR20070076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6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선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전자 기기의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은, 원격 전화 시스템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외부 기기로부터 전화망을 통해 발신된 링이 수신되면 설정된 벨 울림 횟수에 따라 자동 착신 전환하여 자동응답모드를 수행하고 자동응답모드 수행 중 외부 기기로부터 원격제어를 위해 설정된 인증정보가 수신되면 자동응답모드를 종료하고 원격제어모드를 수행하는 전화장치, 원격 제어를 위한 대상 전자 기기의 상태 및 센서를 통한 주변 상황의 변화를 감지하여 그 상태정보를 출력하고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대상 전자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태변화 감지/제어기, 및 원격제어모드에서 전화장치에 수신되는 원격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전력선통신과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통해 상태변화 감지/제어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자동응답기의 설치 유무와 상관없이 전화망을 통한 댁내 기기에 대한 원격 제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전력선, 무선, 유선, 통신, 자동응답, DTMF

Description

전력선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전자 기기의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Telephone System for remote controlling the electric devices using the power line wire/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전력선 제로 크로스 포인트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에서의 데이터 비트를 도시한 신호 파형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자 기기의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전화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도 2의 상태변화 감지/제어기로 적용 가능한 전자 기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원격제어를 위해 전력선 통신을 적용하는 경우, 이용되는 전력통신 구간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2에서 메인 시스템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서브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자 기기의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자 기기의 원격 제 어 전화 시스템에서, 설정된 가스누출모드에서 발생하는 상황에 따른 원격제어 운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자 기기의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댁내에서의 전력선 통신 특성을 고려하여 원격 제어되는 댁내의 각종 전자 기기들을 댁 내부 또는 외부에서 전화망을 통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자 기기의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공장 등에서 구비하고 있는 다수의 전자 기기 또는 전자 장치들을 원격 조정하기 위하여, 물리적 통신 채널의 특성에 따라 구분되는 소정의 통신 방식을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즉, 전화망을 통하여 가정 내에 설치된 원격 제어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해 전화 원격 제어 장치와 원격 제어되는 전자 기기들 간의 통신 수단으로는, 유선통신, 무선통신, 및 전력선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을 예로 들 수 있다.
각각의 통신 방식을 적용함에 따른 전화망을 통한 원격 제어 방법의 특징은 아래와 같다.
첫째, 유선통신을 이용한 원격제어방법의 경우, 전화 원격 제어 장치와 제어하는 대상 전자 기기간의 거리가 가까운 곳 또는 설치가 용이한 곳에서는 배선을 새로이 설치하더라도 저렴한 비용으로 구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반면, 전화 원격 제어 장치와 대상 전자 기기간의 거리가 먼 곳 또는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곳에서는 배선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으며 미관상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둘째, 무선통신을 이용한 원격제어방법의 경우, 전화 원격 제어 장치와 대상 전자 기기간의 무선통신 시스템 구축이 용이하다. 반면, 무선통신을 이용한 원격제어방법은 이웃 집에서 동일한 전자 기기를 사용하거나 원격제어를 위해 동일한 주파수대역을 사용하는 경우, 전파의 간섭을 야기시킬 수 있다. 또한, 양방향 통신을 위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 장치는 고비용의 원인이 된다. 또한,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을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모두 대상 전자 기기들에 별도의 전원 공급부를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셋째,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원격제어방법의 경우, 별도의 물리적 채널이 필요 없이 댁내에 설치되어 있는 전력선을 이용한 통신방식에 의해 원격제어를 수행하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하고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을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 구축에 따른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반면, 전력선을 이용하여 원격제어 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잡음, 신호 감쇠, 및 임피던스 불일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전력선이 없는 곳에서는 설치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력선을 이용한 통신 방법이 적용되는 전자 기기들은 단방향 제어에 국한되어 제어 대상 기기의 현 상태나 제어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력선 통신 방법 중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제로 크로스 포인트(Zero Cross Point)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을 들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력선 제로 크로스 포인트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에서의 데이터 비트를 도시한 신호 파형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선 상의 제로 크로스 포인트에서의 데이터 통신은 데이터 비트마다 전원 주파수의 1사이클 단위로 이루어지며, 1/2 사이클 당 캐리어 신호의 위치에 따라 데이터 비트를 표시한다. 즉, 종래의 X-10 기반의 통신 방법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전력선의 전력 레벨의 제로 크로스 포인트에서 100Khz 내지 130Khz(일반적으로는 120Khz) 전력선 신호를 1ms 동안 발생시키면서 신호를 실어 보내고, 이러한 데이터를 조합해서 전력선 통신을 수행한다.
도면과 같이, 캐리어가 있을 때를 "ON", 캐리어가 없을 때를 "OFF"로 하면, 데이터 비트 "1"은 캐리어의 ON→OFF로, "0"은 캐리어의 OFF→ON으로 표현한다. 도 1의 B에서 파형도는 데이터 "10011"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전원 주파수의 크로스 포인트에서는 에러가 발생하기 때문에 적정 레벨 이상을 갖는 신호 영역에 대해서만 전력선 통신에 이용한다. 이러한 종래 방식은 전송 거리를 멀게 하기 위해 레벨을 크게 하여 송신하며 통신하는 기기가 많은 관계로 일일 24시간을 점유하여 사용하고 있는 설정이다. 그런데, 전력선 통신은 먼 거리 전송을 위해 높은 레벨의 전력 신호가 이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전화망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시, 댁 내 전화기가 자동응답기인 경우에는 수신되는 호출 링톤에 대해 자동응답처리를 먼저 수행하기 때 문에, 원격제어로의 모드 전환 및 원격 제어 명령의 전송 자체가 불가능하여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댁내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 기기를 원격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통신 방식에 상관없이 전화망을 이용한 전자 기기의 원격제어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전력선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전자 기기의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댁내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 기기를 원격제어하기 위해 전력선 유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전력선 통신을 기존에 수행하는 기기들 간의 통신에 방해가 되지 않는 시간 범위의 신호 레벨을 이용하여 전자 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전화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댁내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 기기를 전력선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을 통해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자 기기의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댁내에 설치된 자동응답기가 설치된 경우에도 전화망을 이용하여 댁내의 전자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전력선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전자 기기의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자 기기의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전화 시스템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외부 기기로부터 전화망을 통해 발신되는 링을 착신하여 발신 목적을 확인하고, 원격 제어를 위한 발신인 경우 소정의 인증 과정을 거친 후 원격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출력하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로 통화 연결하여 상기 원격 제어에 따른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전화장치; 상기 원격 제어를 위한 대상 전자 기기의 상태 및 센서를 통한 주변 상황의 변화를 감지하여 그 상태정보를 출력하고,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대상 전자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태변화 감지/제어기; 및 상기 전화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원격제어명령에 따라 전력선통신,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상태변화 감지/제어기를 제어하고, 상기 상태변화 감지/제어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전화장치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의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와 상기 상태변화 감지/제어기 간의 물리적 통신 인터페이스 설정을, 상기 전력선통신, 상기 유선통신, 및 상기 무선통신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 설정이 가능한 통신부를 더 갖는다.
상기 전화장치는, 상기 전화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전화 제어부; 상기 외부 기기와의 음성통화를 위한 음성 처리를 수행하는 음성처리부; 상기 링의 설정된 수신 횟수에 따라 착신 전환하여 상기 외부 기기와 통화 연결하는 링톤 검출부; 상기 통화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발신 목적을 위해 전송된 DTMF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통화 연결된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자동응답부; 및 상기 통화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인증 및 상기 원격 제어를 위해 전송되는 DTMF 신호를 수신 및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DTMF 검출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화장치는 상기 외부 기기와 통화 연결을 위한 상기 DTMF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외부 기기와 통화 연결하는 DTMF 송출부를 더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변화 감지/제어기에서 설정된 모드에 따라 소정의 이상 정보가 감지되면, 상기 DTMF 송출부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와 통화 연결하여 상기 자동응답부를 통해 상기 이상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에 알려준다.
상기 상태변화 감지/제어기는, 물체의 출현 및 상기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인체 감지기; 착탈 가능한 물체간의 착탈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기; 및 상기 대상 전자 기기에 공급되는 상기 전원의 온/오프 및 상기 대상 전자 기기의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대상 전자 기기의 원격 제어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 감지/제어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체 감지기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및 온도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접촉 감지기는 도어 감지기일 수 있다.
상기 전력선통신은 기존 전력 통신을 위해 할당된 영역을 제외한 제로 크로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와 상기 상태변화 감지/제어기 간의 상기 원격 제어를 위한 통신이 수행된다.
본 실시예의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은, 상기 상태변화 감지/제어기에서 상기 제어부로 출력되는 상기 상태정보의 종류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기를 더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은, 상기 상태변화 감지/제어기로부터 상기 제어부로 출력되는 상기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자 기기의 원격제어 전화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외부 기기로부터 설정된 횟수만큼 링이 수신되면 착신 전환하여 통화 연결하고, 상기 외부 기기에 발신 목적정보에 대응하는 DTMF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 목적이 원격제어를 위한 DTMF 신호인 경우,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원격제어를 위한 비밀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비밀 번호가 약속된 번호와 일치하면, 상기 원격제어를 위한 원격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원격제어명령을, 전력선통신, 무선통신, 및 유선통신 중 최적 물리적 채널 설정된 통신 방식을 통해, 대상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제어명령을 수신한 대상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원격제어명령에 따라 수행된 원격제어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전화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의 원격제어 전화 시스템의 운용 방법은, 상기 외부 기기의 발신목적이 음성 통화인 경우, 음성 녹음을 위해 상기 외부 기기로 음성 안내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음성 안내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의 의해 음성 녹음하는 단계; 상기 음성 녹음이 완료되면, 통화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원격제어 전화 시스템의 운용 방법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가 상기 약속된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으면, 설정된 횟수 만큼 상 기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구하는 단계; 및 상기 비밀번호의 입력 횟수가 상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외부 기기와의 통화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원격제어 전화 시스템의 운용 방법은, 상기 대상 전자기기에 원격제어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대상 전자기기에 설정된 원격제어 모드에 따른 이상 상태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대상 전자기기가 이상 상태임이 감지되면,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외부 기기와 통화 연결을 위해 상기 검색한 전화번호로 DTMF 신호를 발신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기기와 통화 연결되면, 상기 대상 전자기지에 대해 감지된 이상 상태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에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원격제어 전화 시스템의 운용 방법은, 상기 외부 기기에 상기 이상 상태 정보를 알린 후, 상기 대상 전자기기의 원격제어를 위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안내 정보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원격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원격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대상 전자기지의 이상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이상 상태의 제어 결과를 상기 외부 기기에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자 기기의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전화 시스템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외부 기기로부터 전화망을 통해 발신된 링이 수신되면 설정된 벨 울림 횟수에 따라 자동 착신 전환하여 자동응답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자동응답모드 수행 중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원격제어를 위해 설정된 인증정보 가 수신되면 상기 자동응답모드를 종료하고 원격제어모드를 수행하는 전화장치; 상기 원격 제어를 위한 대상 전자 기기의 상태 및 센서를 통한 주변 상황의 변화를 감지하여 그 상태정보를 출력하고,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대상 전자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태변화 감지/제어기; 및 상기 원격제어모드에서 상기 전화장치에 수신되는 원격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전력선통신,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상태변화 감지/제어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원격제어명령에 대응하는 제어에 따라 수행되는 상기 상태변화 감지/제어기의 동작상태정보를 상기 전화장치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전화장치는 상기 외부 기기와 통화 연결하여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동작상태정보를 전송한다.
본 실시예의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와 상기 상태변화 감지/제어기 간의 물리적 통신 인터페이스 설정을, 상기 전력선통신, 상기 유선통신, 및 상기 무선통신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 설정이 가능한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원격제어를 위해 설정된 인증정보는 설정된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DTMF 신호이다. 또한 상기 전력선통신은 기존 전력 통신을 위해 할당된 영역을 제외한 제로 크로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와 상기 상태변화 감지/제어기 간의 상기 원격 제어를 위한 통신이 수행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자 기기의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외부 기기로부터 전화 망을 통해 발신되는 링이 수신되면, 설정된 벨 울림 횟수에 따라 자동 착신 전환하는 단계; 상기 자동 착신 전환에 따라 자동응답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자동응답모드 수행중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원격제어를 위해 설정된 인증정보의 수신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인증정보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행중인 자동응답모드를 종료하고 원격제어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원격제어모드에서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원격제어 대상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원격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원격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전력선통신,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원격제어 대상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의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의 운용 방법은, 상기 원격제어명령에 대응하는 제어에 따라 수행되는 상기 원격제어 대상기기의 동작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기기와 통화 연결하여 상기 수신되는 동작상태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원격제어를 위해 설정된 인증정보는 설정된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DTMF 신호이다. 또한 상기 전력선통신은 기존 전력 통신을 위해 할당된 영역을 제외한 제로 크로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영역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제어 시스템에서 자동응답기가 설치된 경우 착신되는 벨에 대한 자동 응답 착신시 발신 목적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처리 과정을 음성 안내하여 원격 제어인 경우 외부 통신장치로부터 DTMF 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대응하는 기기에 대한 원격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자동응답기가 설치된 경우에도 전화망 을 통한 댁내 기기에 대한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통신 방식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최적의 물리적 채널 구현이 가능한 통신 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원격제어 통신에 이용함으로써, 통신 방식에 구애받지 않고 보다 용이한 원격 제어를 위한 통신망 구축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원격 제어를 위한 댁내 시스템 구축시 기존 전력 통신에서 사용하지 않는 제로 크로스 포인트 영역을 사용하여 원격제어를 위한 댁내 전력선 통신에 이용함으로써, 전력선 통신을 적용함에 따른 통신 채널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자 기기의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자 기기의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은, 주제어부(110), 전화장치(130), 통신부(150), 상태변화 감지/제어기(160), 전원부(170), 경보부(180), 및 표시부(190)로 구성된다.
주제어부(110)는 외부로부터 걸려오는 링톤의 종류에 따른 통화연결 및 원격 제어에 필요한 동작을 제어하고, 댁내 전력선 통신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전화장치(130)는 전화선로(120)를 통해 외부 통신장치와 음성통화 및 원격제 어를 위한 통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전화장치(130)는 설정된 벨 착신 횟수에 따라 자동 착신을 수행하고 발신 목적에 따른 DTMF 신호의 전송을 외부 통신장치에 요청하며 이후에 외부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DTMF 신호를 검출하여 주제어부(110)에 제공한다. 또한 전화장치(130)는 주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전화번호를 갖는 외부 통신장치로 DTMF 신호를 전송하고, 주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른 대상 기기들에 대한 원격제어 상태정보를 외부 통신장치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화장치(130)는 설정된 벨 착신 횟수에 따라 자동응답 전화기로 자동 착신 전환하고, 자동응답모드를 수행한다. 자동 응답 모드의 수행 중에, 전화장치(130)는 원격 제어를 위해 약속된 DTMF 비밀번호의 수신 여부를 판별한다. 약속된 DTMF 비밀번호가 수신되면, 전화장치(130)는 수행 중인 자동응답모드를 종료하고 원격제어를 위한 모드를 전환하여 수행한다. 원격제어모드 수행 중 전화장치(130)는 원격 제어를 위한 명령의 수신 여부를 판별한다. 원격제어명령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화장치(130)는 수신된 원격제어명령을 주제어부(210)로 전송한다.
한편, 주제어부(210)는 전화장치(130)로부터 원격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설정된 최적 통신 방식을 통해 수신한 원격제어명령에 대응하여 해당 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원격제어 시스템에서 자동응답기가 설치된 경우 자동응답기가 먼저 착신하더라도 DTMF 신호의 수신을 계속 모니터링하여 비밀번호 입력시 자동응답기를 차단하고 원격제어를 위한 DTMF 신호를 착신할 수 있으며 자동응답기 가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착신할 수 없는 경우 링 횟수에 따라 착신하여 발신 목적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처리 과정을 음성 안내하여 원격 제어인 경우 외부 통신장치로부터 DTMF 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대응하는 기기에 대한 원격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자동응답기의 설치 유무와 상관없이 전화망을 통한 댁내 기기에 대한 원격 제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상태변화 감지/제어기(160)가 주제어부(110)에 전력선을 통해 직접 연결할 수 없는 경우, 주제어부(110)와 상태변화 감지/제어기(160) 간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통신부(150)는 주제어부(110)와 서브 시스템(200) 간에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제어부(110)와, 상태변화 감지/제어기(160) 및 서브 시스템(200) 간에 전력선 통신을 기본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통신부(110)는 전력선 통신, 무선 통신, 및 유선 통신을 모두 수용하며, 통신 연결 대상의 물리적 채널 연결 효율에 따라 상기 통신 방식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력선 통신의 구체적인 적용 예는 도 5를 참조하여 이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무선 통신은 프로토콜 및 인터페이스를 통신 방법 변경에 따른 프로토콜 변경이 용이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유선 통신은 설치의 용이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하며, DC 전원 선로를 통신선로로 겸하여 이용하므로 배선의 편리함 및 경제적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종래에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이 적용되는 물리적 채널로만 원격 제어 시스템 구축함에 따른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한편 서브 시스템(200)은 메인 시스템인 본 도면에서 주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영역의 전자 기기에 대한 원격 제어를 수행하고 그 결과정보를 주제어부(110)에 제공한다.
상태변화 감지/제어기(160)는 원격 제어를 위한 대상 전자 기기의 상태 감지 및 센서를 통해 주변 상황의 변화를 감지하여 주제어부(100)에 제공하고, 주제어부(110)의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해당 전자 기기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적용 가능한 상태변화 감지/제어기(160)의 센서로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온도 센서, 도어 센서와 같은 접촉 센서 등 현재 출시되어 있는 각종 센서들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이에 따라, 설치 장소와 사용 목적에 적합한 센서를 선택하여 주제어부(110)와 용이하게 통신 인터페이스되도록 설계하고, 해당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들을 주제어부(110)에서 수집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전원부(170)는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경보부(180)는 주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경보음을 출력한다.
표시부(190)는 주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본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주제어부(110)는 상태변화 감지/제어기(160)로부터 감지 및 변화된 정보를 제공 받으면,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경보부(180)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 및/또는 전화장치(130)를 통해 약속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현재의 감지 및 변화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전화장치(130)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장치(130)는, 전화제어부(131), DTMF 검출부(132), DTMF 송출부(133), 음성처리부(140), 링톤 검출부(134), 및 자동응답부(135)로 구성된다.
전화제어부(131)는 공중전화망(PSTN)에 연결된 전화선로(120) 및 주제어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전화 장치(1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DTMF 검출부(132)는 전화선로(120)를 통해 통신 연결된 외부 원격제어 통신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비밀번호 및 제어 대상 기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DTMF 신호를 검출한다. 이때 DTMF 검출부(132)는 검출한 비밀번호 및 DTMF 신호를 전화제어부(131)를 통해 주제어부(110)에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DTMF 검출부(132)는 통화로와 분리되어 별도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DTMF 검출부(132)는 착신을 위해 연결된 전화기가 자동응답기인 경우, 상기 자동응답기가 걸려오는 전화에 먼저 응답하여도 그와 별도로 DTMF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즉, DTMF 검출부(132)는 자동응답기가 설치된 경우에도 외부 원격제어 통신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비밀번호 및 약속된 제어번호인 DTMF 신호를 수신하여 주제어부(110)에 제공할 수 있다.
DTMF 송출부(133)는 전화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주제어부(110)에서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 수 있도록 DTMF 신호를 송출한다.
음성처리부(140)는 외부 원격제어 통신장치로부터 수신한 음성신호 및 외부 원격제어 통신장치로 전송할 음성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즉, 음성처리부(140)는 외부 통신장치와의 음성 통화를 위한 음선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보 다 상세하게, 음성처리부(140)는 통화부(142), 청음부(144), 및 확성부(146)를 갖는다. 통화부(142)는 외부 전화기와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고, 청음부(144)는 매우 작은 소리를 청음이 가능하도록 하며, 확성부(146)는 작은 소리를 큰 소리로 확성시켜 통화부(142)를 통해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링톤 검출부(134)는 전화선로(120)로부터 걸려오는 벨 신호를 검출하고, 주제어부(110)에서 미리 설정된 벨 울림(수신) 횟수에 대응하여 걸려오는 벨에 대한 자동 착신을 수행한다.
자동응답부(135)는 링톤 검출부(134)를 통해 일정 회수 이상 벨이 울려서 벨을 자동 착신하면, 외부 통신장치의 발신 목적이 음성통화인지 원격제어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이에 대한 응답 여부에 따라 해당 목적에 대응하는 안내 멘트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자동 착신이 되면, 자동응답부(135)는 "음성통화는 1번, 원격제어는 2번을 눌러주십시요"라는 최초 안내 멘트를 외부 통신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통화에 대응하는 1번 DTMF 신호가 수신되면, 자동응답부(135)의 음성 안내에 따라 음성 통화가 수행된다. 또한 원격제어에 대응하는 2번 DTMF 신호가 수신되면, 자동응답부(135)의 음성 안내에 따라 원격 제어를 위한 기기를 선택하고 이에 대한 원격 제어가 수행된다.
또한, 자동응답부(135)는 댁내에서 주제어부(110)에 의해 제어되는 원격제어 대상 기기들에 대한 원격 제어 상태정보를 음성으로 외부 원격제어 통신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자동응답부(135)는 전화 착신 또는 발신시 전화를 받을 수 없다거나, 도둑이 침입하였다거나 전기의 온/오프, 가스벨브, 문의 열림/닫힘 등의 원격제어 상태정보를 음성으로 외부 원격제어 통신장치에 제공한다.
따라서, 자동응답기가 설치되어 있는 원격제어 시스템에서 설정된 횟수에 대응하는 벨 울림에 따라 자동 착신된 경우 발신 목적이 음성통화인지 원격제어인지를 음성 안내하여 이에 대한 응답을 DTMF 신호로 수신하고 원격 제어가 목적인 경우 비밀번호 및 원격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DTMF 신호로 수신함으로써, 자동응답기가 설치된 경우에도 댁내 기기에 대한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도 4는 도 2의 상태변화 감지/제어기(160)로 적용 가능한 전자 기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변화 감지/제어기(160)는 인체 감지기(161,162), 도어(door) 감지기(163,164), 및 전원 감지/제어기(165,166)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인체 감지기(161,162)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온도 센서 등을 통해 인체의 출현 및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감지 결과를 주제어부(110)에 제공하도록 한다.
도어 감지기(163,164)는 문의 열림 및 닫힘 등을 감지하여 주제어부(110)에 제공한다.
전원 감지/제어기(165,166)는 해당 전자 기기 전원의 온/오프를 감지하고 그 결과를 주제어부(110)에 제공한다. 또한 전원 감지/제어기(165,166)는 주제어부(110)의 원격제어명령에 따라 전자 기기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하고, 해당 전자 기기의 설정된 동작을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원격제어를 위해 전력선 통신을 적용하는 경우, 이용되는 전력통신 구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선통신에서는 AC 전원의 제로 크로스 포인트 영역에서는 에러가 발생하기 때문에, 소정 레벨치 이상의 값을 갖는 영역(A)만을 전력선 통신을 위해 이용하고 이외의 영역(B)은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로 크로스 포인트 영역이 포함된 영역(B)을 이용하여 원격제어를 위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인 전력선 통신은 전송 거리를 원거리로 하기 위하여 영역 A에 속하는 높은 레벨의 전력 신호를 이용하며, 통신하는 기기가 많은 관계로 하루 24시간 내내 영역 A를 점유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원격 제어를 위한 시스템은 한 사무실 또는 한 가정과 같이 댁내에서 사용하는 것이므로, 먼 거리 전송을 위해 높은 레벨의 전력 신호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기존에 사용하는 전력 신호 중 타 시스템에서 사용하지 않는 시간 영역(B)에 낮은 레벨을 갖는 전력 신호를 이용한다.
도면에서와 같이, 전력 신호의 한 사이클은 16.66 msec이고, 반 사이클은 8.33 msec이며, 원격제어용 시간 영역(B)은 2 msec이다. 여기서 원격제어용 시간 영역(B)을 확대하면 2 msec 시간 중 원격 제어를 위해 이용되는 실제 시간은 1.736 msec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원격 제어를 1.736 msec 시간 동안 10비트로 구성된 신호를 이용한다. 따라서 하나의 비트는 1.736 μsec가 할당된다. 또한 10비트 중 첫 번째 1비트는 시작(start) 비트이고, 마지막 1비트는 끝(end) 비트이며, 이들 사이의 8비트들은 데이터 비트이다.
시작 비트 신호와 데이터 비트 신호의 '0'에 해당하는 신호는 50Khz의 신호가 송출되고, 끝 비트 신호와 데이터 비트 신호의 '1'에 해당하는 신호는 무신호가 송출된다.
이에 따라 원격제어용 시간 구간(B)에서 전송된 신호에 대해 50Khz의 신호가 검출되면 '0'의 신호로, 무신호가 검출되면 '1'의 신호로 변환한다. 일반적으로 '0'의 신호는 모두 '0'으로 인식하나, '1'의 신호는 잡음 등으로 송출된 '1'의 신호 보다 '0'이 포함된 '1'의 신호일 수 있다. 이 경우 동기신호 포착 미흡 등으로 '0'과 '1'의 신호가 비직선화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낮은 신호 레벨을 갖는 시간 구간(B)을 원격 제어를 위해 이용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에러 체크가 필요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0'의 신호이든 '1'의 신호이든 26회의 에러 체크를 통해, '0'의 신호가 가장 많으면 '0'으로, '1'의 신호가 가장 많으면 '1'로 간주한다. 그러나 실제 통신시에 발생하는 현상을 고려하여 인식 결정 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수신측에서는 에러를 줄이기 위하여 데이터 비트를 26회 체크하여 에러의 발생을 줄인다.
도면에서와 같이 하나의 데이터 구조는 10비트로 구성된다. 이때 10비트는 전력의 반 사이클 마다 이루어지므로 반 사이클의 전송 속도는 120*10비트에 의해 1,200 bps가 된다. 그러나 실제 반사이클 전 구간을 10비트가 점유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원격제어용 시간 구간(B) 중 10비트가 사용되는 시간은 1,000/576 msec이다. 이에 따라 데이터는 실제 선로상에서 1,200 bps의 4.8배인 5,760 bps로 통신을 행한다. 그러나 기존 전력선 통신에서 사용하지 않는 시간(B)을 사용하므로 외형상 통신 속도는 1,200 bps로 통신을 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저속 및 중속의 단점인 일방향 통신이 아니라 반이중 방식이 적용됨에 따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무실이나 가정 어느 장소이든 일반 전화를 이용하여 원격 제어 기기를 가장 경제적이고 적용이 용이한 통신 방식 및 센서를 설치하여 방범, 화재 예방, 가스벨브, 전자 기기 제어, 및 애완동물 먹이 주기 등 생활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방범 및 가스 누출 시에는 전화를 걸어 음성 통보가 가능하고, 사용자가 전화로 안전 확인 및 조치를 원격으로 취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서 메인 시스템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서브 시스템(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시스템(100)과 서브 시스템(200)은 전력선을 통해 연결된다. 메인 시스템(100)에는 복수의 서브 시스템이 연결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10회선의 서브 시스템 연결이 가능하다.
서브 시스템(200)은 부제어부(210), 통신부(250), 상태변화 감지/제어부(260), 표시부(290), 및 전원부(270)를 갖는다.
부제어부(210)는 서브 시스템(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메인 시스템(100)의 제어에 따라 해당 동작을 수행하고 그 결과 정보를 메인 시스템(100)에 제공한다.
통신부(250)는 메인 시스템(100)의 통신부(15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전력선 통신, 무선 통신, 및 유선 통신이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도록 설정된다.
상태변화 감지/제어부(260)는 메인 시스템(100)에 마련되는 상태변화 감지/제어부(16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태변화 감지/제어부(260)는 도 4에 도시한 구성 예에 대응하는 구성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그 상세한 구성 및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표시부(290)는 부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서브 시스템(200)의 동작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290)는 서브 시스템(200)의 동작 정보를 부 제어부(210)가 메인 시스템(100)에 제공하기 때문에, 서브 시스템(200)에서는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전원부(270)는 서브 시스템(200)의 각 구성 요소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자 기기의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동작은 주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화장치(100)의 동작을 위주로 설명한다.
먼저, 전화 벨 소리가 울리면(S110), 전화장치(130)의 링톤 검출부(134)는 전화 제어부(131)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횟수의 울림 여부를 판별한다(S120). 설정된 회수가 울리게 되면, 링톤 검출부(134)는 자동 착신 전환한다(S130).
자동 착신되면, 자동응답부(135)는 통화 연결된 발신자에게 발신 목적이 무엇인지를 요구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받는다(S140). 예를 들어, "음성통화는 1번, 원격제어는 2번을 눌러주십시요"라는 안내 멘트를 발신자에게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DTMF 신호가 수신되면, DTMF 검출부(132)는 수신된 DTMF 신호를 검출한다.
여기서 음성통화에 대응하는 1번 DTMF 신호가 검출되면, 자동응답부(135)는 음성 녹음을 안내한다(S150). 이에 따라, 음성 녹음이 수행되고(S160), 녹음이 완료되면(170) 통화를 종료한다(S180).
한편, 원격 제어에 대응하는 2번 DTMF 신호가 검출되면, 자동응답부(135)는 발신자에게 원격제어를 조작하기 위한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구한다(S210). 이에 따라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DTMF 신호가 수신되면(S220), 전화 제어부(131)는 DTMF 검출부(132)를 통해 DTMF 신호를 검출하여 원격제어 조작을 위해 주제어부(110)에 설정된 비밀번호와의 일치 여부를 판별한다(S230).
이때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전화 제어부(131)는 비밀번호의 입력 횟수가 설정된 횟수를 초과했는지를 판별한다(S310). 설정된 횟수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전화 제어부(131)는 통화를 종료한다(S180).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전화 제어부(131)는 S210 단계 내지 S230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비밀번호가 일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전화 제어부(131)는 자동응답부(135)를 통해 원격제어를 위한 안내 멘트를 발신자에게 음성 안내하고 원격제어를 위한 명령을 요구한다(S240). 이에 따라 발신자로부터 원격제어를 위한 DTMF 신호에 대응하는 명령이 수신되면, 전화 제어부(131)는 수신한 명령정보를 주제어부(110)에 제공한다(S250).
이에 따라, 주제어부(110)는 전력선, 무선, 및 유선 통신 중 설정된 최적 통 신 채널 방식을 통해 원격제어명령에의 내용을 해당 기기로 전송한다(S260). 해당 기기는 상기 원격제어명령에 대응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고, 그 응답 정보를 주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주제어부(110)는 설정된 최적 통신 채널을 통해 원격제어명령에 대한 응답 정보를 해당 기기로부터 수신한다(S270).
주제어부(110)는 전화장치(130)의 자동응답부(135)를 통해 원격제어명령에 대응하여 동작한 해당 기기의 원격제어 상태정보를 발신자에게 음성 등으로 전송한다(S280).
따라서, 자동응답기가 전화망을 통한 원격제어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도 자동 착신을 통해 발신 목적을 확인하고 DTMF 신호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원격 제어를 제어함으로써, 자동응답기가 연결된 경우에도 원격 제어를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통신 방식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최적의 물리적 채널 구현이 가능한 통신 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원격제어 통신에 이용함으로써, 통신 방식에 구애받지 않고 보다 용이한 원격 제어를 위한 통신망 구축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자 기기의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에서, 설정된 가스누출모드에서 발생하는 상황에 따른 원격제어 운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감지/제어기(165)가 가스 누출을 감지 및 제어하는 것을 예로 설명한다.
먼저 주제어부(110)는 입력되는 원격제어 모드설정 명령에 따라 전원감지/제어기(165)의 가스누출모드를 설정한다(S410). 이에 따라, 전원감지/제어기(165)는 주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가스누출모드를 설정하고, 가스의 누출 여부를 판별한다(S420).
가스가 누출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원감지/제어기(165)는 주제어부(110)에 이를 알리고 긴급한 상황이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외부의 가스 공급 통로를 즉각적으로 차단하는 응급 처치를 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해당 원격제어모드에 대한 이상 상태 발생 시 취하는 일반적인 예를 설명한다.
즉, 전원감지/제어기(165)는 가스가 누출되면 주제어부(110)로 가스 누출 사실을 알린다. 이에 따라 주제어부(110)는 경보기(180)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한다(S430).
이후 주제어부(110)는 가스 누출 사실을 외부 원격제어 통신장치(400)에게 알리기 위한 과정을 수행한다. 즉, 주제어부(110)는 통보 설정을 위해 저장된 원격제어 통신장치(400)의 전화번호를 검색한다(S440). 전화번호가 검색되면, 주제어부(110)는 검색된 전화번호를 갖는 원격제어 통신장치(400)로 DTMF 송출부(133)를 이용하여 전화를 발신한다(S450).
이에 따라 원격제어 통신장치(400)는 전화에 응답하는 신호를 메인 시스템(100)에 전송하여 통화로를 생성한다(S455). 통화가 연결되면, 주제어부(110)는 자동응답부(135)를 통해 가스 누출 사실을 음성으로 알리고 이에 대한 원격제어 여부를 음성 안내한다(S460).
원격제어 통신장치(400)는 가스 누출 사실을 확인 받고 음성 안내에 따라 가스 누출을 차단하기 위한 원격제어 명령을 메인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S465). 이때 원격제어명령은 DTMF 신호이다.
주제어부(110)는 원격제어 통신장치(400)로부터 전송된 DTMF 신호를 검출하여 이에 대응하는 원격제어 명령에 따라 가스 누출을 차단 제어하도록 전원 감지/제어기(165)의 동작을 제어한다(S470). 원격제어명령에 따라 가스 누출이 차단되면, 주제어부(110)는 가스 누출에 따른 제어 결과 및 현재의 가스 누출 여부에 대한 상태정보를 원격제어 통신장치(400)로 전송한다(S480). 이는 음성, 경보음, 또는 문자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제어 통신장치(400)는 원격제어명령에 대한 처리 결과 및 현재 상태를 확인하고 그에 대한 응답 정보 및 통화 종료를 위한 정보를 메인 시스템(100)에 전송한다(S485).
이러한 과정을 통해 원격제어 시스템이 설치된 댁내의 상황을 외부의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원격 제어를 수신 받아 원격 제어 처리 및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자 기기의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전화 벨 소리가 울리면(S610), 전화장치(130)의 링톤 검출부(134)는 전화 제어부(131)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횟수의 벨 울림 여부를 판별하고, 설정된 회수가 울리게 되면 링톤 검출부(134)는 자동 착신 전환한다(S620).
자동 착신 전환되면, 자동응답부(135)는 전화장치(130)를 자동응답모드로 동작을 수행한다(S630). 자동응답부(135)를 통해 자동응답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전 화 제어부(131)는 원격제어를 위해 설정된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DTMF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별한다(S640).
비밀번호의 DTMF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전화 제어부(131)는 수행 중이던 자동 응답 모드의 종료 여부를 판별한다(S720). 자동 응답 모드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화 제어부(131)는 전화 장치(130)의 동작을 종료한다. 자동 응답 모드가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전화 제어부(131)는 수행 중인 자동 응답 모드를 계속 수행하는 S630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S640 단계에서 비밀번호의 DTMF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화 제어부(131)는 수신된 비밀번호의 DTMF 신호가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650). 비밀 번호가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전화 제어부(131)는 설정된 입력 횟수의 초과 여부를 판별한다(S740). 설정된 입력 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전화 제어부(131)는 수행중인 자동응답모드를 수행하는 S630 단계를 수행한다. 설정된 입력 횟수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전화 제어부(131)는 전화 장치(130)의 수행중인 자동응답모드를 종료한다.
한편, S650 단계에서 비밀 번호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화 제어부(131)는 수행 중인 자동응답모드를 종료하고 원격제어모드를 수행한다(S660). 원격제어모드를 수해하는 중에, 전화 제어부(131)는 해당 기기의 원격제어를 위한 원격제어명령을 수신한다(S670). 이때 전화 제어부(131)는 수신한 원격제어명령을 주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주제어부(110)는 전력선, 무선, 및 유선 통신 중 설정된 최적 통신 채널 방 식을 통해 전화 장치(130)로부터 수신한 원격제어명령에 대응하여 해당 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S680).
해당 기기는 상기 원격제어명령에 대응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고, 그 응답 정보를 주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주제어부(110)는 전화장치(130)의 자동응답부(135)를 통해 원격제어명령에 대응하여 동작한 해당 기기의 원격제어 상태정보를 발신자에게 전송한다(S690).
따라서, 자동응답기가 전화망을 통한 원격제어 시스템에 연결되어 벨 울림에 따라 자동응답으로 착신 전환한 경우에도 약속된 DTMF 비밀번호가 수신되면 자동응답모드를 종료하고 원격제어모드를 전환하여 수행함으로써, 자동응답기가 연결된 경우에도 원격 제어를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통신 방식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최적의 물리적 채널 구현이 가능한 통신 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원격제어 통신에 이용함으로써, 통신 방식에 구애받지 않고 보다 용이한 원격 제어를 위한 통신망 구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제어 시스템에서 자동응답기가 설치된 경우 착신되는 벨에 대한 자동 응답 착신시 발신 목적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처리 과정을 음성 안내하여 원격 제어인 경우 외부 통신장치로부터 DTMF 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대응하는 기기에 대한 원격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자동응답기가 설치된 경우에도 전화망을 통한 댁내 기기에 대한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통신 방식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최적의 물리적 채널 구현이 가능한 통신 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원격제어 통신에 이용함으로써, 통신 방식에 구애받지 않고 보다 용이한 원격 제어를 위한 통신망 구축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원격 제어를 위한 댁내 시스템 구축시 기존 전력 통신에서 사용하지 않는 제로 크로스 포인트 영역을 사용하여 원격 제어를 위한 댁내 전력선 통신에 이용함으로써, 전력선 통신을 적용함에 따른 통신 채널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5)

  1.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자 기기의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전화 시스템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외부 기기로부터 전화망을 통해 발신되는 링을 착신하여 발신 목적을 확인하고, 원격 제어를 위한 발신인 경우 소정의 인증 과정을 거친 후 원격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출력하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로 통화 연결하여 상기 원격 제어에 따른 상태정보를 전송하고, 발신 목적이 음성 통화인 경우에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녹음하는 전화장치;
    상기 원격 제어를 위한 대상 전자 기기의 상태 및 센서를 통한 주변 상황의 변화를 감지하여 그 상태정보를 출력하고,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대상 전자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태변화 감지/제어기; 및
    상기 전화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원격제어명령에 따라 전력선통신,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상태변화 감지/제어기를 제어하고, 상기 상태변화 감지/제어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전화장치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선통신은 전원 주파수의 제로 크로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에서 발신측이 데이터 비트인 8비트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비트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측은 상기 복수개의 비트 데이터 각각을 복수회 조사하여, 조사된 0 또는 1 의 개수에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비트 각각의 신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상기 상태변화 감지/제어기 간의 물리적 통신 인터페이스 설정을, 상기 전력선통신, 상기 유선통신, 및 상기 무선통신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 설정이 가능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장치는,
    상기 전화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전화 제어부;
    상기 외부 기기와의 음성통화를 위한 음성 처리를 수행하는 음성처리부;
    상기 링의 설정된 수신 횟수에 따라 착신 전환하여 상기 외부 기기와 통화 연결하는 링톤 검출부;
    상기 통화 연결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에 상기 발신의 목적을 음성으로 요구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통화 연결된 상기 외부 기기로 출력하는 자동응답부; 및
    상기 통화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인증 및 상기 원격 제어를 위해 전송되는 DTMF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고, 자동응답기가 링을 착신하여 통화에 응답하는 경우에도 상기 자동응답기와 별도로 상기 전화망으로부터 유입되는 DTMF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DTMF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장치는 상기 외부 기기와 통화 연결을 위한 상기 DTMF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외부 기기와 통화 연결하는 DTMF 송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변화 감지/제어기에서 설정된 모드에 따라 소정의 이상 정보가 감지되면, 상기 DTMF 송출부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와 통화 연결하여 상기 자동응답부를 통해 상기 이상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에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변화 감지/제어기는,
    물체의 출현 및 상기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인체 감지기;
    착탈 가능한 물체간의 착탈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기; 및
    상기 대상 전자 기기에 공급되는 상기 전원의 온/오프 및 상기 대상 전자 기기의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대상 전자 기기의 원격 제어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 감지/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감지기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및 온도 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감지기는 도어 감지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변화 감지/제어기에서 상기 제어부로 출력되는 상기 상태정보의 종류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변화 감지/제어기로부터 상기 제어부로 출력되는 상기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
  11.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자 기기의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a) 외부 기기로부터 설정된 횟수 만큼 링이 수신되면 착신 전환하여 통화 연결하고, 상기 외부 기기에 발신 목적을 요구하는 단계;
    (b) 상기 발신 목적이 음성 통화인 경우에,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녹음하는 단계;
    (c) 상기 발신 목적이 원격 제어인 경우, 상기 원격 제어를 위한 비밀 번호를 요구하는 단계;
    (d) 상기 비밀 번호가 일치하면, 상기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제어명령을 요구하는 단계;
    (e) 상기 원격제어명령을 수신하면, 전력선통신, 무선통신, 및 유선통신 중 최적 물리적 채널 설정이 선택적으로 가능한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원격제어명령을 대상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대상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원격제어명령에 따라 수행된 원격제어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선통신은 전원 주파수의 제로 크로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에서 발신측이 데이터 비트인 8비트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비트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측은 상기 복수개의 비트 데이터 각각을 복수회 조사하여, 조사된 0 또는 1 의 개수에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비트 각각의 신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의 운용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들은 DTMF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의 운용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의 발신목적이 음성 통화인 경우,
    음성 녹음을 위해 상기 외부 기기로 음성 안내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음성 안내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의 의해 음성 녹음하는 단계;
    상기 음성 녹음이 완료되면, 통화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의 운용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설정된 횟수 만큼 상기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구하는 단계; 및
    상기 비밀번호의 입력 횟수가 상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외부 기기와의 통화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의 운용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전자기기에 원격 제어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대상 전자기기에 설정된 원격 제어 모드에 따른 이상 상태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대상 전자기기가 이상 상태임이 감지되면,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전화 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외부 기기와 통화 연결을 위해 상기 검색한 전화 번호로 DTMF 신호를 발신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기기와 통화 연결되면, 상기 대상 전자기지에 대해 감지된 이상 상태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에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의 운용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에 상기 이상 상태 정보를 알린 후, 상기 대상 전자기기의 원격제어를 위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안내 정보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원격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원격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대상 전자기지의 이상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이상 상태의 제어 결과를 상기 외부 기기에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전화 시스템의 운용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060005493A 2006-01-18 2006-01-18 전력선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전자 기기의 원격 제어 전화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0752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493A KR100752396B1 (ko) 2006-01-18 2006-01-18 전력선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전자 기기의 원격 제어 전화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493A KR100752396B1 (ko) 2006-01-18 2006-01-18 전력선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전자 기기의 원격 제어 전화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295A KR20070076295A (ko) 2007-07-24
KR100752396B1 true KR100752396B1 (ko) 2007-08-28

Family

ID=38501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493A KR100752396B1 (ko) 2006-01-18 2006-01-18 전력선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전자 기기의 원격 제어 전화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23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119A (ko) * 2001-05-11 2002-11-18 주식회사 지맥스테크놀러지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KR20030050406A (ko) * 2001-12-15 2003-06-25 주식회사 플레넷 전력선 통신 방법을 이용한 전력선 기기 원격 제어 장치및 그 운용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119A (ko) * 2001-05-11 2002-11-18 주식회사 지맥스테크놀러지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KR20030050406A (ko) * 2001-12-15 2003-06-25 주식회사 플레넷 전력선 통신 방법을 이용한 전력선 기기 원격 제어 장치및 그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295A (ko) 200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3598B2 (en) Remote control of a speaker phone device as a standalone device or as part of a security system
US7174176B1 (en) Cordless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5633917A (en) Remote-control telephone answering system and method
JP2004265253A (ja) 遠隔監視制御装置
KR100752396B1 (ko) 전력선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전자 기기의 원격 제어 전화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JP2002042274A (ja) ガス漏れ通報システム
KR101339314B1 (ko) 엘리베이터 비상 통화 장치
JP3992047B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US20040096051A1 (en) Remote power control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0337264Y1 (ko) 전력선모뎀이용보일러조절장치
US6643358B2 (en) Telephone answe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rming an acoustic command signal
JP2501881B2 (ja) 複数端末通信制御装置
JP2004266680A (ja) 遠隔制御装置
KR20070118844A (ko) 도어 제어 장치
JP4179068B2 (ja) 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691624B2 (ja) 緊急通報用電話端末装置
KR100194462B1 (ko) 무인경비시스템에서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국선 착신호 전환 방법
KR100205866B1 (ko) 팩시밀리 혼용 전화기의 통화상태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JPH1079801A (ja) リモ−トコントロ−ルホ−ムオ−トメ−ション装置
JPH01103064A (ja) テレコントロール受信装置
JPH066429A (ja) ルームモニタ可能なコードレス電話機
KR100275834B1 (ko) 무인 경비를 위한 공동현관 제어장치 및 그제어방법
KR20030073190A (ko) 원격제어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2004266679A (ja) 遠隔制御システム
KR20000041878A (ko) 경보/호출 전화기 및 이를 사용한 경보/호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