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1270B1 - 반응로의 연소 제어방법 및 반응로 - Google Patents

반응로의 연소 제어방법 및 반응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1270B1
KR100751270B1 KR1020047015320A KR20047015320A KR100751270B1 KR 100751270 B1 KR100751270 B1 KR 100751270B1 KR 1020047015320 A KR1020047015320 A KR 1020047015320A KR 20047015320 A KR20047015320 A KR 20047015320A KR 100751270 B1 KR100751270 B1 KR 100751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burner
burners
reaction tubes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5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8695A (ko
Inventor
모우리타카아키
요시오카토시아키
호즈미요시카즈
시오자키테츠
하세가와토시아키
모치다스스무
Original Assignee
지요다 가꼬겐세쓰 가부시키가이샤
닛뽕훠어네스고오교오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95698A external-priority patent/JP405008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47072A external-priority patent/JP4156402B2/ja
Application filed by 지요다 가꼬겐세쓰 가부시키가이샤, 닛뽕훠어네스고오교오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지요다 가꼬겐세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8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8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5/00Disposition of burners with respec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to one another; Mounting of burners in combustion apparatus
    • F23C5/08Disposition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5/00Heating of air supplied for combustion
    • F23L15/02Arrangements of re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4Indirect CO2mitigation, i.e. by acting on non CO2directly related matters of the process, e.g. pre-heating or heat recovery

Abstract

본 발명은 반응관의 균열이나 코킹을 발생시키지 않고, 반응로 내의 온도차를 작게 할 수 있는 고온 공기연소 기술을 이용한 반응로의 연소 제어방법과, 이 방법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반응로를 제공한다. 인접하는 2개이상의 반응관(7)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반응관(7)이 연장되는 방향을 향해서 연료를 분사하도록, 제2버너(8)를 배치한다. 연소실(2) 내의 배기가스를 통기성을 갖는 축열체를 통하여 로 밖으로 배출하고, 축열체의 현열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한 연소용 공기를 제2버너(8)에 공급하는 제2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10, 11)를 설치한다. 로 본체(1) 내가 고온 공기연소상태로 될 때까지는 제1버너(3a∼6a)만을 연소시켜서 반응로 내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그리로 로 본체(1) 내가 고온 공기연소상태로 된 후에, 제2버너(8)의 연소를 개시하고, 이후 제2버너(8)의 연소량의 증가에 따라서 복수의 제1버너(3a∼6a)의 연소량을 감소시켜서 필요한 연소상태를 얻는다.

Description

반응로의 연소 제어방법 및 반응로{REACTOR COMBUSTION CONTROL METHOD AND REACTOR}
본 발명은, 고온 공기연소 기술을 이용한 반응로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공개 평11-179191호 공보(특허출원 평9-357263호)에는, 복수의 반응관에 있어서의 반응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에서는, 복수의 반응관에 의해 각각 구성된 복수의 반응관 열이 횡으로 나열된 로 내의 온도를, 고온 공기연소형 축열식 연소장치를 사용해서 상승시킨다.
또 일본 특허공개 2001-152166호 공보(특허출원 평11-343624호)에는, 고온 공기연소 기술을 이용한 반응로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고온 공기연소 기술이란, 연소용 공기를 800℃이상의 고온까지 예열하고, 또한 고속으로 연소실에 연소용 공기를 불어넣으며, 또한 그 연소용 공기중에 연료를 넣어서 연소를 행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에서는, 연소실을 대형화하지 않고, 반응관 열이 배치되는 로 내의 온도장의 온도차를 될 수 있는 한 작게 할 수 있다.
고온 공기연소 기술을 이용하면, 반응로 내의 온도차를 될 수 있는 한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반응관의 개수나 반응관 열이 많아지면, 반응관 그 자체가 열전달의 저항으로 된다. 그 때문에 복수의 반응관 사이의 공간의 온도와, 이들 공간 의 외측 공간의 온도의 차가 커지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러한 온도차는, 반응관의 균열의 발생 원인이나, 코킹의 발생 원인이 된다. 그 때문에, 이러한 온도차를 작게 할 필요가 있다. 또 반응관에 대한 열전달이 벽 복사에 의한 벽 지배로 되기 때문에, 반응관 자체가 자신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다른 반응관에 대하여 열전달의 배후로 된다. 그 때문에 각 반응관의 가열에 균일성을 떨어뜨리게 되고, 반응관 전체로 보았을 때의 열수용량(열전달효율)이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응관에 균열이나 코킹을 발생시킬 일없이, 반응로 내의 온도차를 작게 할 수 있는 고온 공기연소 기술을 이용한 반응로의 연소 제어방법 및 반응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에 더해서, 복수의 반응관 각각의 원주방향의 관벽 온도분포에 큰 불균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반응로의 연소 제어방법 및 반응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에 더해서, 열효율을 낮추지 않고, 또한 CO농도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반응로의 연소 제어방법 및 반응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목적에 더해서, 종래보다 열수용량(열전달효율)을 크게 할 수 있는 반응로의 연소 제어방법 및 반응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고온 공기연소 기술을 적용하는 반응로는, 내부에 로 벽에 의해 둘러싸여진 연소실을 갖는 로 본체를 갖는다. 이 로 본체의 내부에는, 로 벽의 대향하는 한쌍 의 벽부 사이에 설치되어 서로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병설된 복수의 반응관이 있다. 또 반응로는, 복수의 반응관의 외측에 배치되고 또한 로 본체의 로 벽에 설치되어 연소실 내에서 연료를 연소하는 복수의 제1버너를 구비하고 있다. 또 반응로는, 연소실 내의 배기가스를 통기성을 갖는 축열수단을 통해서 로 밖으로 배출하고, 축열수단의 현열(顯熱)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한 연소용 공기를 연소실 내에 공급하는 열교환형 연소용 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반응관은 로 본체 내의 연소실을 둘러싸는 로 벽의 대향하는 한쌍의 로 벽 사이(예를 들면 저벽과 천정벽 사이)에 직접 또는 지지구조를 개재해서 부착되어 있다. 또 복수의 제1버너는, 로 벽의 저벽, 천정벽, 측벽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된다. 연소용 공기는, 일반적으로 축열체의 현열에 의해 800℃이상의 고온으로 가열된다. 제1버너와 제1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가 조합되어 1대의 고온 공기연소형 축열식 버너를 구성해도 좋다. 고온 공기연소형 축열식 버너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11-223335호 공보 및 일본 특허공개2000-39138호 공보 등에 나타내어져 있는 주지의 연속 연소식 축열버너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종류의 연속 연소식 축열버너 시스템에서는, 1대의 버너 내부에 분할된 축열체를 갖고, 일부의 축열체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고, 동시에 다른 부분의 축열체는 연소가스를 흡인해서 축열을 행한다. 공기공급 및 연소가스 배출의 유로는 일정 주기로 전환되고, 1대의 버너 시스템 내부에서 축열/방열이 반복된다. 고온 공기의 토출구는 전환과 함께 둘레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연료는 1개의 버너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 고온 공기연소형 축열식 버너는, 소위 교번식 축열버너를 사용해서 구성할 수도 있다. 교번식 축열버너는, 1개의 축열체 전체에 연소용 공기와 배기가스를 교대로 흘려서, 연소용 공기를 축열체의 현열에 의해 가열하는 것이다. 교번식 축열버너에는, 크게 구별해서 버너의 연소를 연속하는 연속 연소타입과, 버너의 연소를 단속하는 단속 연소타입이 있다. 연속 연소타입의 것은,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5-256423호 공보나 일본 특허공개 평6-11121호 공보에 나타내어져 있다. 또 단속 연소타입의 일례는, 일본 특허공개 평1-222102호 공보에 나타내어져 있다.
특히 본 발명이 제어의 대상으로 삼는 반응로는, 복수의 반응관의 인접하는 2개이상의 반응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반응관 관축방향을 향해서 연료를 분사하는 1개이상의 제2버너를 구비하고 있다. 1개이상의 제2버너는, 복수의 반응관이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벽부에 있어서의 한쌍의 고정영역 중 적어도 한쪽에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과 같이, 복수의 반응관 집합체의 내부에 1개이상의 제2버너를 배치하면, 외측에 위치하는 반응관의 배후에 위치하는 내측의 반응관에 대해서도 제2버너로부터의 열을 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복수의 반응관 집합체의 내부에 있어서의 온도장을 컨트롤 할 수 있고, 반응로 내의 온도차를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제2버너의 연소를 연소개시 당초부터 적극적으로 행하면, 연소개시 당초에 제2버너로부터의 열이 온도장 내에 큰 온도차를 발생시키거나, 국부과열을 발생시킨다. 또 연소로 내의 온도가 고온 공기연소상태에 도달한 후에는, 복수의 제1버너로부터의 열이 온도장 내에 온도차를 발생시킨다. 그래서 본 발명의 연소 제어방법에서는, 원칙적으로, 연소실 내가 고온 공기연소상태로 될 때까지는 복수 의 제1버너만을 연소시켜서 반응로 내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반응로 내가 고온 공기연소상태로 된 후에, 1개이상의 제2버너의 연소를 개시하고, 이후 1개이상의 제2버너의 연소량의 증가에 따라 복수의 제1버너의 연소량을 감소시켜서 필요한 연소상태를 얻는다. 또 반응로 내가 고온 공기연소상태로 될 때까지의 동안, 영향이 없을 정도로 제2버너를 연소시켜도 좋다. 그 경우에는, 주로 복수의 제1버너를 연소시켜서 반응로 내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반응로 내가 고온 공기연소상태로 된 후에, 1개이상의 제2버너의 연소량을 증대시켜, 이후 1개이상의 제2버너의 연소량의 증가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버너의 연소량을 감소시켜서 필요한 연소상태를 얻으면 된다.
복수의 제1버너와 1개이상의 제2버너를 사용할 경우에, 본 발명의 연소 제어방법을 채용하면, 반응관에 균열을 발생시키거나, 코킹을 발생시킬 정도로 연소개시시에 있어서 반응로 내의 온도장의 온도차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반응로 내가 고온 공기연소상태로 된 후에는, 1개이상의 제2버너의 연소량의 증가에 따라 복수의 제1버너의 연소량을 감소시켜서 필요한 연소상태를 얻는 것에 의해, 반응로 내의 온도장의 온도차가 반응관에 균열을 발생시키거나, 코킹을 발생시키는 정도로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요한 연소상태가 얻어진 이후는, 필요한 연소상태가 얻어졌을 때의 복수의 제1버너의 연소량과 1개이상의 제2버너의 연소량의 연소비율을 유지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온도차가 적은 안정된 온도장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제1버너의 연소량과 1개이상의 제2버너의 연소량의 연소비율은, 80:20∼0:1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80:20의 연소비율에서는, 제1버너와 제2버너의 배치를 가능한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했을 경우라도, 각 반응관 열수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80:20∼50:50의 연소비율에서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열수용량을 증대할 수 있다.
또 복수의 제1버너의 연소량과 1개이상의 제2버너의 연소량의 연소비율을, 50:50∼0:100의 범위로 하면, 복수의 반응관 각각의 원주방향의 관벽 온도분포가 극단적으로 불균일한 상태로 되지 않는 연소상태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최종적으로 연소비율을 0:100으로 했을 경우에는, 복수의 반응관 각각의 원주방향의 관벽 온도부분의 불균일을 가장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NOx, CO의 발생량을 가장 저감할 수 있다. 또 이들 경우에 있어서, 배기가스중의 산소농도의 평균치가, 3.5∼6%의 범위로 되도록 열교환형 연소용 공기공급장치로부터 연소실 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정하면, 온도차를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현시점에서 알고 있는 범위에서는, 고온 공기연소상태로 된 후에, 최종적으로 연소비율을 0:100으로 해서 산소농도를 6%로 하는 것이 최선의 운전모드이다.
본 발명의 반응로는, 복수의 제1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와 1개이상의 제2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를 갖고 있다. 복수의 제1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는, 연소실 내의 배기가스를 통기성을 갖는 1개이상의 축열체를 통해서 로 밖으로 배출하고, 1개이상의 축열체의 현열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한 연소용 공기를 복수의 제1버너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1개이상의 제2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는, 연소실 내의 배기가스를 통기성을 갖는 1개이상의 축 열체를 통해서 로 밖으로 배출하고, 1개이상의 축열체의 현열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한 연소용 공기를 상기 1개이상의 제2버너에 공급한다. 또한 연소실은 1개이므로, 복수의 제1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공기의 일부가 제2버너에 있어서의 연소에도 당연히 사용되고, 제2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공기의 일부가 제1버너에 있어서의 연소에도 사용된다. 그리고 상술의 배기가스중의 산소농도의 평균치가 3.5∼6%의 범위로 되도록 하기 위해서, 제1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 및/또는 제2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로부터 연소실 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정하게 된다.
복수의 제1버너 및 제2버너의 배치는 여러가지 고려되지만, 특히 복수의 제1버너를 한쌍의 벽부의 한쪽에 고정하고, 복수의 제2버너를 한쌍의 벽부의 다른쪽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제1버너에 대한 연소용 공기 및 제1버너로부터의 열의 일부가 제2버너의 근방에 근접하기 때문에, 제2버너의 근방에 위치하는 복수의 반응관의 가열을 돕게 된다. 단 제2버너를 한쪽의 벽부에 배치했을 경우라도, 각 반응관을 국부과열하지 않고, 각 반응관의 열수용량을 크게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2버너로서는, 최고 가스온도가 500℃이상이 되는 부분연소 화염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버너와 제1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를 조합시켜서 1대의 고온 공기연소형 축열버너를 구성하고, 제2버너와 제2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를 조합시켜서 1대의 고온 공기연소형 축열버너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연소제어를 가장 효율 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 반응관 열의 내부에는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을 경우가 많으므로, 제2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는, 복수의 반응관의 외측에서 1개이상의 제2버너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관의 길이가 짧을 경우에는, 제1버너를 위한 연소용 공기공급장치를, 제2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로서 겸용할 수도 있다.
또 복수의 반응관을, 인접하는 다른 반응관과의 거리가 같아지도록 배치하고, 복수의 제2버너를, 인접하는 복수의 반응관과의 사이의 거리가 같아지도록 배치하면, 복수의 반응관 내부의 온도장을 대략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할 경우에, 복수의 제1버너만으로 복수의 반응관을 가열했을 때의 복수의 반응관의 열수용량(열전달효율)을 1이라고 했을 때에, 복수의 반응관의 열수용량이 1보다 커지도록, 복수의 제1버너와 1개이상의 제2버너의 위치관계와, 복수의 제1버너와 1개이상의 제2버너의 연소비율을 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종래보다 열수용량(열전달효율)을 크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열전달효율이란, (제2버너를 연소시켰을 경우의 복수의 반응관 열수용량/복수의 제1버너만으로 복수의 반응관을 가열했을 때의 복수의 반응관의 열수용량)으로 정의된다.
또한 1개이상의 제2버너용 연소용 공기공급장치가, 복수의 반응관의 외측에서 1개이상의 제2버너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도록 배치되어 있을 경우, 제2버너용 연소용 공기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량을, 제2버너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유량에 대한 이론 연료공기량의 30%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연소 효율이 높은 양호한 연소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시험용의 반응로에 적용한 제1실시형태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에 있어서, 고온 공기연소상태로 된 후에, 제1버너의 연소량과 제2버너의 연소량의 연소비율을 0%∼100%까지 변화시켰을 때에 각 반응관 각각의 원주방향의 관벽 온도분포중의 최고 온도차의 평균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제2버너를 로 본체의 저벽(로 바닥)에 설치했을 경우와, 후술하는 다른 실시형태와 같이 제2버너를 로 본체의 상벽(로 천정)에 설치했을 경우의 제2버너의 사용비율과 배기가스중의 NOx의 배출값의 관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고온 공기연소상태로 된 후에, 제1버너의 연소량과 제2버너의 연소량의 연소비율을 0:100으로 했을 때에, 연소실에 공급하는 공기비(잔존 산소농도)를 변화시켰을 때에 있어서의 배기가스중의 NOx와 CO의 양의 변화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고온 공기연소상태로 된 후에, 제1버너의 연소량과 제2버너의 연소량의 연소비율을 40:60으로 했을 때에, 연소실 내의 잔존 산소농도를 변화시켰을 때에 있어서의 각 반응관 각각의 원주방향의 관벽 온도분포중의 최고 온도차의 평균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2버너의 출구부분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확대단면도이 다.
도 7은, 제2버너의 다른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을 시험용의 반응로에 적용한 제2실시형태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을 시험용의 반응로에 적용한 제3실시형태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을 시험용의 반응로에 적용한 제4실시형태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을 시험용의 반응로에 적용한 제5실시형태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을 시험용의 반응로에 적용한 제6실시형태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을 시험용의 반응로에 적용한 제7실시형태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을 시험용의 반응로에 적용한 제8실시형태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을 시험용의 반응로에 적용한 제9실시형태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시험용의 개질용 반응로에 적용한 실시형태의 일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로 나타낸 것은, 내부에 연소실(2)을 갖는 로 본체이다. 로 본체(1)는 한쌍의 벽부를 구성하는 저벽(로 바닥)(1a) 및 상벽(로 천정)(1b)과, 폭방향(도 1의 지면에서 본 전후방향)에 위치하는 한쌍의 벽부를 구성하는 측벽(1c 및 1d)과, 횡방향(도 1의 지면에서 본 좌우방향)의 한쌍의 벽부를 구성하는 측벽(1e 및 1f)을 구비하고 있다.
로 본체(1)의 저벽(로 바닥)(1a)은, 실제로는 도시하지 않은 지지구조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로 본체(1)의 상벽(로 천정)(1b)에는, 각각 고온 공기연소형 축열식 버너를 구성하는 4대의 연속 연소식 축열버너(3∼6)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로 본체(1)의 저벽(1a)과 상벽(1b)을 관통하도록, 복수개의 반응관(7…)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연속 연소식 축열버너(3∼6)는, 로 본체(1)의 로 벽에 설치되어 있다. 연속 연소식 축열버너(3∼6)는, 연소실(2) 내에 있어서 연료를 연소하는 제1버너(3a∼6a)와, 제1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3b∼6b)가 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제1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3b∼6b)는, 통기성을 갖는 1개이상의 축열체(도시 생략)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제1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3b∼6b)는, 연소실(2) 내의 배기가스를 통기성을 갖는 1개이상의 축열체(도시 생략)를 통해서 로 밖으로 배출하고, 1개이상의 축열체의 현열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한 연소용 공기를 복수의 제1버너(3a∼6a)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속 연소식 축열버너의 구조는, 일본 특허공개 평11-223335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2000-39138호 공보 등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연소용 공기의 가열온도는, 제1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3b∼6b) 내의 축열체의 전환속도(또는 회전속도), 축열체의 통기성, 축열체의 길이 등의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이 예에서는 연소용 공기의 온도가 800℃이상으로 되도록 이들의 요소가 결정되어 있다. 물론 이러한 고온에 견딜수 있도록 각 부의 재료도 선택되어 있다. 그리고 제1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3b∼6b)의 후방에는, 덕트 구조체가 설치되어 있다. 덕트 구조체는,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도시하지 않은 공기덕트와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가스 덕트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덕트 구조체의 후방에는, 연소용 공기를 공기덕트에 보내주는 압입 송풍기와 배기가스를 배기가스 덕트로부터 인출하는 유인 송풍기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4대의 연속 연소식 축열버너(3∼6)를 사용할 경우, 각 연속 연소식 축열버너를 위한 덕트 구조체는, 4대의 덕트 구조체를 집합시켜서 구성한 집합구조를 갖고 있다. 즉 집합구조의 덕트 구조체는, 4대의 덕트 구조체에 대하여 예를 들면 1대의 압입 송풍기와 유인 송풍기를 준비하고, 이들을 사용해서 연소용 공기의 공급과 배기가스의 배기를 행한다. 이 예에서는, 2대의 연속 연소식 축열버너(3 및 4)를 복수의 반응관(7)의 군의 한쪽에, 반응관(7)의 관축방향을 따라 연료를 분사하도록 배치한다. 또 2대의 연속 연소식 축열버너(5 및 6)를, 복수의 반응관(7)의 군의 반대측의 한쪽에 반응관(7)의 관축방향을 따라 연료를 분사하도록 배치한다. 도 1에 있어서는, 연속 연소식 축열버너(3∼6)로부터 나온 연소용 공기의 흐름을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7개의 반응관(7)은, 육각형의 각 정점과 육각형의 중심에 각각 반응관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7개의 반응관(7)의 인접하는 반응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향해서 제2버너(8)가 배치되어 있다.
7개의 반응관(7) 중의 인접하는 2개이상의 반응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반응관(7)의 관축방향을 향해서 연료를 분사하도록, 4개의 제2버너(8)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제2버너(8)는 복수의 반응관(7)이 설치되어 있는 저벽(1a)의 고정 영역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 로 본체(1)의 측벽(1c)에는,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대의 제2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10 및 11)가 배치되어 있다. 이 2대의 제2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10 및 11)는, 상술의 연속 연소식 축열버너(3∼6)의 버너를 제외한 부분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2대의 제2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10 및 11)는, 축열체와 회전기구와 송풍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대의 제2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10 및 11)는, 연소실(2) 내의 배기가스를 통기성을 갖는 축열체를 통해서 로 밖으로 배출하고, 축열체의 현열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한 연소용 공기를 대응하는 제2버너(8)에 공급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여기서 제2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10 및 11)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량은, 제2버너(8)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유량에 대한 이론 연료공기량의 50%미만으로 한다. 그리고 공기량은, 바람직하게는 30%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20%로 하는 것이 좋다.
이 구조에서는, 복수의 반응관(7)은 각 버너로부터 나오는 고온 연소가스의 복사열과 로 벽으로부터의 복사열로 가열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소실(2)의 내부의 온도가 800℃이상이 되도록 고온 공기연소를 행하면, 연소실(2) 내의 온도를 높게 해도, 연소실(2) 내의 반응관(7)이 배치되는 온도장의 온도차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연소개시 당초부터 제2버너(8)의 연소를 적극적으로 행하면, 연소개시 당초에 제2버너(8)로부터의 열이 온도장 내에 큰 온도차를 발생시키거나, 국부과열을 발생시키는 것을 발명자의 연구에 의해 알 수 있다. 또 로 본체(1) 내가, 고온 공기연소상태에 도달한 후에, 복수의 제1버너(3a∼6a)로부터의 열만으로는 온도장 내에 온도차가 생긴다. 그래서 본 발명의 연소 제어방법에서는, 원칙적으로 로 본체(1) 내가 고온 공기연소상태로 될 때까지는 복수의 제1버너(3a∼6a)만을 연소시켜서 로 본체(1) 내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또 로 본체(1) 내가 고온 공기연소상태로 될 때까지의 동안, 영향이 없을 정도로 제2버너(8)를 연소시켜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국부과열이 발생하지 않는 또는 코킹이 발생하지 않는 정도로 제2버너(8)를 연소시켜 두어도 좋다. 또한 그 경우에 있어서도, 고온 공기연소상태로 될 때까지는, 주로 복수의 제1버너(3a∼6a)를 연소시켜서 로 본체(1) 내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덧붙이자면 고온 공기연소상태란,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 본체(1) 내가 800℃이상으로 된 상태로 정의된다.
로 본체(1) 내가 고온 공기연소상태로 된 후는, 제2버너(8)의 연소를 개시하거나, 또는 제2버너(8)의 연소량의 증가를 개시한다. 그리고 이후 제2버너(8)의 연소량의 증가에 따라 복수의 제1버너(3a∼6a)의 연소량을 감소시켜서 필요한 연소상 태를 얻는다. 그리고 필요한 연소상태가 얻어진 이후는, 필요한 연소상태가 얻어졌을 때의 복수의 제1버너(3a∼6a)의 연소량과 제2버너(8)의 연소량의 연소비율을 유지한다.
필요한 연소상태는, 목표로 하는 운전상태에 의해서 변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반응관(7) 각각의 원주방향의 관벽 온도분포가 극단적으로 불균일한 상태로 되지 않는 연소상태를 얻기 위해서는, 복수의 제1버너(3a∼6a)의 연소량과 제2버너(8)의 연소량의 연소비율을, 50:50∼0:10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배기가스중의 산소농도의 평균치는, 3.5∼6%의 범위로 되도록 열교환형 연소용 공기공급장치를 구성하는 제1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3b∼6b) 및 2대의 제2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10 및 11)로부터 연소실(2) 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의 구성에 있어서, 고온 공기연소상태로 된 후에, 제1버너(3a∼6a)의 연소량과 제2버너(8)의 연소량의 연소비율을 0%∼100%까지 변화시켰을 때에 각 반응관(7)의 각각의 원주방향의 관벽 온도분포중의 최고 온도차의 평균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온 공기연소상태로 된 후에 있어서는, 제1버너(3a∼6a)의 연소량을 0%를 향해서 감소시키고, 제2버너(8)의 연소량을 100%를 향해서 증가시키면, 관벽 온도분포중의 온도차는 작아진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제2버너(8)를 로 본체(1)의 저벽(로 바닥)(1a)에 설치했을 경우(A)와, 후술하는 다른 실시형태와 같이 제2버너를 로 본체(1) 상 벽(로 천정)(1b)에 설치했을 경우(B)의 제2버너의 사용비율과 배기가스중의 NOx의 배출값의 관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측정결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온 공기연소상태로 된 후에 있어서는, 제1버너(3a∼6a)의 연소량을 0%를 향해서 감소시키고, 제2버너(8)의 연소량을 100%를 향해서 증가시키면, 제2버너의 설치장소의 여하에 관계 없이, NOx를 저감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는, 고온 공기연소상태로 된 후에, 제1버너(3a∼6a)의 연소량과 제2버너(8)의 연소량의 연소비율을 0:100으로 했을 때에, 연소실(2)에 공급하는 공기비(잔존 산소농도)를 변화시켰을 때에 있어서의 배기가스중의 NOx와 CO의 양의 변화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로부터는, 공기비를 증가시키면(산소 잔류농도를 증가시키면) CO는 점차 저감되지만, NOx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 5는, 고온 공기연소상태로 된 후에, 제1버너(3a∼6a)의 연소량과 제2버너(8)의 연소량의 연소비율을 40:60으로 했을 때에, 연소실(2) 내의 잔존 산소농도를 변화시켰을 때에 있어서의 각 반응관(7) 각각의 원주방향의 관벽 온도분포중의 최고 온도차의 평균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이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온 공기연소상태로 된 후에 있어서는, 연소실(2) 내의 산소농도를 증가시킬수록 관벽 온도차는 작아진다. 그러나 도 4에 나타내어지는 NOx의 증가 경향과 CO의 증가 경향을 고려하면, 바람직한 산소 잔류농도는 3∼6%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최종적으로 연소비율을 0:100으로 해서 산소농도를 6%로 하는 것이 최선의 운전모드라고 생각한다.
고온 공기연소상태로 된 후에, 온도장중의 온도차를 그다지 크게 하지 않고, 열수용량 또는 열전달효율을 가능한 한 크게 하기 위해서는, 제1버너(3a∼6a)의 연소량을 제2버너의 연소량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4대의 연속 연소식 축열버너(제1버너)(3∼6)만으로 7개의 반응관(7)을 가열했을 때의 7개의 반응관 열수용량을 1이라고 했을 때에, 7개의 반응관(7…)의 열수용량이 1보다 커지도록, 연속 연소식 축열버너(제1버너)(3∼6)와 8개의 제2버너(8…및 9…)의 위치관계와, 4대의 연속 연소식 축열버너(제1버너)(3∼6)와 8개의 제2버너(8…및 9…)의 연소비율을 정하고 있다. 후에 효과를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연속 연소식 축열버너(제1버너)(3∼6)와 8개의 제2버너(8…및 9…)의 연소비율을, 80:20으로 하고 있다.
덧붙이자면 80:20의 연소비율에서는, 제1버너(3a∼6a)와 제2버너(8)의 배치를 가능한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했을 경우라도, 각 반응관의 열수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80:20∼50:50의 연소비율에서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열수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복수의 제1버너(3a∼6a) 및 제2버너(8)의 배치는 여러가지 고려되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복수의 제1버너(3a∼6a)를 저벽(로 바닥)(1a)에 고정하고, 복수의 제2버너(8)를 상벽(로 천정)(1b)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제1버너(3a∼6a)에 대한 연소용 공기 및 제1버너(3a∼6a)로부터의 열의 일부가 제2버너(8)의 근방에 근접하기 때문에, 제2버너(8)의 근방에 위치하는 복수의 반응관(7)의 가열을 도움으로써, 제2버너를 한쪽의 벽부에 배치했을 경우에도, 각 반응관 을 국부 과열할 일없이, 각 반응관의 열수용량을 크게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제2버너(8)로서는, 최고 가스온도가 500℃이상으로 되는 부분연소 화염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6에 개념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버너(8)를 로 벽(1x)의 벽면보다 소정의 거리 내리고, 제2버너(8)의 전방에 연료와 공기의 혼합실(12)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부분연소 화염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제2버너(8)의 배치는 균등 배치일 필요는 없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버너를 배치해도 좋다.
또 도 8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버너의 배치는 임의이다. 또한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버너와 제2버너의 배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에는, 도 1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부재와 같은 부재에는, 도 1에 부여한 부호와 같은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반응로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7개의 반응관(7…)의 인접하는 2개이상의 반응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반응관(7)이 연장되는 방향을 향해서 연료를 분사하도록, 4개의 제2버너(8)가 저벽(1a)의 고정영역에 고정되고, 4개의 제2버너(9)가 상벽(1b)의 고정영역에 고정되어 있다. 또 로 본체(1)의 측벽(1c)에는,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어서 2대의 제2버너용 연소용 공기공급장치(10 및 11)가 배치되어 있다. 이 2대의 제2버너용 연소용 공기공급장치(10 및 11)는, 상술의 연속 연소식 축열버너(3∼6)에서 버너를 제외한 부분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2대의 제2버너용 연소용 공기공급장치(10 및 11)는, 축열체와 회전기구와 송풍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대의 제2버너용 연소용 공기공급장치(10 및 11)는, 연소실(2) 내의 배기가스를 통기성을 갖는 축열체를 통해서 로 밖으로 배출하고, 축열체의 현열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한 연소용 공기를 대응하는 제2버너(8 또는 9)에 공급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여기서 제2버너용 연소용 공기공급장치(10 및 11)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량은, 제2버너(8 및 9)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유량에 대한 이론 연료공기량의 30%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반응로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상벽(1b)측에만 4개의 제2버너(9)를 배치하고 있는 점에서, 도 8의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반응로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저벽(1a)측에만 4개의 제2버너(8)를 배치하고 있는 점에서, 도 8의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반응로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로 본체(1)의 저벽(1a)측에만 4개의 제2버너(8)를 배치하고 있는 점과, 4대의 연속 연소식 축열버너(3∼6)를 로 본체(1)의 상벽(1b)에 고정하고 있는 점에서 도 8에 나타낸 실시형태와는 다르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는, 도 8에 나타낸 2대의 제2버너용 연소용 공기공급장치(10 및 11)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1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대의 연속 연소식 축열버너(3 및 4)를 반응관(7)의 군의 한쪽에 반응관(7)을 따라 연료를 분사하도록 배치하고, 2대의 연속 연소식 축열버너(5 및 6)를 반응관(7)의 군의 반대측의 한쪽에 반응관(7)을 따라 연료를 분사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반응로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로 본체(1)의 상벽(1b)측에만 4개의 제2버너(9)를 배치하고 있는 점과, 4대의 연속 연소식 축열버너(3∼6)를 로 본체(1)의 저벽(1a)에 고정하고 있는 점에서 도 8에 나타낸 실시형태와는 다르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도 도 11과 마찬가지로, 도 8에 나타낸 2대의 제2버너용 연소용 공기공급장치(10 및 11)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1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대의 연속 연소식 축열버너(3 및 4)를 반응관(7)의 군의 한쪽에 반응관(7)을 따라 연료를 분사하도록 배치하고, 2대의 연속 연소식 축열버너(5 및 6)를 반응관(7)의 군의 반대측의 한쪽에 반응관(7)을 따라 연료를 분사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하기의 표는, 도 8 내지 도 12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대해서, 연속 연소식 축열버너(3∼6)와 제2버너(8 또는 9)의 연소비율을 바꾸었을 경우의 각 반응관(7)의 열수용량 또는 열전달효율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의 경우 도 8 도 9 도 10 도 11 도 12
연소비율 열전달효율
100%:0% 0.83 0.83 0.83 0.98 1.00
80%:20% 1.09 0.90 0.92 1.03 1.05
50%:50% 0.90 0.84 0.92 0.93 0.93
20%:80% 0.87 0.80 0.93 0.92 0.93
상기의 결과는, 도 12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버너(9)를 이용하지 않고 연속 연소식 축열버너(3∼6)만으로 가열을 행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전체 반응관(7…)의 열수용량을 편의적으로 1로 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각 연소비율에 있어서의 도 8 내지 도 12의 실시형태의 전체 반응관(7)의 열수용량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표 1중의 숫자는 열전달효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연소비율의 란에는, 「연속 연소식 축열버너(제1버너)(3∼6):제2버너(8, 9)」의 연소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표에서는, 도 8, 도 11 및 도 1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소비율을 80:20으로 하면, 연소효율이 1개이상으로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소비율「100%:0%」의 열수용량을 각각 1로 하면, 연소비율을 80:20으로 했을 때에, 도 8 내지 도 1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소효율은 1이상의 최대치가 된다. 따라서 어느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연소비율을 80:2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 내지 도 15는,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속 연소식 축열버너(3∼6)와 제2버너(8, 9)의 위치관계가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연소비율을 80:20으로 하면 연소효율을 최대로 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2버너와 제2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를 별개로 설치하고 있지만, 이들을 하나의 버너 시스템으로 한 연속 연소식 축열버너를 사용하고, 제2버너와 제2버너용 연소용 공기공급장치를 집중 배치하도록 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고온 공기연소형 축열식 연소버너로서 연속 연소식 축열버너를 사용했지만, 회전식 축열버너 및 교번식 축열버너 등의 그 밖의 형 식의 고온 공기연소형 축열식 연소버너를 사용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소개시시에 있어서 반응로 내의 온도장의 온도차가, 반응관에 균열을 발생시키거나, 코킹을 발생시킬 정도로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반응로 내가 고온 공기연소상태로 된 후에는, 1개이상의 제2버너의 연소량의 증가에 따라 복수의 제1버너의 연소량을 감소시켜서 필요한 연소상태를 얻는 것에 의해, 반응로 내의 온도장의 온도차가 반응관에 균열을 발생시키거나, 코킹을 발생시킬 정도로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4)

  1. 로 벽에 의해 둘러싸인 연소실을 내부에 갖는 로 본체;
    상기 로 본체의 상기 로 벽의 대향하는 한쌍의 벽부 사이에 설치되어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병설된 복수의 반응관;
    상기 복수의 반응관이 설치된 로 벽 및 상기 복수의 반응관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로 벽 중 하나 이상의 로 벽 내에서 상기 복수의 반응관의 외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로 본체의 상기 로 벽에 설치되어 상기 연소실 내에서 연료를 연소하는 복수의 제1버너;
    상기 복수의 반응관의 인접하는 2개이상의 상기 반응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반응관 관축방향을 향해서 연료를 분사하도록, 상기 한쌍의 벽부의 상기 복수의 반응관이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고정영역 중 적어도 한쪽에 고정된 1개이상의 제2버너; 및
    상기 연소실 내의 배기가스를 통기성을 갖는 축열수단을 통해서 로 밖으로 배출하고 또한 상기 축열수단의 현열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한 연소용 공기를 상기 연소실 내에 공급하는 열교환형 연소용 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한 반응로의 연소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연소실 내가 고온 공기연소상태로 될 때까지는 상기 복수의 제1버너만을 연소시켜서 상기 연소실 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공정;
    상기 연소실 내가 고온 공기연소상태로 된 후에, 상기 1개이상의 제2버너의 연소를 개시하는 공정; 및
    이후 상기 1개이상의 제2버너의 연소량의 증가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버너의 연소량을 감소시켜서 필요한 연소상태를 얻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로의 연소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요한 연소상태가 얻어진 이후는, 상기 필요한 연소상태가 얻어졌을 때의 상기 복수의 제1버너의 연소량과 상기 1개이상의 제2버너의 연소량의 연소비율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로의 연소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버너의 연소량과 상기 1개이상의 제2버너의 연소량의 연소비율이, 80:20∼0:10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로의 연소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응관 각각의 원주방향의 관벽 온도분포가 불균일한 상태로 되지 않는 상기 연소상태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로의 연소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버너의 연소량과 상기 1개이상의 제2버너의 연소량의 연소비율이, 50:50∼0:10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로의 연소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중의 산소농도의 평균치가 3.5∼6%의 범위로 되도록 상기 열교환형 연소용 공기공급장치로부터 상기 연소실 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로의 연소 제어방법.
  7. 로 벽에 의해 둘러싸인 연소실을 내부에 갖는 로 본체;
    상기 로 본체의 로 벽의 대향하는 한쌍의 벽부 사이에 설치되어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병설된 복수의 반응관;
    상기 복수의 반응관의 외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로 본체의 로 벽에 설치되어서 상기 연소실 내에서 연료를 연소하는 복수의 제1버너;
    상기 복수의 반응관의 인접하는 2개이상의 상기 반응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반응관 관축방향을 향해서 연료를 분사하도록, 상기 한쌍의 벽부의 상기 복수의 반응관이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고정영역 중 적어도 한쪽에 고정된 1개이상의 제2버너; 및
    상기 연소실 내의 배기가스를 통기성을 갖는 축열수단을 통해서 로 밖으로 배출하고 또한 상기 축열수단의 현열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한 연소용 공기를 상기 연소실 내에 공급하는 열교환형 연소용 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한 반응로의 연소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연소실 내가 고온 공기연소상태로 될 때까지는 주로 상기 복수의 제1버너를 연소시켜서 상기 연소실 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공정;
    상기 연소실 내가 고온 공기연소상태로 된 후에, 상기 1개이상의 제2버너의 연소량을 증대시키는 공정; 및
    이후 상기 1개이상의 제2버너의 연소량의 증가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버너의 연소량을 감소시켜서 필요한 연소상태를 얻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로의 연소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요한 연소상태가 얻어진 이후는, 상기 필요한 연소상태가 얻어졌을 때의 상기 복수의 제1버너의 연소량과 상기 1개이상의 제2버너의 연소량의 연소비율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로의 연소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버너의 연소량과 상기 1개이상의 제2버너의 연소량의 연소비율이, 80:20∼0:10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로의 연소 제어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응관 각각의 원주방향의 관벽 온도분포가 불균일한 상태로 되지 않는 상기 연소상태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로의 연소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버너의 연소량과 상기 1개이상의 제2버너의 연소량의 연소비율이, 50:50∼0:10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로의 연소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중의 산소농도의 평균치가, 3.5∼6%의 범위로 되도록 상기 열교환형 연소용 공기공급장치로부터 상기 연소실 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로의 연소 제어방법.
  13. 내부에 연소실을 갖는 로 본체;
    상기 로 본체의 로 벽의 대향하는 한쌍의 벽부 사이에 설치되어 서로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병설된 복수의 반응관;
    상기 로 본체의 로 벽에 설치되어서 상기 연소실 내에서 연료를 연소하는 복수의 제1버너;
    상기 복수의 반응관의 외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연소실 내의 배기가스를 통기성을 갖는 1개이상의 축열체를 통해서 로 밖으로 배출하며, 상기 1개이상의 축열체의 현열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한 연소용 공기를 상기 복수의 제1버너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1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
    상기 복수의 반응관의 인접하는 2개이상의 상기 반응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반응관 관축방향을 향해서 연료를 분사하도록, 상기 한쌍의 벽부의 상기 복수의 반응관이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고정영역 중 적어도 한쪽에 고정된 1개이상의 제2버너; 및
    상기 연소실 내의 배기가스를 통기성을 갖는 1개이상의 축열체를 통해서 로 밖으로 배출하고, 상기 1개이상의 축열체의 현열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한 연소용 공기를 상기 1개이상의 제2버너에 공급하는 1개이상의 제2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 공급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연소실 내가 고온 공기연소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복수의 제1버너의 연소량과 상기 1개이상의 제2버너의 연소량의 연소비율이, 50:50∼0:10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중의 산소농도의 평균치가, 3.5∼6%의 범위로 되도록 상기 제1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 및 제2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연소실 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버너가 상기 한쌍의 벽부의 한쪽에 고정되고, 복수의 상기 제2버너가 상기 한쌍의 벽부의 다른쪽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버너는, 최고 가스온도가 500℃이상으로 되는 부분연소 화염을 형성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버너와 상기 제1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가 조합되어 1대의 고온 공기연소형 축열버너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버너와 상기 제2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가 조합되어 1대의 고온 공기연소형 축열버너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로.
  18. 내부에 연소실을 갖는 로 본체;
    상기 로 본체의 로 벽에 설치되어 상기 연소실 내에서 연료를 연소하는 복수의 제1버너;
    상기 연소실 내의 배기가스를 통기성을 갖는 1개이상의 축열체를 통해서 로 밖으로 배출하고, 상기 1개이상의 축열체의 현열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한 연소용 공기를 상기 복수의 제1버너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1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 및
    상기 로 벽의 대향는 한쌍의 벽부 사이에 고정되어서 서로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병설된 복수의 반응관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반응관의 외측에 복수의 상기 제1버너가, 상기 반응관이 연장되는 방향 또는 상기 반응관이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료를 분사하도록 상기 로 벽에 고정되어 있는 반응로로서,
    상기 복수의 반응관의 인접하는 2개이상의 상기 반응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반응관이 연장되는 방향을 향해서 연료를 분사하도록, 상기 한쌍의 벽부의 상기 복수의 반응관이 고정되어 있는 한쌍의 고정영역 중 적어도 한쪽에 고정된 1개이상의 제2버너; 및
    상기 연소실 내의 배기가스를 통기성을 갖는 1개이상의 축열체를 통해서 로 밖으로 배출하고, 상기 1개이상의 축열체의 현열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한 연소용 공기를 상기 1개이상의 제2버너에 공급하는 1개이상의 제2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1버너만으로 상기 복수의 반응관을 가열했을 때의 상기 복수의 반응관의 열수용량을 1로 했을 때에, 상기 복수의 반응관의 열전달효율이 1보다 커지도록, 상기 복수의 제1버너와 상기 1개이상의 제2버너의 위치관계와, 상기 복수의 제1버너와 상기 1개이상의 제2버너의 연소비율을 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버너가 상기 한쌍의 벽부의 한쪽에 고정되고, 상기 1개이상의 제2버너가 상기 한쌍의 벽부의 다른쪽에 고정되며,
    상기 복수의 제1버너는 상기 복수의 반응관을 사이에 끼우는 위치관계가 되도록 분산되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벽부에 각각 상기 1개이상의 제2버너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로 벽의 상기 한쌍의 벽부와는 다른 그밖의 대향하는 한쌍의 벽부에 상기 복수의 제1버너가, 상기 복수의 반응관을 사이에 끼우는 위치관계가 되도록 분산되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로.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버너와 상기 1개이상의 제2버너의 연소비 율이 80: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로.
  22. 제18항에 있어서, 1개이상의 상기 제2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가, 상기 복수의 반응관의 외측에서 상기 1개이상의 제2버너에 상기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량은, 상기 제2버너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의 양에 대한 이론 연료공기량의 30%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응관은, 인접하는 다른 반응관과의 거리가 같아지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제2버너는, 인접하는 복수의 상기 반응관과의 사이의 거리가 같아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로.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버너와 상기 제1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가 조합되어 1대의 고온 공기연소형 축열버너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버너와 상기 제2버너용 연소용 부분 공기공급장치가 조합되어 1대의 고온 공기연소형 축열버너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로
KR1020047015320A 2002-03-29 2003-03-28 반응로의 연소 제어방법 및 반응로 KR1007512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95698A JP4050081B2 (ja) 2002-03-29 2002-03-29 反応炉
JPJP-P-2002-00095698 2002-03-29
JP2003047072A JP4156402B2 (ja) 2003-02-25 2003-02-25 反応炉の燃焼制御方法及び反応炉
JPJP-P-2003-00047072 2003-02-25
PCT/JP2003/004027 WO2003087667A1 (fr) 2002-03-29 2003-03-28 Procede de commande de reacteur de combustion et react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695A KR20040108695A (ko) 2004-12-24
KR100751270B1 true KR100751270B1 (ko) 2007-08-23

Family

ID=29253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5320A KR100751270B1 (ko) 2002-03-29 2003-03-28 반응로의 연소 제어방법 및 반응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951458B2 (ko)
EP (1) EP1503140A4 (ko)
KR (1) KR100751270B1 (ko)
CN (1) CN1308616C (ko)
AU (1) AU2003236300B2 (ko)
CA (1) CA2480102C (ko)
MY (1) MY134214A (ko)
RU (1) RU2315906C2 (ko)
TW (1) TWI270638B (ko)
WO (1) WO20030876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93624C (en) * 2007-06-20 2015-08-04 Chiyoda Corporation Reactor employing high-temperature air combustion technology
TWI564529B (zh) * 2011-01-31 2017-01-01 大阪瓦斯股份有限公司 爐加熱用燃燒裝置
ES2897922T3 (es) * 2015-06-30 2022-03-03 Uop Llc Bobina alternativa para calentador de proceso de ignición
FR3045783B1 (fr) * 2015-12-17 2019-08-16 Fives Stein Module de controle electronique et procede de controle du fonctionnement et de la securite d'au moins un bruleur a tube radia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9191A (ja) 1997-12-25 1999-07-06 Chiyoda Corp 触媒改質型反応炉
JP2001152166A (ja) 1999-11-25 2001-06-05 Chiyoda Corp 反応炉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002522A (nl) * 1990-11-19 1992-06-16 Dalhuisen Gasres Apeldoorn Gasbrandersysteem, gasbrander, en een werkwijze voor verbrandingsregeling.
JP3595360B2 (ja) 1993-12-28 2004-12-02 千代田化工建設株式会社 管式加熱炉の燃焼制御方法及び管式加熱炉
JPH07238288A (ja) * 1994-02-25 1995-09-12 Babcock Hitachi Kk 熱分解炉
JPH0938288A (ja) * 1995-08-01 1997-02-10 Shiikubeele:Kk 遊技機
JP3837196B2 (ja) * 1997-01-10 2006-10-25 三洋電機株式会社 高温再生器
JP4059527B2 (ja) * 1997-02-26 2008-03-12 肇 加藤 流体の加熱炉
JP4768091B2 (ja) * 1997-05-13 2011-09-07 ストーン アンド ウェブスター プロセス 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輻射加熱型チューブの入口側管体と出口側管体が加熱室の中で隣り合うように配置されている分解炉
US6065961A (en) * 1999-02-16 2000-05-23 Shaffer; Yul E. Low NOx bur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9191A (ja) 1997-12-25 1999-07-06 Chiyoda Corp 触媒改質型反応炉
JP2001152166A (ja) 1999-11-25 2001-06-05 Chiyoda Corp 反応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34214A (en) 2007-11-30
AU2003236300B2 (en) 2008-04-03
AU2003236300A1 (en) 2003-10-27
CA2480102A1 (en) 2003-10-23
CN1308616C (zh) 2007-04-04
RU2315906C2 (ru) 2008-01-27
TWI270638B (en) 2007-01-11
KR20040108695A (ko) 2004-12-24
EP1503140A1 (en) 2005-02-02
US20050191591A1 (en) 2005-09-01
EP1503140A4 (en) 2010-12-29
US6951458B2 (en) 2005-10-04
CA2480102C (en) 2009-02-10
CN1643303A (zh) 2005-07-20
TW200305705A (en) 2003-11-01
RU2004131828A (ru) 2005-05-27
WO2003087667A1 (fr) 200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39400B2 (en) Low emission combustion system
KR100221500B1 (ko) 연소장치
US5791299A (en) Small once-through boiler
TWI420062B (zh) 採用高溫空氣燃燒技術的反應器
KR100751270B1 (ko) 반응로의 연소 제어방법 및 반응로
JP4819276B2 (ja) 管式加熱炉
US4915621A (en) Gas burner with cooling pipes
JP4156402B2 (ja) 反応炉の燃焼制御方法及び反応炉
JP4445222B2 (ja) 反応炉の燃焼制御方法及び反応炉
CN110026133B (zh) 转化炉
JP4050081B2 (ja) 反応炉
JP3768749B2 (ja) 反応炉
JP3768750B2 (ja) 反応炉
JP4691349B2 (ja) 反応炉
CN219368366U (zh) 一种管式加热炉
JP3720905B2 (ja) 工業炉用燃焼装置
JPH05223201A (ja) 触媒燃焼式ボイラシステム
JPH0616263Y2 (ja) 触媒燃焼装置
CN116242143A (zh) 一种管式加热炉
CN117450510A (zh) 一种冷焰全预混燃烧装置及燃气采暖热水炉
JPH10176826A (ja) 蓄熱式バー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