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0142B1 - 가정용 장치들의 집단과 콘텐트를 동기화 시키기 위한 방법및 장치 - Google Patents

가정용 장치들의 집단과 콘텐트를 동기화 시키기 위한 방법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0142B1
KR100750142B1 KR1020050117264A KR20050117264A KR100750142B1 KR 100750142 B1 KR100750142 B1 KR 100750142B1 KR 1020050117264 A KR1020050117264 A KR 1020050117264A KR 20050117264 A KR20050117264 A KR 20050117264A KR 100750142 B1 KR100750142 B1 KR 100750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network
synchronization
directory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6613A (ko
Inventor
빅터 쥬
알란 메써
프라빈 쿠마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106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6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5Synchronising client clock from received content stream, e.g. locking decoder clock with encoder clock, extraction of the PCR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장치들로 구성된 네트워크 내의 동기 제어기인데, 네트워크 내에서 얻을 수 있는 콘텐트와 다른 장치상의 콘텐트 간에 콘텐트 동기화를 수행한다. 만약 동기 제어기가 홈 네트워크와 콘텐트 동기화를 하고자 하는 장치를 식별한 경우, 동기 제어기는 상기 장치의 콘텐트와 홈 네트워크 내에서 얻을 수 있는 콘텐트를 매치시키기 위한 시도를 한다. 만약 매치 되지 않을 경우, 콘텐트 관리 수단은 상기 장치로부터 홈 네트워크로, 또는 역으로, 콘텐트를 전송하기 위한 콘텐트 세션을 시작한다. 이 프로세스 동안 상기 장치는 자신이 어떤 홈 장치와 동기화되는지 또한, 콘텐트가 어떤 종류의 포맷으로 저장되는 지에 대해 알 필요가 없다.

Description

가정용 장치들의 집단과 콘텐트를 동기화 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Content with a Collection of Home Device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텐트 동기화 방법이 구현된 네트워크의 예시적인 높은 레벨의 블록도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콘텐트 동기화 시스템이 구현된 네트워크의 예시적인 높은 레벨의 블록도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예시적인 동기 제어기의 높은 레벨의 기능 블록도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예시적인 동기 제어기의 더 구체화된 기능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화된 장치들(networked devices)의 집단과의 콘텐트 동기화(content synchronization)에 관한 것이며, 특히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내의 항시 켜진(always-on) 장치들과 간헐적 연결(intermittently connected) 장치들 사이의 콘텐트 동기화에 관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 장치들처럼 콘텐트를 포함하는 장치들이 확산됨에 따라 네트워 크 상에서의 콘텐트 동기화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홈 네트워크는 전형적으로TV, DVD 플레이어, PC,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의 장치들을 포함한다.
홈 네트워크 상에서 콘텐트를 동기화하기 위한 종래의 접근들은 고정된 구성(fixed configuration)을 이용한 메커니즘이나 프레임워크(framework)을 포함한다. 그러한 고정된 구성은 전형적으로 단일 장치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들 사이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한 구성의 예로 “애플”사의 “iPod” 장치와 “iTunes” 어플리케이션이나 “Palm/PocketPC” 장치와 PC 데스크탑 생산성(productivity) 어플리케이션이 있다.
종래의 프레임워크들의 특징은 장치들과 어플리케이션 간 양방향(two-way) 동기화, 즉 어느 한 쪽에 발생한 변화는 동기 후 즉시 다른 쪽으로 반영되는 것이다. 동기화는 사용자의 명령이 있거나 어플리케이션-호스트(application-host) 시스템이 네트워트 상의 어떤 장치의 존재를 검출하거나 또는, 그 반대의 경우 자동적으로 개시된다.
그러나 위 종래의 접근 방식의 단점은 사용자들이 고정된 장치들과 이들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이에 구성(configurations)을 설정(set up) 해주어야 한다는 점이다. 결과적으로 장치들과 어플리케이션이 서로 타이트하게 결합된다(tightly coupled). 더 나아가 종래의 접근 방식은 동기화된 콘텐트가 목표 상대방의 (target counterparty)의 능력(capabilities)이나 한계(limitations)에 적응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보다 적응적이고 유연한 콘텐트 동기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장치들로 구성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콘텐트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한 동기화 방법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내의 장치들에서 얻을 수 있는 콘텐트의 디렉터리를 유지하는 단계;
콘텐트를 포함하는 다른 장치와 통신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디렉터리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내의 콘텐트의 메타데이터가 상기 다른 장치의 메타데이터와 매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만약 네트워크내의 콘텐트의 메타데이터가 상기 다른 장치의 콘텐트와 매치하지 않을 경우, 네트워크 내의 콘텐트와 상기 다른 장치를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장치들로 구성된 네트워크에서 콘텐트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 제어기로서,
상기 네트워크 내의 장치들에서 얻을 수 있는 콘텐트의 디렉터리;
콘텐트를 포함하는 다른 장치와 통신을 형성하는 통신 드라이버; 및
상기 디렉터리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내의 콘텐트가 상기 다른 장치의 콘텐트 와 매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만약 네트워크 내의 콘텐트가 상기 다른 장치의 콘텐트와 매치하지 않을 경우, 네트워크 내의 콘텐트와 상기 다른 장치를 동기화하는 콘텐트 관리 수단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 예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방법 및 장치는 사용자와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네트워크(10) 내의 장치들 사이에서 콘텐트 동기화(content synchronization)하기 위하여 채택해야 하는 단계들을 용이하게 해 준다. 본 발명은 장치들 및 어플리케이션들 사이의 동기화와 관련된 단순화된 셋업(set-up)과 단순화된 단계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 동기화가 지능적이고 유연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다른 예에서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내에 하나 이상의 동기 제어기(synchronization controller)를 포함하는데 각 동기 제어기는 매체 디렉터리(media directory)를 포함한다. 매체 디렉터리는 홈 네트워크 내의 다양한 장치들 상에서 얻을 수 있는(available) 모든 콘텐트들에 대한 테이블/디렉터리를 포함한다.
상기 디렉터리는 네트워크 내의 각 콘텐트에 대한 식별 정보(identification information)와 위치 정보(location information)를 포함한다. 이 식별 정보는 콘텐트 유닛(content unit)에 대한 고유한 식별 정보(예:콘텐트 명칭, 버전 번호, 생성일 등)를 포함한다. 위치 정보는 동기화할 콘텐트에 액세스(access)하기 위해 URI와 같은 고유한 식별자(identification)를 포함한다.
동기 제어기는 콘텐트 관리 수단(content manager)과 장치 통신용 드라이버(device communication driver)를 더 포함한다. 장치 통신용 드라이버는 홈 네트워크 내의 항시 켜진 장치(always-on device)와 간헐적 연결(intermittently connected) 장치 간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변환을 제공한다. 콘텐트 관리 수단은 매체 디렉터리와 장치 통신용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콘텐트 동기화를 수행한다.
다른 구현 예에서, 콘텐트 관리 수단이 홈 네트워크와 콘텐트 동기화하고자 하는 간헐적 연결 장치를 식별하고 동기화 프로세스를 시작하면, 콘텐트 관리 수단은 외부 장치의 콘텐트를 홈 네트워크 내에서 얻을 수 있는(available) 콘텐트와 매치(match)시키려고 시도한다. 만약 매치되지 않으면, 콘텐트 관리 수단은 간헐적 연결 장치로부터 홈 네트워크 쪽으로, 또는 역으로, 콘텐트를 전송하기 위한 동기화 세션을 시작한다. 이 프로세스 동안 간헐적 연결 장치는 자신이 어떤 항시-켜져 있는 장치와 동기화되는지, 또는 콘텐트가 어떤 종류의 포맷으로 저장되는지 알 필요가 없다.
장치 통신용 드라이버는 간헐적 연결 장치와 네트워크 내의 항시 켜진 장치 간의 통신처럼 네트워크-장치 간 통신을 위해 프로토콜 변환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만약 홈 네트워크가 1394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간헐적 연결 네트워크는 논-1394 (non-1394:1394 네트워크 이외의) 네트워크를 포함한다면, 장치 통신용 드라이버는 홈 네트워크 내의 1394 장치가 간헐적 연결 논-1394 장치와 통신하고 콘텐트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토콜 변환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장치 통신용 드라이버는 복수의 프로토콜 변환 방법을 포함함 으로써 홈 네트워크의 장치들이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다양한 간헐적 연결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해 준다. 그렇게 함으로써 장치 통신용 드라이버는 항시 켜진 장치(예:홈 네트워크 내)와 간헐적 연결 장치 간의 통신을 위해 필요한 프로토콜 변환을 결정한다. 또한 장치 통신용 드라이버는 항상 켜져 있는 장치와 간헐적 연결 장치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토콜 변환 프로세싱을 제공한다. 장치 통신용 드라이버는 더 나아기 필요한 경우 네트워크 내의 장치들 간 인트라 네트워크(intra-network) 통신을 용이하게 해 준다.
본 발명은 장치들 및 어플리케이션들 사이의 동기화와 관련된 단순화된 셋업(set-up)과 단순화된 단계들을 제공하며, 동시에 콘텐트 동기화가 지능적이고 유연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들, 특징들 및 장점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10)(예:홈 네트워크)의 예시적인 기능 아키텍처(architecture)를 보여 주고 있다. 이는 홈 장치(home devices)들의 집단과 콘텐트를 동기화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구현한 것이다. 네트워크(10)는 항시 켜진(항시 연결) 장치들(20), 하나 이상의 동기화 제어기(35), 네트워크(10)에 간헐적으로 연결되는 간헐적 연결 장치들(25) 그리고 인터넷(50)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하나 이상의 동기 제어기들(35)은 논리 장치(logic deviece)일 수 있고, 클라이언트 및/또는 서버 장치들(20) 속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구현 예에서 장치들(20 및 35)은 그들 간의 통신과 프로토콜을 위해 HTTP 프로토콜을 구현한다. 비록 위에서 설명한 예에서 HTTP 프로토콜이 네트워크(10)에 의해 이용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이용하는 다른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에도 유용한 것임을 알 것이다.
네트워크(10) 내의 동기 제어기(35)는 사용자와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네트워크(10) 내의 장치들 사이에서 콘텐트를 동기화하기 위하여 채택해야 하는 단계들을 단순화한다. 본 발명은 장치들 및 어플리케이션들 사이의 동기화와 관련된 단순화된 셋업(set-up)과 단순화된 단계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 동기화가 지능적이고 유연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네트워크(10) 내의 어플리케이션들과 장치들은, 고정되고 미리 구성된 상대방(counterparty) 내에 위치한 콘텐트가 아닌, 다른 복수의 임의의 어플리케이션들과 장치들 상에 위치한 콘텐트와 자동으로 동기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동기화는 상대방(counterparty)들의 능력(capabilities)과 사용자의 선호(prefernces)를 고려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서로 다른 비디오 포맷을 지원하는 2 장치들 사이의 비디오 콘텐트 동기화 과정은 비디오를 소스(source) 장치의 포맷으로부터 데스터네이션(destination) 장치의 포맷으로 변환 부호화(transcode)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측면에서 보면,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에 간헐적 연결된(외부의) 장치들(25)이 홈 네트워크(10) 내에 어떠한 장치(20)가 연결되었는가를 알지 못하더라도 콘텐트를 홈 네트워크와 동기화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종래의 접근 방식(즉, 외부 장치는 간헐적 연결 장치와 같은 프로토콜을 채택하지 않은 장치들과는 동기화할 수 없다.)과는 달리 본 발명에 의한 홈 네트워크는 복수의 콘텐트 액세스 프로토콜(content access protocol)들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호환성이 보장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보면, 본 발명은 콘텐트 액세스 프로토콜들과 콘텐트 능력(capabilities)들에 관하여, 홈 네트워크 내의 목표 장치(target device)(20)와 간헐적 연결 장치(25) 사이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네트워크(10)가 어떤 동기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가 PDA의 카렌다(calendar)를 데스크 탑 PC에 동기화시키고 다음날 오전 8:00시에 미팅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을 때 네트워크는 이것에 대해 자명종 시계를 동기화시킬 것이고, 따라서 자명종 시계가 오전 7:00시에 울리도록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하나의 구현 예에서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동기 제어기들(35)을 포함하는데, 각 동기 제어기(35)는 네트워크 내의 장치(20)와 장치들(25)로부터 장치의 세부사항을 숨긴다. 각 동기 제어기(35)는 동작들에 대한 동기 요청을 네트워크(10) 내의 장치들(20,30)에 맵핑(mapping)시키기 위한 맵핑 방법을 구현한다. 이 맵핑 방법은 간헐적 연결 장치와 네트워크(10) 내의 콘텐트 사이에서 어떻게, 언제, 무엇이 동기화되어야 하는지 보여준다.
하나의 구현 예에서, 이 맵핑 방법은 각 동기 제어기(35) 내에 모든 콘텐트 조각들과 장치들의 메타 데이타 설명(meta data description)(예:콘텐트 명칭, 콘텐트 생성일, 콘텐트 포맷, 콘텐트 위치 등)들을 포함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각 동기화 제어기(35)는 사용자에 의한 수동 조작 없이도 동기화할 적절한 콘텐트와 장 치를 선택할 수 있다. 비록 네트워크(10) 내에는 여러 개의 제어기가 있을 수 있지만 본 구현 예에서 간헐적 연결 장치와 네트워크(10) 간의 동기 프로세스는 단지 하나의 제어기에 의한다. 그리고 제어기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때에만 그 프로세스는 다른 제어기에 있어서도 바르게 수행되지 못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콘텐트 동기화가 구현된 예시적인 네트워크(60)의 높은 레벨의 블록도이다. 1 군의 홈 장치들(home devices)(20)과 동기화하고자 하는 간헐적 연결 장치(25)는 동기를 관리하는 동기 제어기들(35) 중 하나와 상호 작용한다.
도 3은 예시적인 동기 제어기(35)의 높은 레벨의 블록도로서 콘텐트 관리 수단(content manager)(65), 매체 디렉터리(media directory)(70) 및 장치 통신 (device communication) 블록(75)을 포함한다.
도 4는 도 3의 예시적인 동기 제어기(35)의 구체화된 기능 블록도이다. 도 4의 예에서 매체 디렉터리(70)는 홈 네트워크(60) 내의 다양한 장치들 상에서 얻을 수 있는 모든 콘텐트들에 대한 테이블/디렉터리(85)를 포함한다. 디렉터리(85)는 네트워크 내의 각 콘텐트 유닛(content unit)(예: 음악, 화상, 전화번호부 등)에 대한 식별 및 위치 정보(identific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를 포함한다. 매체 디렉터리를 생성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제어기가 스스로 공지(advertise)하도록 하는 것이다. 네트워크 구동 제어기가 동작을 개시하면 장치(20)는 자신의 콘텐트를 응답 메세지와 함께 상기 제어기로 전송한다. 다른 방법은 장치(20)가 시동시(startup time)에 자신의 콘텐트를 공지하도록 하고 매체 디렉터리로 하여금 그러한 메세지들을 받게 되면 자신의 테이블을 갱신하도록 하게 하는 것이다.
콘텐트 관리 수단(65)은 콘텐트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 프로세싱(80)을 포함한다. 콘텐트 관리 수단(65)이 홈 네트워크와 콘텐트 동기화를 위한 간헐적 연결 장치를 식별(identify)하고 동기화 프로세싱(80)을 시작하게 되면 콘텐트 관리 수단 (65)은 장치(25) 내의 콘텐트와 홈 네트워크(60) 내에서 얻을 수 있는 콘텐트를 매치(match)시키려고 시도한다.
만약 매치하지 않으면 콘텐트 관리 수단(65)은 콘텐트를 외부 장치(35)로부터 홈 네트워크(10)로, 또는 역으로, 또는 두 방향 모두로 전송한다. 매체 디렉터리(85)는 대부분의 업데이트들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매체 디렉터리(85)는 네트워크 내의 콘텐트에 관한 정보를 가진다. 매체 디렉터리(85)는 또한 네트워크 내에서 동기화된 네트워크 내의 콘텐트를 지시(indicate)하기 위해 갱신된다. 콘텐트가 동기화되면 매체 디렉터리(85) 내의 정보는 갱신된다.
하나의 구현 예에서, 콘텐트 관리 수단(65)은 홈 네트워크(60) 내의 식별된(identified) 콘텐트 유닛의 날짜와 크기를 이에 대응하는 식별된 외부 장치(25) 내의 콘텐트 유닛의 날짜 및 크기와 비교함으로써 콘텐트 매칭(matching)을 수행한다. 만약 일치하지 않으면 콘텐트 관리 수단(65)는 외부 장치(25)로부터 홈 네트워크(60) 쪽으로, 또는 역으로, 콘텐트를 전송하기 위한 동기화 세션(synchronization session)을 개시한다.
이 동기화 프로세스 동안 간헐적 연결 장치(25)는 자신이 어떤 홈 장치(20) 와 동기화되는지 알 필요가 없다. 즉 홈 장치의 아이덴터티(identity)는 간헐적 연결 장치에 대해 투명(transparent)하다. 또한, 간헐적 연결 장치(25)는 어떤 종류의 포맷으로 콘텐트가 저장되는지 알 필요가 없다. 즉, 콘텐트는 간헐적 연결 장치에 대해 투명(transparent)하다. 콘텐트의 메타 데이타(meta data)와 홈 네트워크 장치(20)의 메타 데이타는 각각 매체 디렉터리(85)와 장치 통신용 드라이버(75)에 의해 관리된다. 콘텐트 관리 수단(65)은 이 메타 데이타들은 이용하여 결정을 내린다.
장치 통신용 드라이버(75)는 간헐적 연결 장치(25)와 네트워크(60) 내의 장치(20) 및/또는 장치(35) 간의 통신처럼 네트워크-장치 간 통신을 위해 프로토콜 변환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홈 네트워크(60)가 1394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고 외부 장치(25)가 논-1394 네트워크 상의 논-1394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통신용 드라이버(75)는 홈 네트워크 내의 1394 장치가 논-1394 외부 장치(25)와 통신하고 콘텐트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토콜 변환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장치 통신용 드라이버(75)는 복수의 프로토콜 변환 방법(90)을 포함함으로써 홈 네트워크(60) 내의 장치들이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다양한 장치들(25)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해 준다. 그렇게 함으로써, 장치 통신용 드라이버(75)는 홈 네트워크(60) 내의 장치(20)와 간헐적 연결 장치(25) 간의 통신을 위해 필요한 프로토콜 변환을 결정한다. 또한 장치 통신용 드라이버는 항시 켜진 장치와 간헐적 연결 장치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토콜 변환 프로세싱을 제공한다. 장치 통신용 드라이버는 더 나아기 필요한 경우 네트워크(60) 내의 장치(20)와 간헐적 연결 장치(25)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해 준다.
장치 통신용 드라이버(75)는 더 나아기 필요한 경우 네트워크(60) 내의 장치들 간 인트라 네트워크(intra-network) 통신을 용이하게 해 준다. 콘텐트 관리 수단(65)은 상기 간헐적 연결 장치에 대해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홈 네트워크(60) 내의 장치들 간 콘텐트 동기화를 제공한다. 비록 상기 구현예들은 항시 켜진 장치들과 간헐적 연결 장치들 간 콘텐트 동기화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한 방법과 장치는 네트워크 내의 항시 켜진 장치들 간의 동기화에도 이용될 수 있다. 콘텐트 관리 수단(65)은 사용자로 하여금 동기화될 콘텐트 유닛을 선택하도록 허용하며, 더 나아가, 사용자가 상기 콘텐트 관리 수단에 의해 동기화될 콘텐트 유닛 중 일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더 나아가, 매체 디렉터리(70)는 각 콘텐트 유닛의 동기 시 콘텐트 관리 수단(65)이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선택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이 가능 하지만 첨부 도면에는 몇몇의 바람직한 구현 예들만이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다. 그렇지만 본 명세서의 기재는 발명의 원리에 대한 예시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넓은 측면들을 도해된 구현 예들로 한정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다. 앞서 언급한 본 발명에 의한 예시적인 아키텍처(architecture)는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그램 명령어, 로직 회로(logic circuits), ASIC, 펌웨어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된 예시적인 구현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몇몇의 바람직한 구현 예에 대하여 상당히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과 범위는 여기에 기재된 바람직한 예의 설명에만 한정되지 아니한다.
네트워크 상의 서로 다른 장치들 간 콘텐트 동기화를 수행하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콘텐트 동기화는 연결되는 장치들의 아이덴터티나 콘텐트의 포맷 등에 대해 투명하기 때문에 장치의 구성 등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로이 이루어진다. 사용자 역시 콘텐트 동기화를 위해 매번 장치들의 구성에 대한 설정을 해 줄 필요가 없으므로 편리하다.

Claims (26)

  1. 복수의 장치들로 구성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내의 장치들에서 얻을 수 있는 콘텐트의 디렉터리를 유지하는 단계;
    콘텐트를 포함하는 다른 장치와 통신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디렉터리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내의 콘텐트의 메타데이터가 상기 다른 장치의 메타데이터와 매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만약 네트워크내의 콘텐트의 메타데이터가 상기 다른 장치의 콘텐트와 매치하지 않을 경우, 네트워크 내의 콘텐트와 상기 다른 장치를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트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한 동기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터리 유지 단계는 네트워크 내의 장치들 상에서 이용할 수 있는 콘텐트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정보를 디렉터리 내에 저장하는 단계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내의 콘텐트는 콘텐트 유닛들을 포함하고, 각 콘텐트 유닛은 네트워크 내의 장치에 저장되며, 상기 디렉터리는 복수의 엔트리를 포함하는데 상기 각 엔트리는 네트워크 내의 콘텐트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장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단계는 상기 디렉터리 내의 콘텐트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장치의 콘텐트와 네트워크 내의 콘텐트를 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단계는 상기 디렉터리의 콘텐트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장치의 콘텐트와 네트워크 내의 콘텐트를 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동기화 동안 동기화되는 콘텐트를 저장하는 네트워크 내의 장치의 아이덴터티는 상기 다른 장치에 대하여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동기화 동안 동기화되는 콘텐트의 포맷은 상기 다른 장치에 대해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을 형성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내의 장치와 상기 다른 장치 간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들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콘텐트를 가지고 상기 다른 장치 내의 콘텐트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단계는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의 콘텐트를 가지고 상기 네트워크 내의 콘텐트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단계는 동기화된 정보를 가지고 상기 네트워크 내의 디렉터리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항시 연결 장치의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다른 장치는 간헐적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와 상기 다른 장치 간의 콘텐트를 변환 부호화함으로써 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방법.
  14. 복수의 장치들로 구성된 네트워크에서,
    상기 네트워크 내의 장치들에서 얻을 수 있는 콘텐트의 디렉터리;
    콘텐트를 포함하는 다른 장치와 통신을 형성하는 통신 드라이버; 및
    상기 디렉터리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내의 콘텐트가 상기 다른 장치의 콘텐트와 매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만약 네트워크 내의 콘텐트가 상기 다른 장치의 콘텐트와 매치하지 않을 경우, 네트워크 내의 콘텐트와 상기 다른 장치를 동기화하는 콘텐트 관리 수단을 포함하며 콘텐트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 제어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터리는 네트워크 내의 장치들 상에서 이용할 수 있는 콘텐트에 대한 동기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제어기.
  16. 제 14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내의 콘텐트는 콘텐트 유닛들을 포함하고, 각 콘텐트 유닛은 네트워크 내의 장치에 저장되며, 상기 디렉터리는 각각 네트워크 내의 콘텐트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장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엔트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제어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관리 수단은 더 나아가 디렉터리의 콘텐트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장치의 콘텐트와 네트워크 내의 콘텐트를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제어기.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관리 수단은 더 나아가 상기 디렉터리의 콘 텐트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장치의 콘텐트와 네트워크 내의 콘텐트를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제어기.
  19. 제 14항에 있어서, 동기화 동안 동기화되는 콘텐트를 저장하는 네트워크 내의 장치의 아이덴터티는 상기 다른 장치에 대하여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제어기.
  20. 제 14항에 있어서, 동기화 동안 동기화 되는 콘텐트의 포맷은 상기 다른 장치에 대해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제어기.
  21.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용 드라이버는 네트워크와 상기 다른 장치 간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통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제어기.
  22.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관리 수단은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다른 장치로 콘텐트를 전송함으로써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제어기.
  23.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관리 수단은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로 콘텐트를 전송함으로써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제어기.
  24.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관리 수단은 더 나아가 동기화된 정보를 가지고 디렉터리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제어기.
  2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관리 수단은 더 나아가 상기 네트워크와 상기 다른 장치 간의 콘텐트를 변환 부호화함으로써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제어기.
  2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항시 연결 장치의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다른 장치는 간헐적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제어기.
KR1020050117264A 2005-04-07 2005-12-03 가정용 장치들의 집단과 콘텐트를 동기화 시키기 위한 방법및 장치 KR1007501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01,964 2005-04-07
US11/101,964 US20060230183A1 (en) 2005-04-07 2005-04-07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content with a collection of home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613A KR20060106613A (ko) 2006-10-12
KR100750142B1 true KR100750142B1 (ko) 2007-08-21

Family

ID=36698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264A KR100750142B1 (ko) 2005-04-07 2005-12-03 가정용 장치들의 집단과 콘텐트를 동기화 시키기 위한 방법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230183A1 (ko)
EP (1) EP1710979A3 (ko)
JP (1) JP2006295918A (ko)
KR (1) KR100750142B1 (ko)
CN (1) CN10046167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9563B2 (ja) * 2005-08-03 2011-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RU2446614C2 (ru) * 2005-10-05 2012-03-27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элементов данных, которые могут воспроизводиться пользователю
KR100725414B1 (ko) * 2006-02-07 200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 동기화를 위한 동기화 식별자 생성 방법 및장치
KR100782858B1 (ko) 2006-04-11 2007-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컨텐츠를 동기화하는 방법 및장치
US7890470B2 (en) 2006-05-03 2011-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device providing content directory service with device not providing content directory
EP1862919B1 (en) * 2006-05-03 2017-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device providing content directory service with device not providing content directory service
KR100871840B1 (ko) * 2006-08-17 2008-12-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mmd 기반 유비쿼터스 홈 미디어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그를 이용한 홈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80275960A1 (en) * 2007-05-03 2008-11-06 Nokia Corporation Coordination and Management of Content Distribution
US7831558B2 (en) * 2007-06-22 2010-11-09 Microsoft Corporation Bi-directional data modification with synchronization
JP5063280B2 (ja) * 2007-09-28 2012-10-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ファイル転送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サーバ
KR100974908B1 (ko) * 2007-12-15 2010-08-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mmd 기반 사용자 맞춤형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US8825815B2 (en) 2008-01-08 2014-09-02 Amdocs Software System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client synchronization for a communication device
GB0807590D0 (en) * 2008-04-25 2008-06-04 Ominplug Technologies Ltd Data synchronisation
KR101667416B1 (ko) * 2008-07-16 2016-10-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감 효과 표현 방법 및 그 장치 및 실감 기기 성능 메타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WO2010008232A2 (ko) * 2008-07-16 2010-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감 효과 표현 방법 및 그 장치 및 실감 효과 메타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WO2010008233A2 (ko) * 2008-07-16 2010-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감 효과 표현 방법 및 그 장치 및 사용자 환경 정보 메타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US20100332506A1 (en) * 2009-06-30 2010-12-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rking sought after content items on network media devices
US8874741B2 (en) * 2009-11-25 2014-10-28 T-Mobile Usa, Inc. Secured remote management of a home network
WO2012032711A1 (ja) * 2010-09-06 2012-03-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テンツ検索装置、コンテンツ検索方法、プログラム
US8782150B2 (en) 2010-11-09 2014-07-15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device communication and control using XMPP
US20160094986A1 (en) * 2014-09-29 2016-03-3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Content delivery metadata exchan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886A (ko) * 1999-09-21 2005-08-19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통신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85836A (ko) * 2002-12-20 2005-08-29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디바이스상의 컴포넌트들을 자동으로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KR20060082387A (ko) * 2005-01-12 2006-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저장매체에 걸쳐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관리 정보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그에 따른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방법 및 장치
KR20060090170A (ko) * 2005-02-07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홈서버, 상기 홈서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송 시스템, 통합미디어 재생 프로그램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방법, 미디어포맷 변환 기능을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 그리고 컨텐츠전송 여부 판별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3970A (ja) * 1997-05-30 1998-12-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複数の情報共有装置に分散されている情報の共有方法および情報共有装置
JP2000222268A (ja) * 1999-01-29 2000-08-11 Hitachi Ltd 複数のコンピュータ間におけるファイルの同期方法
US7779097B2 (en) * 2000-09-07 2010-08-17 Sonic Solutions Methods and systems for use in network management of content
JP2002189480A (ja) 2000-10-11 2002-07-05 Noritsu Koki Co Ltd 配信仲介システム
JP2002175234A (ja) * 2000-12-07 2002-06-21 Sony Corp コンテンツ送受信装置、方法、記録媒体
US7890661B2 (en) 2001-05-16 2011-02-15 Aol Inc. Proximity synchronizing audio gateway device
JP3525435B2 (ja) * 2001-07-04 2004-05-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通信システム
JP4204977B2 (ja) 2001-10-22 2009-01-07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メディアプレーヤーのためのインテリジェントなシンクロ操作
US7558847B2 (en) * 2002-09-13 2009-07-07 Intelliden, Inc. System and method for mapping between and controlling different device abstractions
US20040193609A1 (en) * 2003-03-26 2004-09-30 Sony Corporation Master content directory service server for providing a consolidated network-wide content directory
KR100541636B1 (ko) * 2003-04-17 2006-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동기화 방법 및 데이터 포맷
JP2005004916A (ja) * 2003-06-13 2005-0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ホームネットワーク管理装置
US20050055352A1 (en) * 2003-09-08 2005-03-10 Sony Corporation Content directory and synchronization bridge
GB0322795D0 (en) * 2003-09-30 2003-10-29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Response estimation in a system with a content directory service
US7730167B2 (en) * 2004-04-30 2010-06-0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halting synchronization loops in a distributed system
US20060015580A1 (en) * 2004-07-01 2006-01-19 Home Box Office, A Delaware Corporation Multimedia content distribution
CN100363890C (zh) * 2004-12-11 2008-01-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远程计算机文件同步更新系统及方法
US20060168126A1 (en) * 2004-12-21 2006-07-27 Jose Costa-Requena Aggregated content listing for ad-hoc peer to peer networks
US7716317B2 (en) * 2005-01-10 2010-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a single view of content in a home network
US7366861B2 (en) * 2005-03-07 2008-04-29 Microsoft Corporation Portable media synchronization manager
US7739411B2 (en) * 2006-08-11 2010-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 synchronization and detecting synchronization recursion in network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886A (ko) * 1999-09-21 2005-08-19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통신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85836A (ko) * 2002-12-20 2005-08-29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디바이스상의 컴포넌트들을 자동으로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KR20060082387A (ko) * 2005-01-12 2006-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저장매체에 걸쳐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관리 정보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그에 따른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방법 및 장치
KR20060090170A (ko) * 2005-02-07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홈서버, 상기 홈서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송 시스템, 통합미디어 재생 프로그램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방법, 미디어포맷 변환 기능을 이용한 컨텐츠 전송방법 그리고 컨텐츠전송 여부 판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613A (ko) 2006-10-12
JP2006295918A (ja) 2006-10-26
EP1710979A3 (en) 2006-11-08
US20060230183A1 (en) 2006-10-12
EP1710979A2 (en) 2006-10-11
CN1845493A (zh) 2006-10-11
CN100461674C (zh)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0142B1 (ko) 가정용 장치들의 집단과 콘텐트를 동기화 시키기 위한 방법및 장치
WO2018219178A1 (zh) 数据同步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US10419535B2 (en) Preconfigured syncML profile categories
US1004464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 to control
JP5250616B2 (ja) 管理ツリー中の管理対象をアドレッシングする方法及びそれに関連する装置管理システム
KR101011216B1 (ko) 데이터 동기
US20040139180A1 (en) Automobile media synchronization
JP2004534994A5 (ko)
CN101421967B (zh) 同步家庭网络装置的内容的方法和设备
WO2006010131A3 (en) Distributed operating system management
WO2016161961A1 (zh) 处理关注信息的方法、终端设备、服务器及系统
KR20040101482A (ko) 동기 관련 정보를 핸들링 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4012449A1 (zh) 桌面同步方法、装置、处理中心及系统
JP2009140515A (ja) 中断された同期プロセスに対処してデータを同期させる方法、装置、システム
US20080195739A1 (en) Resolving Synchronization Duplication
US20230044568A1 (en) Sharing media among remote access clients in a universal plug and play environment
WO2014206346A1 (zh) 一种终端与服务器进行同步的方法和装置
WO2020173232A1 (zh) 资源同步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13091449A1 (en) Connecting wireless devices
US7774464B2 (en) Automatic syncML client profile creation for new servers
CN110018875B (zh) 一种基于idv的桌面同步实现方法
JP2004364190A (ja) 通信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CN115665671A (zh) 音频数据的共享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EP1650674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continuous synchronization on a host handheld device
Demidova et al. Services for knowledge resource sharing & management in an open source infrastructure for lifelong competence develo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