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9882B1 - 실내 급기구용 급기 량의 자동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실내 급기구용 급기 량의 자동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882B1
KR100749882B1 KR1020060001905A KR20060001905A KR100749882B1 KR 100749882 B1 KR100749882 B1 KR 100749882B1 KR 1020060001905 A KR1020060001905 A KR 1020060001905A KR 20060001905 A KR20060001905 A KR 20060001905A KR 100749882 B1 KR100749882 B1 KR 100749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supplied
air
mounting member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1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4136A (ko
Inventor
김일헌
Original Assignee
(주)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팬코 filed Critical (주)팬코
Priority to KR1020060001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882B1/ko
Publication of KR20070074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4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6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means responsive to temperature, e.g. bimet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의 급기구에 설치된 조절구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별도의 동력에 의해 조절되는 것이 아나라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 변화에 따라 급기 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급기덕트의 배출구에 장착되는 장착부재와 조절구로 구성된 급기구에 의해 공급되는 급기 량을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의 상부에 그 급기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에 따라 상기 장착부재와 조절구 사이의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급기구용 급기 량의 자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급기구, 조절수단, 고정부재, 승하강부재, 가동부, 형상기억합금, 탄성부

Description

실내 급기구용 급기 량의 자동 조절장치{automatic adjuatment apparatus of air supply amcuat for diffuser using indoor}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설치된 상태의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작동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로,
도 3a는 조절구가 작동되기 전을 나타낸 요부도.
도 3b는 조절구가 작동된 후를 나타낸 요부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5는 종래 실내 급기구에 급기 량을 조절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절수단
10 : 고정부재
12 : 지지대 14 : 상,하지지판
20 : 승하강로드
22 : 슬라이드부
30 : 승하강부재
40 : 가동부
42 : 고정구 44 : 가동부재
50 : 탄성부
52 : 지지구 54 : 탄성부재
100 : 급기구
110 : 장착부재 120 : 조절구
본 발명은 실내의 급기구에 설치된 조절구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별도의 동력에 의해 조절되는 것이 아나라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 변화에 따라 급기 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실내 급기구용 급기 량의 자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천장에는 환기나 또는 공지의 급기시스템에 의해 실내의 온도에 따라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는 목적으로 급기덕트의 각 배출구에 각각의 급기구를 설치한다.
그런데, 종래 통상적인 급기구는 급기덕트의 배출구에 하나의 몸체에 배기로를 일체로 형성되어 장착되는 것으로, 이는 공급되는 공기의 급기 량을 조절하지 못하고 항상 일정한 량만을 공급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몸체와 배기로가 일체로 형성된 종래 급기구의 경우에는, 급기 량 이 조절되지 못하는 관계로, 공급되는 공기가 냉풍일 경우에는 냉풍의 특성상 아래로 가라 앉는 특성으로 인해 냉풍을 공급하는 데는 아무런 지장을 초래하지 않았다.
그러나, 일정 량만의 공기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공기가 온풍일 경우에는 온풍의 특성상 공급된 온풍이 급기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시점에서 실내의 일정 이하로 내려 가지 않고 상부 측으로 올라 가게 됨에 따라 바닥면까지는 온풍이 공급되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렇게, 급기구를 통하여 온풍을 공급시 바닥면까지 공급하기 위해서는 온풍의 온도는 물론 급기 량을 늘려야 하는 데, 종래 일체로 형성된 급기구에서는 조절수단이 결여되어 있는 관계로, 실내의 바닥면까지 온풍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그로 인해 종래에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덕트의 배출구 측에 설치되는 급기구(100)를 안출된 바, 이는 상기 배출구에 고정되도록 장착부재(110)를 장착되고, 상기 장착부재의 내로 스크류바(122)가 결합된 조절구(120)의 스크류바를 나사 결합시킴에 따라 상기 조절구를 회전시켜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장착부재와 조절구의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급기 량을 조절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같은 급기 량을 조절하는 종래의 방식에 있어서는 공급되는 온풍을 바닥면까지 공급하고자 급기 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매번 작업자나 사용자가 수작업에 의해 일일이 조절해야 하는 상당히 번거러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실내의 급기구에 설치된 조절구를 동력에 의해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 변화에 따라 조절구의 승하강 높이를 최대화하면서 비틀림 없이 용이하게 승하강되어 급기 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실내 급기구용 급기 량의 자동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급기덕트의 배출구에 장착되는 장착부재와 조절구로 구성된 급기구에 의해 공급되는 급기 량을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의 상부에 그 급기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에 따라 상기 장착부재와 조절구 사이의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그 장착부재에 고정되도록 지지대의 상단과 하단에 상,하 지지판이 형성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상,하 지지판을 관통하여 밑단이 상기 조절구의 상면과 체결 고정되는 승하강로드와; 상기 상,하 지지판 사이의 온도에 따라 변위되어 그 승하강로드에 삽입되는 한쌍의 고정구 사이에 개재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작되어 온도에 따라 변위되는 코일 형태로 형성되는 가동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하측의 고정구는 그 승하강로드와 고정되는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에 의해 수축 및 팽창되도록 그 승하강로드에 삽입되는 한쌍의 지지구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탄성부에 의해 상기 승하강로드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재로 구성되는 조절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승하강로드의 외측면과 그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구와 지지구의 내측면에는 서로 대응되게 산과 골 형태의 슬라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설치된 상태의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의 천장 등에 설치된 급기덕트의 배출구에 장착되는 장착부재(110)와 조절구(120)로 구성된 급기구(100)에 의해 공급되는 급기 량을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조절구를 별도의 동력에 의해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 변화에 따라, 즉 온풍 공급시 그 온풍의 급기 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장착부재(110)의 상부에 그 급기구(100)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에 따라 상기 장착부재(110)와 조절구(120) 사이의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조절수단(1)을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조절수단(1)은 그 장착부재(110)에 통상의 브라켓 등에 의해 스크류 또는 용접 고정되어 고정되도록 지지대(12)의 상단과 하단에 상,하 지지판(14)이 형성되는 고정부재(10)와;
상기 상,하 지지판(14)을 관통하여 밑단이 상기 조절구(120)의 상면과 통상의 고정방식인 나사 결합되거나 핀 체결 또는 너트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승하강로드(20)와;
상기 상,하 지지판(14) 사이에 온도에 따라 상기 승하강로드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재(3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하강부재(30)는 상,하로 위치하여 공급되는 온도에 따라 변위되는 가동부(40)와, 상기 가동부에 의해 수축 및 팽창되는 탄성부(5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부(40)는 그 승하강로드(20)에 삽입되는 한쌍의 고정구(42) 사이에 개재되어 상,하단이 각각 고정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작시 약 25~50℃의 온도에서 변위되도록 온도에 따라 변위되는 가동부재(44)로 구성되되, 상기 하측의 고정구는 그 승하강로드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부재(44)는 최대한의 변위 폭을 가질 수 있는 코일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50)는 그 승하강로드(20)에 삽입되는 한쌍의 지지구(52) 사이에 개재되어 상하단이 각각 고정되는 통상의 코일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5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하강로드(20)의 외측면과 그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구(42)와 지지구(52)의 내측면에는 서로 대응되게 산과 골 형태의 슬라이드부(22)가 형성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승하강로드의 승하강시와 그에 삽입되어 있는 고정구와 지지구에서 비틀림 없이 원활하게 승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급기덕트를 거처 배출구를 통하여 급기되는 온풍은 상기 배출구에 장착된 장착부재 상에 설치된 조절수단에 의해 조절구가 일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의 유로로 공급된다.
다시말해서, 도 3a에서와 같이 고정부재의 상,하 지지판(14) 사이의 승하강부재(30)인 가동부(40)와 탄성부(50)의 지지력에 의해 최소 설치시 일정 간격을 갖도록 설치된 장착부재와 조절구 사이의 간격으로 일정 량의 온풍이 실내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렇게, 온풍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실내의 바닥면까지 온풍을 공급하고자 공급되는 온풍의 온도를 높이고 급기 량을 늘리고자 할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수부재의 상,하 지지판 상에 지지되어 있는 승하강부재의 가동부에 의해 상기 조절구를 하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도 3b에서와 같이 공급되는 온풍의 온도가 약 25~50℃로 공급되어 질 때, 상기 가동부(40)의 고정구(42)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가동부재(44)가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조시 상기한 온도인 약 25~50℃일 경우에 변위되는 특성을 갖는 관계로, 상기 승하강로드(20)와 고정된 하측 고정구가 하측으로 늘어 지듯이 변위되어지게 됨에 따라 승하강로드가 하강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가동부재의 하측으로 변위됨으로 인해 하부 측에 위치한 탄성부(50)의 지지구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54)는 수축되어 지게 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상기 승하강로드의 밑단과 체결되어 있는 조절구가 하강하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장착부재와의 간격을 하강된 만큼 이격시키게 되어 더욱더 많은 량의 온풍을 공급하게 됨에 따라 실내의 바닥면까지 온풍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온풍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공급되는 온풍의 온도가 약 25~50℃의 이하로 공급되어 질 때 상기 가동부재의 변위는 성질이 약해지게 되고, 이때 그 하부에 설치되어 수축되어 있던 탄성부인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전술한 도 3a에서와 같이 조절구를 승강시켜 그 조절구와 장착부재 사이를 처음과 같이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급기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에 따라 급기 량을 자 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실내의 바닥면까지 온풍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승하강부재를 상,하부로 위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내,외측의 이중 구조로 구성하여 조절수단의 전체적인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가동부(40)는 그 승하강로드(20)에 삽입되어 상지지판(14)에 상측 고정구(42)가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구(42) 사이에 개재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작되어 약 25~50℃의 온도에서 온도에 따라 변위되는 가동부재(44)로 구성되되, 상기 하측 고정구가 상기 하지지판()으로부터 일정 높이(h)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탄성부(50)는 그 승하강로드(20)의 외측면에 상기 고정구(42) 사이에서 지지되는 통상의 코일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5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급기구로 공급되는 온도가 약 25~50℃일 때 상기 가동부의 고정구 상에 개재된 가동부재가 형상기억합금의 특성으로 인해 하지지판과 이격된 부분의 하부 측으로 변위하게 되고, 그 하측 고정구와 고정된 승하강로드 또한 하강을 행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구 사이의 승하강로드 외측에 위치한 탄성구가 팽창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구는 그 변위되는 만큼 팽창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승하강로드의 밑단과 체결된 조절구가 하강되어 장착부재와의 간격을 더욱더 이격시켜 많은 량의 온풍이 실내의 바닥면까지 공급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급기구로 공급되는 온도가 약 25~50℃ 이하의 공기가 공급되어 지면, 그 가동부재의 성질이 약해지면서 그 팽창되었던 탄성구의 복원력에 의해 승하강로드를 상부로 승강시켜 조절구를 처음의 위치로 복귀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의 급기구에 설치된 조절구를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조절수단에 의해 별도의 동력에 의해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실내로 급기되는 공기의 온도 변화에 따라 급기 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자나 작업자가 별도의 조절작업 없이도 급기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실내의 바닥면까지 골고루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조절수단의 가동부재를 코일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조절구의 승하강 높이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더욱더 용이한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승하강로드와 그에 삽입되는 고정구와 지지구 사이에 구비되는 슬라이드부에 의해 그 승하강로드의 승하강시 비틀림 없이 용이하게 승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조절수단을 내,외측의 이중 구조를 갖도록 하므로서, 조절수단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됨에 따라 보다 작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 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급기덕트의 배출구에 장착되는 장착부재와 조절구로 구성된 급기구에 의해 공급되는 급기 량을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110)의 상부에 그 급기구(100)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에 따라 상기 장착부재와 조절구 사이의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그 장착부재에 고정되도록 지지대(12)의 상단과 하단에 상,하 지지판(14)이 형성되는 고정부재(10)와; 상기 상,하 지지판을 관통하여 밑단이 상기 조절구의 상면과 체결 고정되는 승하강로드(20)와; 상기 상,하 지지판 사이에 공급되는 온도에 따라 변위되어 그 승하강로드에 삽입되는 한쌍의 고정구(42) 사이에 개재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작되어 온도에 따라 변위되는 코일 형태로 형성되는 가동부재(44)로 구성되되, 상기 하측의 고정구는 그 승하강로드와 고정되는 가동부(40)와, 상기 가동부에 의해 수축 및 팽창되도록 그 승하강로드에 삽입되는 한쌍의 지지구(52)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54)로 구성되는 탄성부(50)에 의해 상기 승하강로드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재(30)로 구성되는 조절수단(1)을 구비하되, 상기 승하강로드(20)의 외측면과 그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구(42)와 지지구(52)의 내측면에는 서로 대응되게 산과 골 형태의 슬라이드부(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급기구용 급기 량의 자동 조절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060001905A 2006-01-06 2006-01-06 실내 급기구용 급기 량의 자동 조절장치 KR100749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905A KR100749882B1 (ko) 2006-01-06 2006-01-06 실내 급기구용 급기 량의 자동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905A KR100749882B1 (ko) 2006-01-06 2006-01-06 실내 급기구용 급기 량의 자동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136A KR20070074136A (ko) 2007-07-12
KR100749882B1 true KR100749882B1 (ko) 2007-08-21

Family

ID=38508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905A KR100749882B1 (ko) 2006-01-06 2006-01-06 실내 급기구용 급기 량의 자동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98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156B1 (ko) * 2009-02-24 2009-08-06 서진공조 주식회사 가변 풍량 조절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7745A (ja) 1985-10-11 1987-04-22 Keiichi Yasukawa 感温自動換気装置
JPH07119619A (ja) * 1993-10-07 1995-05-09 Ricoh Co Ltd 双方向機能部品及びそれを用いた通風口開閉装置
JPH0857072A (ja) * 1994-08-25 1996-03-05 Unix:Kk 防火ダンパー
KR20000074857A (ko) * 1999-05-26 2000-12-15 박장용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가변형 자동 디퓨져
KR200400719Y1 (ko) 2005-08-30 2005-11-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축열식 지열시스템의 냉,난방용 디퓨져
KR200408796Y1 (ko) 2005-12-06 2006-02-17 박영철 유입되는 공기온도의 변화에 따라 기류의 방향이 자동조절되는 팬 디퓨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7745A (ja) 1985-10-11 1987-04-22 Keiichi Yasukawa 感温自動換気装置
JPH07119619A (ja) * 1993-10-07 1995-05-09 Ricoh Co Ltd 双方向機能部品及びそれを用いた通風口開閉装置
JPH0857072A (ja) * 1994-08-25 1996-03-05 Unix:Kk 防火ダンパー
KR20000074857A (ko) * 1999-05-26 2000-12-15 박장용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가변형 자동 디퓨져
KR200400719Y1 (ko) 2005-08-30 2005-11-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축열식 지열시스템의 냉,난방용 디퓨져
KR200408796Y1 (ko) 2005-12-06 2006-02-17 박영철 유입되는 공기온도의 변화에 따라 기류의 방향이 자동조절되는 팬 디퓨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136A (ko) 200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79835A1 (en) Adjustable bed system having fans
KR100749882B1 (ko) 실내 급기구용 급기 량의 자동 조절장치
US5647532A (en) Air diffuser
US20200359806A1 (en) Wall-hugger adjustable bed with power fan system
KR101779695B1 (ko) 지열을 이용한 자연순환 방식 에어하우스
KR100783370B1 (ko) 차압유량조절밸브
KR101015559B1 (ko) 풍향조절이 가능한 디퓨져
US6176435B1 (en) Thermally powered diffuser
KR101410029B1 (ko) 온도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 형태를 조절하는 디퓨져
KR20140022609A (ko) 자동 풍향조절 기능을 갖는 공조용 디퓨져
KR20190001345A (ko) 개선된 구조를 갖는 디퓨져
KR100555213B1 (ko) 내부격자가 자동으로 승하강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
KR20140000451U (ko) 시공성이 개선된 디퓨저
KR20060016067A (ko) 가변풍량방식용 디퓨져
AU755770B2 (en) Air diffuser
KR100338188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가변형 자동 디퓨져
KR20040020594A (ko) 대공간 공조용 디퓨저
KR19980082935A (ko) 빔 프로젝터용 스탠드
CA2198981A1 (en) Ventilator
KR200489269Y1 (ko) 공조용 디퓨저
KR101584539B1 (ko) 환기 설비용 디퓨저
CN112205223A (zh) 一种大棚蔬菜种植用温度调节系统
KR20020011828A (ko) 풍향조절 디퓨져
KR200292521Y1 (ko) 자동 온도 조절 밸브
EP1517100A1 (en) Adjustable diffuser for air conditioning 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