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451U - 시공성이 개선된 디퓨저 - Google Patents

시공성이 개선된 디퓨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451U
KR20140000451U KR2020120006098U KR20120006098U KR20140000451U KR 20140000451 U KR20140000451 U KR 20140000451U KR 2020120006098 U KR2020120006098 U KR 2020120006098U KR 20120006098 U KR20120006098 U KR 20120006098U KR 20140000451 U KR20140000451 U KR 201400004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er
panel
lower fixing
chamber
ceil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0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1258Y1 (ko
Inventor
김강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Priority to KR20201200060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258Y1/ko
Publication of KR201400004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4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2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2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perforated walls, ceilings or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공성이 개선된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 나사결합 등과 같은 별도의 공정 없이도 디퓨저를 천정패널 등에 시공할 수 있고 시공된 디퓨저가 천정패널 아래로 과도하게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덕트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15)가 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단부(18)에 고정된 수나사봉(19)이 하부의 개방구(16) 중앙을 관통되게 설치되며 하단부에는 시공시 천정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지지날개(17)가 연장되어 있는 챔버(11)와, 수나사봉(19)이 끼워지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구멍이 형성된 고정링(21)을 가지며 결합시 천정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고정패널(12)과, 수나사봉(19)에 나사결합되어 챔버(11)에 하부 고정패널(12)을 결합시켜 주는 나비 너트(13) 및 수나사봉(19)이 나사결합되는 제1나사공(23)을 가지고 하부 고정패널(12)과의 간격 조절시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요홈(25)을 구비하며 하부 고정패널(12)과의 간격 조절에 의해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기량 조절구(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시공성이 개선된 디퓨저{DIFFUSER WITH IMPROVED CONSTRUCTION}
본 고안은 천정 등에 설치되는 시공성이 개선된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나사결합 등과 같은 별도의 공정 없이도 디퓨저를 천정패널 등에 시공할 수 있고 시공된 디퓨저가 천정패널 아래로 과도하게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시공성이 개선된 디퓨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설치되는 공조시스템은 건물의 천정에 위치한 디퓨저(diffuser)를 통해 온기나 냉기 혹은 외기를 배출하는데, 이 공조시스템은 덕트에 의해 디퓨저에 연결되어 있다. 디퓨저는 공기를 자체적으로 흡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는 팬을 가지지는 않는다. 다만, 이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1은 종래의 디퓨저의 하나의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종래의 디퓨저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101)과 공기량 조절구(10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101)은 중앙에 공기가 흐르는 통로(102)가 상하로 관통지게 형성되고, 통로(102) 중앙에는 지지대(111)에 의해 암나사관(103)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하단부에는 설치시 천정패널(110)에 맞닿게 되는 지지날개(106)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량 조절구(105)는 통로(102)를 흐르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상부에 암나사관(103)에 나사결합되어 공기량 조절구(105)를 승강시키는 수나사봉(104)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원통(101)의 지지날개(106)는 천정 패널(110)에 설치시 나사(108) 결합을 위한 다수의 통공(107)을 가진다. 이 통공(107)과 이에 결합된 나사(108)는 커버(109)에 의해 가려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천정패널(110)에 디퓨저를 설치하는 경우 무른 재질의 천정패널(110)에 나사(108)가 결합되므로 디퓨저가 견고히 고정되지 못할 뿐더러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해 공기량 조절구(105)를 돌리는 등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나사(108)가 천정패널(110)로부터 빠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기량 조절구(105)가 천정패널(110)보다 낮게 돌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통로(102)를 완전히 열었을 때 더욱 심하다.
도2는 종래의 디퓨저의 다른 하나의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종래의 또 하나의 디퓨저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201)과 외통(212), 공기량 조절구(20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201)은 외주면에 나선부(208)가 형성된 것으로서 중앙에 공기가 흐르는 통로(202)가 상하로 관통지게 형성되고, 통로(202) 중앙에는 지지대(211)에 의해 암나사관(203)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하단부에는 설치시 천정패널(210)에 맞닿게 되는 지지날개(206)가 형성되어 있다.
외통(212)은 내면에 원통(201) 나선부(208)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선부(209)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고정시 천정패널(210) 상부에 맞닿게 되는 다수의 탄성 지지편(207)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량 조절구(205)는 통로(202)를 흐르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상부에 암나사관(203)에 나사결합되어 공기량 조절구(205)를 승강시키는 수나사봉(204)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디퓨저는 환풍구를 천정패널(210)에 설치한 상태에서,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해 공기량 조절구(205)를 돌릴 때 수사나봉(204)이 암나사관(203)으로부터 빠지지 않고 원통(201)이 외통(212)으로부터 빠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디퓨저는 공기량 조절구(205)가 천정패널(210)보다 낮게 과도하게 돌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통로(202)를 완전히 열었을 때 더욱 심하다.
그리고,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94531호(2005. 09. 02. 등록공고)의 '디퓨져 조립체'는 천정재(1)에 프레임(10)을 끼우고 관통구(13)에 볼트(3)를 체결하여 프레임(10)을 천정재(1)에 고정하고, 프레임(10)의 나사공(12)에 공기 확산구(20)의 나사 관체(22)를 나사 결합하여 프레임(10)에 공기 확산구(20)를 고정하며, 공기 확산구(20)의 나사 관체(22)에 공기 조절판(30)의 나사봉(31)을 나사 결합하여 공기 확산구(20)에 공기 조절판(30)을 고정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은 프레임을 볼트를 이용하여 천정재에 고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공기 조절을 위해 공기 조절판(30)을 회전시켰을 때 공기 확산구(20)로 함께 회전하여 공기 확산구(20)가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프레임, 공기 확산구, 공기 조절판을 분리 결합하기 위해 이중 나사 구조를 가지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실용신안공개 제20-1999-0000001호(1999. 01. 01. 공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48711호(2001. 11. 16. 등록공고)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94531호(2005. 09. 12. 등록공고)
따라서 본 고안은 나사결합 등과 같은 별도의 공정 없이도 디퓨저를 천정패널 등에 시공할 수 있을뿐더러 시공된 디퓨저가 천정패널 아래로 과도하게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공기량 조절구를 돌려 공기량 조절시 디퓨저의 다른 구성요소들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챔버와 지지날개 그리고 공기량 조절구의 체결구조를 단순화하여 디퓨저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시공성 개선된 디퓨저는, 덕트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가 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에 고정된 수나사봉이 하부의 개방구 중앙을 관통되게 설치되며 하단부에는 시공시 천정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지지날개가 연장되어 있는 챔버; 상기 수나사봉이 끼워지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구멍이 형성된 고정링을 가지며 결합시 천정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고정패널; 상기 수나사봉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챔버에 상기 하부 고정패널을 결합시켜 주는 나비 너트; 및 상기 수나사봉이 나사결합되는 제1나사공을 가지고 상기 하부 고정패널과의 간격 조절시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요홈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 고정패널과의 간격 조절에 의해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기량 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나사봉은 그의 머리부가 상기 챔버의 상단부와 일체형으로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고정패널은 돔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나사봉은 상기 하부 고정패널과 결합시 그의 하단부가 상기 지지날개의 하단부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본 고안은 천정패널의 상부와 하부를 두 개의 날개로 감싸도록 한 후 공기량 조절을 위한 공기량 조절구의 나사결합과는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나사결합으로 챔버와 지지날개를 고정함으로써 디퓨저를 천정패널에 시공하는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공기량 조절시나 외부 충격으로 인해 디퓨저의 일부 구성요소가 천정패널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은 공기량 조절구가 안쪽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부 고정패널을 돔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천정패널에 시공된 디퓨저의 하단부가 천정패널 아래로 과도하게 돌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고안은 챔버와 지지날개 그리고 공기량 조절구의 체결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디퓨저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디퓨저의 하나의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2는 종래의 디퓨저의 다른 하나의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시공성이 개선된 디퓨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시공성이 개선된 디퓨저를 천정패널(26)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시공성이 개선된 디퓨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시공성이 개선된 디퓨저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며 덕트와의 연결을 위한 챔버(11)와, 천정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며 챔버(11)에 결합되는 하부 고정패널(12), 하부 고정패널(12)을 챔버(11)에 고정시키는 나비 너트(13), 챔버(11)를 통해 순환되는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량 조절구(1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챔버(11)는 덕트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15)가 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아래방향으로 개방된 개방구(16),즉 챔버(11)의 하단부에는 천정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2개 이상의 지지날개(17)가 형성되며, 상단부(18)에는 수나사봉(19)이 하향지게 설치되어 있다. 수나사봉(19)은 그의 머리부(20)가 챔버(11) 상단부(18)와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일체형으로 고정된 구조를 가지며, 수나사봉(19)은 하부 고정패널(12)과 결합시 그의 하단부가 상기 지지날개(12)의 하단부보다 높게 위치하는데, 이는 수나사봉(19), 더 나아가서는 공기량 조절구(14)의 하단부가 천정패널보다 낮게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부 고정패널(12)은 지지날개(17)와의 사이에 천정패널을 두고 챔버(11)에 결합되어 디퓨저를 천정패널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중앙이 개방된 홈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지지대(24) 위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구멍을 가지는 고정링(21)이 마련된다. 즉, 고정링(21)은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관통공을 갖는다.
여기서 하부 고정패널(12)을 중앙이 개방된 돔 형상으로 성형하는 이유는 수나사봉(19)의 하단부와 나비 너트(13) 그리고 공기 조절구(14)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히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천정패널(26)에 디퓨저가 시공되었을 때, 또는 공기량 조절구(14)를 회전시켜 공기량을 조절할 때 하부 고정패널(12)이나 공기량 조절구(14)의 하단부가 천정패널(26)보다 과도하게 아래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챔버(11)의 지지날개(17)와 하부 고정패널(12)이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천정패널(26)의 두께에 관계없이 디퓨저 즉, 챔버(11)와 하부 고정패널(12)을 천정패널(26)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나비 너트(13)는 하부 고정패널(12)을 챔버(11)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이는 통상의 나비 너트와 마찬가지로 중앙에 수나사봉(19)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제2나사공(22)이 상하로 관통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량 조절구(14)는 하부 고정패널(12)과의 간격 조절에 의해 공기량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상부중앙에 수나사봉(19)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제1나사공(23)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챔버(11)를 통해 순환되는 공기가 사방으로 퍼지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공기량 조절구(14)는 하면에 손가락 등을 끼울 수 있는 요홈(25)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하부 고정패널(12)과의 간격을 조절할 때 공기량 조절구(14)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공기량 조절구(14)를 돌려도 나비 너트(13)나 하부 고정패널(12) 등이 함께 돌아가지 않으므로 공기량 조절이나 외부 충격에 관계없이 챔버(11), 하부 고정패널(12), 나비 너트(13) 등의 체결상태가 견고히 유지된다.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시공성이 개선된 디퓨저를 천정패널(26)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먼저, 작업자는 천정패널(26)에 디퓨저를 설치할 수 있는 구멍을 뚫는다.
이어, 작업자는 천정패널(26)의 상부에 챔버(11)를 올려놓는데, 이때 지지날개(17)는 구멍 주변의 천정패널(26) 상부에 위치하고 수나사봉(19)은 천정패널(26) 구멍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천정패널(26) 위에 챔버(11)를 올려놓은 후 작업자는 천정패널(26)의 구멍에 하부 고정패널(12)을 결합하는데, 이때 챔버(11)의 지지날개(17)와 하부 고정패널(12) 사이에 천정패널(26)이 위치해야 한다.
또한 챔버(11)의 수나사봉(19)이 하부 고정패널(12) 중앙의 고정링(21)에 끼워진 상태에서 수나사봉(19)에 나비 너트(13)가 나사 결합되므로 하부 고정패널(12)이 천정패널(26)의 하부를 감싸면서 챔버(11)와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이어서, 작업자는 수나사봉(19)의 하단부를 공기량 조절구(14)의 제1나사공(23)에 나사 결합하는 것으로 디퓨저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후, 작업자는 공기량 조절구(14)의 요홈(25)에 손가락 등을 끼워 공기량 조절구(14)를 회전시켜 하부 고정패널(12)와 공기량 조절구(14)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챔버(11)를 통해 순환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작업자는 공기량 조절구(14)를 회전시켜 공기 조절구(14)와 하부 고정패널(12)이 맞닿도록 함으로써 디퓨져를 통해 순환되는 공기를 완전히 차단할 수도 있다.
이때 작업자가 공기량 조절을 위해 공기량 조절구(14)를 어떠한 방향으로 돌려도 나비 너트(13)나 하부 고정패널(12) 기타 다른 구성요소들이 함께 회전하지 않으므로 천정패널(26)에 결합된 디퓨저를 구성하는 챔버(11), 하부 고정패널(12), 나비 너트(13) 등의 결합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특히, 수나사봉(19), 나비 너트(13), 공기량 조절구(14) 등이 도4에서와 같이 돔 형상의 하부 고정패널(12)의 하부에 완전히 수용되어 있으므로 공기량 조절을 위해 공기 조절구(14)를 돌려도 공기 조절구(14)의 하단부가 천정패널보다 낮게 돌출되지 않는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진술한 설명이 아니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 챔버 12 : 하부 고정패널
13 : 나비 너트 14 : 공기량 조절구
15 : 연결구 16 : 개방구
17 : 지지날개 18 : 상단부
19 : 수나사봉 20 : 머리부
21 : 고정링 22 : 제1나사공
23 : 제2나사공 24 : 지지대
25 : 요홈 26 : 천정패널

Claims (4)

  1. 덕트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15)가 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단부(18)에 고정된 수나사봉(19)이 하부의 개방구(16) 중앙을 관통되게 설치되며 하단부에는 시공시 천정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지지날개(17)가 연장되어 있는 챔버(11);
    상기 수나사봉(19)이 끼워지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구멍이 형성된 고정링(21)을 가지며 결합시 천정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고정패널(12);
    상기 수나사봉(19)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챔버(11)에 상기 하부 고정패널(12)을 결합시켜 주는 나비 너트(13); 및
    상기 수나사봉(19)이 나사결합되는 제1나사공(23)을 가지고 상기 하부 고정패널(12)과의 간격 조절시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요홈(25)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 고정패널(12)과의 간격 조절에 의해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기량 조절구(1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개선된 디퓨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봉(19)은 그의 머리부(20)가 상기 챔버(11)의 상단부(18)와 일체형으로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개선된 디퓨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패널(12)은 돔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개선된 디퓨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봉(19)은 상기 하부 고정패널(12)과 결합시 그의 하단부가 상기 지지날개(12)의 하단부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개선된 디퓨저.
KR2020120006098U 2012-07-11 2012-07-11 시공성이 개선된 디퓨저 KR2004712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098U KR200471258Y1 (ko) 2012-07-11 2012-07-11 시공성이 개선된 디퓨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098U KR200471258Y1 (ko) 2012-07-11 2012-07-11 시공성이 개선된 디퓨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451U true KR20140000451U (ko) 2014-01-21
KR200471258Y1 KR200471258Y1 (ko) 2014-02-13

Family

ID=51419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098U KR200471258Y1 (ko) 2012-07-11 2012-07-11 시공성이 개선된 디퓨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25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124B1 (ko) * 2015-05-07 2015-06-16 이상준 실내 환기 설비용 원형 디퓨저
KR20220051918A (ko) * 2020-10-20 2022-04-27 (주)알레스테크 자동 조절식 디퓨저
KR20220101905A (ko) *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휴앤텍 전동 디퓨저
KR20220156156A (ko) * 2021-05-18 2022-11-25 주식회사 휴앤텍 전동 디퓨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283Y1 (ko) 2002-07-19 2002-10-30 서봉석 디퓨져 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124B1 (ko) * 2015-05-07 2015-06-16 이상준 실내 환기 설비용 원형 디퓨저
KR20220051918A (ko) * 2020-10-20 2022-04-27 (주)알레스테크 자동 조절식 디퓨저
KR20220101905A (ko) *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휴앤텍 전동 디퓨저
KR20220156156A (ko) * 2021-05-18 2022-11-25 주식회사 휴앤텍 전동 디퓨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258Y1 (ko) 201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258Y1 (ko) 시공성이 개선된 디퓨저
KR101595499B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US20080224013A1 (en) Ceiling Fan Mounting System
KR100957122B1 (ko) 환기덕트의 디퓨저
KR200414327Y1 (ko) 디퓨저
KR100963035B1 (ko) 탈착식 디퓨져
KR200471011Y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KR200450750Y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덕트프레임 고정구조
US7828224B2 (en) Air conditioning diffuser having function of automatically changing air supply direction
KR100888876B1 (ko) 천장형 에어컨의 실내기
KR200456318Y1 (ko) 공기 조절기
KR200461342Y1 (ko)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
KR200394531Y1 (ko) 디퓨져 조립체
KR20110009265U (ko) 디퓨져 확산팬 고정구조
KR200446170Y1 (ko) 디퓨져 조립체
KR200381011Y1 (ko) 덕트 일체형 디퓨져 조립체
KR101555921B1 (ko) 디퓨져 탈부착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
KR102025331B1 (ko) 실외기 설치용 유동방지 지그
KR102273892B1 (ko) 풍향 조절이 용이한 환기용 디퓨저
KR101685831B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CN214148155U (zh) 一种吊顶式空调内机安装结构
KR100947023B1 (ko) 공기량 조절부재 및 이를 이용한 공기 분배 시스템
KR101019646B1 (ko) 원터치 체결방식을 갖는 디퓨져
KR20160087406A (ko) 환기시스템의 수동 댐퍼
KR200322907Y1 (ko) 상수관용 분기구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312

Effective date: 201312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