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1918A - 자동 조절식 디퓨저 - Google Patents

자동 조절식 디퓨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1918A
KR20220051918A KR1020200135609A KR20200135609A KR20220051918A KR 20220051918 A KR20220051918 A KR 20220051918A KR 1020200135609 A KR1020200135609 A KR 1020200135609A KR 20200135609 A KR20200135609 A KR 20200135609A KR 20220051918 A KR20220051918 A KR 20220051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iffuser
closing member
passag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9605B1 (ko
Inventor
송진환
Original Assignee
(주)알레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레스테크 filed Critical (주)알레스테크
Priority to KR1020200135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605B1/ko
Publication of KR20220051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2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having one or more bowls or cones diverging in the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30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절식 디퓨저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덕트에 결합되는 자동 조절식 디퓨저에 있어서, 상기 덕트와 결합되고, 상기 덕트의 내부 유로와 연결되는 통로를 구비하는 디퓨저 본체; 상기 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디퓨저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를 움직이기 위한 이동력을 상기 개폐부재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디퓨저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유닛; 상기 개폐부재와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재에 연결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위치에 따라 가변하는 저항값에 상응하는 출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디퓨저 본체에 설치되는 포텐셔미터; 및 상기 포텐셔미터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포텐셔미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조절식 디퓨저{AUTO ADJUSTABLE DIFFUSER}
본 발명은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가 유동하는 덕트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공기의 유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자동 조절식 디퓨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건물, 선박 등에는 실내의 온도 및 습도 등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공기조화시스템이 구비된다. 공기조화시스템은 냉난방장치나 환기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천장 등에 배관된 덕트를 따라 유동시키고, 덕트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를 실내 공간을 향하여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디퓨저로 송풍한다.
디퓨저는 보통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며, 흡기와 배기를 위한 통로 역할을 한다. 즉, 디퓨저는 실내로 냉풍이나 온풍, 외기를 공급하거나,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디퓨저는 원형이나, 사각형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통로가 마련된 본체와, 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한다. 디퓨저는 천장 등의 지정된 위치에 형성된 구멍에 일부분이 실내로 노출되도록 매립 설치된다.
종래의 디퓨저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도율이 조절되는 구조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수동식 디퓨저는 사용자가 디퓨저의 개폐부재를 개방시키거나 차폐하도록 조작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다. 그리고 실내의 냉난방 부하나, 실내에 요구되는 외기량에 따라 개도율이 정확하게 조절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수동식 디퓨저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모터 등을 이용하여 개도율을 자동 조절하는 디퓨저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디퓨저는 단순한 개폐 동작은 가능하나 개도율의 다단 조절이 쉽지 않다. 즉, 개폐부재의 실질적인 위치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개폐부재를 목표 개도율에 맞춰 정확하게 위치 제어하기 어렵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957122호 (2010. 05. 03.)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개폐부재의 위치 확인이 가능하고, 목표 개도율에 맞춰 개폐부재를 정확하게 위치 제어할 수 있는 자동 조절식 디퓨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절식 디퓨저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덕트에 결합되는 자동 조절식 디퓨저에 있어서, 상기 덕트와 결합되고, 상기 덕트의 내부 유로와 연결되는 통로를 구비하는 디퓨저 본체; 상기 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디퓨저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를 움직이기 위한 이동력을 상기 개폐부재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디퓨저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유닛; 상기 개폐부재와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재에 연결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위치에 따라 가변하는 저항값에 상응하는 출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디퓨저 본체에 설치되는 포텐셔미터; 및 상기 포텐셔미터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포텐셔미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개폐부재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디퓨저 본체에 설치되는 너트부재와, 상기 개폐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너트부재와 맞물려 상기 너트부재의 회전에 따라 나사 운동할 수 있는 스크류축과, 상기 너트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절식 디퓨저는,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축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스크류축 및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절식 디퓨저는, 상기 구동유닛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통로에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너트부재가 삽입되는 너트부재 설치부를 갖는 허브와, 일단이 상기 디퓨저 본체의 내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허브에 결합되어 상기 허브를 지지하는 복수의 스포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모터와 결합되고, 상기 너트부재 설치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허브에 마련되는 구동기어 설치부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부재와 맞물려 회전하는 구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너트부재 설치부는 상기 통로의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기어 설치부는 상기 통로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스크류축의 끝단이 맞물림 결합될 수 있는 나사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는, 일부분이 상기 통로 속으로 삽입 가능하고, 상기 디퓨저 본체에 접하여 상기 통로를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디퓨저 본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의 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퓨저 본체는, 내측에 상기 통로가 마련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갖고, 상기 하우징부의 끝단에 연결되는 환형의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콘부가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끝단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곡선형의 접촉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절식 디퓨저는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의 위치 변화에 따라 포텐셔미터가 연동하며, 포텐셔미터가 개폐부재의 위치에 따라 가변하는 저항값에 상응하는 출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포텐셔미터의 출력 신호를 통해 개폐부재의 실질적인 위치 확인이 가능하다. 그리고 포텐셔미터의 출력 신호를 피드백 신호로 하여 개폐부재를 움직이는 구동유닛을 피드백 제어함으로써 정확한 개도율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절식 디퓨저의 설치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절식 디퓨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절식 디퓨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절식 디퓨저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절식 디퓨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Ⅰ-Ⅰ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절식 디퓨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계없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절식 디퓨저(100)는 건물이나 선박 등 다양한 고정 또는 이동 구조물에 설치되는 덕트(10)에 결합됨으로써 흡기와 배기를 위한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절식 디퓨저(100)는 덕트(10)와 결합되는 디퓨저 본체(110)와, 디퓨저 본체(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부재(130)와, 개폐부재(130)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140)과, 개폐부재(130)의 위치에 따라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포텐셔미터(150)와, 포텐셔미터(150)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구동유닛(140)을 제어하는 제어부(16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 조절식 디퓨저(100)가 건물의 천장(20)에 설치되어 건물의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 유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디퓨저 본체(110)는 덕트(10)의 끝단에 결합되는 하우징부(111)와, 하우징부(111)의 끝단에 구비되는 플랜지부(114)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11)의 내측에는 덕트(10)에 의해 가이드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덕트(10)의 내부 유로(11)와 연결되는 통로(112)가 마련된다. 하우징부(111)의 형상은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특정한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부(111)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플랜지부(114)는 하우징부(111)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환형으로 이루어진다. 플랜지부(114)는 하우징부(111)의 끝단에 하우징부(111)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플랜지부(114)는 자동 조절식 디퓨저(100)의 설치를 위해 천장(20)에 형성되는 구멍을 덮어 천장(20)의 구멍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한다.
플랜지부(114)에는 하우징부(111)의 끝단으로부터 확관되는 형상의 접촉부(115)가 구비된다. 접촉부(115)는 하우징부(111)의 끝단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접촉부(115)에는 개폐부재(130)가 밀착될 수 있다. 접촉부(115)는 개폐부재(130)가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는 곡면형으로 이루어진다.
디퓨저 본체(110)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덕트(10)에 결합되어 덕트(10)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디퓨저 본체(110)의 내측에는 구동유닛(140)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 프레임(120)이 구비된다. 지지 프레임(120)은 통로(112)의 중간에 배치되는 허브(121)와, 허브(121)를 지지하는 복수의 스포크(122)와, 허브(121) 위에 배치되는 지지판(126)을 포함한다.
허브(121)에는 너트부재 설치부(123)와, 구동기어 설치부(124)가 구비된다. 너트부재 설치부(123)는 통로(112)의 중앙에 배치되고, 구동기어 설치부(124)는 너트부재 설치부(123)와 인접하도록 통로(112)의 중앙에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된다. 너트부재 설치부(123)에는 구동유닛(140)의 너트부재(14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기어 설치부(124)에는 구동유닛(140)의 구동기어(14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허브(121)는 복수의 스포크(122)에 의해 지지된다. 스포크(122)는 일단이 디퓨저 본체(110)의 내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허브(121)에 결합되어 허브(121)를 지지한다. 스포크(122)는 허브(121)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통로(112)를 통한 공기의 유동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허브(12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지지판(126)은 허브(121) 위에 결합된다. 지지판(126)에는 너트부재 설치부(123)에 대응하는 관통구(127)와, 구동기어 설치부(124)에 대응하는 관통구(128)가 형성된다. 지지판(126)은 구동유닛(140)의 일부 구성과, 포텐셔미터(15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20)은 도시된 구조 이외에, 디퓨저 본체(110)에 구비되어 구동유닛(140)과 포텐셔미터(150)를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개폐부재(130)는 디퓨저 본체(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디퓨저 본체(110)의 통로(112)를 개폐할 수 있다. 개폐부재(130)는 디퓨저 본체(110)에 접하여 통로(112)를 밀폐할 수 있는 콘부(131)를 갖는다. 콘부(131)는 디퓨저 본체(1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콘(cone)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콘부(131)는 일부분이 통로(112) 속으로 삽입될 수 있고, 디퓨저 본체(110)의 접촉부(115)에 밀착됨으로써 통로(112)를 밀폐할 수 있다. 콘부(131)의 중앙에는 나사홈(132)이 구비된다. 나사홈(132)에는 후술할 스크류축(147)이 맞물림 결합될 수 있다.
개폐부재(130)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디퓨저 본체(1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디퓨저 본체(110)의 통로(112)를 개폐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구동유닛(140)은 디퓨저 본체(110)에 설치되어 개폐부재(130)에 이동력을 제공한다. 구동유닛(140)은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141)와, 모터(14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너트부재(143)와, 너트부재(143)와 작용하여 나사 운동할 수 있도록 개폐부재(130)에 결합되는 스크류축(147)을 포함한다.
모터(141)는 지지 프레임(120)에 설치되는 구동기어(142)와 결합되도록 지지 프레임(120)에 설치된다. 구동기어(142)는 너트부재(143)와 맞물리도록 지지 프레임(120)의 구동기어 설치부(124)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모터(141)는 구동기어(142)를 정방향 회전 및 역방향 회전시킬 수 있다.
너트부재(143)는 구동기어(142)와 맞물리도록 지지 프레임(120)의 너트부재 설치부(12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모터(141)가 작동할 때 모터(141)의 회전력이 구동기어(142)를 통해 너트부재(143)에 전달될 수 있다. 너트부재(143)의 내측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암나사부(144)가 구비된다. 그리고 너트부재(143)의 외주면에는 구동기어(142)와 맞물리는 기어부(145)가 구비된다. 구동기어(142)의 회전력이 너트부재(143)에 전달됨으로써 너트부재(143)는 정방향 회전 및 역방향 회전이 가능하다.
스크류축(147)은 너트부재(143)를 관통하도록 너트부재(143)와 결합된다. 스크류축(147)은 너트부재(143)의 암나사부(144)와 맞물리는 수나사부(148)를 갖는다. 스크류축(147)의 수나사부(148)가 너트부재(143)와 암나사부(144)와 맞물림으로써 스크류축(147)은 너트부재(143)와 작용하여 나사 운동할 수 있다. 너트부재(143)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스크류축(147)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스크류축(147)은 그 끝단이 개폐부재(130)와 맞물리도록 개폐부재(130)의 나사홈(132)에 삽입된다. 스크류축(147)과 개폐부재(130)의 결합 방식은 특별한 방식으로 제한되지 않고, 도시된 방식 이외의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구동유닛(140)은 개폐부재(130)에 선형 이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모터(141)가 작동하면 모터(141)의 회전력이 구동기어(142)를 통해 너트부재(143)에 전달되고, 너트부재(143)가 회전하면 스크류축(147)이 나사 운동하여 개폐부재(130)를 선형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유닛(140)은 도시된 것과 같이, 모터(141)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너트부재(143)와, 너트부재(143)와 맞물려 나사 운동하는 스크류축(147)을 포함하는 구조 이외에, 개폐부재(130)를 움직일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포텐셔미터(150)는 개폐부재(130)와 연결되도록 디퓨저 본체(110)에 설치되어 개폐부재(130)의 변위에 따라 출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포텐셔미터(150)는 본체부(151)와, 본체부(15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154)를 포함한다. 본체부(151)는 지지 프레임(120)에 고정되는 기판(160)에 결합될 수 있다. 본체부(151)에는 슬라이더(154)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릿(152)이 구비된다. 본체부(151)는 슬릿(152)이 개폐부재(13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놓이도록 지지 프레임(120)에 설치된다. 본체부(151)의 내부에는 슬라이더(15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저항체(미도시)와, 슬라이더(154)와 결합되고 저항체와 접속되어 움직이는 브러시가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더(154)는 개폐부재(130)에 연결되어 개폐부재(13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슬라이더(154)는 연결부재(156)를 통해 스크류축(147)에 연결된다. 연결부재(156)에는 슬라이더(154)가 삽입되는 삽입홀(157)이 구비된다. 연결부재(156)는 삽입홀(157)에 슬라이더(154)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슬라이더(154)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56)는 도시된 것과 같이 나사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스크류축(147)의 끝단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156)는 그 구조가 특정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개폐부재(130)와 슬라이더(154)를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도면에는 연결부재(156)가 스크류축(147)을 통해 개폐부재(130)와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연결부재(156)는 개폐부재(130)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156)가 스크류축(147)에 결합되어 개폐부재(130)와 슬라이더(154)를 연결함으로써 개폐부재(130) 및 스크류축(147)의 회전 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너트부재(143)가 회전할 때 너트부재(143)와 맞물린 스크류축(147)이 회전하지 않는다. 그리고 스크류축(147)이 회전하지 못함으로써 너트부재(143)가 회전하면 스크류축(147)이 나사 운동하여 선형 이동할 수 있다.
포텐셔미터(150)는 슬라이더(154)가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154)에 결합되는 브러시가 저항체를 따라 움직여 저항값이 변하게 되고, 저항값에 상응하는 출력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165)에 제공할 수 있다. 포텐셔미터(150)는 통로(112)의 개도율이 변함에 따라 저항값이 일정하게 감소 또는 증가하도록 세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텐셔미터(150)는 통로(112)의 개도율이 증가함에 따라 그 저항값이 증가하도록 세팅될 수 있다. 반대로, 포텐셔미터(150)는 통로(112)의 개도율이 증가함에 따라 그 저항값이 감소하도록 세팅될 수도 있다.
또한, 포텐셔미터(150)의 저항값과 통로(112)의 개도율은 적절하게 매칭되어 제어부(165)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로(112)의 개도율이 증가하면 포텐셔미터(150)의 저항값도 증가하도록 통로(112)의 개도율과 포텐셔미터(150)의 저항값이 매칭될 수 있다. 이 경우, 포텐셔미터(150)의 최대 저항값이 통로(112)의 최대 개도율과 매칭되고, 최소 저항값이 개도율 0(통로 닫힘)에 매칭될 수 있다. 반대로, 통로(112)의 개도율이 증가하면 포텐셔미터(150)의 저항값이 감소하도록 통로(112)의 개도율과 포텐셔미터(150)의 저항값이 매칭될 수 있다. 이 경우, 포텐셔미터(150)의 최대 저항값이 개도율 0에 매칭되고, 최소 저항값이 최대 개도율과 매칭될 수 있다.
제어부(165)는 지지 프레임(120)에 고정되는 기판(160)에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65)는 포텐셔미터(150)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통로(112)의 개도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포텐셔미터(150)의 출력 신호에 따라 구동유닛(140)을 제어하여 개폐부재(130)를 움직임으로써 통로(112)의 개도율을 조절할 수 있다.
개폐부재(130)의 위치에 따른 통로(112)의 개도율은 최대값과 최소값,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의 중간값들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중간값들은 적절한 개수로, 또한 적절한 크기 비율로 증감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65)는 통로(112)에 대한 목표 개도율이 결정되면, 포텐셔미터(150)로부터 출력 신호를 피드백받으면서 통로(112)의 개도율이 목표 개도율에 도달하도록 개폐부재(130)를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절식 디퓨저(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건물의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이 선택되면 자동 조절식 디퓨저(100)의 개도율이 결정된다. 여기에서, 건물의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은 자동 조절식 디퓨저(100)가 설치된 실내의 개별 제어기 또는 세대에 설치되는 중앙 제어기 등을 통해 선택될 수 있다.
공기의 공급 유량에 따른 자동 조절식 디퓨저(100)의 개도율이 결정되면, 제어부(165)가 구동유닛(140)의 모터(141)를 작동시킨다. 이때, 모터(141)의 회전력이 구동기어(142)를 통해 너트부재(143)에 전달되고, 너트부재(143)가 회전함에 따라 스크류축(147)이 나사 운동하여 개폐부재(130)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스크류축(147)이 움직이면 포텐셔미터(150)의 슬라이더(154)가 이에 연동하고, 포텐셔미터(150)가 개폐부재(130)의 위치에 따라 가변하는 저항값에 상응하는 출력 신호를 발생한다. 제어부(165)는 포텐셔미터(150)로부터 출력 신호를 피드백받아 구동유닛(140)을 제어함으로써 자동 조절식 디퓨저(100)의 개도율이 목표 개도율에 도달하도록 개폐부재(130)를 정확하게 위치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로(112)을 닫아야 하는 경우, 제어부(165)는 포텐셔미터(150)로부터 출력 신호를 피드백받으면서 개폐부재(130)가 닫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동유닛(140)을 작동시킨다. 그리고 포텐셔미터(150)가 개도율 0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발생할 때 구동유닛(140)을 정지시킴으로써 도 9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개폐부재(130)를 통로(112)를 밀폐한 상태로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개폐부재(130)의 콘부(131)가 디퓨저 본체(110)의 접촉부(115)에 밀착됨으로써 통로(112)를 통한 공기의 유동이 차단된다.
한편, 실내로 공기를 일정 유량으로 유입시켜야 하는 경우, 제어부(165)는 포텐셔미터(150)로부터 출력 신호를 피드백받으면서 도 9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개폐부재(130)가 열림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동유닛(140)을 작동시킨다. 그리고 포텐셔미터(150)가 목표 개도율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발생할 때 구동유닛(140)을 정지시켜 공기가 통로(112)를 통해 일정 유량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실내로 공기를 최대 유량으로 유입시켜야 하는 경우, 제어부(165)는 포텐셔미터(150)로부터 출력 신호를 피드백받으면서 개폐부재(130)가 최대 열림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동유닛(140)을 작동시킨다. 그리고 포텐셔미터(150)가 최대 개도율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발생할 때 구동유닛(140)을 정지시킴으로써 도 9의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개폐부재(130)를 최대 열림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절식 디퓨저(100)는 개폐부재(130)의 위치 변화에 따라 포텐셔미터(150)가 연동하며, 포텐셔미터(150)가 개폐부재(130)의 위치에 따라 가변하는 저항값에 상응하는 출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포텐셔미터(150)의 저항값은 고유값이므로, 포텐셔미터(150)의 저항값을 통해 개폐부재(130)의 실질적인 위치 확인이 가능하다. 따라서 포텐셔미터(150)의 출력 신호를 피드백 신호로 하여 개폐부재(130)를 움직이는 구동유닛(140)을 피드백 제어함으로써 정확한 개도율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절식 디퓨저(100)는 구동유닛(140)을 이용하여 개폐부재(130)를 움직임으로써, 덕트(1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설정된 유량에 맞춰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절식 디퓨저(100)는 디퓨저 본체(1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120)에 구동유닛(140)과 포텐셔미터(150)가 설치되므로, 구동유닛(140)과 포텐셔미터(150)가 디퓨저 본체(1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구조가 컴팩트하고, 덕트(10)와 쉽고 안정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절식 디퓨저(100)는 구동유닛(140)을 이용하여 개폐부재(130)를 움직임으로써, 덕트(1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설정된 유량에 맞춰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앞서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절식 디퓨저가 덕트에 결합되어 덕트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공급 유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절식 디퓨저는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흡입 유량을 제어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자동 조절식 디퓨저 110 : 디퓨저 본체
111 : 하우징부 112 : 통로
114 : 플랜지부 115 : 접촉부
120 : 지지 프레임 121 : 허브
122 : 스포크 123 : 너트부재 설치부
124 : 구동기어 설치부 126 : 지지판
130 : 개폐부재 131 : 콘부
140 : 구동유닛 141 : 모터
142 : 구동기어 143 : 너트부재
150 : 포텐셔미터 151 : 본체부
154 : 슬라이더 156 : 연결부재
160 : 기판 165 : 제어부

Claims (9)

  1. 공기를 가이드하는 덕트에 결합되는 자동 조절식 디퓨저에 있어서,
    상기 덕트와 결합되고, 상기 덕트의 내부 유로와 연결되는 통로를 구비하는 디퓨저 본체;
    상기 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디퓨저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를 움직이기 위한 이동력을 상기 개폐부재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디퓨저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유닛;
    상기 개폐부재와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재에 연결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위치에 따라 가변하는 저항값에 상응하는 출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디퓨저 본체에 설치되는 포텐셔미터; 및
    상기 포텐셔미터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포텐셔미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절식 디퓨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개폐부재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디퓨저 본체에 설치되는 너트부재와,
    상기 개폐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너트부재와 맞물려 상기 너트부재의 회전에 따라 나사 운동할 수 있는 스크류축과,
    상기 너트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절식 디퓨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축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스크류축 및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절식 디퓨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통로에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너트부재가 삽입되는 너트부재 설치부를 갖는 허브와,
    일단이 상기 디퓨저 본체의 내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허브에 결합되어 상기 허브를 지지하는 복수의 스포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절식 디퓨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모터와 결합되고, 상기 너트부재 설치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허브에 마련되는 구동기어 설치부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부재와 맞물려 회전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절식 디퓨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재 설치부는 상기 통로의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기어 설치부는 상기 통로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절식 디퓨저.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스크류축의 끝단이 맞물림 결합될 수 있는 나사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절식 디퓨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일부분이 상기 통로 속으로 삽입 가능하고, 상기 디퓨저 본체에 접하여 상기 통로를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디퓨저 본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의 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절식 디퓨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 본체는,
    내측에 상기 통로가 마련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갖고, 상기 하우징부의 끝단에 연결되는 환형의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콘부가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끝단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곡선형의 접촉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절식 디퓨저.
KR1020200135609A 2020-10-20 2020-10-20 자동 조절식 디퓨저 KR102529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609A KR102529605B1 (ko) 2020-10-20 2020-10-20 자동 조절식 디퓨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609A KR102529605B1 (ko) 2020-10-20 2020-10-20 자동 조절식 디퓨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918A true KR20220051918A (ko) 2022-04-27
KR102529605B1 KR102529605B1 (ko) 2023-05-11

Family

ID=81391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609A KR102529605B1 (ko) 2020-10-20 2020-10-20 자동 조절식 디퓨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6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96588A1 (en) * 2022-06-23 2023-12-27 Innoair OÜ Ventilator unit and method for autonomous ventilation using the ventilator uni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594A (ko) * 2002-08-31 2004-03-09 삼광공조 주식회사 대공간 공조용 디퓨저
KR20090007920U (ko) * 2008-01-31 2009-08-05 정동진 자동 풍량 조절 디퓨샤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0940184B1 (ko) * 2009-01-20 2010-02-04 주식회사 옴니벤트 전동 디퓨저
KR100957122B1 (ko) 2008-03-27 2010-05-13 이기동 환기덕트의 디퓨저
KR20140000451U (ko) * 2012-07-11 2014-01-21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시공성이 개선된 디퓨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594A (ko) * 2002-08-31 2004-03-09 삼광공조 주식회사 대공간 공조용 디퓨저
KR20090007920U (ko) * 2008-01-31 2009-08-05 정동진 자동 풍량 조절 디퓨샤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0957122B1 (ko) 2008-03-27 2010-05-13 이기동 환기덕트의 디퓨저
KR100940184B1 (ko) * 2009-01-20 2010-02-04 주식회사 옴니벤트 전동 디퓨저
KR20140000451U (ko) * 2012-07-11 2014-01-21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시공성이 개선된 디퓨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96588A1 (en) * 2022-06-23 2023-12-27 Innoair OÜ Ventilator unit and method for autonomous ventilation using the ventilator unit
EP4296587A1 (en) * 2022-06-23 2023-12-27 Innoair OÜ An autonomous ventilation control device, an autonomous system of ventilation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utonomous venti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9605B1 (ko)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7669B2 (en) Variable air volume control apparatus
US7178545B2 (en) Modulating bypass control system and method
US11578890B2 (en) Air diffuser with manual and motorized plates
US6527194B1 (en) Flow control damper
WO2012112562A2 (en) Variable orifice rotary valves for controlling gas flow
KR100957122B1 (ko) 환기덕트의 디퓨저
KR102529605B1 (ko) 자동 조절식 디퓨저
KR20110006282A (ko) 전동식 풍량조절 취출콘을 갖는 디퓨져
US20240142134A1 (en) Adjustable automatic airflow control damper system
JP2018173207A (ja) 可変風量装置
US20190101298A1 (en) Fresh air hood system for mini splits
KR101635420B1 (ko) 벤츄리 형상을 가진 가변형 풍량 조절장치
CN111197801A (zh) 空调引风调节的防夹手控制方法
BE1027970A1 (nl) Klepsamenstel voor een luchtkanaal in of aan een ventilatiesysteem
KR20090007920U (ko) 자동 풍량 조절 디퓨샤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N111197800A (zh) 空调引风调节的自动控制方法
KR20180047817A (ko) 공조용 나선형 날개를가진 가변 댐퍼
KR101995976B1 (ko) 매립형 개폐기를 구비하는 자동가변선회 디퓨저
KR20030059887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4263980A (zh) 全热交换器
CN206592612U (zh) 一种电动气流量控制阀
EP4090892B1 (en) Valve assembly for an air duct
KR100959705B1 (ko) 공기조화기용 댐퍼
KR102395958B1 (ko) 급속 주방공기 청정 시스템
KR200475753Y1 (ko) 디퓨져의 풍향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