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5559B1 - 풍향조절이 가능한 디퓨져 - Google Patents

풍향조절이 가능한 디퓨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5559B1
KR101015559B1 KR1020080084009A KR20080084009A KR101015559B1 KR 101015559 B1 KR101015559 B1 KR 101015559B1 KR 1020080084009 A KR1020080084009 A KR 1020080084009A KR 20080084009 A KR20080084009 A KR 20080084009A KR 101015559 B1 KR101015559 B1 KR 101015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direction
diffuser
lifting
elevating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5301A (ko
Inventor
이덕규
Original Assignee
이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규 filed Critical 이덕규
Priority to KR1020080084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5559B1/ko
Publication of KR20100025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5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5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2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having one or more bowls or cones diverging in the flow dir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풍향조절이 가능한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이는 공기를 그 내부로 통과시켜 실내로 유도하는 디퓨져본체와; 상기 디퓨져본체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풍향조절승강체와; 상기 디퓨져본체의 내부에 고정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와; 상기 풍향조절승강체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에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부에 접하고 온도변화에 따라 작동하여 승강부를 통해 풍향조절승강체의 위치를 조절하는 작동부재가 구비되는 써모스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풍향조절이 가능한 디퓨져는, 디퓨져본체에 설치되는 풍향조절승강체의 승강운동을 위하여 써모스탯(thermostat)을 사용하므로 무엇보다 구조가 간단하고 경량이며 특히 전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기배선 등의 설치작업이 불필요하고, 또한 풍향조절승강체가 써모스탯에 의해 실시간 제어되므로 그만큼 사용이 간편하고 냉난방 성능을 최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디퓨져, 풍향조절, 콘, 승강부재

Description

풍향조절이 가능한 디퓨져{Diffuser can wind direction controlling}
본 발명은 풍향조절이 가능한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건축되는 아파트나 오피스빌딩 또는 주상복합 등의 건물은 냉난방 에너지의 소비를 최대로 줄이기 위하여 매우 높은 기밀성을 유지하며 특히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하기 위하여 대부분 중앙 제어식 공기조화장치를 갖는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건물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필터링 하여 실내로 공급하고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본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한 공기조화장치에는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실내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덕트와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를 공통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급기덕트 및 배기덕트는 이를테면 실내의 천장에 배치되어 실내 공간의 구석구석에 공기를 공급하거나 오염된 공기를 흡기하여 실외로 배출한다.
아울러 상기 급기덕트 및 배기덕트의 단부에는 공기의 공급과 배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디퓨져가 장착된다. 상기 급기덕트에 설치되는 디퓨져는 급기덕트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공간의 보다 넓은 범위로 퍼뜨리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급기덕트에 고정되는 디퓨져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기덕트로 유도하여 배 기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급기용 디퓨져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는 공기를 실내 공간에 보다 효율적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예컨대 여름철에 찬 공기를 공급할 때에는 찬공기가 (디퓨져로부터 바로 하강하는 것이 아니라) 천장면을 따라 최대한 퍼진 후 하강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며, 겨울철에 더운 공기를 공급할 때에는 더운 공기를 일단 최대한 하강시켜 대류 난방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디퓨져의 내부에는 풍향을 조절하기 위한 여러 가지 장치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풍향조절이 가능한 디퓨져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풍향조절이 가능한 디퓨져(11)는, 급기덕트(미도시)의 단부에 연결되며 천장에 매립 설치되는 본체(13)와, 상기 본체(13)가 제공하는 공기유동로(13a)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콘(cone)(15)과, 상기 콘(15)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콘(15)의 상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랙기어(17)와, 상기 랙기어(17)에 치합하는 피니언기어(19)와, 상기 피니언기어(19)를 회전시키는 모터(21)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21)의 구동축(23)은 피니언기어(19)에 고정되어 모터의 회전토오크를 랙기어(17)로 전달한다.
도면부호 25는 지지브라켓이다. 상기 지지브라켓(25)은 본체(13)의 외부에 모터(21)를 정위치 시키는 받침대로서 디퓨져의 제작시 볼트나 리벳을 통해 본 체(13)에 고정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디퓨져(11)에 있어서 디퓨져(11)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콘(15)의 높이를 조절하면 된다. 콘(15)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모터(21)를 동작시킨다. 즉 모터(21)에 전기 신호를 보내어 구동축(23)을 일측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콘(15)을 승강 시키는 것이다.
이를테면 겨울철에는 구동축(23)을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켜 콘(15)을 위로 올림으로써 공기를 하부로 낙하시키고, 여름철에는 구동축(23)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콘(15)을 하강시킴으로써 디퓨져를 빠져나가는 찬공기가 넓게 퍼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디퓨져(11)는, 콘(15)을 승강시키기 위하여, 즉 공급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모터와 전기를 반드시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디퓨져의 단가를 상승시킴은 물론 설치 및 유지 보수 상의 여러 문제를 야기한다.
즉, 하나의 디퓨져(11)에 하나의 모터가 필요하므로 디퓨져의 단가가 그만큼 비싸며 특히 디퓨져를 설치하기 위해 천장의 내부에 전기 배선을 따로 해야하므로 설치비용이 매우 많이 소요되는 것이다. 특히 사용시간이 오래되거나 습기 많을 경우에는 전기 합선이나 누전에 의한 화재의 위험성도 있다.
아울러 상기 콘(15)이 자동으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모터(21)를 구동시켜야만 움직이는 구조이므로, 여러 이유로 모터를 구동할 수 없거나 또는 모터가 고장으로 인해 작동하지 않는다면 의도한 풍향의 조절이 불가능해진다.
또한 모터(21)를 구동할 수 있는 상태라 하더라도 콘을 최적의 지점에 위치시키는 것은 어느 정도의 숙련된 경험을 필요로 하므로, 숙달된 관리자가 없다면 디퓨져의 기능을 제대로 살릴 수 없게 된다. 예컨대 여름철에 찬공기가, 겨울철에 따뜻한 공기가 실내에 고르게 퍼지지 않아 냉난방 성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디퓨져본체에 설치되는 풍향조절승강체의 승강운동을 위하여 써모스탯(thermostat)과 스프링을 사용하므로 무엇보다 구조가 간단하고 경량이며 특히 전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기배선 등의 설치작업이 불필요하고, 또한 풍향조절승강체가 써모스탯에 의해 실시간 제어되므로 그만큼 사용이 간편하고 냉난방 성능을 최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풍향조절이 가능한 디퓨져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의 실내 천장에 설치되며 급기덕트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상기 급기덕트의 단부에 연결되며 공기를 그 내부로 통과시켜 실내로 유도하는 디퓨져본체와; 상기 디퓨져본체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위치조절을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승강체와; 상기 디퓨져본체의 내부에 고정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와; 상기 풍향조절승강체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승강부와; 상기 급기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에 반응하여 동작하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부에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부에 접하고 온도변화에 따라 작동하여 승강부를 통해 풍향조절승강체의 위치를 조절하는 작동부재가 구비되는 써모스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풍향조절승강체의 상측에 위치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나사 결합하며 프레임에 대한 나사결합 정도에 따라 수직방향 위치가 조절되는 조절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조절볼트의 측부에 나란하게 위치하며 그 하단부가 상기 풍향조절승강체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승강로드와, 상기 승강로드에 고정되며 상기 써모스탯을 조절볼트의 연직 상부에 위치시키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써모스탯은 상기 연결브라켓에 고정되되 작동부재가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조절볼트의 상단부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풍향조절승강체의 상부에는 풍향조절승강체를 하향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로드는 상기 조절볼트를 사이에 두고 두 개가 상호 평행하게 위치하며, 상기 연결브라켓은 양측의 승강로드에 고정되며 조절볼트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써모스탯은 연결브라켓에 고정된 상태로, 공급공기의 온도 변화에 반응하여 작동부재의 연장길이가 늘어나 조절볼트의 단부를 가압함에 따른 반작용력으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풍향조절승강체에 승강로드를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풍향조절승강체의 상면에는, 핀을 통해 일측 승강로드의 하단부를 풍량조절승강체에 링크시키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며 타측 승강로드의 하단부를 수용하여 탄성적으로 죄어 그 위치를 유지하는 탄성홀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풍향조절승강체의 상부에는, 승강로드에 지지된 상태로 풍향조절승강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풍향조절승강체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밸런스스프링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풍향조절이 가능한 디퓨져는, 디퓨져본체에 설치되는 풍향조절승강체의 승강운동을 위하여 써모스탯(thermostat)과 스프링을 사용하므로 무엇보다 구조가 간단하고 경량이며 특히 전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기배선 등의 설치작업이 불필요하고, 또한 풍향조절승강체가 써모스탯에 의해 실시간 제어되므로 그만큼 사용이 간편하고 냉난방 성능을 최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이 가능한 디퓨져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 절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퓨져(31)는, 급기덕트(미도시)의 단부에 고정되며 천장에 배치되는 디퓨져본체(33)와, 상기 디퓨져본체(33)가 제공하는 공기유동로(33a)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풍향조절승강체(35)와, 상기 디퓨져본체(33)의 내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며 풍향조절승강체(35)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지지부와 승강부 사이에 위치하며 지지부에 지지된 상태로 작동하여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써모스탯(51)을 포함한다.
상기 디퓨져본체(33)는 금속판을 프레싱 가공하여 제작한 것으로서 그 형상은 원형 이외에도 사각형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디퓨져본체(33)의 하단 테두리부는 외측으로 만곡되어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공기가 디퓨져본체의 주변으로 자연스럽게 퍼져나갈 수 있다.
또한 상기 풍향조절승강체(35)는 중앙부가 두텁고 테두리부가 얇은 디스크 형태의 부재로서 상면과 저면은 동일한 곡률을 갖는다. (상기 풍향조절승강체(35)는 비행접시를 연상케 한다.) 상기 풍향조절승강체(35)의 상면은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위하여 만곡되어 있으며 지지브라켓(47) 및 탄성홀더(49)를 갖는다.
상기 지지브라켓(47)은 금속판을 절곡하여 제작한 부재로서 상부로 개방된 ㄷ 자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지지브라켓(47)은 후술할 제 1승강로드(39)의 하단부를 수용 지지함으로써 제 1승강로드(39)와 풍향조절승강체(35)를 링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승강로드(39)의 하단부에는 핀(39d)이 고정되고 지지브라켓(47)에는 상기 핀(39d)을 수용하는 장공(47a)이 마련된다.
상기 지지브라켓(47)에 장공(47a)을 형성한 것은 도 4를 통해 후술하겠지만 풍향조절승강체(35)를 최대한 하부로 내려 조절볼트(도 4의 53)를 조작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탄성홀더(49)는 제 2승강로드(41)의 하단부를 사이에 수용하여 탄성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탄성홀더(49)는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ㄴ 자의 형태를 갖는 한 쌍의 탄성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홀더(49)는 화살표 z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그 사이에 끼워진 제 2승강로드(41)의 하단부를 탄성적으로 죄어 고정한다.
상기 탄성홀더(49)의 고정력을 키우기 위하여 탄성홀더(49)에는 다수의 걸림돌기(49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49a)는 탄성홀더(49)의 소정 부위를 펀칭하여 내측으로 볼록하게 성형한 부분으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2승강로드(41) 하단의 가압구멍(도 3의 41d)에 끼워진다.
한편,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퓨져본체(33)의 내벽면에 양단이 고정되고 풍향조절승강체(35)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지지프레임(37)과, 상기 지지프레임(37)의 중앙부에 나사 결합하는 조절볼트(53)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볼트(53)는 지지프레임(37)에 나사 결합하되 헤드가 아래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풍향조절승강체(35)를 하부로 내린 상태로 조절볼트(5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조절볼트(53)를 회전시킴에 따라 지지프레임(37)에 대한 조절볼트(53)의 수직 위치가 조절됨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지지프레임(37)에 있어서 조절볼트(53)의 양측부에는 제 1,2승강로드(39,41)를 통과시키는 수직관통구(37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수직관통구(37b)는 수직방향으로 뚫린 구멍으로서 제 1,2승강로드(39,41)를 승강 가능하게 수용 지지한다.
상기 승강부는, 상기 수직관통구(37b)에 각각 끼워지는 제 1,2승강로드(39,41)와, 상기 제1,2승강로드(39,41)의 상단부에 고정나사(39a)를 통해 고정되는 수평의 연결브라켓(43)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브라켓(43)의 중앙부에는 써모스탯(51)이 설치된다. 상기 써모스탯(51)은 주위 공기의 온도에 반응하여 동작하는 공지의 요소로서, 본체(51b)와, 상기 본체(51b)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작동부재(51a)로 구성된다. 상기 써모스탯(51)의 본체(51b)는 연결브라켓(43)에 고정되며 작동부재(51a)는 연직 하부를 향해 배치되어 조절볼트(53)의 상단부에 접한다.
특히 상기 조절볼트(53)는 작동부재(51a)를 받쳐 올림으로써 제 1,2승강로드(39,41)가 현재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상기 조절볼트(53)를 회전시켜 디퓨져본체(33)내의 조절볼트(53)의 높이를 조절함에 의해 풍향조절승강체(35)의 세팅 높이를 결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상기 써모스탯(51)은 외부의 온도에 반응하는 것이므로, 이를테면 급기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아질 작동부재(51a)가 본체(51b)로부터 빠져나온다. 그런데 상기 작동부재(51a)는 조절볼트(53)에 지지된 상태이므로 작동부재(51a)의 변위량 만큼 연결브라켓(43)이 상승한다. 즉 풍향조절승강체(35)가 상승하는 것이다.
반대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차가워지면 후술할 지지스프링(39c,41c)의 작용에 의해 작동부재(51a)의 연장길이가 짧아져 연결브라켓(43)이 그만큼 하강한다. 즉 풍향조절승강체(35)가 하강하는 것이다.
상기한 풍향조절승강체(35)의 하강을 위해 사용되는 상기 지지스프링(39c)은 제 1,2승강로드(39,41)를 감싸는 코일스프링으로서 밸런스스프링(45)과 지지프레임(37)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밸런스스프링(45)은 풍향조절승강체(35)를 수평으로 유지시켜주는 탄성수단이다. 상기 밸런스스프링(45)은 제 1승강로드(39)에 마련되어 있는 스프링관통공(39b)과 제 2승강로드(41)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관통공(41b)을 통과하는 띠형 스프링으로서 풍향조절승강체(35)를 도 3의 s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상기 지지스프링(39c,41c)은 압축된 상태로, 상단부가 지지프레임(37)에 걸린 상태로 밸런스스프링(45)을 통해 제 1,2승강로드(39,41)를 하부로 탄성 지지한다. 상기 지지스프링(39c,41c)의 작용에 의해 작동부재(51a)는 조절볼트(53)의 상단부에 항상 탄성적으로 밀착한 상태를 유지한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탄성홀더의 일부분을 도시한 절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스프링(41c)의 하단부가 밸런스스프링(45)에 걸쳐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이 지지스프링(41c)이 밸런스스프링(45)에 지지되므로 제 2승강로드가 아래쪽으로 탄성 지지된다.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디퓨져의 한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홀더(49)가 제 2승강로드(41)로부터 이탈되어 풍향조절승강체(35)의 일측부가 아래쪽으로 쳐져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 1승강로드(41)의 핀(39d)은 지지브라켓(47)의 장공(47a)에 걸려 있다.
이와 같이 풍향조절승강체(35)를 아래로 내릴 수 있도록 한 것은 위에 언급한 바와같이 상기 조절볼트(53)를 조절하거나 또는 디퓨져(31)를 설치 또는 철거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풍향조절승강체(35)를 올려 원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풍향조절승강체(35)를 화살표 m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n방향으로 회동시켜 탄성홀더(49) 내부에 제 2승강로드(41)가 끼워지도록 하면 된다.
도 5 및 도 6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디퓨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여름철에 차가운 공기를 공급할 때의 모습이고, 도 6은 겨울철에 더운 공기를 공급할 때의 모습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써모스탯(51)의 주변을 차가운 공기가 통과하면 지지스프링(39c,41c)의 작용에 의해 써모스탯(51)의 작동부재(51a)의 길이가 짧아지고 이와 동시에 연결브라켓(43)과 제 1,2승강로드(39,41)가 하강하며 풍향조절승강체(35)도 하강한다.
상기 풍향조절승강체(35)가 하강하면, 공기유동로(33a)를 하향 유동하는 공기가 풍향조절승강체(35)의 상부 만곡면에 부딪히고 가이드되며 화살표 w방향으로 퍼져나간다. 상기와 같이 거의 수평방향으로 퍼져나가는 차가운 공기는 천장면을 따라 최대한 멀리 이동 후 하강한다.
한편, 급기덕트로부터 더운공기가 공급되면 써모스탯(51)의 작동부재(51a)가 화살표 f방향으로 늘어난다. 이와같이 상기 작동부재(51a)가 하부로 늘어나 조절볼트(53)의 상단부를 가압하면 그에 따른 반작용력으로 연결브라켓(43)과 제 1,2승강로드(39,41)가 상승하며 풍향조절승강체(35)를 상승시킨다.
이와같이 풍향조절승강체(35)가 상승하면 공기유동로(33a)를 하향 유동하는 공기가 풍향조절승강체(35)의 상면에 부딪힌 후 상승하여 디퓨져본체(33)의 내벽면 에 충돌한 후 화살표 x방향으로 하향 유동한다. 디퓨져(31)로부터 거의 수직방향으로 하향 유동하는 더운공기는 최대한 하강한 후 상승하며 실내에 난방열을 공급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풍향조절이 가능한 디퓨져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이 가능한 디퓨져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 절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탄성홀더의 일부분을 도시한 절제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디퓨져의 한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디퓨져의 동작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31:디퓨져 13:본체 13a:공기유동로
15:콘 17:랙기어 19:피니언기어
21:모터 23:구동축 25:지지브라켓
33:디퓨져본체 33a:공기유동로 35:풍향조절승강체
37:지지프레임 37b:수직관통구 39:제 1승강로드
39a:고정나사 39b:스프링관통공 39c:지지스프링
39d:핀 41:제 2승강로드 41b:스프링관통공
41c:지지스프링 41d:가압구멍 43:연결브라켓
45:밸런스스프링 47:지지브라켓 47a:장공
49:탄성홀더 49a:걸림돌기 51:써모스탯(thermostat)
51a:작동부재 51b:본체 53:조절볼트

Claims (6)

  1. 건물의 실내 천장에 설치되며 급기덕트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상기 급기덕트의 단부에 연결되며 공기를 그 내부로 통과시켜 실내로 유도하는 디퓨져본체와;
    상기 디퓨져본체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위치조절을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승강체와;
    상기 디퓨져본체의 내부에 고정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와;
    상기 풍향조절승강체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승강부와;
    상기 급기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에 반응하여 동작하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부에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부에 접하고 온도변화에 따라 작동하여 승강부를 통해 풍향조절승강체의 위치를 조절하는 작동부재가 구비되는 써모스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향조절이 가능한 디퓨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풍향조절승강체의 상측에 위치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나사 결합하며 프레임에 대한 나사결합 정도에 따라 수직방향 위치가 조절되는 조절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조절볼트의 측부에 나란하게 위치하며 그 하단부가 상기 풍향조절승강체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승강로드와, 상기 승강로드에 고정되며 상기 써모스탯을 조절볼트의 연직 상부에 위치시키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써모스탯은 상기 연결브라켓에 고정되되 작동부재가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조절볼트의 상단부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향조절이 가능한 디퓨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승강체의 상부에는 풍향조절승강체를 하향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향조절이 가능한 디퓨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드는 상기 조절볼트를 사이에 두고 두 개가 상호 평행하게 위치하며,
    상기 연결브라켓은 양측의 승강로드에 고정되며 조절볼트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써모스탯은 연결브라켓에 고정된 상태로, 공급공기의 온도 변화에 반응하여 작동부재의 연장길이가 늘어나 조절볼트의 단부를 가압함에 따른 반작용력으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향조절이 가능한 디퓨져.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승강체에 승강로드를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풍향조절승강체의 상면에는,
    핀을 통해 일측 승강로드의 하단부를 풍량조절승강체에 링크시키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며 타측 승강로드의 하단부를 수용하여 탄성적으로 죄어 그 위치를 유지하는 탄성홀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향조절이 가능한 디퓨져.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승강체의 상부에는, 승강로드에 지지된 상태로 풍향조절승강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풍향조절승강체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밸런스스프링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향조절이 가능한 디퓨져.
KR1020080084009A 2008-08-27 2008-08-27 풍향조절이 가능한 디퓨져 KR101015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009A KR101015559B1 (ko) 2008-08-27 2008-08-27 풍향조절이 가능한 디퓨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009A KR101015559B1 (ko) 2008-08-27 2008-08-27 풍향조절이 가능한 디퓨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301A KR20100025301A (ko) 2010-03-09
KR101015559B1 true KR101015559B1 (ko) 2011-02-16

Family

ID=42176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009A KR101015559B1 (ko) 2008-08-27 2008-08-27 풍향조절이 가능한 디퓨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55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276B1 (ko) 2013-04-19 2013-05-23 서진공조 주식회사 가변 풍량 방식용 디퓨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862B1 (ko) * 2010-04-29 2010-09-02 최진규 가변형 코어를 갖는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
KR102101655B1 (ko) 2019-10-21 2020-04-17 서진공조(주) 벤츄리 타입의 가변풍량조절기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2280A (ko) * 1998-11-13 2000-06-05 장병주 공조 시스템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가변적인디퓨저 장치및 공조 시스테뮤
KR20000032281A (ko) * 1998-11-13 2000-06-05 장병주 공조 시스템에서 냉/난방에 따라 가변적인 디퓨저 장치
KR20000074857A (ko) * 1999-05-26 2000-12-15 박장용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가변형 자동 디퓨져
KR20050111972A (ko) * 2004-05-24 2005-11-29 주식회사 태림공조 공기조화기용 자동 스월디퓨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2280A (ko) * 1998-11-13 2000-06-05 장병주 공조 시스템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가변적인디퓨저 장치및 공조 시스테뮤
KR20000032281A (ko) * 1998-11-13 2000-06-05 장병주 공조 시스템에서 냉/난방에 따라 가변적인 디퓨저 장치
KR20000074857A (ko) * 1999-05-26 2000-12-15 박장용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가변형 자동 디퓨져
KR20050111972A (ko) * 2004-05-24 2005-11-29 주식회사 태림공조 공기조화기용 자동 스월디퓨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276B1 (ko) 2013-04-19 2013-05-23 서진공조 주식회사 가변 풍량 방식용 디퓨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301A (ko) 201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5559B1 (ko) 풍향조절이 가능한 디퓨져
KR102047444B1 (ko) 에너지 절약형 실내 환기 덕트 시스템
WO2011007541A1 (ja) 換気空調装置
US20150211764A1 (en) Electric variable-air-volume diffuser
CN210693043U (zh) 一种散热效果良好的高压开关柜
KR101410029B1 (ko) 온도변화에 따라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 형태를 조절하는 디퓨져
KR101309163B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KR20140022609A (ko) 자동 풍향조절 기능을 갖는 공조용 디퓨져
KR100555213B1 (ko) 내부격자가 자동으로 승하강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
JP2015140971A (ja) 空気調和機の天井埋込型室内機
JP5872081B1 (ja) 大空間用空調システム
CA2967088C (en) Air curtain apparatus
US20180328610A1 (en) Air curtain apparatus
KR20040020594A (ko) 대공간 공조용 디퓨저
KR200372251Y1 (ko) 내부격자가 자동으로 승하강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
EP3810883B1 (en) A device for preventing water vapor condensation on the indoor surface of composite roof windows
KR200406717Y1 (ko) 냉난방 공조장치용 가변형 선회 공기 취출구
KR100749882B1 (ko) 실내 급기구용 급기 량의 자동 조절장치
KR101565504B1 (ko) 전동식 선형 가변 디퓨저
CN205878337U (zh) 一种机房空调
CN101761979A (zh) 空调机室外机组的电气部件箱
KR200372250Y1 (ko) 내부격자가 자동으로 승하강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
KR101822396B1 (ko) 압력센서와 인버터 팬을 이용한 실내 압력 유지 시스템
JP7153263B2 (ja) 圧力調整ダンパー
KR101921916B1 (ko) 공기조화용 자동 정풍량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