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9563B1 - 도어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도어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563B1
KR100749563B1 KR1020060053699A KR20060053699A KR100749563B1 KR 100749563 B1 KR100749563 B1 KR 100749563B1 KR 1020060053699 A KR1020060053699 A KR 1020060053699A KR 20060053699 A KR20060053699 A KR 20060053699A KR 100749563 B1 KR100749563 B1 KR 100749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fitted
grill net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9171A (ko
Inventor
송현규
Original Assignee
송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현규 filed Critical 송현규
Priority to KR1020060053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563B1/ko
Publication of KR20060079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9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0Door leaves flexible
    • E06B3/805Door leaves flexible folding sideway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2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being constructed in a way to remain too small or too wide to cause injury
    • E06B2007/365Rounded shape at gap, e.g. cylind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방향(push)도어, 폴딩(folding)도어, 접이식(sliding) 등의 도어의 테두리부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일측에 양측으로 대응되게 절곡된 가이드부를 더 형성하여 이 가이드부에 의해 그릴망을 이중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내부에 유리면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외주면을 라운드형으로 형성하여 도어의 개폐시에 손이 끼워 다침으로써 상해를 입게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어용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인 도어용 프레임은 내측단 일측에 대응되게 연장되는 지지편(11)(11)들에 의해 삽입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2)의 하부 일측으로 내입형성되는 요입부(13)가 형성되며 외측선단 내측으로 요입형성되어 브러쉬부재가 끼워지는 끼움부(14)를 갖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요입부(13)로부터 동일선상으로 연장되고 서로 대응되게 내측으로 절곡형성되어 끼움홈(21)이 요입형성된 가이드부(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과, 상기 끼움부(14)가 형성된 몸체(10)의 외측선단은 호형상으로 굴곡진 호형부(15)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도어용 프레임에 의하면, 몸체의 그릴망이 끼워지는 삽입부의 타측단에 가이드부가 더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몸체의 양측 즉, 도어의 실외측과 실내측에 각각 그릴망을 끼움 고정할 수 있어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방충망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방충망이 찢어지거나 또는 파손되거나 일부가 뜯어 지거나 하는 등의 방충망 훼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의 실내측에 그릴망을 더 끼움구성할 수 있는 가이드부가 도어의 실외측에 그릴망이 끼워지는 삽입부와 동일선상으로 연장되어 있음에 따라 몸체의 강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의해 몸체가 쉽게 휘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되고 또한, 별도의 유리를 더 구성할 수 있어 방음 및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도어를 제작할 수 있어 하나의 도어용 프레임에 의해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어, 도어프레임, 폴딩도어, 절첩식도어

Description

도어용 프레임{FRAME FOR DOOR}
도 1은 종래 도어용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도어용 프레임을 나타낸 것으로 도어의 상부 및 하부프레임으로 사용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도어용 프레임을 나타낸 것으로 도어의 좌측 및 우측프레임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도어용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도어용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는 도어의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도어용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는 도어의 다른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도어용 프레임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인 도어용 프레임에 의해 설치되는 도어의 종류를 나타낸 것으로, 도 7은 일방향 개방식도어이고 도 8은 도어가 절첩되는 폴딩도어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지지편
12 : 삽입부 13 : 요입부
14 : 끼움부 15 : 호형부
16 : 체결부 17 : 결속삽입구
20 : 가이드부
21 : 끼움홈 30, 31 : 그릴망
40 : 방충망 51 : 인입부
50 : 지지부 60 : 고정부재
70 : 유리 71 : 실리콘
본 발명은 일방향(push)도어, 폴딩(folding)도어, 접이식(sliding) 등의 도어의 테두리부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일측에 양측으로 대응되게 절곡된 가이드부를 더 형성하여 이 가이드부에 의해 그릴망을 이중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내부에 유리면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외주면을 라운드형으로 형성하여 도어의 개폐시에 손이 끼워 다침으로써 상해를 입게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어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과 같은 협소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벽면 대용으로 개폐가 용이한 벽면 대용 도어가 설치되는 바, 문틀에 일측이 경첩에 의해 고정되어 개방되는 일방향도어와, 천장부에 롤러가 설치되어 개방된 도어가 절첩되는 폴딩도어와,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접이식 도어로 구분되고 있으며, 근자들어서는 도어를 개방했을 때 도어가 절첩됨으로써 도어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 폴딩도어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아파트의 발코니와 거실과의 경계부에 폴딩도어를 설치함으로써 도어의 개방시에 거실을 확장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발코니와 거실의 경계부에 많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도어는, 상/하부 및 좌/우측부에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부에 강화유리나 그릴망 또는 방충망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종래 프레임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일측 양단에 서로 대응되게 몸체(1)로부터 연장되어 내부에 그릴망(2)이 삽입고정되는 삽입부(3)와, 상기 삽입부(3)의 하부 일측에 요입되어 방충망(4)이 끼워져 쫄대(5)에 의해 상기 방충망(4)이 고정되는 요입부(6)와, 상기 몸체(1)의 타측에 요입 형성되어 브러쉬부재(7)가 끼워지는 끼움부(8)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도어는, 이음구를 이용하여 여러개의 도어를 연결하고 천장부에 구비된 레일을 따라 안내되어 슬라이딩되는 롤러를 상기 도어의 상단에 구성하여 여러개의 도어가 절첩되게 구성하거나, 또는 도어의 일측부를 경첩에 의해 도어틀에 힌지고정하여 일측방향으로 개폐되는 여닫이도어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도어 프레임의 경우 그릴망이 외부측에 1개만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그릴망의 일측에 구비된 방충망이 찢어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충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방충망(4)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를 개폐하거나 또는 방충망을 터치하거나 할 경우, 얇은 망사체로 이루어진 방충망이 쉽게 충격을 받게 되어 찢어지거나 또는 일부분이 뜯겨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종래 도어 프레임의 경우 방충망이 내삽되는 요입부가 몸체의 하부측에 바로 요입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프레임 몸체의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되어 조그만 충격에도 쉽게 프레임 몸체가 휘기 때문에 도어의 개폐가 어렵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프레임의 몸체의 외측부가 각진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도어의 열고 닫음에 있어 틈새가 벌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 특히 어린아이의 손이 틈새에 끼이게 되어 손에 상해를 입게 되는 안전사고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더욱이, 종래 도어 프레임 몸체의 경우 그릴망과 방충망 이외에 다른 부재 예를들어 강화유리와 같은 부재를 설치할 수 없어 도어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유리면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프레임이 사용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도어용 프레임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일측에 그릴망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된 프레임 몸체에 가이드부를 상기 삽입부가 동일선상에 오도록 더 형성하여 그릴망을 삽입부와 가이드부에 각각 끼움으로써 그릴망을 양측으로 설치하고 그 내부에 방충망이 내삽되게 하여 방충망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충망이 내삽되는 요입부로부 터 더 연장형성된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프레임 몸체의 강성을 향상시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휘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고 또한, 내측에 강화유리를 더 끼움구성하여 방음 및 단열효과 까지도 얻을 수 있는 도어용 프레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도어용 프레임은, 내측단 일측에 대응되게 연장되는 지지편들에 의해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하부 일측으로 내입형성되는 요입부가 형성되며 외측선단 내측으로 요입형성되어 브러쉬부재가 끼워지는 끼움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요입부로부터 동일선상으로 연장되고 서로 대응되게 내측으로 절곡형성되어 끼움홈이 요입형성된 가이드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러쉬부재가 요입형성되는 몸체의 외측선단은 호형상으로 굴곡진 호형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삽입부에는 그릴망이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몸체의 요입부에는 방충망의 일측이 요입되어 요입부에 삽입되는 고무쫄대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몸체의 가이드부에는 내측에 인입부가 형성된 지지부가 끼워지며, 상기 지지부의 내측 인입부에는 또 다른 그릴망이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삽입부에는 그릴망이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몸체의 요입부에는 방충망의 일측이 요입되어 요입부에 삽입되는 고무쫄대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몸체의 가이드부에는 고정부재가 끼움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방충망 사이에는 유리가 내입되어 실리콘에 의해 실링마감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내측 또는 상기 몸체의 외측 상단에는 몸체와 또 다른 몸체를 서로 연결하는 이음구가 끼워지는 이음용 체결부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내측 상단에는 양측으로 대응되게 절곡형성된 결속삽입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인 도어용 프레임은, 몸체의 그릴망이 끼워지는 삽입부의 타측단에 가이드부가 더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몸체의 양측에 각각 그릴망을 끼움 고정할 수 있어 방충망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방충망의 훼손을 미연에 방지하고 그릴망이 끼워지는 삽입부와 동일선상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가이드부가 더 형성되어 있어 몸체의 강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몸체가 쉽게 휘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되고 또한, 별도의 유리를 더 구성할 수 있어 방음 및 단열효과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며,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도어용 프레임을 나타낸 것으로 도어의 상부 및 하부프레임으로 사용되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도어용 프레임을 나타낸 것 으로 도어의 좌측 및 우측프레임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도어용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도어용 프레임은, 내측단 일측에 대응되게 연장되는 지지편(11)(11)들에 의해 삽입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2)의 하부 일측으로 내입형성되는 요입부(13)가 형성되며 외측선단 내측으로 요입형성되어 브러쉬부재가 끼워지는 끼움부(14)를 갖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요입부(13)로부터 동일선상으로 연장되고 서로 대응되게 내측으로 절곡형성되어 끼움홈(21)이 요입형성된 가이드부(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외측선단은 호형상으로 굴곡진 호형부(15)로 형성된다.
상기 끼움부(14)에는 내실로 외부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브러쉬부재인 모헤어가 끼움 구성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상기 몸체(10)의 외측 선단은 물론 몸체(10)의 외측 양단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도어용 프레임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를 구성하는 상/하부 및 좌/우측의 프레임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10)의 내측단이 길게 연장되어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몸체(10)의 강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몸체(10)가 휘거나 구부러지거나 하여 도어의 개폐가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외측선단이 라운드진 호형부(15)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예를 들어 도어를 열거나 닫을 때 도어와 도어 간에 구비되는 프레임의 외측 선단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상해를 입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미연에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도어용 프레임의 설치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삽입부(12)에는 그릴망(30)이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몸체(10)의 요입부(13)에는 방충망(40)의 일측이 요입되어 상기 요입부(13)에 삽입되는 고무쫄대(41)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몸체(10)의 가이드부(20)에는 내측에 인입부(51)가 형성된 지지부(50)가 끼워지며, 상기 지지부(50)의 내측 인입부(51)에는 또 다른 그릴망(31)이 인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실외측에 위치되는 그릴망(30)이 상기 몸체(10)의 내측선단에 형성된 삽입부(12)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실내측에 위치되는 그릴망(31)이 상기 몸체(10)의 내측선단에 형성된 삽입부(12)의 타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부(20)의 끼움홈(21)에 끼워진 지지부(50)의 인입부(51)에 인입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실외측에 위치되는 그릴망(30)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몸체(10)의 요입부(13)에 끼워져 고무쫄대(41)에 의해 고정되는 방충망(40)이 상기 실외측의 그릴망(30)과 실내측의 그릴망(31)에 의해 보호됨으로써, 방충망(40)에 외부의 충격이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기 때문에 방충망(40)이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도 6은 본 발명인 도어용 프레임의 다른 설치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삽입부(12)에는 그릴망(30)이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몸체(10)의 요입부(13)에는 방충망(40)의 일측이 요입되어 요입부(13)에 삽입되는 고무쫄대(41)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몸체(10)의 가이드부(20)에는 고정부재(60)가 끼움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재(60)와 상기 방충망(40) 사이에는 유리(70)가 내입되어 실리콘(71)에 의해 실링마감된다.
따라서, 실내측에 유리(70)가 위치되어 설치됨으로써 실내의 소음방지는 물론 단열효과까지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부(20)의 끼움홈(21)에 끼워져 유리(70)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상기 고정부재(60)는, 도 5에 도시된 지지부(50)를 거꾸로 뒤집어 사용해도 무방하다.
도 7은 본 발명인 도어용 프레임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내측 상단에는 양측으로 대응되게 절곡형성된 결속삽입구(1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속삽입구(17)는 상기 몸체(10)와 연결되는 앵글의 모서리가 삽입되어 결속되는 것으로 몸체(10)의 내측으로 각각 요입되게 절곡형성됨으로써 앵글의 모서리가 견고하게 삽입되어 지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도어용 프레임은, 그릴망과 방충망 및 유리가 내삽되어 하나의 도어가 구성되는 것으로, 구성되는 도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틀(81)에 일측이 경첩(82)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일방향 개방식도어로 설치되거나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9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롤러(92)에 의해 도어가 절첩되도록 개폐됨으로써 특히 장소가 협소한 식당 등의 공간활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폴딩도어(folding door)로 설치되어 사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도어용 프레임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도어가 상기 폴딩도어로 사용될 경우에는 각각의 도어를 구성하는 본 발명인 도어용 프레임의 몸체(10)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야 하는 바, 이를 위해 상기 몸체(10)의 내부 또는 몸체(10)의 외부측에는 몸체와 또 다른 몸체를 서로 연결하는 이음구(미도시)가 끼워지는 이음용 체결부(16)(16)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인 도어용 프레임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도어용 프레임에 의하면, 몸체의 그릴망이 끼워지는 삽입부의 타측단에 가이드부가 더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몸체의 양측 즉, 도어의 실외측과 실내측에 각각 그릴망을 끼움 고정할 수 있어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방충망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방충망이 찢어지거나 또는 파손되거나 일부가 뜯어지거나 하는 등의 방충망 훼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의 실내측에 그릴망을 더 끼움구성할 수 있는 가이드부가 도어의 실외측에 그릴망이 끼워지는 삽입부와 동일선상으로 연장되어 있음에 따라 몸체의 강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의해 몸체가 쉽게 휘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되고 또한, 별도의 유리를 더 구성할 수 있어 방음 및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도어를 제작할 수 있어 하나의 도어용 프레임에 의해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내측단 일측에 대응되게 연장되는 지지편(11)(11)들에 의해 삽입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2)의 하부 일측으로 내입형성되는 요입부(13)가 형성되며 외측선단 내측으로 요입형성되어 브러쉬부재가 끼워지는 끼움부(14)를 갖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요입부(13)로부터 동일선상으로 연장되고 서로 대응되게 내측으로 절곡형성되어 끼움홈(21)이 요입형성된 가이드부(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14)가 형성된 몸체(10)의 외측선단은 호형상으로 굴곡진 호형부(15)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프레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삽입부(12)에는 그릴망(30)이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몸체(10)의 요입부(13)에는 방충망(40)의 일측이 요입되어 상기 요입부(13)에 삽입되는 고무쫄대(41)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몸체(10)의 가이드부(20)에는 내측에 인입부(51)가 형성된 지지부(50)가 끼워지며, 상기 지지부(50)의 내측 인입부(51)에는 또 다른 그릴망(31)이 인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프레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삽입부(12)에는 그릴망(30)이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몸체(10)의 요입부(13)에는 방충망(40)의 일측이 요입되어 요입부(13)에 삽입되는 고무쫄대(41)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몸체(10)의 가이드부(20)에는 고정부재(60)가 끼움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재(60)와 상기 방충망(40) 사이에는 유리(70)가 내입되어 실리콘(71)에 의해 실링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프레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몸체와 또 다른 몸체를 서로 연결하는 이음구가 끼워지는 이음용 체결부(16)(16)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프레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내측 상단에는 양측으로 대응되게 절곡형성된 결속삽입구(17)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프레임.
KR1020060053699A 2006-06-15 2006-06-15 도어용 프레임 KR100749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699A KR100749563B1 (ko) 2006-06-15 2006-06-15 도어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699A KR100749563B1 (ko) 2006-06-15 2006-06-15 도어용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171A KR20060079171A (ko) 2006-07-05
KR100749563B1 true KR100749563B1 (ko) 2007-08-16

Family

ID=37170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699A KR100749563B1 (ko) 2006-06-15 2006-06-15 도어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95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61645B (zh) * 2012-12-15 2015-06-17 罗继安 艺术造型窗框型材、推拉窗和平开窗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63425U (ko) 1977-10-13 1979-05-04
KR200206313Y1 (ko) 2000-07-08 2000-12-01 이운하 방충망 및 방범창이 설치된 개폐식 창문
KR200246124Y1 (ko) 2001-05-29 2001-10-17 이순길 출입문용 방범창
KR200251259Y1 (ko) 2001-07-28 2001-11-22 주병력 방충 및 방범용 보조도어 조립체
KR200417235Y1 (ko) 2006-03-13 2006-05-24 김동규 방충겸용 방범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63425U (ko) 1977-10-13 1979-05-04
KR200206313Y1 (ko) 2000-07-08 2000-12-01 이운하 방충망 및 방범창이 설치된 개폐식 창문
KR200246124Y1 (ko) 2001-05-29 2001-10-17 이순길 출입문용 방범창
KR200251259Y1 (ko) 2001-07-28 2001-11-22 주병력 방충 및 방범용 보조도어 조립체
KR200417235Y1 (ko) 2006-03-13 2006-05-24 김동규 방충겸용 방범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171A (ko)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082097A (ja) 拡張窓カバー
KR101236750B1 (ko) 롤 스크린 장치가 내장되게 한 시스템 창호
KR100770056B1 (ko) 보강재가 삽입된 창호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
KR100749563B1 (ko) 도어용 프레임
KR100629275B1 (ko) 건축용 방범창틀 설치구조
KR200418951Y1 (ko) 슬라이드 창호의 창틀 프레임 구조
KR20110052625A (ko) 도어 어셈블리
KR200287653Y1 (ko) 기밀성이 강화된 철재문
JP3730915B2 (ja) 建物開口部用網戸
KR102282213B1 (ko) 손 끼임 방지장치를 갖춘 창호용 경첩 장치
KR200410180Y1 (ko) 안전도어용 피벗힌지
KR200228920Y1 (ko) 도어 및 문틀구조
KR100684546B1 (ko) 건축용 안전 방음도어
JP6489995B2 (ja)
KR200437856Y1 (ko) 방충문이 구비된 이중문
KR200242280Y1 (ko) 방화문
KR102123560B1 (ko) 방음 보온형 도어
KR200322035Y1 (ko) 방충용 도어
KR102483847B1 (ko) 무레일 방식의 미닫이 창호 구조체
KR200256852Y1 (ko) 출입문용 절첩식 방충망
CN218234759U (zh) 折叠平开嵌入式月冠状锁钩扣链接
KR200377474Y1 (ko) 버티칼 블라인드 보호용 창틀프레임의 구조
JP6164825B2 (ja) 開口部装置
KR20100052719A (ko) 문의 측면 마감부재
KR200373247Y1 (ko) 미서기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