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8076B1 - 동력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동력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076B1
KR100748076B1 KR1020060105614A KR20060105614A KR100748076B1 KR 100748076 B1 KR100748076 B1 KR 100748076B1 KR 1020060105614 A KR1020060105614 A KR 1020060105614A KR 20060105614 A KR20060105614 A KR 20060105614A KR 100748076 B1 KR100748076 B1 KR 100748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rotating
power
pole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권
Original Assignee
박형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권 filed Critical 박형권
Priority to KR1020060105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0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1/00Spring motors
    • F03G1/02Spring mo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spring, e.g. helical, spiral, c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1/00Spring motors
    • F03G1/02Spring mo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spring, e.g. helical, spiral, coil
    • F03G1/022Spring mo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spring, e.g. helical, spiral, coil using spir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8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02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Abstract

주로 낮은 토우크(torque)의 회전 구동력을 필요로 하는 소형 선풍기나 초소형 발전기 등을 구동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전기나 유체 연료를 이용하지 않고 태엽 구동 방식으로 회전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동력발생장치를 개시한다.
그러한 동력발생장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 일측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점차 큰 둘레를 형성하면서 탄성 반발력을 갖도록 외측으로 감겨진 탄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어느 한 방향으로 감겨진 상태에서 탄성 반발력에 의해 감김 상태가 풀리면서 회전 동력을 발생하는 에너지 발생수단과, 상기 탄성체의 외부 둘레를 감싸는 상태로 위치하고 상기 탄성체의 풀림 동작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제1 회전체와, 상기 제1 회전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이 제1 회전체의 외부면 둘레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위치하는 제2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를 상기 고정대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고 이 제2 회전체의 회전력을 출력하기 위한 구동축과, 상기 제1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의 외부면 둘레에서 자력(磁力)으로 당기거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제1 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2 회전체측에 비접촉 상태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한다.
에너지 발생수단, 탄성체, 태엽 구동방식, 동력전달수단, 복수개의 자석(磁石), 비접촉 동력전달 방식,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 구동축, 소형 선풍기, 발전(發電)

Description

동력발생장치{power generate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탄성체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동력전달수단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회전체의 다른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동력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낮은 토우크(torque)의 회전 구동력을 필요로 하는 소형 선풍기나 초소형 발전기 등을 구동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전기나 유체 연료를 이용하지 않고 태엽 구동 방식으로 회전에너지를 발생할 수 있는 동력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각종 장치나 기계 등을 구동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동력발생장치는, 모터나 엔진을 구동원으로 이용하여 회전에너지를 발생하는 모터 구동방식과 엔진 구동방식이 한다.
상기 모터 구동방식과 엔진 구동방식의 동력발생장치는, 모터 또는 엔진의 회전축으로부터 발생한 회전 동력을 일정한 감속 또는 증속 비율을 갖도록 셋팅한 기어들을 거치면서 구동축에 전달하여 이 구동축으로 회전에너지를 출력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두 가지의 구동 방식 중에서 전자의 모터 구동방식은, 모터의 구동을 위해 전기를 공급해야 하므로 전기공급 및 제어를 위한 별도의 추가 장치를 구비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다.
그리고, 상기 모터 구동방식은, 회전에너지를 발생하기 위해서는 모터측에 전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해야 하므로 전력 소모에 따른 비용을 감수해야 한다.
더욱이, 모터측에 전기를 공급하는 과정이나 전기를 공급받아서 작동하는 과 정에서 전기적으로 과부하가 발생하여 모터는 물론이거니와 전기공급 및 제어를 위한 장치가 쉽게 고장나거나 수명이 단축될 수 있으며, 자칫 화재나 전기 감전과 같은 심각한 안전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엔진 구동방식은, 회전에너지를 발생하려면 휘발유나 경유와 같은 유체 연료를 엔진에 공급해야 하며, 엔진 구동시 기계적인 마찰음이나 매연 등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상기한 두 가지의 구동방식은, 높은 토우크의 회전에너지를 발생하는데는 적합하지만, 낮은 토우크의 회전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장치나 물품들 예를들어, 초소형 발전기나 휴대용 선풍기 등에 적용하기에는 무게가 무겁고 큰 부피를 차지하므로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작 및 유지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여 만족할 만한 구동 효율성을 얻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낮은 토우크의 회전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초소형의 발전기나 휴대용 선풍기 등에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구동을 위한 전기나 유체 연료를 일체 사용하지 않고 자력(磁力)과 탄성(彈性) 반발력을 이용한 태엽 구동 방식으로 회전에너지를 출력할 수 있는 동력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고정대;
상기 고정대 일측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점차 큰 둘레를 형성하면서 탄성 반발력을 갖도록 외측으로 감겨진 탄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어느 한 방향으로 감겨진 상태에서 탄성 반발력에 의해 감김 상태가 풀리면서 회전 동력을 발생하는 에너지 발생수단;
상기 탄성체의 외부 둘레를 감싸는 상태로 위치하고 상기 탄성체의 풀림 동작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제1 회전체;
상기 제1 회전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이 제1 회전체의 외부면 둘레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위치하는 제2 회전체;
상기 제2 회전체를 상기 고정대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고 이 제2 회전체의 회전력을 출력하기 위한 구동축;
상기 제1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의 외부면 둘레에서 자력(磁力)으로 당기거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제1 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2 회전체측에 비접촉 상태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
을 포함하는 동력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 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면 부호 2는 고정대를 지칭한다.
상기 고정대(2)를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류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의 프레스기를 이용한 프레스 작업에 의해 일정한 크기의 고정면(F)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대(2)는 회전에너지를 얻기 위한 동력 발생 및 동력 전달 기능을 갖는 복수개의 구성부들을 상기 고정면(F)측에 고정하여 일체형의 어셈블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대(2)의 일측에는 회전축(4)이 위치한다. 이 회전축(4)은 상기 고정면(F)을 도 2에서와 같이 관통하는 자세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4)은 상기 고정면(F)의 반대편으로 관통한 단부측에 도 2에서와 같이 핸들(H)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핸들(H)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4)을 직접 회전시킬 수 있는 통상의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4)에는 회전에너지를 발생하기 위한 에너지 발생수단(6)이 위치한다. 이 에너지 발생수단(6)은 태엽 방식에 의한 탄성 반발력으로 회전에너지의 발생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축(4)을 중심부으로 점차 외측을 향하여 큰 원 둘레를 형성하면서 통상의 맴돌이 형태로 감겨 진 탄성체(8)의 안쪽 끝단을 상기 회전축(4)과 고정하여 이 회전축(4)의 회전에 의해 상기 탄성체(8)를 어느 한쪽으로 감은 상태에서 탄성 반발력에 의해 감김 상태가 풀리는 동작에 의해 회전에너지를 발생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탄성체(8)는 얇은 금속판을 사용하고 일정한 폭을 가지며 길게 연장되어 상기와 같이 회전축(4)을 기준으로 한 번 이상을 감은 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8)는 금속판 중에서 탄성반발력이 우수하여 통상의 태엽 재질로 널리 사용하는 스테인레스 계열의 금속 박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맴돌이 형태로 감겨진 탄성체(8)를 이용하여 태엽 방식으로 회전에너지를 발생하는 구조는 예를들어, 전동 모터나 엔진 등을 이용하여 회전에너지를 발생하는 종래의 동력발생장치의 구동 방식들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전기 및 유체 연료를 일체 사용하지 않고 구동할 수 있다.
상기 고정대(2)에는 상기 탄성체(8)와 연계하여 작동하는 제1 회전체(R1)가위치한다. 이 제1 회전체(R1)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탄성체(8) 전체 둘레를 감쌀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회전체(R1)의 재질은 비철금속류 중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체(8)의 자유단과 내부면 일측이 고정되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축(4)이 상기 제1 회전체(R1)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셋팅한다.
즉, 상기 제1 회전체(R1)는 상기 회전축(4)을 이용하여 상기 탄성체(8)를 도 4에서와 같이 어느 한쪽 방향으로 감은 상태에서 감김 상태가 풀릴 때에 상기 탄성체(8)의 외측 자유단 단부를 따라 상기 회전축(4)을 기준으로 자전(自轉)하는 방식 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발생장치는 상기 회전축(4)의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역회전 방지부재(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역회전 방지부재(10)는 어느 한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한 상태로 축을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 통상의 원웨이 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역회전 방지부재(10) 즉, 원웨이 베어링은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면(F)에서 상기 회전축(4)이 관통하는 지점을 감싸는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역회전 방지부재(10)는 원웨이 베어링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통상의 래치기어와 래치휠을 이용하여 이들의 걸림 접촉력으로 상기 고정대(2)에서 상기 회전축(4)의 역회전 방지가 가능하게 셋팅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래치기어와 래치휠을 이용하여 역회전을 방지하는 구조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역회전 방지부재(10)는 상기 회전축(4)으로 상기 탄성체(8)를 감은 상태에서 이 탄성체(8)의 감김 상태가 풀릴 때 상기 회전축(4)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면(F)에는 상기 제1 회전체(R1)와 떨어져서 제2 회전체(R2)가 위치한다.
상기 제2 회전체(R2)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1 회전체(R1) 둘레보다 작은 크기의 둘레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재질은 상기 제1 회전체(R1)와 동일하게 비철금속류 중에서 사용하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체(R2)의 중심부에는 구동축(12)이 끼워진다. 이 구동축(12)은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면(F)을 관통하는 자세로 끼워져서 상기 고정대(2)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고정대(2)측에 통상의 베어링이나 부시를 설치하여 상기 구동축(12)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12)은 상기 제2 회전체(R2)의 회전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회전체(R2)의 중심부와 일체로 연결 고정한다.
즉, 상기 제2 회전축(R2)은 상기 제1 회전체(R1)의 회전시 상기 2개의 회전체(R1, R2) 둘레가 서로 맞물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고정대(2)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회전체(R2)의 회전시 이 제2 회전체(R2)와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구동축(12)이 회전하면서 회전에너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발생장치는 동력전달수단(14)을 포함하며, 이 동력전달수단(14)은 상기 2개의 회전체(R1, R2) 사이에서 자력에 의해 비접촉상태로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1 회전체(R1)와 제2 회전체(R2)의 외부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제1 자석(M1) 및 제2 자석(M2)을 부착하여 상기 2개의 회전체(R1, R2) 사이에서 서로 마주하는 지점의 자석(M1, M2)들이 자력에 의해 서로 당기거나 미는 힘으로 상기 제1 회전체(R1)의 회전력이 상기 제2 회전체(R2)에 비접촉 상태로 전달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각 자석(M1, M2)들은 도 3에서와 같이 중앙 지점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S극과 N극을 각각 갖는 통상의 영구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각 자석(M1, M2)들은 상기 각 회전체(R1, R2)의 외부면 둘레에서 통상의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부착한다.
상기 제1 자석(M1)은 상기 제1 회전체(R1)의 외부면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L1)을 가지도록 복수개를 이격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자석(M2)은 상기 제2 회전체(R2)의 외부면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L2)을 가지며 복수개를 이격 부착한다.
상기 제1 자석(M1) 및 제2 자석(M2)들의 간격(L1, L2)은 동일한 길이로 형성하고 상기 2개의 회전체(R1, R2) 사이에서 서로 당기거나 미는 힘이 작용할 수 있는 배열을 갖도록 셋팅한다.
상기 제1 회전체(R1)와 제2 회전체(R2)의 경계 지점에서 도 5에서와 같이 어느 하나의 제1 자석(M1)을 사이에 두고 2개의 제2 자석(M2)이 위치하도록 배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회전체(R1)가 도 5에서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자석(M1) 및 제2 자석(M2)의 당기거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제2 회전체(R2)가 상기 제1 회전체(R1)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각 자석(M1, M2)들의 극성(N극 및 S극)을 도면에서와 같이 배열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1 회전체(R1)와 제2 회전체(R2) 의 경계 지점에서 1개의 제1 자석(M1)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2개의 제2 자석(M2) 중에서 아래쪽 제2 자석(M2)과는 서로 다른 극성(제1 자석의 S극 및 제2 자석의 N극)에 의해 당기는 힘(Q1)이 작용하고 위쪽의 제2 자석(M2)과는 서로 같은 극성(제1 자석의 N극 및 제2 자석의 N극)에 의해 미는 힘(Q2)이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제1 회전체(R1)의 회전시 상기 제1 자석(M1)들이 상기 제2 자석(M2)들을 당기거나 미는 힘에 의해 비접촉 상태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자석(M1) 및 제2 자석(M2)들의 간격(L1, L2)은 요구되는 동력 전달 환경에 부합하도록 다양한 길이로 셋팅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각 회전체(R1, R2)에서 상기 제1 자석(M1) 및 제2 자석(M2)들의 간격(L1, L2)을 길게 형성하면 상기 제1 회전체(R1)의 회전시 상기 제1 자석(M1) 및 제2 자석(M2)의 상호 작용이 작용하는 횟수가 적어지므로 상기 탄성체(8)의 감김 상태가 빠르게 풀리면서 고속 회전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자석(M1, M2)의 당기거나 미는 힘이 작용하는 횟수가 감소하여 낮은 토우크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자석(M1, M2)들 간격(L1, L2)의 최대 이격 길이는 상기 2개의 회전체(R1, R2) 사이에서 서로 근접한 자석(M1, M2)들이 자력에 의해 서로 당기거나 미는 힘이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형성한다.
반면, 상기한 구조와 반대로 상기 제1 자석(M1) 및 제2 자석(M2)의 간격(L1, L2)을 짧게 형성하면, 상기 제1 회전체(R1)의 회전시 상기 제1 및 제2 자석(M1, M2)이 서로 당기거나 미는 힘이 작용하는 횟수가 증가하여 상기 탄성체(8)의 감김 상태가 느리게 풀리면서 저속 회전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제1 자석(M1) 및 제2 자석(M2)의 당기거나 미는 힘이 작용하는 횟수가 증가하면서 높은 토우크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회전체(R1)와 제2 회전체(R2)의 외부면 둘레 크기는 요구되는 감속 또는 증속 비율을 만족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1 회전체(R1) 둘레를 상기 제2 회전체(R2) 둘레 보다 크게 형성하면 증속(增速)이 가능하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1 회전체(R1) 둘레 보다 상기 제2 회전체(R2)를 크게 형성하면 감속(減速)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동력전달수단(14)으로 자석(M1, M2)을 사용하면서 비접촉 상태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는 예를들어, 기어 물림이나 벨트와 풀리 또는 체인과 스프라켓으로 연결한 동력을 전달하는 것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특히 접촉 마찰음이나 마모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자석(M1, M2)들을 이용하여 자력에 의해 당기거나 미는 힘으로 동력 전달을 전달하면, 상기 탄성체(8)의 탄성 반발력에 자력이 더해지면서 상기 탄성체(8)에서 얻어지는 토우크보다 더 큰 토우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발생장치는 도 7에서와 같이 회전용 팬(16)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용 팬(16)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구동축(12)으로부터 기어(G)를 거쳐서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연결하거나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구동축(12)에 직접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축(12)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회전하는 회전용 팬(16)을 부착하면 통상의 소형 선풍기나 휴대용 선풍기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발생장치는 발전수단(18)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발전수단(18)은 상기 구동축(12)에서 출력하는 회전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發電)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서와 같이 자성체인 회전자(C1)와 코일류의 고정자(C2)를 갖는 통상의 제너레이터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자(C1)를 상기 구동축(10)의 단부에 부착하여 상기 고정자(C2)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발전되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 구동축(12)으로 상기 회전자(C1)를 회전시켜서 이 회전자(C1) 주위에 있는 고정자(C2)의 자기장 세기를 변화시키면서 전류를 유도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발전할 수 있다.
상기 발전수단(18)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발생장치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들어, 작은 용량의 전기를 필요로 하는 휴대용 손전등이나 자전거 램프 등에 사용하는 밧데리를 대체하여 간편하게 전구를 발광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나 각종 유체 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통상의 맴돌이 형상으로 감겨진 탄성체를 이용한 태엽 방식으로 회전 동력을 발생하면서 상기 탄성체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한 구동축으로 회전에너지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구동축과 상기 탄성체 사이에는 2개의 회전체를 배치하고 이 회전체들의 외부면 둘레에 설치한 자석들의 당기거나 미는 힘으로 동력 전달이 가능하므로 동력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체로부터 발생한 회전 동력보다 큰 회전에너지를 출력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자석을 이용하여 비접촉 상태로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은 동력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각종 마찰음이나 분진 및 마모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으로 출력되는 회전에너지를 이용하여 낮은 토우크를 필요로 하는 소형 선풍기나 초소형 발전기 등을 경제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동력발생장치는 전기 공급이 없는 야외에서 생활할 때 임시용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Claims (8)

  1. 고정대;
    상기 고정대 일측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점차 큰 둘레를 형성하면서 탄성 반발력을 갖도록 외측으로 감겨진 탄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어느 한 방향으로 감겨진 상태에서 탄성 반발력에 의해 감김 상태가 풀리면서 회전 동력을 발생하는 에너지 발생수단;
    상기 탄성체의 외부 둘레를 감싸는 상태로 위치하고 상기 탄성체의 풀림 동작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제1 회전체;
    상기 제1 회전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이 제1 회전체의 외부면 둘레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위치하는 제2 회전체;
    상기 제2 회전체를 상기 고정대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고 이 제2 회전체의 회전력을 출력하기 위한 구동축;
    상기 제1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의 외부면 둘레에서 자력(磁力)으로 당기거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제1 회전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2 회전체측에 비접촉 상태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
    을 포함하는 동력발생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탄성력을 보유한 금속류의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번 이상 감겨지는 동력발생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장치는, 상기 탄성체의 감김 상태가 풀릴 때 상기 고정대에서 상기 회전축의 역회전을 억제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역회전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역회전 방지부재는, 원웨이 베어링 또는 래치기어 및 래치휠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발생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2 회전체는, 자력(磁力)과 반응하지 않는 합성수지류나 비철금속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발생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N극과 S극을 각각 갖는 복수개의 영구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자석들은 상기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의 외부면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이격 부착되는 동력발생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자석 중에서 상기 제1 회전체에 부착하는 자석은 상기 제2 회전체에 부착하는 자석들 사이사이에서 어느 하나의 자석과는 서로 다른 극성(S극과 N극 또는 N극과 S극)에 의해 당기는 힘이 작용하고,
    다른 하나의 자석과는 서로 같은 극성(S극과 S극 또는 N과 N극)에 의해 미는 힘이 작용하도록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발생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장치는, 회전용 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용 팬은,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발생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장치는, 발전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발전수단은, 자성체의 회전자와 코일류의 고정자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자를 상기 구동축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고정자로부터 전류를 유도하여 발전(發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발생장치.
KR1020060105614A 2006-10-30 2006-10-30 동력발생장치 KR100748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614A KR100748076B1 (ko) 2006-10-30 2006-10-30 동력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614A KR100748076B1 (ko) 2006-10-30 2006-10-30 동력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8076B1 true KR100748076B1 (ko) 2007-08-09

Family

ID=38602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614A KR100748076B1 (ko) 2006-10-30 2006-10-30 동력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80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8801A1 (ko) * 2013-06-25 2014-12-31 Shin Myong-Sop 다목적 회전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953Y1 (ko) 2001-03-28 2001-10-10 이금우 태엽을 이용한 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953Y1 (ko) 2001-03-28 2001-10-10 이금우 태엽을 이용한 발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8801A1 (ko) * 2013-06-25 2014-12-31 Shin Myong-Sop 다목적 회전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3294B1 (en) Increased efficiency dual rotational electric motor/generator
KR101894672B1 (ko) 정, 역방향 상대속도를 이용한 발전시스템
AU2010239140A1 (en) Magnetic drive assemblies
KR100748076B1 (ko) 동력발생장치
JP2004274985A (ja) 磁力を用いた回転力増大装置
KR101891548B1 (ko) 스플릿 슈퍼차저
KR100764240B1 (ko) 영구 자석을 이용한 발전기
WO2017054743A1 (zh) 一种电机
KR200409082Y1 (ko) 영구 자석을 이용한 발전기
KR101876041B1 (ko) 회전력 전달 장치
EP3517778A1 (en) Power producing apparatus
JP2015126696A (ja) 流体発電装置
KR101907249B1 (ko) 고속 발전장치
KR200298993Y1 (ko) 발전식 에너지 발생장치
CN219740126U (zh) 单向离合轮毂电机
JP7481749B2 (ja) 発電機
KR101060197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
CN219632737U (zh) 磁阻驱动式电链锯
RU2007105039A (ru) Планетарный электромотор-редуктор с рычагом управления коллектором
RU2683587C1 (ru) Магнитный редуктор, встраиваемый в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ь
KR20100048535A (ko) 전자기력에 의해 회전 가능한 바퀴
KR20160123980A (ko) 증속기어 및 플라이휠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KR20120017702A (ko) 원심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JP2008131852A (ja) 電流供給機構
TWI666857B (zh) 磁力能源轉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