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0197B1 -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0197B1
KR101060197B1 KR1020090062305A KR20090062305A KR101060197B1 KR 101060197 B1 KR101060197 B1 KR 101060197B1 KR 1020090062305 A KR1020090062305 A KR 1020090062305A KR 20090062305 A KR20090062305 A KR 20090062305A KR 101060197 B1 KR101060197 B1 KR 101060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manent magnet
rotating plate
gear member
rotating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0609A (ko
Inventor
이우경
Original Assignee
이우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경 filed Critical 이우경
Publication of KR20100120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3/00Alleged dynamo-electric perpetua mobilia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산업분야로 발전소, 모터, 발전기, 엔진, 풍력, 자동차, 감속기어 등 대부분의 회전운동에 사용이 가능하며, 모터와 자석의 힘을 이용하여 기어를 돌리고, 이 기어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감속기를 회전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장치, 자석, 베벨기어, 회전판

Description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DRIVING UNIT USING PERMANENT MAGNET}
본 발명은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분야로 발전소, 모터, 발전기, 엔진, 풍력, 자동차, 감속기어 등 대부분의 회전운동에 사용이 가능하며, 모터와 자석의 힘을 이용하여 기어를 돌리고, 이 기어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감속기를 회전시키도록 한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거의 대부분의 구동장치는 전기를 이용하여 동력을 생산하는 전기모터나 또는 기름과 같은 화석연료를 이용하여 동력을 생산하는 내연기관 등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이와 같은 구동장치들은 동력을 생산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해주어야 하며 에너지의 공급을 차단할 경우 동력 생산도 중단되기 때문에 그 효율성이 떨어질 뿐 만 아니라 구동장치의 에너지원이 되는 전기나 또는 기름을 얻기 위해서는 다시 많은 비용이 투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위와 같은 전기모터나 내연기관의 에너지원이 되는 전기나 기름을 대체할 수 있는 경제성과 안전성이 뛰어난 대체에너지의 개발을 위해 전 세계 각 국에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며 현재까지 개발된 대표적인 대체 에너지원으로는 태양열이나 원자력 같은 에너지원들이 있다.
기존에 태양열의 경우 기존의 에너지와 같은 용량을 얻기 위해서는 기존 에너지보다 더 많은 생산비가 투입되기 때문에 경제성이 다소 떨어질 뿐 만 아니라 기상변화에 따라 에너지원의 공급이 변화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에너지를 얻기가 힘들어 일부 분야에서만 이용될 뿐, 크게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고 원자력의 경우 경제성은 뛰어나나 이 역시 초기 비용이 많이 들 뿐 만 아니라 인체에 치명적인 방사능 물질의 배출로 인하여 안전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에는 아직까지도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모터의 원리와 감속기의 원리를 응용한 구동장치로써, 소형모터를 돌려 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모터력을 전달받는 자력을 이용하여 기어를 돌리는데, 이 기어를 통해 감속이나 증속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는: 케이스, 이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원 궤적을 따라 다수 개의 설치홀을 형성한 회전판, 이 회전판의 접선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과 일치되도록 설치홀 각각에 삽입되고 회전판의 중심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원통 형상인 고정구, 이 고정구의 외측으로 노출되면서 접선에 대한 수직방향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둘레면에 형성되는 고정영구자석, 이 회전판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고정구에 대응되도록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고정구와 대칭되는 크기로 배열되는 회전구, 이 회전구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둘레면에 고정영구자석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되어 회전구의 회전시 대응되는 고정영구자석에 척력을 발생하여 회전판을 회전 유도하는 회전영구자석, 및 이 회전판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판은 둘레면에 볼베어링을 형성하여 상기 케이스 내측과 마찰을 최소화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판의 양측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 형성되는 원형 링 형상의 회전기어부재,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복수 개 형성되고 각각 상기 회전기어부재에 기어 결합되며 상기 회전기어부재와 회전비를 달리하는 크기로 이루어진 종동기어부재, 상기 종동기어부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외부 동력 발생시 강제로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유도하는 주동기어부재, 및 상기 주동기어부재에 외부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판은 상기 회전기어부재를 안착하기 위해 안착홈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동기어부재는 독립적으로 상기 회전구 각각과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종동기어부재 각각에 기어 결합되는 아이들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이들기어는 대응되는 상기 회전구와 대칭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보조구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구는 상기 회전영구자석 각각과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호 척력을 발생하는 보조영구자석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판은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샤프트를 고정 축 삽입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자력의 힘을 보조로 이용해서 회전하며, 모터력을 받는 자석의 힘과 기어의 회전을 이용하여 기어 회전에 따른 부하를 자석의 척력으로써 줄일 수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모터력을 받는 자력을 이용하여 기어를 돌리는데, 이 기어를 통해 감속이나 증속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 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의 내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의 척력 발생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는 케이스(1), 회전판(10), 고정구(20), 고정영구자석(30), 회전구(40), 회전영구자석(50) 및 구동부(60)를 포함한다.
케이스(1)는 회전판(10), 고정구(20), 고정영구자석(30), 회전구(40), 회전영구자석(50) 및 구동부(6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케이스(1)는 회전판(10), 고정구(20), 고정영구자석(30), 회전구(40), 회전영구자석(50) 및 구동부(60)를 내부에 용이하게 조립하기 위해 2 조각 이상으로 분리되어 서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케이스(1)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회전판(10)은 케이스(1)의 내부에서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회전판(10)은 원 궤적을 따라 다수 개의 설치홀(12)을 형성한 다.
물론, 회전판(1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설치홀(12)은 회전판(10)의 일측에 함몰 형성될 수 있으나, 양측으로 연통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편의상, 설치홀(12)은 회전판(10)에서 원 궤적을 따라 8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한다.
이때, 회전판(10)이 케이스(1) 내부에서 원활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판(10)은 둘레면에 볼베어링(14)을 형성한다. 이 볼베어링(14)은 케이스(1)와 회전판(10)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하는 회전판(10)이 케이스(1) 내측과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회전판(10)은 볼베어링(14) 내측에 억지 끼움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구(20)는 회전판(10)의 설치홀(12) 각각에 삽입 고정된다.
특히, 고정구(20)의 축방향은 회전판(10)의 각 접선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과 일치된다. 아울러, 고정구(20)는 회전판(10)의 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고정구(20)는 동일 직경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최소의 설치공간 내에서 회전구(4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직경이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고정구(2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고정영구자석(30)은 고정구(20)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고정구(20)에 형 성되고, 자력을 발생하게 된다.
특히, 고정영구자석(30)은 고정구(20)의 접선에 대한 수직한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이때, 고정구(20)는 둘레면에 고정삽입홈(22)을 형성하고, 고정영구자석(30)은 이 고정삽입홈(22)에 삽입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고정영구자석(30)은 접착이나 볼팅에 의해 고정구(20)에 견고하는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고정구(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구(40)는 케이스(1) 내부에서 회전판(10)을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회전구(40)는 고정구(20)에 일대일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케이스(1) 내부에 형성된다. 이때, 회전구(40)는 케이스(1) 내부에 핀 연결 등의 방식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특히, 회전구(40)는 회전판(10)의 양측 각각에서 고정구(20)와 동일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최소의 개수로 회전판(10)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회전판(10)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한 회전구(40)와 타측에 위치한 회전구(40)의 합한 개수가 고정구(20)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회전구(40) 각각은 고정구(20)와 일대일로 대응되게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회전구(40)는 고정구(20)와 대칭되는 크기로 배열된다.
즉, 고정구(20)와 회전구(40)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로 이루어지고, 회전 구(40)는 고정구(20)와 축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직경이 굵게 형성된다.
이는, 최소의 설치 공간 내에서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구(40)와 원 궤적을 따라 이동하는 고정구(20)가 상호 간섭을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회전영구자석(50)은 회전구(40)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회전구(40)에 형성되고, 자력을 발생하게 된다.
특히, 회전영구자석(50)은 회전구(40)의 접선에 대한 수직한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이때, 회전구(40)는 둘레면에 회전삽입홈(42)을 형성하고, 회전영구자석(50)은 이 회전삽입홈(42)에 삽입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회전영구자석(50)은 접착이나 볼팅에 의해 회전구(40)에 견고하는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회전구(4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회전구(40)가 중심축에 대해 회전시, 회전영구자석(50)은 회전되며 고정영구자석(30)과 척력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구(40)는 회전하면서 회전판(10)을 자력으로 밀어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회전판(10)은 최초에 회전시 또는 고정영구자석(30)과 회전영구자석(50)의 척력을 보조하기 위해 구동부(60)에 의해 강제 회전하게 된다.
회전판(10)은 구동부(60)에 의해 외력을 받아 회전됨과 동시에 고정영구자 석(30)과 회전영구자석(50)의 척력에 의해 회전되기 때문에 구동부(60)의 부하는 기존의 외력 단독으로 회전판(10)을 회전시킬 때의 구동 부하 보다 줄일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60)는 회전기어부재(62), 종동기어부재(64), 주동기어부재(66) 및 동력모터(68)를 포함한다.
회전기어부재(62)는 회전판(10)의 양측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 형성되는 원형 링 형상이다.
이때, 회전판(10)은 회전기어부재(62)를 안착하기 위해 안착홈(16)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회전기어부재(62)를 회전판(10)에 매립함으로써 전체 조립된 상태의 부피를 줄이기 위함이다.
특히, 회전기어부재(62)는 회전판(10)에 단순히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볼팅 등의 방식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물론, 회전기어부재(62)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종동기어부재(64)는 케이스(1)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복수 개 형성되고, 회전기어부재(62)와 기어 결합되며, 각각 회전기어부재(62)와 회전비를 달리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래서, 회전기어부재(62)와 종동기어부재(64)의 회전비가 다르게 함으로써 감속기의 역할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종동기어부재(64)는 다수 개 구비되어 대응되는 각 회전기어부재(62)와 기어 결합되는데, 편의상, 회전판(10)의 양측 각각에 4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또한, 주동기어부재(66)는 종동기어부재(64)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외부 동력 발생시 강제로 회전판(10)의 회전을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편의상, 주동기어부재(66)는 베벨기어로 도시하나, 다양한 동력전달요소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동력모터(68)는 주동기어부재(66)에 외부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동력모터(68)가 구동력을 발생하여 주동기어부재(66)에 전달함으로써, 주동기어부재(66)가 회전력을 공급받는 연결방식은 일반적인 것으로 한다.
한편, 종동기어부재(64) 각각은 대응되는 회전구(40)와 핀 결합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즉, 종동기어부재(64)와 회전구(40)는 일대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각각 최소의 개수로 이루어지고, 서로 연결되어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설치 부피를 줄이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는 종동기어부재(64) 각각에 기어 결합되는 아이들기어(70)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 아이들기어(70)는 대응되는 종동기어부재(64)가 회전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아이들기어(70)는 케이스(1) 내부에서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아이들기어(70)는 대응되는 회전구(40)와 대칭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보조구(80)를 구비한다.
즉, 보조구(80)는 회전구(40)에 일대일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케이스(1) 내부에 형성된다. 이때, 보조구(80)는 케이스(1) 내부에 핀 연결 등의 방식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특히, 보조구(80)는 회전판(10)의 양측 각각에서 회전구(40)와 동일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최소의 개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회전판(10)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한 회전구(40)와 타측에 위치한 회전구(40)의 합한 개수가 보조구(80)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보조구(80) 각각은 회전구(40)와 일대일로 대응되게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보조구(80)는 회전구(40)와 대칭되는 크기로 배열된다.
즉, 보조구(80)와 회전구(40)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로 이루어지고, 보조구(80)는 회전구(40)와 축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직경이 가늘게 형성된다.
이는,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보조구(80)는 회전영구자석(50) 각각과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호 척력을 발생하는 보조영구자석(90)을 형성한다.
보조영구자석(90)은 보조구(80)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보조구(80)에 형성되고, 자력을 발생하게 된다.
특히, 보조영구자석(90)은 보조구(80)의 접선에 대한 수직한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이때, 보조구(80)는 둘레면에 보조삽입홈(82)을 형성하고, 보조영구자석(90) 은 이 보조삽입홈(82)에 삽입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보조영구자석(90)은 접착이나 볼팅에 의해 보조구(80)에 견고하는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보조구(8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종동기어부재(64)와 아이들기어(70)가 기어 결합되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보조구(80)가 중심축에 대해 회전시, 회전구(40)는 보조영구자석(90)에 대해 척력을 받는 회전영구자석(50)으로 인해 회전력을 발생하게 된다.
한편, 회전판(10)은 중심에 샤프트(18)를 축 삽입하여 고정하고, 이 샤프트(18)는 케이스(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일례로써,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샤프트(18)는 일측에 발전기를 구비하고, 타측에 시동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자력을 이용하여 구동력을 얻게 된다.
즉, 회전기어부재(62), 종동기어부재(64) 및 아이들기어(70)가 서로 연동되도록 기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주동기어부재(66)가 동력모터(68)에 의해 강제 회전시, 회전기어부재(62)가 원 운동을 함에 따라 회전판(10)은 회전된다.
이 회전판(10)이 회전됨으로써 샤프트(18)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특히, 종동기어부재(64)와 연결된 회전영구자석(50)이 회전판(10)에 형성된 고정영구자석(30)과 척력을 발생하기 때문에 회전판(10)은 이 척력에 의해 회전된다.
그래서, 동력모터(68)의 부하는 최소로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샤프트(18)는 일측을 입력측으로 하고, 타측을 출력측으로 하며, 이 출력측이 주동기어부재(66)에 연결됨으로써, 증속기 역할도 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의 내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의 척력 발생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케이스 10: 회전판
12: 설치홀 18: 샤프트
20: 고정구 30: 고정영구자석
40: 회전구 50: 회전영구자석
60: 구동부 62: 회전기어부재
64: 종동기어부재 66: 주동기어부재
68: 동력모터 70: 아이들기어
80: 보조구 90: 보조영구자석

Claims (8)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원 궤적을 따라 다수 개의 설치홀을 형성한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접선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과 일치되도록 상기 설치홀 각각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판의 중심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원통 형상인 고정구;
    상기 고정구의 외측으로 노출되면서 접선에 대한 수직방향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둘레면에 형성되는 고정영구자석;
    상기 회전판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상기 고정구에 대응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와 대칭되는 크기로 배열되는 회전구;
    상기 회전구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둘레면에 상기 고정영구자석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되어 상기 회전구의 회전시 대응되는 상기 고정영구자석에 척력을 발생하여 상기 회전판을 회전 유도하는 회전영구자석; 및
    상기 회전판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둘레면에 볼베어링을 형성하여 상기 케이스 내측과 마찰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판의 양측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 형성되는 원형 링 형상의 회전기어부재;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복수 개 형성되고, 각각 상기 회전기어부재에 기어 결합되며, 상기 회전기어부재와 회전비를 달리하는 크기로 이루어진 종동기어부재;
    상기 종동기어부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외부 동력 발생시 강제로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유도하는 주동기어부재; 및
    상기 주동기어부재에 외부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회전기어부재를 안착하기 위해 안착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기어부재는 독립적으로 상기 회전구 각각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종동기어부재 각각에 기어 결합되는 아이들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기어는 대응되는 상기 회전구와 대칭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보조구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구는 상기 회전영구자석 각각과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호 척력을 발생하는 보조영구자석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샤프트를 고정 축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
KR1020090062305A 2009-05-06 2009-07-08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 KR1010601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494 2009-05-06
KR20090039494 2009-05-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609A KR20100120609A (ko) 2010-11-16
KR101060197B1 true KR101060197B1 (ko) 2011-08-29

Family

ID=43406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305A KR101060197B1 (ko) 2009-05-06 2009-07-08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01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3216B2 (en) 2014-11-17 2016-08-09 Se Myung Suk Magnetic rotation accelerator and power gener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3216B2 (en) 2014-11-17 2016-08-09 Se Myung Suk Magnetic rotation accelerator and power gener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US9729041B2 (en) 2014-11-17 2017-08-08 Se Myung Suk Magnetic rotation accelerator and power gener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609A (ko) 2010-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2740B2 (en) Apparatus comprising counter-rotational mechanisms and related methods to convey current
KR101577621B1 (ko) 모터 중심축에 위성기어를 장치하여 좌우 양축 상호 역회전하는 회전축이 두개인 모터장치
CN106655620A (zh) 一种转动环境下同轴反向型电磁式发电机
KR101060197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
KR20030029087A (ko) 자기력을 이용한 동력 증강장치
CN202435192U (zh) 轮毂发电电机
CN104763589A (zh) 流体发电装置
CN204357629U (zh) 一种集成半直驱式潮流发电机组
KR101265742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풍력발전기용 회전력 전달장치
KR20170081546A (ko) 자석을 이용한 회전 장치와 그 회전 장치의 고정자와 회전자의 구조.
KR20110010852A (ko) 자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장치
CN104481791A (zh) 一种集成半直驱式潮流发电机组
KR20160058656A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회전 장치.
KR20170000306A (ko) 자석을 이용한 회전 장치.
KR20040027663A (ko) 자기력 발전시스템
KR20060125154A (ko) 정역구동형 발전기
KR101596193B1 (ko) 관형 발전기
JP3168093U (ja) 電機構造
KR101768397B1 (ko) 발전기용 동력전달장치
KR20170083935A (ko) 고속 발전장치
RU84638U1 (ru)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ь
KR200298993Y1 (ko) 발전식 에너지 발생장치
KR20000058534A (ko) 영구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동력을 얻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74803A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구동장치
CN204376624U (zh) 一种机械发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9